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사렛 교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역사
- 3. 신학과 교리
- 4. 예배와 의식
- 5. 조직과 제도
- 6. 사역과 활동
- 7. 저명한 나사렛교인
- 참조
1. 개요
나사렛 교회는 1895년 미국에서 시작된 개신교 교단으로, 감리교의 영향을 받아 성결 운동을 통해 성장했다. 1908년 나사렛 오순절 교회와 그리스도의 성결 교회가 합병되면서 현재의 명칭을 갖게 되었으며, 이후 여러 교단과의 통합을 거쳐 국제적으로 성장했다. 아르미니우스주의 신학을 따르며, 웨슬리안 성결을 강조하며, 성결, 칭의, 성화의 은혜를 강조한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6개 지역, 465개 지방회, 29,395개의 회중을 두고 있으며, 고등 교육, 청소년 사역, 선교 사역, 자비 사역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개신교 - 미국 장로교회
미국 장로교회는 1973년 미국 장로교에서 분리되어 설립된 보수적인 장로교 교단으로,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을 따르고 성경의 무오성을 강조하며, 미국과 캐나다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전통적인 결혼관과 생명 윤리를 옹호하며 선교와 사회 봉사에 적극적이다. - 미국의 개신교 - 발도파
발도파는 12세기 교회 분열과 성직자 세속화에 반발하여 청빈과 복음을 강조하며 일어난 기독교 평신도 운동으로, 이단으로 규정되어 박해를 받았으나 종교개혁 시기에 개신교와 접촉하고 현대에는 이탈리아 감리교회와 연합하여 활동한다. - 성결 운동 - 총회
총회는 종교적, 사회적 목적으로 많은 사람이 모이는 집회를 뜻하는 용어로, 교회나 종교 단체의 최고 의결 기관, 국제 기구의 주요 의사결정 기구, 국가 및 지방 의회의 명칭 등으로 사용되며, 신약성경에서는 신앙 공동체 전체를 의미하기도 한다. - 성결 운동 - 대한기독교나사렛성결회
나사렛 교회 | |
---|---|
기본 정보 | |
![]() | |
분류 | 개신교 |
성향 | 웨슬리-성결 |
신학 | 감리교 |
정치 체제 | 혼합형: 회중교회, 장로교, 성공회 정치 요소 포함 |
본부 | 레넥사, 존슨 카운티, 캔자스주 미국 |
창립자 | 피니어스 F. 브리지 하이럼 F. 레이놀즈 윌리엄 하워드 후플 메리 리 케이글 로버트 리 해리스 J.B. 채프먼 C. W. 루스 |
창립일 | 1908년 10월 13일 |
창립 장소 | 파일럿 포인트, 텍사스, 미국 |
분리 | 나사렛 교회 (1895), 미국 오순절 교회 협회 (1897), 그리스도 성결 교회 (1904) |
합병 | 1907–1988년 사이 15개 성결 교단 |
분열 | 오순절-필그림 교회 (1917) 성경 선교 교회 (1955) 나사렛 성결 교회 (1958) 성경 언약 교회 (1967) 십자군 교회 (1972) |
관련 단체 | 기독교 성결 동반자 관계 웨슬리안 성결 연합 국가 복음주의 협회 세계 감리교 협의회 세계 웨슬리안 연맹 |
지역 | 전 세계 |
교회 수 | 31,049 (2020년) |
교인 수 | 2,640,216 (2020년) |
웹사이트 | 나사렛 교회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오늘날 나사렛 교회의 기원은 미국에서 일어난 제3차 대각성 운동 시기에 씨앗을 맺었다. 1895년 10월, 브리시 박사와 위드니 박사는 로스앤젤레스 시내에 교회를 설립하여 감리교감독교회가 도시에 사는 가난한 사람들을 섬기는 데 다시 집중하도록 했다. 이 교회는 '''나사렛 교회'''라는 이름으로 불렸다.[10] 프레드 A. 힐러리, C. 호워드 데이비스 및 윌리엄 하워드 후플이 이끌었던 동부 해안 지역의 유사한 신념을 가진 그룹인 '''미국 오순절 교회 연합'''은 189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두 개의 오래된 교파가 합병된 것이었다. 이 교회들은 '''중앙 복음주의 성결 연합'''이라고 불렸다. 1896년 11월 12일, 이 두 그룹은 브루클린에서 만나 합병에 동의했으며, 후플 그룹의 이름과 ''매뉴얼''을 유지하는 것을 포함했다.[10] 동부 해안 교회와 브리시의 서부 해안 교회는 1907년 10월 10일부터 17일까지 시카고에서 만나 '''나사렛 오순절 교회'''라는 새로운 교회로 합병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이후 교회의 제1차 총회로 여겨진다. 1907년 나사렛 교회와의 합병 당시, APCA는 주로 노바스코샤에서 아이오와까지, 그리고 미국 북동부에 존재했다.
1908년 4월, 브리시는 테네시 주 페니엘의 페니엘 대학교 총장인 에드가 P. 엘리슨, 그의 아내인 메리 에밀리 엘리슨, 그리고 텍사스 성결 연합 회원들을 나사렛 오순절 교회로 받아들였다.[11] 1908년 9월, 호러스 G. 트럼바우어가 이끄는 성결 기독교 교회의 펜실베니아 연회가 나사렛 오순절 교회와 합병했다.[12]
새로 합병된 동부 및 서부 해안 지부는 이제 미국 남부에 있는 '''그리스도의 성결 교회'''와의 합병에 집중했다. 그리스도의 성결 교회 자체는 1894년 7월 테네시 주 밀란에서 R.L. 해리스에 의해 설립되었지만 곧 그의 미망인 메리 리 케이글이 이끌었던 그리스도의 신약 교회[13]와 1904년 11월 텍사스 주 라이징 스타에서 결성된 그룹(그리스도의 성결 교회라고도 불림)의 합병이었다. 이 그룹은 1888년 텍사스에서 설립된 성결 교회와 1901년 텍사스 주 반 알스타인에서 설립된 독립 성결 교회의 이전 합병에서 비롯되었으며, 찰스 B. 저니건과 J.B. 채프먼이 이끌었다.[14]
남부의 그리스도의 성결 교회와 나사렛 오순절 교회의 합병은 1908년 10월 13일 화요일 오전 10시 40분에 "기쁨과 거룩한 열광의 외침 속에서" 이루어졌다.[15] 이는 나사렛 교회의 제2차 총회로 여겨진다. 이 날짜는 "공식적인" 창립일을 기념한다. 브리시, 레이놀즈, 엘리슨이 총감독으로 선출되었다. 새로 합병된 나사렛 교회는 10,034명의 회원, 228개의 회중, 11개 구역, 19명의 선교사로 시작했다.[16]
다른 독립 단체들도 나중에 합류했는데, 여기에는 1915년에 조지 샤프 목사에 의해 설립된 '''스코틀랜드 오순절 교회'''와 1898년 J.O. 맥클루칸에 의해 설립된 '''오순절 선교회'''가 포함된다. 1922년에는 사우스다코타에 위치한 '''평신도 성결 연합'''(1917년 설립)의 조셉 G. 모리슨이 이끄는 1,000명 이상의 회원과 대부분의 일꾼이 나사렛 교회에 합류했다. 1940~60년대에 추가적인 소규모 교회들이 나사렛 교회로 합병되었다.[17]
2. 1. 형성 및 초기 (1890-1907)
오늘날 나사렛 교회의 기원은 미국에서 일어난 제3차 대각성 운동 시기에 씨앗을 맺었다. 1895년 10월, 브리시 박사와 위드니 박사는 로스앤젤레스 시내에 교회를 설립하여 감리교감독교회가 도시에 사는 가난한 사람들을 섬기는 데 다시 집중하도록 했다. 이 교회는 '''나사렛 교회'''라는 이름으로 불렸다.[10] 프레드 A. 힐러리, C. 호워드 데이비스 및 윌리엄 하워드 후플이 이끌었던 동부 해안 지역의 유사한 신념을 가진 그룹인 '''미국 오순절 교회 연합'''은 189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두 개의 오래된 교파가 합병된 것이었다. 이 교회들은 '''중앙 복음주의 성결 연합'''이라고 불렸다. 1896년 11월 12일, 이 두 그룹은 브루클린에서 만나 합병에 동의했으며, 후플 그룹의 이름과 ''매뉴얼''을 유지하는 것을 포함했다.[10] 동부 해안 교회와 브리시의 서부 해안 교회는 1907년 10월 10일부터 17일까지 시카고에서 만나 '''나사렛 오순절 교회'''라는 새로운 교회로 합병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이후 교회의 제1차 총회로 여겨진다. 1907년 나사렛 교회와의 합병 당시, APCA는 주로 노바스코샤에서 아이오와까지, 그리고 미국 북동부에 존재했다.
