까막딱따구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까막딱따구리는 딱따구리과에 속하는 종으로, 몸길이 45-55cm, 날개 길이 64-84cm의 큰 종이다. 유럽, 아시아, 중동 지역에 분포하며, 주로 삼림 지역에서 서식한다. 검은 깃털과 수컷의 붉은 머리 깃털이 특징이며, 개미, 곤충, 과실 등을 먹는다. 핀란드에서는 지역을 상징하는 새이며, 일본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그러나 산림 벌채 등으로 인해 서식지가 파괴되어 개체 수 감소가 우려되고 있으며, 특히 일본 혼슈에서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딱따구리과 - 오색딱따구리
오색딱따구리는 유라시아와 북아프리카에 분포하는 중간 크기의 딱따구리로, 흑색, 흰색, 적색 깃털을 가지며 곤충, 거미, 종자 등을 먹고 나무에 둥지를 만드는 잡식성 새로, IUCN에 의해 관심 필요 종으로 분류된다. - 딱따구리과 - 크낙새
몸길이 46cm의 가장 큰 딱따구리류인 크낙새는 댕기깃과 뺨의 진홍색 반점이 특징이었으나,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한반도에서 멸종된 것으로 간주되어 대한민국에서는 천연기념물 및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일본의 천연기념물 - 까치
까치는 까마귀과에 속하는 조류로, 동아시아에 분포하며 흑백의 뚜렷한 색상 대비와 긴 꼬리가 특징이고, 잡식성이며 나뭇가지 등으로 둥지를 짓고, 한국에서는 길조로 여겨지며 높은 지능을 가진 새로 알려져 있다. - 일본의 천연기념물 - 슴새
슴새는 태평양에 서식하는 해양성 조류로, 동아시아 해안 섬에서 번식하며 어류, 낙지 등을 먹고 땅 속에 둥지를 틀지만, 과거 식용 및 깃털 채취와 현재 어업 활동 등으로 위협받고 있다. - 한국의 텃새 - 까치
까치는 까마귀과에 속하는 조류로, 동아시아에 분포하며 흑백의 뚜렷한 색상 대비와 긴 꼬리가 특징이고, 잡식성이며 나뭇가지 등으로 둥지를 짓고, 한국에서는 길조로 여겨지며 높은 지능을 가진 새로 알려져 있다. - 한국의 텃새 - 동박새
동박새는 인도네시아, 일본, 대한민국 등지에 분포하는 몸길이 약 12cm의 작은 새이며, 녹색 깃털과 흰색 눈 테두리가 특징이고, 꽃꿀, 과실, 곤충 등을 먹는 잡식성 조류이다.
까막딱따구리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Dryocopus martius |
이명 | Picus martius Linnaeus, 1758 |
분포 | |
![]() | |
생물학적 분류 | |
상태 | LC (관심 필요) |
IUCN 3.1 | 관심 필요 |
속 | Dryocopus (까막딱따구리속) |
일반 정보 | |
목 | 키츠츠키목 |
과 | 키츠츠키과 |
아과 | 키츠츠키아과 |
속 | 쿠마게라속 |
종 | 쿠마게라 (D. martius) |
학명 (일본어) | Dryocopus martius (Linnaeus, 1758) |
일본어명 | 쿠마게라 |
영어명 | Black woodpecker |
![]() | |
![]() | |
한국 정보 | |
한국어명 | 까막딱따구리 |
학명 (한국어) | Dryocopus martius |
학명_명명 (한국어) | Linnaeus, 1758 |
상태 (한국어) |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 |
환경부 출처 | 120000001916 |
![]() | |
![]() | |
![]() | |
천연기념물 | 까막딱따구리 |
지정번호 | 242 |
지정일 | 1973년 4월 12일 |
소재지 | 일원 |
2. 분류