1908년 4월, 브리시는 테네시 주 페니엘의 페니엘 대학교 총장인 에드가 P. 엘리슨, 그의 아내인 메리 에밀리 엘리슨, 그리고 텍사스 성결 연합 회원들을 나사렛 오순절 교회로 받아들였다.[11] 1908년 9월, 호러스 G. 트럼바우어가 이끄는 성결 기독교 교회의 펜실베니아 연회가 나사렛 오순절 교회와 합병했다.[12]
새로 합병된 동부 및 서부 해안 지부는 이제 미국 남부에 있는 '''그리스도의 성결 교회'''와의 합병에 집중했다. 그리스도의 성결 교회 자체는 1894년 7월 테네시 주 밀란에서 R.L. 해리스에 의해 설립되었지만 곧 그의 미망인 메리 리 케이글이 이끌었던 그리스도의 신약 교회[13]와 1904년 11월 텍사스 주 라이징 스타에서 결성된 그룹(그리스도의 성결 교회라고도 불림)의 합병이었다. 이 그룹은 1888년 텍사스에서 설립된 성결 교회와 1901년 텍사스 주 반 알스타인에서 설립된 독립 성결 교회의 이전 합병에서 비롯되었으며, 찰스 B. 저니건과 J.B. 채프먼이 이끌었다.[14]
남부의 그리스도의 성결 교회와 나사렛 오순절 교회의 합병은 1908년 10월 13일 화요일 오전 10시 40분에 "기쁨과 거룩한 열광의 외침 속에서" 이루어졌다.[15] 이는 나사렛 교회의 제2차 총회로 여겨진다. 이 날짜는 "공식적인" 창립일을 기념한다. 브리시, 레이놀즈, 엘리슨이 총감독으로 선출되었다. 새로 합병된 나사렛 교회는 10,034명의 회원, 228개의 회중, 11개 구역, 19명의 선교사로 시작했다.[16]
다른 독립 단체들도 나중에 합류했는데, 여기에는 1915년에 조지 샤프 목사에 의해 설립된 '''스코틀랜드 오순절 교회'''와 1898년 J.O. 맥클루칸에 의해 설립된 '''오순절 선교회'''가 포함된다. 1922년에는 사우스다코타에 위치한 '''평신도 성결 연합'''(1917년 설립)의 조셉 G. 모리슨이 이끄는 1,000명 이상의 회원과 대부분의 일꾼이 나사렛 교회에 합류했다. 1940~60년대에 추가적인 소규모 교회들이 나사렛 교회로 합병되었다.[17]
2. 1. 1. 미국 성결 운동의 영향
아무것도 출력할 내용이 없습니다. `summary`와 `source`에 내용이 없기 때문입니다.2. 1. 2. 피니어스 브리시와 나사렛교회 창립
(내용 없음)2. 1. 3. 동부와 서부 교회의 연합
어떠한 내용도 주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동부와 서부 교회의 연합' 섹션에 대한 위키텍스트를 생성할 수 없습니다. `summary` 또는 `source`에 내용이 제공되어야 합니다.2. 2. 확장과 통합 (1908-1950년대)
2. 2. 1. 남부 및 기타 지역 교회와의 통합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에 내용이 없어, '남부 및 기타 지역 교회와의 통합' 섹션의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2. 3. 국제화와 성장 (1930년대-현재)

1908년까지 캐나다에 교회가 있었고, 인도, 스와질란드, 카보베르데, 일본에서 조직적인 사역이 시작되었으며, 곧이어 중앙 아프리카, 멕시코, 중국에서도 사역이 시작되었다.[21] 1915년의 합병으로 영국 제도에 교회가 추가되었고, 쿠바, 중앙 아메리카, 남아메리카에서도 사역이 시작되었다.[21] 1922년까지 시리아와 팔레스타인에도 교회가 세워졌다.[21] 총감독 하이럼 F. 레이놀즈는 "세상을 향한 선교"를 옹호했고, 세계 복음화에 대한 지원은 나사렛 교회의 특징이 되었다.[21] 새로운 기술을 활용하여, 교회는 1940년대에 라디오 프로그램 ''Showers of Blessing''을 제작하기 시작했고, 이후 스페인어 방송 ''La Hora Nazarena''와 다른 언어 방송도 시작했다.[21] 1958년 10월 교단 창립 50주년 당시, 모든 나사렛 교인 중 19.8%가 미국 본토 밖에 거주했으며, 2008년에는 그 수가 45%에 육박했다.[21] 2020년까지 미국 외 지역에 거주하는 나사렛 교인 수는 약 75%에 달한다.[21]
하이럼 F. 레이놀즈는 교회가 미국 밖으로 성장하도록 이끌었다.[22] 영국 성공회의 헨리 벤과 미국 해외 선교 위원회 서기 루퍼스 앤더슨의 토착 교회 선교 이론의 영향을 받아,[22] 나사렛 교회의 세계적 확장의 시작부터, ''교리서''의 권위 아래 단일 세계 교단 체계 내에서 토착 교회와 지방회를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이 있었다.[22] 1914년 3월 3일에 레이놀즈가 일본에서의 사역을 위해 개발한 나사렛 선교 정책은 "자립하고 자치하는 교회"의 창설을 장려했다.[22]
1930년대까지 나사렛 선교 지도자들은 "자치적인 국가 교회를 발전시키려는 것이 아니라 지방 연합체를 목표로 했다. 그들은 무기한 선교사 통제를 계획하지 않았다. 이러한 과정이 어디로 이어질지에 대한 깊은 생각 없이, 다른 교단의 교회 정부 모델을 의식적으로 모방하지 않고, 신학적 성찰도 없이, 나사렛 교회는 국제적인 단체가 되었다."[23] 최초의 비선교사 지방회 감독은 영국에서 조지 샤프였고, 1919년 멕시코에서 지방회 감독으로 임명된 비센테 G. 산틴이었다.[23]
1936년 1월, 총회는 일본 지방회를 둘로 나누었고, 서부 또는 간사이 지방회가 교단 최초의 정규 지방회가 되어 "교리서와 총회의 적용을 받는 북미 및 영국 제도 지방회와 동일한 모든 권리와 특권을 갖게" 되었지만,[24] 제2차 세계 대전이 일본 교회에 미친 영향으로 두 지방회가 다시 통합되어 선교사 주도의 지방회로 되돌아갔다.[24]
1964년 오리건주 포틀랜드에서 열린 총회에서 시작된 ''국제화'' 과정은, 초기 개신교 교단처럼 국가 교회로 분열되는 대신, 전 세계의 교회와 지방회를 하나의 교회로 만들려는 의도적인 정책이었다.[25] 교회의 창립자들이 사라지자, 다음 세대 지도자들은 그들이 받은 비전을 해석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25] 이러한 주요 어려움은 방언과 율법주의와 관련이 있었으며, 1960년대에 나사렛 교회에서 분리된 대부분의 교회는 율법주의를 따랐다.[25]
1972년 플로리다주 마이애미 비치에서 열린 총회에서 교회는 여러 정책을 채택하여, 현재 ''그리스도인의 행동 규약''으로 알려진 내용을 ''교리서''에 포함시켰다.[25] 여기에는 낙태, 인간의 성, 도박, 오락과 같은 현대 사회 문제에 대해 나사렛 교인이 어떻게 생각하고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권고 사항이 포함되었다.[25] 이러한 내용은 여전히 ''교리서''의 특징이며, 그 문구는 4년마다 총회에서 업데이트되고 조정된다.[25] 교회 총무가 해외 회원 수를 보고에 포함하기 시작한 것은 1972년이었으며, 이전에는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기 어려웠다.[25]
1974년, 나사렛 청년회(현재 나사렛 청소년 국제)는 더 포용적인 단체가 되기 위해, 미국 밖에서 처음으로 독일 뷔징겐의 유럽 나사렛 성경 대학 캠퍼스에서 제5회 국제 연구소를 개최했다.[26] 1978년, 교회는 미국의 남부에서 인종 차별화된 일부 교회를 완전히 인종 통합하여 흑인 오버레이 지방회를 해당 지역의 주요 지방회로 합병했다.[26] 교회 창립 이후 여성의 설교는 허용되었지만, 더 높은 직위로의 승진은 교회의 관행이 아니었다.[26] 1988년, 교회는 여성 2명을 지방회 감독으로 승진시켰다.[26] 첫 번째 여성 지방회 감독은 1926년에 임명되었다.[26]
2000년은 미국 내 교회 회원 수의 정점을 기록했다. 2001년 총회에서, 인디애나폴리스에서 열렸으며, 대표자의 42%가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았다.[5] 미국 이민 정책, 재정적 어려움 또는 기타 이유로 인해 미국 외 지역에서 선출된 많은 대표자들이 총회에 참석할 수 없었기 때문에, 총회는 "북미/미국 외 대표자의 높은 비율이 총회에 참석할 수 없는 문제에 대처할 위원회"의 창설을 승인했다.[5] 2003년에는 텍사스주 휴스턴에서 12,000명의 학생들이 모여 역대 최대 규모의 나사렛 청소년 대회가 열렸다. 2005년, 총회는 유색 인종 출신이자 미국 거주자가 아닌 최초의 인물과 두 번째 비 미국 거주자, 그리고 여성(니나 건터)을 총감독으로 선출했다.