스웨덴의 박물학자 칼 린네는 1758년 그의 저서 자연의 체계 제10판에서 이명법에 따라 ''Picus martius''라는 학명으로 까막딱따구리를 처음 기재했다.[2] 린네는 기준지를 유럽으로 표기했으나, 현재는 스웨덴으로 여겨진다.[3] 까막딱따구리는 현재 독일의 박물학자 프리드리히 보이예가 1826년에 제안한 까막딱따구리속(''Dryocopus'')으로 분류된다.[4][5]
다음과 같은 두 개의 아종이 인정된다:[5]
그림 | 아종 | 분포 |
---|---|---|
![]() | D. m. martius (린네, 1758) | 서유럽에서 캄차카 반도와 일본까지 |
D. m. khamensis (부툴린, 1908) | 티베트 및 중국 남서부 |
까막딱따구리는 몸길이가 45cm에서 57cm에 달하며[33], 날개 길이는 64cm에서 84cm이다.[6][7] 몸무게는 평균적으로 약 250g에서 400g 사이이다.[7][12][8][33] 이는 서식지 내에서는 가장 큰 딱따구리과 조류이며, 현존하는 딱따구리 중에서는 큰회색딱따구리 다음으로 크다(멸종 가능성이 높은 황제딱따구리와 흰부리딱따구리 제외).[7] 일본에 분포하는 딱따구리 중에서도 가장 큰 종이다.[30] 가까운 종인 수염딱따구리나 흰배딱따구리와 크기가 비슷하지만, 평균 및 최대 크기와 질량은 까막딱따구리가 약간 더 크다.[7]
까막딱따구리는 비교적 넓은 지역에 분포하는 숲 서식종으로, 광범위한 삼림이 남아있는 대부분의 지역에서 성공적으로 번식할 수 있다. 그러나 번식을 위해서는 성숙한 나무와 충분한 양의 죽은 나무가 필요하다.[15] 과거 유럽과 아시아의 많은 지역에서는 산림 벌채 등으로 인해 개체수가 감소했으며, 피레네 산맥과 같은 일부 지역에서는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다. 반면, 일부 산림 지역이 복원되면서 유럽 일부 지역에서는 개체 수가 증가하기도 했다.[13]
[1]
간행물
Dryocopus martius
BirdLife International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3. 형태
깃털은 붉은색 관우(머리깃)를 제외하고는 전체적으로 검은색이다.[33] 이 때문에 한국어 명칭 '까막'은 '검다'는 뜻에서 유래했으며[30], 영어 명칭(black woodpecker)도 같은 의미이다. 종소명 ''martius''는 '군인의'라는 뜻인데, 검은 깃털이 군복을 연상시키는 데서 유래했다.[30] 수컷은 정수리부터 머리 뒤쪽까지 전체가 붉은색 깃털로 덮여 있지만[31][34][36], 암컷은 머리 뒤쪽 윗부분만 붉은색이다.[30][31][34][35][36] 어린 까막딱따구리는 성체보다 광택이 덜하고, 머리깃은 더 옅은 붉은색이며, 목과 부리는 더 옅은 회색을 띤다.[9]
홍채는 황백색이며[31][36], 부리는 길고 튼튼하며 황백색 바탕에 끝부분은 검은색이다.[31][34][36] 뒷다리의 색깔은 회색 또는 검은색이다.[36]
다른 딱따구리 종들과 달리, 까막딱따구리는 파도 모양으로 오르내리며 날지 않고, 머리를 든 채 느리고 다소 불안정하게 직선에 가깝게 날아간다.[7][9]
4. 분포 및 서식지
까막딱따구리는 유럽, 아시아, 중동의 넓은 지역에 걸쳐 분포한다. 분포 지역은 서쪽의 스페인에서 시작하여 영국, 아일랜드 및 북부 스칸디나비아를 제외한 유럽 전역으로 뻗어 있다. 남쪽 분포 한계는 스페인과 이탈리아이며, 포르투갈에서는 길 잃은 개체가 기록되기도 했다. 아시아에서는 한국, 일본(홋카이도, 도호쿠 지방 북부), 중국(북동부 및 서남부), 몽골, 러시아 등지에 서식하며[10][31][32][33][34][35][36][37], 중동 지역에서는 이란, 카자흐스탄, 일부 터키 지역에서도 발견된다.[10][31][32][33][34][35][36][37] 일반적으로 아시아 지역에서는 분포가 불연속적이며 드문 편이다.[10]
영국 제도에서는 눈에 띄게 발견되지 않는다. 영국 내에서 약 80건의 관찰 보고가 있었지만, 이 중 일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지리적으로 서유럽과 가깝기 때문에 이 종이 영국으로 건너올 가능성은 있다.[11]
까막딱따구리는 주로 삼림 지역에 서식하며, 특히 넓고 오래된 침엽수림, 열대 우림, 아열대림 및 타이가 보레알림을 선호한다. 산악 지대와 저지대 숲 모두에서 발견되며, 서식 고도는 100m에서 2400m 사이이다.[10][7][9] 번식기가 아닐 때는 인간 거주지 근처의 변두리 숲에서도 더 자주 발견될 수 있다.[10]
5. 생태
까막딱따구리는 매우 강한 근육을 가진 목과 강력한 부리를 사용하여 주로 죽은 나무를 쪼아 목수개미와 나무를 파먹는 딱정벌레 유충 등을 잡아먹는다.[12] 먹이 종류는 비교적 한정적이고 예측 가능하며, 주로 개미를 먹지만 (하루 최대 1,000마리), 그 외 곤충 (좀벌레류 유충 최대 900마리)이나 과실도 먹는다.[13][30][32][33][35] 주로 고목이나 그루터기 속 먹이를 찾아 먹으며,[32][35] 겨울에는 살아있는 나무 속 먹이를 찾기도 한다.[32] 눈 속에 파묻힌 그루터기까지 눈을 헤치고 들어가 개미를 잡아먹은 사례도 있다.[35] 큰 몸집과 뛰어난 신체 능력 덕분에 나무 깊숙한 곳의 먹이까지 접근할 수 있으며, 이때 짧고 뭉툭한 다리와 길고 날카로운 발톱, 매우 뻣뻣한 꼬리 깃털이 몸을 지탱하는 데 도움을 준다.
둥지는 주로 심재 부패와 같은 곰팡이 질병에 걸린 나무를 선호하지만, 살아있는 건강한 나무, 특히 미루나무나 소나무와 같은 큰 나무나 고목에도 구멍을 뚫어 만든다.[12][33] 부리로 나무줄기를 아래로 쪼아 둥지 굴을 만들며, 이때 생기는 나무 조각들이 둥지 바닥을 덮는 유일한 재료가 된다. 같은 둥지를 여러 해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며, 최대 6년 동안 같은 둥지를 이용한 기록도 있다.[33]
번식 형태는 난생이다. 둥지가 준비되면 암컷은 5월경 한 번에 2개에서 8개의 알을 낳으며, 평균적으로는 4개에서 6개를 낳는다 (일본에서는 주로 2-4개, 평균 3개).[12][40] 알은 암수가 교대로 품으며, 포란 기간은 12일에서 14일 정도이다.[33] 새끼가 부화하면 암수 모두 먹이를 주고 돌보지만, 부화 직후나 밤에는 주로 수컷이 새끼를 품고 돌본다.[40] 새끼들은 서로 먹이를 먼저 먹기 위해 둥지 입구로 가려고 경쟁하기도 한다. 새끼는 부화 후 18일에서 35일(일본 자료 기준 24-30일)이 지나면 둥지를 떠나며, 이후 약 일주일 정도 어미와 함께 지낸다.[7][9][33]
까막딱따구리가 파 놓은 둥지는 다른 많은 새나 포유류에게 중요한 보금자리를 제공하기 때문에, 서식지 생태계 전반에서 "핵심종"으로 여겨진다. 또한, 나무를 갉아먹는 곤충의 수를 조절하여 숲의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9][14]
일본 홋카이도에서는 상록침엽수림, 낙엽활엽수림, 혼효림 등 다양한 숲에 서식하며, 도호쿠 지방에서는 주로 너도밤나무림에서 발견된다.[40]
6. 인간과의 관계
핀란드 우시마 지역의 누르미얘르비 자치구는 까막딱따구리를 상징 새로 지정했다. 이는 해당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새일 뿐만 아니라, 누르미얘르비 출신의 핀란드 국민 작가 알렉시스 키비의 문학 작품에도 등장하기 때문이다.[25] 누르미얘르비의 지역 축구 클럽 NJS 역시 클럽 로고에 까막딱따구리를 사용하고 있다.[26]
이탈리아에서는 까막딱따구리 아종인 ''Dryocopus martius martius''가 고대 이탈리아 민족의 이구비노 토판에 언급된 움브리아어 단어 ''peiqu''로 여겨진다. 이 새는 초기 이탈리아 종교와 신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던 것으로 보인다.[27]