교회가 100주년을 맞이하면서, 총감독 이사회는 한 번의 세계적인 모임 대신 지역 및 현지 기념 행사를 개최하기로 결정했다.[27] 또한 캔자스시티 시내에서 캔자스주 렌세나로 이전하는 논란이 많은 결정을 내렸는데, 이는 도시 빈민들을 섬기라는 주된 소명을 포기하는 것으로 여겨졌다.[27] 2008년에 개관한 새로운 글로벌 사역 센터는, 이전 본부 건물과 달리 여러 교회의 부서를 하나의 건물에 집중시켰다.[27]
2. 3. 1. 국제 선교의 시작
(내용 없음)2. 3. 2. 국제화 과정
2009년 총회에서 대의원들은 간소화된 글로벌 ''매뉴얼''을 만들기로 투표했다. 이 매뉴얼은 서문, 현재 매뉴얼의 파트 I, II, III로 구성되며, 보편적으로 적절한 정체와 원칙을 유지하면서 전 세계적인 범위를 갖는다.[5] 각 지역은 특정 문화적 맥락에 맞게 ''매뉴얼''을 조정하고 "지역 매뉴얼 정책 핸드북"으로 기능하도록 승인되었다.[5]2017년, 교회는 일반 감독 위원회의 공석을 채우기 위해 흑인 2명과 여성 1명(칼라 선버그)을 추가로 선출했다. COVID-19 세계적 대유행 기간 동안, 교회는 전 세계 지역에 의료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했다. 또한 2023년까지 총회를 연기했다. 2023년 총회 대의원들은 45대 일반 감독이자 미국 거주자가 아닌 다섯 번째 인물인 크리스찬 사르미엔토를 선출했다.
2. 3. 3. 교단 명칭 변경
나사렛 교단의 이름은 이스라엘 나사렛 마을에서 자란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성경적 묘사에서 유래했으며, 나사렛 사람의 민족명칭을 사용했다. 예수와 그의 추종자들은 여러 성경 구절, 그리고 NASB 성경과 KJV과 같은 많은 성경 번역본에서 "나사렛 사람"이라고 불린다.[18] 이 이름은 1895년 10월,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시내에 위치한 피니어스 F. 브리시 박사의 교회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브리시의 서부 해안 부분은 미국 남부 및 동부 해안을 따라 위치한 유사한 성결 교회들과 만났다. 남부 교회들은 미국의 오순절 교회 연합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했다. 두 교단의 흐름을 모두 반영하기 위해 새롭게 결성된 합병된 교회는 '''나사렛 오순절 교회'''라는 명칭으로 운영되었다.
교회의 원래 이름에 포함된 "오순절"이라는 용어는 곧 점점 더 문제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웨슬리-성결 운동 내에서 이 단어는 단순히 "성결"의 동의어로 널리 사용되었다. 그러나 20세기 오순절주의의 부상, 특히 1906년 이후 "방언과 같은 은사적 재능과 관련하여" 새로운 의미와 연관성이[19] 이 용어에 붙었고, 이는 오순절 나사렛 교인들이 거부하는 의미였다.
1919년, 내슈빌에서 열린 제5차 총회에서 교회는 교회 이름에서 "오순절"이라는 단어를 삭제하고, 브리시의 로스앤젤레스 교회 이름을 따서 단순히 '''나사렛 교회'''로 변경하기로 투표했다.[20]
2. 3. 4. 분리된 교단들
나사렛 교회의 역사 속에서, 새로운 교단을 형성하기 위해 여러 그룹이 분리되었다. 나사렛 교회에서 분리되거나 추방되어 형성된 새로운 교단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인민 선교 교회'''(1912)
- '''오순절 순례 교회'''(1917)
- '''성경 선교 교회'''(1955)
- 필리핀의 '''나사렛 성결 교회'''(1961)
- '''성경 언약 교회'''(1967)
- '''미국 십자군 교회'''(1972)
- '''은사주의 나사렛 교인 협회'''(1977)
십자군 교회는 이혼과 재혼에 대한 가르침에 대한 신념 차이로 인해 조직되었다.[28] 은사주의 나사렛 교인 협회의 형성은 교회 예배에서 성령의 은사 사용에 대한 차이에서 비롯되었다. 개별 교회도 독립하기 위해 떠났지만, 이는 여전히 드문 경우이다. 특히, 워싱턴에 있는 골드 크릭 커뮤니티 교회는 2012년에 초교파가 되었다.
3. 신학과 교리
나사렛 교회는 감리교 교파이며, 성결 운동 중에 등장했다.[2] 나사렛 교회의 공식 교리는 4년마다 출판되는 ''나사렛 교회 매뉴얼''에 게재되어 있다.[29]
나사렛 교인은 기독교 생활의 지침으로 16개의 "신조"를 제정했다. 이 "신조"에는 삼위일체, 예수의 신성과 성령, 성경의 권위, 원죄와 자범죄, 속죄, 선행 은총, 회개, 칭의, 중생, 양자 됨, 온전한 성화, 교회, 세례, 주의 만찬, 신성한 치유,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 죽은 자의 부활이 포함된다.[30] 이러한 신학의 결과로 나사렛 교인은 회개와 하나님과의 개인적인 관계,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자비로운 사역에 헌신한다.
교단에서 공식적으로 승인한 신학 교재는 없지만, 목사 안수를 받기 전 훈련 과정에서 널리 사용된 몇 가지 책이 있다. 교단 초창기에는 존 마일리와 윌리엄 버트 포프의 저서가 사용되었다. 나사렛 교회 내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신학자들은 에드가 P. 엘리슨, A.M. 힐스, H. 오턴 와일리, 밀드레드 뱅스 윈쿱, 리처드 S. 테일러, H. 레이 더닝, J. 케네스 그리더이다. 현대 나사렛 신학자로는 크레이그 킨, 사무엘 M. 파웰, 브라이언 스톤, 롭 스테이플스, 토마스 A. 노블이 있다.[31]
'''핵심 신조'''
2001년 이래, 나사렛 교회의 세 가지 "핵심 가치"는 "기독교적, 거룩함, 선교적"으로 규정되어 왔다.[7] 2013년, 교회는 핵심 가치를 표현하기 위해 의미 있는 예배, 신학적 일관성, 열정적인 복음주의, 의도적인 제자 훈련, 교회 개발, 변화 주도적 리더십, 그리고 목적 있는 긍휼이라는 일곱 가지 특징을 채택했다.
나사렛 교회의 지침은 『나사렛 교회 매뉴얼』(줄여서 『매뉴얼』)이라는 책에 있으며, 총회에서 4년마다 갱신된다. 총회는 "나사렛 교회의 최고의 교리 제정 및 법률 제정 기관"이다. 『매뉴얼』은 공식적인 "교회의 신앙 및 실천에 대한 진술이며, 따라서 행동의 지침으로서 권위가 있다."[8]
『매뉴얼』에는 교단의 간략한 역사적 설명, 16가지 핵심 신념, 즉 '신조', 교회의 정치 체제를 설명하는 헌법, 그리고 현대 기독교적 삶을 사는 방법에 대한 지침이 포함되어 있다.
'''주요 신학적 특징'''
나사렛 교회는 아르미니우스주의 전통을 따르며, 모든 사람에게 주어지는 자유 은총과 구원의 은총에 참여할 수 있는 인간의 자유를 강조한다. 성령이 기독교인들이 하나님께 끊임없이 순종하도록 능력을 부여한다고 믿으며, 죄는 성화된 기독교인의 삶에서 드문 예외가 되어야 한다고 가르친다. 원죄의 영향 아래 있지 않은 상태에서 하나님께 온전히 헌신하는 관계, 즉 완전한 성화를 통해 성령의 능력으로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거룩한 삶을 살 수 있다고 믿는다. 완전한 성화(기독교적 완전, 성령 세례라고도 함)는 존 웨슬리의 가르침에서 비롯되었으며, 다양한 수준으로 해석된다. 최근 나사렛 신학자들은 완전한 성화가 사랑의 관점에서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사랑은 성경에서 발견되는 거룩함과 성화에 대한 다양한 이해의 핵심 개념이며, 기독교인들은 하나님과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사랑을 실천하도록 부름을 받는다.[32]
나사렛 교회의 초기 영적 비전은 존 웨슬리의 설교와 19세기의 성결 운동의 교리적 핵심에서 비롯되었다. 교회의 확언에는 칭의(오직 은혜로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을 통해), 선행과 결합된 믿음을 통해 은혜로 성화, 모든 기독교인에게 상속될 수 있는 전적 성결, 그리고 인간의 삶 속에서 하나님의 역사에 대한 성령의 증거가 포함된다.[33] 성결 운동은 1830년대에 전적 성결 교리를 장려하기 위해 일어났지만, 1900년까지 분열되었다. 웨슬리 신학의 핵심은 하나님의 은혜가 개인 안에서 어떻게 작용하는가이며, 구원의 길을 선행 은총, 칭의 은총, 성화 은총의 세 부분으로 정의했다.