아이누 민족은 까막딱따구리를 "치프·타·치컵"(통나무배를 조각하는 새)이라고 부르며, 불곰의 위치를 알려주거나 길 안내를 하는 신으로 숭배했다.[41]
일본에서는 까막딱따구리 아종(''D. m. martius'')을 1965년 국가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32][36] 하지만 산림 벌채로 인한 서식지 파괴와 번식기에 사람들의 접근으로 인한 방해가 심각한 문제로 지적되고 있으며[40], 특히 혼슈에서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세계 자연 유산으로 지정된 너도밤나무 숲이 있는 시라카미 산지(아오모리현·아키타현)에서는 2014년 10월 이후, 모리요시 산(기타아키타시)에서는 2017년 4월 이후 목격 정보가 끊기고 서식 흔적도 찾기 어려워졌다. 이에 일본 자연 보호 협회 등은 2024년 1월, 환경성에 까막딱따구리의 생존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본격적인 조사와 보호 대책 강화를 요청했다.[42] 과거에는 도호쿠 북부뿐만 아니라 후쿠시마현 서부의 오쿠타다미 지방, 야마가타현과 니가타현에 걸쳐 있는 아사히 연봉에서도 서식이 확인된 바 있다.[42] 한편, 까막딱따구리의 모습은 일본 파크 골프 협회의 등록 상표인 "까막딱따구리 마크"로 사용되고 있으며[43], 파크 골프 발상지인 홋카이도 마쿠베쓰정의 카운티 사인에도 그려져 있다. 또한 홋카이도 구로마쓰나이정의 카운티 사인에는 너도밤나무 숲에 서식하는 까막딱따구리의 모습이 담겨 있다.
7. 보전 상태
까막딱따구리는 때때로 전력선, 통신주, 주택 등에 피해를 입혀 인간과 갈등을 빚기도 하며, 이로 인해 감전되거나 직접 제거되어 죽는 경우도 있다.[16] 둥지 실패의 주요 원인은 포식으로 여겨진다.[17] 주요 천적으로는 알, 새끼, 어미까지 잡아먹고 둥지 구멍을 차지하기도 하는 유럽담비(''Martes martes'')가 있다.[18] 이 외에도 유럽까마귀(''Coloeus monedula'')는 둥지 구멍을 빼앗고 알과 작은 새끼를 포식할 가능성이 있으며,[20] 수리부엉이(''Strix uralensis''),[21] 유라시아수리부엉이(''Bubo bubo''),[22] 북부참매(''Accipiter gentilis''),[23] 솔개(''Buteo buteo''),[24] 황금독수리(''Aquila chrysaetos'') 등 숲에서 사냥하는 일부 대형 맹금류도 까막딱따구리를 잡아먹는 것으로 기록되었다.[19]
일본에 서식하는 아종(''D. m. martius'')은 1965년 국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32][36] 하지만 일본에서도 산림 벌채로 인한 둥지 나무 및 채식지 파괴, 번식기 동안 사람의 접근으로 인한 교란 등이 우려되고 있으며,[40] 특히 혼슈에서는 멸종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세계 자연 유산으로 지정된 시라카미 산지(아오모리현·아키타현)에서는 2014년 10월 이후, 모리요시 산(기타아키타시)에서는 2017년 4월 이후 목격 정보가 끊기고 둥지 등의 흔적도 드물어졌다. 이에 일본 자연 보호 협회 등은 2024년 1월, 환경성에 생존 실태에 대한 본격적인 조사와 보호 대책 강화를 요청했다.[42] 과거에는 후쿠시마현 서부의 오쿠타다미 지방이나 야마가타현과 니가타현에 걸쳐 있는 아사히 연봉에서도 목격 정보가 있었다.[42] 일본 환경성은 이 아종을 절멸 위기 II류(멸종 위기에 직면한 종)로 분류하고 있다.[40]
참조
[2]
서적
Systema Naturae per regna tria naturae,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https://www.biodiver[...]