웨슬리 신학은 구원이 초대, 용서, 성결로의 성장을 포함하여 전적으로 하나님의 은혜의 행위라고 주장하며, 세 가지 은혜는 다음과 같다.[33]
- '''선행 은총'''은 모든 사람에게 주어지는 은혜로, 우리가 사랑할 수 있게 하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하나님과의 관계를 찾도록 동기를 부여한다.[33] 죄로 타락한 인간 의지를 아버지의 사랑의 의지로 돌아서게 하는 하나님의 역사이며, 죄로 얼룩진 사람들이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구원을 받아들이거나 거부하는 진정으로 자유로운 선택을 할 수 있게 한다.[33]
- '''칭의 은총'''(수용하는 은혜)[33]은 하나님이 모든 사람에게 제공하는 은혜이며, 그리스도를 믿고 신뢰함으로 받게 된다. 예수 그리스도가 십자가에서 이루신 속죄 사역을 통해 죄를 용서받고, 죄책감이 없어지며, 죄의 권세에 저항하고 하나님과 이웃을 온전히 사랑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받는다. 오늘날 개종, "예수를 당신의 개인적인 주님과 구세주로 받아들임", "거듭남"이라고도 불린다.[33][34] 존 웨슬리는 이 경험을 새로운 탄생이라고 불렀으며,[35] 제단 초청과 같은 하나의 변화의 순간일 수도 있고,[36] 일정 기간에 걸쳐 일련의 결정이 포함될 수도 있다.[37]
- '''성화 은총'''은 마음과 영혼, 생각과 힘으로 하나님을 진실로 사랑하고 우리 자신처럼 우리의 이웃을 진실로 사랑하는 기독교적 완전을 향한 여정에서 신자들을 지탱하는 하나님의 은혜이다. 성화 은총은 우리가 사랑을 목표로 하는 성령 충만하고 그리스도와 같은 삶을 살아가면서 하나님께 응답할 수 있게 한다.
웨슬리 신학은 영원한 안전 교리를 거부하고 구원을 거부할 수 있다고 믿는다(조건적 안전).[38] 웨슬리는 신자들이 성화 과정을 통해 그리스도와의 관계에서 계속 성장해야 한다고 강조했으며, 믿음과 선행은 감리교 신학에서 함께 간다.
'''알미니안주의'''
나사렛 교회는 아르미니우스주의 전통을 따르며, 모든 사람에게 주어지는 자유 은총과 구원의 은총에 참여할 수 있는 인간의 자유를 강조한다. 성령이 기독교인들이 하나님께 끊임없이 순종하도록 능력을 부여한다고 믿는다는 점에서 다른 개신교 교회와 구별된다. 죄는 성화된 기독교인의 삶에서 드문 예외가 되어야 한다고 가르친다. 원죄의 영향 아래 있지 않은 상태에서 하나님께 온전히 헌신하는 관계, 즉 완전한 성화를 통해 성령의 능력으로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거룩한 삶을 살 수 있다고 믿는다. 완전한 성화(기독교적 완전, 성령 세례)는 존 웨슬리의 가르침에서 비롯되었으며, 다양한 수준으로 해석된다.
최근 나사렛 신학자들은 완전한 성화가 사랑의 관점에서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사랑은 성경에서 발견되는 거룩함과 성화에 대한 다양한 이해의 핵심 개념이다. 기독교인들은 하나님과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사랑을 실천하도록 부름을 받는다.[32]
'''웨슬리안 성결 강조'''
나사렛 교회의 초기 영적 비전은 존 웨슬리의 설교와 19세기의 성결 운동의 교리적 핵심에서 비롯되었다. 칭의(오직 은혜로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을 통해), 선행과 결합된 믿음을 통해 은혜로 성화, 모든 기독교인에게 상속될 수 있는 전적 성결, 인간의 삶 속에서 하나님의 역사에 대한 성령의 증거가 교회의 확언에 포함된다.[33] 성결 운동은 1830년대에 전적 성결 교리를 장려하기 위해 일어났지만, 1900년까지 분열되었다. 웨슬리의 신학의 핵심 강조점은 하나님의 은혜가 개인 안에서 어떻게 작용하는가이며, 선행 은총, 칭의 은총, 성화 은총으로 구원의 길을 정의했다.
선행 은총은 모든 사람에게 주어지며, 우리가 사랑하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하나님과의 관계를 찾도록 동기를 부여한다.[33] 죄로 타락한 인간 의지를 아버지의 사랑의 의지로 돌아서게 하는 하나님의 역사이며, 죄로 얼룩진 사람들이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구원을 받아들이거나 거부하는 진정으로 자유로운 선택을 할 수 있게 한다.[33]
칭의 은총(수용하는 은혜)[33]은 하나님이 모든 사람에게 제공하는 은혜이며, 그리스도를 믿고 신뢰함으로 받게 된다. 예수 그리스도가 십자가에서 이루신 속죄 사역을 통해 죄를 용서받고, 죄책감이 없어지며, 죄의 권세에 저항하고 하나님과 이웃을 온전히 사랑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받는다. 오늘날 개종, "예수를 당신의 개인적인 주님과 구세주로 받아들임", "거듭남"이라고도 불린다.[33][34] 존 웨슬리는 이 경험을 새로운 탄생이라고 불렀으며,[35] 제단 초청과 같은 하나의 변화의 순간일 수도 있고,[36] 일정 기간에 걸쳐 일련의 결정이 포함될 수도 있다.[37]
성화 은총은 마음과 영혼, 생각과 힘으로 하나님을 진실로 사랑하고 우리 자신처럼 우리의 이웃을 진실로 사랑하는 기독교적 완전을 향한 여정에서 신자들을 지탱하는 하나님의 은혜이다.
웨슬리 신학은 구원이 초대, 용서, 성결로의 성장을 포함하여 전적으로 하나님의 은혜의 행위라고 주장한다. 하나님의 선행, 칭의, 성화 은총은 출생에서 죽음에 이르기까지 기독교인의 삶 속에서 역동적으로 상호 작용한다. 믿음과 선행은 감리교 신학에서 함께 간다. 영원한 안전 교리를 거부하고 구원을 거부할 수 있다고 믿는다(조건적 안전).[38] 웨슬리는 신자들이 성화 과정을 통해 그리스도와의 관계에서 계속 성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은혜의 세 단계'''
나사렛 교회의 초기 영적 비전은 존 웨슬리의 설교와 19세기 성결 운동의 교리적 핵심에서 비롯되었다.[33] 웨슬리 신학은 구원이 초대, 용서, 성결로의 성장을 포함하여 전적으로 하나님의 은혜의 행위라고 주장한다. 선행 은총, 칭의 은총, 성화 은총으로 은혜가 작용한다.[33]
- '''선행 은총'''은 모든 사람에게 주어지며, 우리가 사랑하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하나님과의 관계를 찾도록 동기를 부여한다.[33] 죄로 타락한 인간 의지를 아버지의 사랑의 의지로 돌아서게 하는 하나님의 역사이며, 죄로 얼룩진 사람들이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구원을 받아들이거나 거부하는 진정으로 자유로운 선택을 할 수 있게 한다.[33]
- '''칭의 은총'''(수용하는 은혜)[33]은 하나님이 모든 사람에게 제공하는 은혜이며, 그리스도를 믿고 신뢰함으로 받게 된다. 예수 그리스도가 십자가에서 이루신 속죄 사역을 통해 죄를 용서받고, 죄책감이 없어지며, 죄의 권세에 저항하고 하나님과 이웃을 온전히 사랑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받는다. 오늘날 개종, "예수를 당신의 개인적인 주님과 구세주로 받아들임", "거듭남"이라고도 불린다.[33][34] 존 웨슬리는 이 경험을 새로운 탄생이라고 불렀으며,[35] 제단 초청과 같은 하나의 변화의 순간일 수도 있고,[36] 일정 기간에 걸쳐 일련의 결정이 포함될 수도 있다.[37]
- '''성화 은총'''은 마음과 영혼, 생각과 힘으로 하나님을 진실로 사랑하고 우리 자신처럼 우리의 이웃을 진실로 사랑하는 기독교적 완전을 향한 여정에서 신자들을 지탱하는 하나님의 은혜이다.
웨슬리 신학은 영원한 안전 교리를 거부하고 구원을 거부할 수 있다고 믿는다(조건적 안전).[38] 웨슬리는 신자들이 성화 과정을 통해 그리스도와의 관계에서 계속 성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믿음과 선행은 감리교 신학에서 함께 간다.
'''역사적, 현대적 쟁점'''
나사렛 교회는 현재의 광범위한 도덕적, 사회적 문제에 대한 입장을 취하고 있으며, 이는 ''교리서''와 온라인에 게시되어 있다. 인간의 성(性),[39] 연극 예술, 영화, 사교 댄스, 에이즈/HIV 및 장기 기증에 대한 입장이 포함된다.[40] 인간의 성(性)에 대해 교회는 동성애를 "하나님의 진노를 받을" 죄라고 말하지만, 과학적 발견에 대한 입장은 비교적 진보적이다.
H. 오턴 와일리의 입장과 일치하여, 현대 나사렛 신학자들은 진화론과 신학을 조화시키려고 노력해 왔다. 칼 기버슨, 다렐 R. 팔크, 리처드 G. 콜링을 포함하여 유신론적 진화를 지지하는 나사렛 과학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2009년 총회에서 대표들은 오랜 토론 끝에 교회의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나사렛 교회는 역사적으로 알코올 금주 및 담배를 포함한 기타 모든 중독성 물질을 지지하는 입장을 유지해 왔다.[41] 브리시는 금주법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이는 계속 논쟁의 대상이지만, 이 입장은 교회에 남아 있다. 알코올 자체를 죄의 ''원인''으로 여기지 않지만, 중독 등은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위험'이 된다고 인식한다. 나사렛 교회는 가난한 사람들을 돕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알코올, 도박 등과 그 중독은 사람들을 가난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지목되었다. 나사렛 교인들은 가난한 사람들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을 돕기 위해 전통적으로 이러한 것들을 삼가왔다.
'''사회적, 윤리적 문제에 대한 입장'''
나사렛 교회는 여러 도덕적, 사회적 문제에 대한 입장을 ''교리서''와 온라인에 게시하고 있다. 인간의 성(性),[39] 연극 예술, 영화, 사교 댄스, 에이즈/HIV 및 장기 기증에 대한 입장이 포함된다.[40] 인간의 성(性)에 대해 교회는 동성애를 "하나님의 진노를 받을" 죄라고 말하는 등 매우 보수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지만, 과학적 발견에 대한 입장은 비교적 진보적이다.
H. 오턴 와일리의 입장과 일치하여, 현대 나사렛 신학자들은 진화론과 신학을 조화시키려고 노력해 왔다. 칼 기버슨, 다렐 R. 팔크, 리처드 G. 콜링을 포함하여 유신론적 진화를 지지하는 나사렛 과학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2009년 총회에서 대표들은 오랜 토론 끝에 교회의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나사렛 교회는 역사적으로 알코올 금주 및 담배를 포함한 기타 모든 중독성 물질을 지지하는 입장을 유지해 왔다.[41] 브리시는 금주법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이는 계속 논쟁의 대상이지만, 이 입장은 교회에 남아 있다. 알코올 자체를 죄의 ''원인''으로 여기지 않지만, 중독 등은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위험'이 된다고 인식한다. 나사렛 교회는 가난한 사람들을 돕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알코올, 도박 등과 그 중독은 사람들을 가난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지목되었다. 나사렛 교인들은 가난한 사람들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을 돕기 위해 전통적으로 이러한 것들을 삼가왔다.
'''과학과의 관계'''
나사렛 교회는 ''교리서''에 명시된 여러 도덕적, 사회적 문제에 대한 입장을 가지고 있다.[40] 인간의 성(性)에 대해서는 동성애를 죄라고 보는 보수적 입장을 취하지만,[39] 과학적 발견에 대해서는 비교적 진보적인 입장을 보인다.
H. 오턴 와일리의 입장을 따라, 현대 나사렛 신학자들은 진화론과 신학을 조화시키려 노력해왔다. 칼 기버슨, 다렐 R. 팔크, 리처드 G. 콜링 등 유신론적 진화를 지지하는 나사렛 과학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2009년 총회에서는 오랜 토론 끝에 교회의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나사렛 교회는 알코올 금주와 담배를 포함한 중독성 물질 사용을 반대해 왔다.[41] 브리시는 금주법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이는 논쟁의 대상이지만, 교회는 이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알코올 자체를 죄의 원인으로 보지는 않지만, 중독 등이 많은 사람들에게 신체적, 정신적 '위험'이 된다고 본다. 나사렛 교회는 가난한 사람들을 돕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알코올, 도박 등과 그 중독은 사람들을 가난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지목되었다. 따라서 나사렛 교인들은 전통적으로 이러한 것들을 삼가왔다.
'''금주와 금연'''
나사렛 교회는 역사적으로 알코올 금주 및 담배를 포함한 기타 모든 중독성 물질을 지지하는 입장을 유지해 왔다.[41] 브리시는 금주법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이는 계속 논쟁의 대상이지만, 이 입장은 교회에 남아 있다. 알코올 자체를 죄의 ''원인''으로 여기지 않지만, 중독 등은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위험'이 된다고 인식한다. 나사렛 교회는 가난한 사람들을 돕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알코올, 도박 등과 그 중독은 사람들을 가난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지목되었다. 따라서 나사렛 교인들은 가난한 사람들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을 돕기 위해 전통적으로 이러한 것들을 삼가왔다.
3. 1. 핵심 신조
2001년 이래, 나사렛 교회의 세 가지 "핵심 가치"는 "기독교적, 거룩함, 선교적"으로 규정되어 왔다.[7] 2013년, 교회는 핵심 가치를 표현하기 위해 의미 있는 예배, 신학적 일관성, 열정적인 복음주의, 의도적인 제자 훈련, 교회 개발, 변화 주도적 리더십, 그리고 목적 있는 긍휼이라는 일곱 가지 특징을 채택했다.나사렛 교회의 지침은 『나사렛 교회 매뉴얼』(줄여서 『매뉴얼』이라고도 함)이라는 책에 있으며, 총회라고 불리는 회의에서 4년마다 갱신된다. 총회는 "나사렛 교회의 최고의 교리 제정 및 법률 제정 기관"이다. 『매뉴얼』은 공식적인 "교회의 신앙 및 실천에 대한 진술이며, 따라서 행동의 지침으로서 권위가 있다."[8]
『매뉴얼』에는 교단의 간략한 역사적 설명, 16가지 핵심 신념, 즉 '신조', 교회의 정치 체제를 자세히 설명하는 헌법, 그리고 현대 기독교적 삶을 사는 방법에 대한 지침이 포함되어 있다.
3. 2. 주요 신학적 특징
나사렛 교회는 아르미니우스주의 전통을 따르며, 모든 사람에게 주어지는 자유 은총과 구원의 은총에 참여할 수 있는 인간의 자유를 강조한다. 성령이 기독교인들이 하나님께 끊임없이 순종하도록 능력을 부여한다고 믿는다는 점에서, 웨슬리-홀리니스 운동의 다른 교회들과 유사하게, 죄는 성화된 기독교인의 삶에서 드문 예외가 되어야 한다고 가르친다. 원죄의 영향 아래 있지 않은 상태에서 하나님께 온전히 헌신하는 관계, 즉 완전한 성화를 통해 성령의 능력으로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거룩한 삶을 살 수 있다고 믿는다. 완전한 성화 (기독교적 완전, 성령 세례라고도 함)는 존 웨슬리의 가르침에서 비롯되었으며, 다양한 수준으로 해석된다. 최근 나사렛 신학자들은 완전한 성화가 사랑의 관점에서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사랑은 성경에서 발견되는 거룩함과 성화에 대한 다양한 이해의 핵심 개념이며, 기독교인들은 하나님과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사랑을 실천하도록 부름을 받는다.[32]나사렛 교회의 초기 영적 비전은 존 웨슬리의 설교와 19세기의 성결 운동의 교리적 핵심에서 비롯되었다. 교회의 확언에는 칭의 (오직 은혜로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을 통해), 선행과 결합된 믿음을 통해 은혜로 성화, 모든 기독교인에게 상속될 수 있는 전적 성결, 그리고 인간의 삶 속에서 하나님의 역사에 대한 성령의 증거가 포함된다.[33] 성결 운동은 1830년대에 전적 성결 교리를 장려하기 위해 일어났지만, 1900년까지 분열되었다. 웨슬리 신학의 핵심은 하나님의 은혜가 개인 안에서 어떻게 작용하는가이며, 구원의 길을 선행 은총, 칭의 은총, 성화 은총의 세 부분으로 정의했다.