Laurentii Salvii
[3]
서적
Check-List of Birds of the World
https://www.biodiver[...]
Harvard University Press
[4]
학술지
Generalübersicht
https://biodiversity[...]
[5]
웹사이트
Woodpeckers
http://www.worldbird[...]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20-05-26
[6]
서적
The Birds of the Western Palearctic [Abridged]
OUP
[7]
서적
Woodpeckers: An Identification Guide to the Woodpeckers of the World
Houghton Mifflin
[8]
서적
Field Guide to the Birds of East Asia: Eastern China, Taiwan, Korea, Japan and Eastern Russia
A&C Black
[9]
서적
New Generation Guide to the Birds of Britain and Europe
University of Texas Press
[10]
서적
Collins Field Guide: Birds of Britain and Europe
HarperCollins Publishers
[11]
학술지
Range-expansion of the Black Woodpecker in Western Europe
https://britishbirds[...]
1985-04-01
[12]
학술지
Black woodpecker nest sites: characteristics, selection, and reproductive success
[13]
학술지
Population trends in black woodpecker in relation to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European forests
[14]
서적
Central and Eastern European Wildlife
Bradt Travel Guides
[15]
학술지
Forest management considerations for conservation of black woodpecker Dryocopus martius and white-backed woodpecker Dendrocopos leucotos populations in Quinto Real (Spanish Western Pyrenees)
[16]
학술지
On the damage by birds to power and communication lines
[17]
학술지
Evolutionary determinants of clutch size in cavity-nesting birds: nest predation or limited breeding opportunities?
[18]
학술지
Is avoidance by black woodpeckers of old nest holes due to predators?
[19]
학술지
Nest Predation and Nest Defence in European and North American Woodpeckers: A Review
[20]
학술지
Colonial breeding and nest predation in the Jackdaw Corvus monedula using old Black Woodpecker Dryocopus martius holes
[21]
학술지
Population ecology of the Ural owl Strix uralensis in central Sweden
[22]
학술지
Het dieet van de Oehoe in Nederland en enkele aangrenzende gebieden in Duitsland
https://docplayer.nl[...]
[23]
학술지
Feeding ecology of a population of Goshawk Accipiter gentilis
[24]
학술지
Feeding ecology of a nesting population of the Common Buzzard (Buteo buteo) in the Upper Nitra Region, Central Slovakia
[25]
웹사이트
Vaakuna ja tunnukset – Nurmijärvi
https://www.nurmijar[...]
[26]
웹사이트
Nurmijärven Jalkapalloseura tähtää suomalaisen futiksen huipulle – Nurmijärven Uutiset
https://www.nurmijar[...]
[27]
서적
Bronze Tables of Iguvium
https://archive.org/[...]
[28]
간행물
Dryocopus martius
BirdLife International
2017-02-28
[29]
서적
日本鳥類目録 改訂第7版
日本鳥学会
[30]
서적
山渓名前図鑑 野鳥の名前
山と渓谷社
[31]
서적
日本の鳥550 山野の鳥 増補改訂版
文一総合出版
[32]
서적
日本の天然記念物
講談社
[33]
서적
動物大百科8 鳥類II
平凡社
[34]
서적
フィールドガイド 日本の野鳥 増補改訂版
日本野鳥の会
[35]
서적
原色ワイド図鑑4 鳥
学習研究社
[36]
서적
日本の野鳥590
平凡社
2000
[37]
서적
小学館の図鑑NEO 鳥
小学館
2002
[38]
논문
The eBird/Clements checklist of birds of the world: v2016
http://www.birds.cor[...]
2017-02-28
[39]
웹사이트
Woodpeckers
http://www.worldbird[...]
2017-02-28
[40]
서적
クマゲラ
ぎょうせい
2014
[41]
서적
山渓カラー名鑑 日本の野鳥 特装版
山と渓谷社
1985
[42]
뉴스
世界遺産・白神山地のシンボル/クマゲラ 本州で絶滅危機/7年目撃なし 人を警戒で繁殖放棄か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4-07-20
[43]
웹사이트
キャラクター・ロゴマーク
http://www.parkgolf.[...]
[44]
문서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관련 사건 타임라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