웨슬리 신학은 구원이 초대, 용서, 성결로의 성장을 포함하여 전적으로 하나님의 은혜의 행위라고 주장하며, 세 가지 은혜는 다음과 같다.[33]
- '''선행 은총'''은 모든 사람에게 주어지는 은혜로, 우리가 사랑할 수 있게 하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하나님과의 관계를 찾도록 동기를 부여한다.[33] 죄로 타락한 인간 의지를 아버지의 사랑의 의지로 돌아서게 하는 하나님의 역사이며, 죄로 얼룩진 사람들이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구원을 받아들이거나 거부하는 진정으로 자유로운 선택을 할 수 있게 한다.[33]
- '''칭의 은총''' (수용하는 은혜)[33]은 하나님이 모든 사람에게 제공하는 은혜이며, 그리스도를 믿고 신뢰함으로 받게 된다. 예수 그리스도가 십자가에서 이루신 속죄 사역을 통해 죄를 용서받고, 죄책감이 없어지며, 죄의 권세에 저항하고 하나님과 이웃을 온전히 사랑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받는다. 오늘날 개종, "예수를 당신의 개인적인 주님과 구세주로 받아들임", "거듭남"이라고도 불린다.[33][34] 존 웨슬리는 이 경험을 새로운 탄생이라고 불렀으며,[35] 제단 초청과 같은 하나의 변화의 순간일 수도 있고,[36] 일정 기간에 걸쳐 일련의 결정이 포함될 수도 있다.[37]
- '''성화 은총'''은 마음과 영혼, 생각과 힘으로 하나님을 진실로 사랑하고 우리 자신처럼 우리의 이웃을 진실로 사랑하는 기독교적 완전을 향한 여정에서 신자들을 지탱하는 하나님의 은혜이다. 성화 은총은 우리가 사랑을 목표로 하는 성령 충만하고 그리스도와 같은 삶을 살아가면서 하나님께 응답할 수 있게 한다.
웨슬리 신학은 영원한 안전 교리를 거부하고 구원을 거부할 수 있다고 믿는다(조건적 안전).[38] 웨슬리는 신자들이 성화 과정을 통해 그리스도와의 관계에서 계속 성장해야 한다고 강조했으며, 믿음과 선행은 감리교 신학에서 함께 간다.
3. 2. 1. 알미니안주의
나사렛 교회는 모든 사람에게 주어지는 자유 은총과 구원의 은총에 참여할 수 있는 인간의 자유라는 아르미니우스주의 전통을 따른다. 나사렛 교회는 하나님의 성령이 기독교인들이 하나님께 끊임없이 순종하도록 능력을 부여한다고 믿는다는 점에서 많은 다른 개신교 교회와 구별된다. 이는 웨슬리-홀리니스 운동의 다른 교회들의 믿음과 유사하다. 나사렛 교회는 기독교인이 매일 죄를 짓는 데 무력하다고 믿지 않는다. 오히려, 죄는 성화된 기독교인의 삶에서 드문 예외가 되어야 한다고 가르친다. 또한, 원죄의 영향 아래 있지 않은 상태에서 하나님께 온전히 헌신하는 관계를 가질 수 있다는 개념인 완전한 성화에 대한 믿음이 존재한다. 이는 성령의 능력으로 사람들이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거룩한 삶을 살 수 있도록 변화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완전한 성화 (기독교적 완전, 성령 세례라고도 함)의 개념은 존 웨슬리의 가르침에서 비롯되었다. 이는 다양한 수준으로 해석되며, 다른 교파와 마찬가지로 특정 신자들은 신학을 더 엄격하게 해석하고 다른 신자들은 덜 엄격하게 해석한다.최근 몇 년 동안, 나사렛 신학자들은 이 운동의 독특한 신학적 교리인 완전한 성화가 사랑의 관점에서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고 점점 더 이해하고 있다. 사랑은 성경에서 발견되는 거룩함과 성화에 대한 다양한 이해의 핵심 개념이다. 기독교인들은 하나님과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사랑을 실천하도록 부름을 받는다.[32]
3. 2. 2. 웨슬리안 성결 강조
나사렛 교회의 초기 영적 비전은 존 웨슬리의 설교와 19세기의 성결 운동의 교리적 핵심에서 비롯되었다. 교회의 확언에는 칭의가 포함되며, 이는 오직 은혜로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을 통해, 선행과 결합된 믿음을 통해 은혜로 성화, 모든 기독교인에게 상속될 수 있는 전적 성결, 그리고 인간의 삶 속에서 하나님의 역사에 대한 성령의 증거이다.[33] 성결 운동은 특히 전적 성결 교리를 장려하기 위해 1830년대에 일어났지만, 1900년까지 분열되었다. 나사렛 교회는 기독교 성결에 헌신하고 있다. 웨슬리의 신학의 핵심 강조점은 하나님의 은혜가 개인 안에서 어떻게 작용하는가와 관련이 있다. 웨슬리는 구원의 길을 최소 세 부분, 즉 선행 은총, 칭의 은총, 성화 은총으로 은혜가 작용하는 것으로 정의했다.선행 은총은 우리보다 먼저 오는 은혜이며 모든 사람에게 주어진다. 이것은 우리가 사랑할 수 있게 하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하나님과의 관계를 찾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힘이다.[33] 이 은혜는 우리의 죄로 타락한 인간 의지로부터 아버지의 사랑의 의지로 우리를 돌아서게 하는 하나님의 현재의 역사이다. 이 역사 속에서 하나님은 우리가 하나님 앞에서 우리의 죄성을 느끼고 하나님의 구원의 제안을 느끼기를 원하신다. 선행 은총은 죄로 얼룩진 사람들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구원을 받아들이거나 거부하는 진정으로 자유로운 선택을 할 수 있게 한다.[33]
칭의 은총 또는 수용하는 은혜[33]는 하나님이 모든 사람에게 제공하시는 은혜이며, 우리가 그리스도를 믿고 신뢰함으로 받게 되며, 이를 통해 하나님은 믿는 자의 죄를 사하신다. 칭의 은총 안에서 우리는 우리의 죄에도 불구하고 하나님께 받아들여진다. 이 수용 안에서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가 십자가에서 이루신 속죄 사역을 통해 용서받는다. 칭의 은총은 우리의 죄책감을 없애고 죄의 권세에 저항하고 하나님과 이웃을 온전히 사랑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한다. 오늘날 칭의 은총은 또한 개종, "예수를 당신의 개인적인 주님과 구세주로 받아들임" 또는 "거듭남"이라고도 불린다.[33][34] 존 웨슬리는 원래 이 경험을 새로운 탄생이라고 불렀다.[35] 이 경험은 다양한 방식으로 일어날 수 있으며, 제단 초청과 같은 하나의 변화의 순간일 수도 있고,[36] 일정 기간에 걸쳐 일련의 결정이 포함될 수도 있다.[37]
성화 은총은 마음과 영혼, 생각과 힘으로 하나님을 진실로 사랑하고 우리 자신처럼 우리의 이웃을 진실로 사랑하는 기독교적 완전을 향한 여정에서 신자들을 지탱하는 하나님의 은혜이다. 성화 은총은 우리가 사랑을 목표로 하는 성령 충만하고 그리스도와 같은 삶을 살아가면서 하나님께 응답할 수 있게 한다.
웨슬리 신학은 구원이 초대, 용서, 성결로의 성장을 포함하여 전적으로 하나님의 은혜의 행위라고 주장한다. 또한 하나님의 선행, 칭의, 성화 은총은 출생에서 죽음에 이르기까지 기독교인의 삶 속에서 역동적으로 상호 작용한다. 웨슬리에게 있어서 선행은 구원을 얻는 방식이 아니라 구원의 열매였다. 믿음과 선행은 감리교 신학에서 함께 간다. 살아있는 나무는 자연스럽고 불가피하게 열매를 맺는다. 웨슬리 신학은 영원한 안전 교리를 거부하고 구원을 거부할 수 있다고 믿는다(조건적 안전).[38] 웨슬리는 신자들이 성화 과정을 통해 그리스도와의 관계에서 계속 성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3. 2. 3. 은혜의 세 단계
나사렛 교회의 초기 영적 비전은 존 웨슬리의 설교와 19세기 성결 운동의 교리적 핵심에서 비롯되었다.[33] 웨슬리 신학은 구원이 초대, 용서, 성결로의 성장을 포함하여 전적으로 하나님의 은혜의 행위라고 주장한다. 웨슬리는 구원의 길을 최소 세 부분, 즉 선행 은총, 칭의 은총, 성화 은총으로 은혜가 작용하는 것으로 정의했다.[33]- '''선행 은총'''은 우리보다 먼저 오는 은혜이며 모든 사람에게 주어진다. 이것은 우리가 사랑할 수 있게 하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하나님과의 관계를 찾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힘이다.[33] 이 은혜는 죄로 타락한 인간 의지를 아버지의 사랑의 의지로 돌아서게 하는 하나님의 역사이다. 선행 은총은 죄로 얼룩진 사람들이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구원을 받아들이거나 거부하는 진정으로 자유로운 선택을 할 수 있게 한다.[33]
- '''칭의 은총''' 또는 수용하는 은혜[33]는 하나님이 모든 사람에게 제공하는 은혜이며, 그리스도를 믿고 신뢰함으로 받게 된다. 이를 통해 하나님은 믿는 자의 죄를 사하신다. 예수 그리스도가 십자가에서 이루신 속죄 사역을 통해 용서받는다. 칭의 은총은 죄책감을 없애고 죄의 권세에 저항하고 하나님과 이웃을 온전히 사랑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한다. 오늘날 칭의 은총은 개종, "예수를 당신의 개인적인 주님과 구세주로 받아들임", "거듭남"이라고도 불린다.[33][34] 존 웨슬리는 원래 이 경험을 새로운 탄생이라고 불렀다.[35] 이 경험은 제단 초청과 같은 하나의 변화의 순간일 수도 있고,[36] 일정 기간에 걸쳐 일련의 결정이 포함될 수도 있다.[37]
- '''성화 은총'''은 마음과 영혼, 생각과 힘으로 하나님을 진실로 사랑하고 우리 자신처럼 우리의 이웃을 진실로 사랑하는 기독교적 완전을 향한 여정에서 신자들을 지탱하는 하나님의 은혜이다. 성화 은총은 우리가 사랑을 목표로 하는 성령 충만하고 그리스도와 같은 삶을 살아가면서 하나님께 응답할 수 있게 한다.
웨슬리 신학은 영원한 안전 교리를 거부하고 구원을 거부할 수 있다고 믿는다(조건적 안전).[38] 웨슬리는 신자들이 성화 과정을 통해 그리스도와의 관계에서 계속 성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믿음과 선행은 감리교 신학에서 함께 간다.
3. 3. 역사적, 현대적 쟁점
나사렛 교회는 현재의 광범위한 도덕적, 사회적 문제에 대한 입장을 취하고 있으며, 이는 ''교리서''와 온라인에 게시되어 있다. 이러한 문제에는 인간의 성(性),[39] 연극 예술, 영화, 사교 댄스, 에이즈/HIV 및 장기 기증에 대한 입장이 포함된다.[40] 어떤 문제에 대해 교회는 매우 보수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인간의 성(性)에 대해 교회는 동성애를 "하나님의 진노를 받을" 죄라고 말하지만, 과학적 발견에 대한 입장은 비교적 진보적이라고 볼 수 있다.고전 나사렛 신학자 H. 오턴 와일리의 입장과 일치하여, 여러 현대 나사렛 신학자들은 진화론과 신학을 조화시키려고 노력해 왔다. 칼 기버슨, 다렐 R. 팔크, 리처드 G. 콜링을 포함하여 유신론적 진화를 지지하는 나사렛 과학자들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2009년 총회에서 대표들은 오랜 토론 끝에 교회의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나사렛 교회는 역사적으로 완전한 알코올 금주 및 담배를 포함한 기타 모든 중독성 물질을 지지하는 입장을 유지해 왔다.[41] 나사렛 교회의 주요 창시자 브리시는 금주법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이는 계속 논쟁의 대상이지만, 이 입장은 교회에 남아 있다. 교회는 알코올 자체를 죄의 ''원인''으로 여기지 않지만, 중독 등은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위험'이 된다고 인식한다. 역사적으로 나사렛 교회는 가난한 사람들을 돕기 위해 설립되었다. 알코올, 도박 등과 그 중독은 사람들을 가난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지목되었고, 나사렛 교인들은 가난한 사람들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을 돕기 위해 전통적으로 이러한 것들을 삼가왔다. 또한 다른 사람들에게 모범이 되어야 하는 사람은 다른 사람들이 "하나님과의 동행"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사용을 피해야 하며, 이는 양쪽 모두에게 죄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3. 3. 1. 사회적, 윤리적 문제에 대한 입장
나사렛 교회는 여러 도덕적, 사회적 문제에 대한 입장을 ''교리서''와 온라인에 게시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는 인간의 성(性),[39] 연극 예술, 영화, 사교 댄스, 에이즈/HIV 및 장기 기증에 대한 입장이 포함된다.[40] 인간의 성(性)에 대해 교회는 동성애를 "하나님의 진노를 받을" 죄라고 말하는 등 매우 보수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지만, 과학적 발견에 대한 입장은 비교적 진보적이다.고전 나사렛 신학자 H. 오턴 와일리의 입장과 일치하여, 여러 현대 나사렛 신학자들은 진화론과 신학을 조화시키려고 노력해 왔다. 칼 기버슨, 다렐 R. 팔크, 리처드 G. 콜링을 포함하여 유신론적 진화를 지지하는 나사렛 과학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2009년 총회에서 대표들은 오랜 토론 끝에 교회의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나사렛 교회는 역사적으로 완전한 알코올 금주 및 담배를 포함한 기타 모든 중독성 물질을 지지하는 입장을 유지해 왔다.[41] 나사렛 교회의 주요 창시자 브리시는 금주법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이는 계속 논쟁의 대상이지만, 이 입장은 교회에 남아 있다. 교회는 알코올 자체를 죄의 ''원인''으로 여기지 않지만, 중독 등은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위험'이 된다고 인식한다. 역사적으로 나사렛 교회는 가난한 사람들을 돕기 위해 설립되었다. 알코올, 도박 등과 그 중독은 사람들을 가난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지목되었고, 나사렛 교인들은 가난한 사람들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을 돕기 위해 전통적으로 이러한 것들을 삼가왔다. 또한 다른 사람들에게 모범이 되어야 하는 사람은 다른 사람들이 "하나님과의 동행"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사용을 피해야 하며, 이는 양쪽 모두에게 죄로 여겨진다.
3. 3. 2. 과학과의 관계
나사렛 교회는 여러 도덕적, 사회적 문제에 대한 입장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교리서''에 명시되어 있다.[40] 인간의 성(性)에 대해서는 동성애를 죄라고 보는 보수적 입장을 취하지만,[39] 과학적 발견에 대해서는 비교적 진보적인 입장을 보인다.H. 오턴 와일리의 입장을 따라, 현대 나사렛 신학자들은 진화론과 신학을 조화시키려 노력해왔다. 칼 기버슨, 다렐 R. 팔크, 리처드 G. 콜링 등 유신론적 진화를 지지하는 나사렛 과학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2009년 총회에서는 오랜 토론 끝에 교회의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나사렛 교회는 역사적으로 알코올 금주와 담배를 포함한 중독성 물질 사용을 반대해 왔다.[41] 나사렛 교회의 주요 창시자인 브리시는 금주법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이는 논쟁의 대상이지만, 교회는 이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교회는 알코올 자체를 죄의 원인으로 보지는 않지만, 중독 등이 많은 사람들에게 신체적, 정신적 '위험'이 된다고 본다. 나사렛 교회는 가난한 사람들을 돕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알코올, 도박 등과 그 중독은 사람들을 가난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지목되었다. 따라서 나사렛 교인들은 전통적으로 이러한 것들을 삼가왔다. 또한 다른 사람들에게 모범이 되어야 하는 사람은 다른 사람들이 "하나님과의 동행"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사용을 피해야 하며, 이는 양쪽 모두에게 죄로 여겨진다.
3. 3. 3. 금주와 금연
나사렛 교회는 역사적으로 완전한 알코올 금주 및 담배를 포함한 기타 모든 중독성 물질을 지지하는 입장을 유지해 왔다.[41] 나사렛 교회의 주요 창시자 브리시는 금주법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이는 계속 논쟁의 대상이지만, 이 입장은 교회에 남아 있다. 교회는 알코올 자체를 죄의 ''원인''으로 여기지 않지만, 중독 등은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위험'이 된다고 인식한다. 역사적으로 나사렛 교회는 가난한 사람들을 돕기 위해 설립되었다. 알코올, 도박 등과 그 중독은 사람들을 가난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지목되었다. 따라서 나사렛 교인들은 가난한 사람들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을 돕기 위해 전통적으로 이러한 것들을 삼가왔다. 또한 다른 사람들에게 모범이 되어야 하는 사람은 다른 사람들이 "하나님과의 동행"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사용을 피해야 하며, 이는 양쪽 모두에게 죄로 여겨지기 때문이다.4. 예배와 의식
나사렛 교회의 예배 방식은 지역, 관습, 인구 통계에 따라 다양하다. 회중 구조를 가진 교회는 통일된 전례를 따르지 않고 각 교회에서 자체적인 일정을 구성한다. 과거에는 주일 오전, 주일 저녁, 수요일 저녁에 예배를 드렸으며, 각 예배는 약 1시간에서 1시간 30분 동안 진행되었다. 일반적인 주일 오전 예배는 찬송가, 밴드 및 성가대 또는 '찬양과 경배' 밴드의 음악, 헌금, 간증, 설교, 응답 (일반적으로 결신 초청)을 포함했다. 예배 순서는 덜 구조적이고 경직되어 있으며, 성령의 인도를 중시한다.
많은 나사렛 교회는 주일 저녁 및 수요일 저녁 예배를 제자 훈련으로 전환했고, 성장하는 교회들은 주간 소그룹 모임을 활용한다. 예배는 찬송가와 현대 찬양, 기도, 특별 음악, 성경 봉독, 설교, 헌금을 포함하며, 설교 후 기도와 헌신의 시간을 갖는다.
지난 20년 동안 많은 나사렛 교회는 현대적 예배 방식을 도입했다. 프로젝터를 사용하여 노래와 후렴구 가사를 비디오 화면에 표시하기도 한다. 전통적인 나사렛 교회는 설교단 또는 강단에서 회중 찬송가를 인도하는 찬양 인도자가 있을 수 있다. 최근에는 소수의 교회가 성공회 전통에 기반한 공식적인 전례 스타일을 채택했다.
연례 부흥회는 오랫동안 나사렛 교회의 전통이었으며, 현재도 권장되지만 과거만큼 자주 열리지는 않는다. 전도자가 부흥회 설교를 하며, 교회는 전도자에게 면허를 부여하고 자격을 부여한다. 많은 전도자들이 전도 사역으로 생계를 유지한다. 대부분의 나사렛 지방회는 성인과 가족을 위한 연례 캠프 회의와 청소년 및 어린이를 위한 별도의 캠프를 후원한다. 나사렛 교인은 환자들이 모든 적절한 의료 기관을 이용해야 한다고 믿으며, 하나님의 신성한 치유에 대한 의지를 긍정한다. 목회자는 병원에서 또는 예배에서 기도하며 병든 자에게 "안수"할 수 있다. 신성한 치유를 위한 기도는 의료 서비스 및 기관 이용과 병행된다.
4. 1. 일반적인 예배 순서
나사렛 교회의 예배 방식은 회중 구조를 가지고 있어 각 개별 교회에서 자체적인 일정을 만들 수 있으며, 통일된 전례를 따르지 않기 때문에 매우 다양하며, 해당 교회의 지역, 관습 및 인구 통계에 따라 달라진다. 과거 나사렛 교회는 주일 오전, 주일 저녁, 수요일 저녁에 예배를 드렸으며, 각 예배는 약 1시간에서 1시간 30분 정도 진행되었다.일반적인 주일 오전 예배는 찬송가와 밴드 및 성가대 또는 '찬양과 경배' 밴드의 음악, 헌금, 간증 시간, 설교, 그리고 응답 (일반적으로 결신 초청)을 포함했다. 예배 순서는 덜 구조적이고 경직되어 있으며, 성령께서 예배를 인도해야 한다고 본다. 예배는 종종 설교가 끝날 때 기도와 헌신의 시간을 갖도록 하며, 사람들은 함께 모여 기도하면서 영적인 도움을 얻는다.
많은 나사렛 교회의 주일 저녁 및 수요일 저녁 예배는 예배에서 제자 훈련으로 바뀌었으며, 많은 성장하는 교회에서 주간 소그룹 모임을 활용하고 있다. 지난 20년 동안, 점점 더 많은 나사렛 교회에서 현대적 예배 방식을 주요 예배 스타일로 활용하고 있다. 여기에는 노래와 후렴구 가사를 비디오 화면에 표시하기 위해 프로젝터를 사용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더 전통적인 나사렛 교회는 설교단 또는 강단에서 회중 찬송가를 인도하는 찬양 인도자가 있을 수 있다. 더 최근에는 소수의 지역 교회가 성공회 전통의 관행을 기반으로 한 보다 공식적인 전례 스타일을 채택했다.
연례 부흥회는 오랫동안 나사렛 교회의 전통적인 부분이었으며, 현재도 매뉴얼에서 권장되고 있지만, 과거만큼 자주 열리지는 않을 수 있다. 전도자가 부흥회 설교를 하러 온다. 나사렛 교회는 전도자에게 면허를 부여하고 자격을 부여하며, 많은 전도자들이 전도 사역을 통해 생계를 유지한다. 대부분의 나사렛 지방회는 또한 성인과 가족을 위한 연례 캠프 회의와 청소년 및 어린이를 위한 별도의 캠프를 후원한다. 나사렛 교인들은 환자들이 모든 적절한 의료 기관을 이용해야 한다고 믿는 동시에, 하나님의 신성한 치유에 대한 의지를 긍정하며 목회자는 병원에서 또는 예배에서 기도하며 병든 자에게 "안수"할 수 있다. 신성한 치유를 위한 기도는 의료 서비스 및 기관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는다.
4. 2. 현대 예배의 변화
매사추세츠주 캠브리지의 첫 번째 나사렛 교회 ()나사렛 교회의 예배 방식은 지역, 관습, 인구 통계에 따라 다양하다. 회중 구조를 가진 교회는 통일된 전례를 따르지 않고 각 교회에서 자체적인 일정을 구성한다. 과거에는 주일 오전, 주일 저녁, 수요일 저녁에 예배를 드렸으며, 각 예배는 약 1시간에서 1시간 30분 동안 진행되었다. 일반적인 주일 오전 예배는 찬송가, 밴드 및 성가대 또는 '찬양과 경배' 밴드의 음악, 헌금, 간증, 설교, 응답 (일반적으로 결신 초청)을 포함했다. 예배 순서는 덜 구조적이고 경직되어 있으며, 성령의 인도를 중시한다.
많은 나사렛 교회는 주일 저녁 및 수요일 저녁 예배를 제자 훈련으로 전환했고, 성장하는 교회들은 주간 소그룹 모임을 활용한다. 예배는 찬송가와 현대 찬양, 기도, 특별 음악, 성경 봉독, 설교, 헌금을 포함하며, 설교 후 기도와 헌신의 시간을 갖는다.
지난 20년 동안 많은 나사렛 교회는 현대적 예배 방식을 도입했다. 프로젝터를 사용하여 노래와 후렴구 가사를 비디오 화면에 표시하기도 한다. 전통적인 나사렛 교회는 설교단 또는 강단에서 회중 찬송가를 인도하는 찬양 인도자가 있을 수 있다. 최근에는 소수의 교회가 성공회 전통에 기반한 공식적인 전례 스타일을 채택했다.
연례 부흥회는 오랫동안 나사렛 교회의 전통이었으며, 현재도 권장되지만 과거만큼 자주 열리지는 않는다. 전도자가 부흥회 설교를 하며, 교회는 전도자에게 면허를 부여하고 자격을 부여한다. 많은 전도자들이 전도 사역으로 생계를 유지한다. 대부분의 나사렛 지방회는 성인과 가족을 위한 연례 캠프 회의와 청소년 및 어린이를 위한 별도의 캠프를 후원한다. 나사렛 교인은 환자들이 모든 적절한 의료 기관을 이용해야 한다고 믿으며, 하나님의 신성한 치유에 대한 의지를 긍정한다. 목회자는 병원에서 또는 예배에서 기도하며 병든 자에게 "안수"할 수 있다. 신성한 치유를 위한 기도는 의료 서비스 및 기관 이용과 병행된다.
4. 3. 성례와 의식
나사렛 교회는 기독교 세례와 주의 만찬 또는 성찬의 두 가지 성례를 인정한다.[42] 2017–2021년 ''교리서''에는 주의 만찬에 대한 제13조가 대폭 개정되어 포함되었다.나사렛 교인은 유아 세례와 신자 세례를 모두 허용한다.[42] 나사렛 교회에 다니는 가족이 유아 세례를 하지 않기로 선택하는 경우, 유아 헌신에 참여하는 경우가 많다.[42] 아이의 세례 여부는 부모의 선택이며, 이러한 결정은 지리적 위치 및 기타 상황적 문화적 관점에 따라 달라지는 경우가 많다.
성례와 함께, 나사렛 ''교리서''에는 신자 세례, 유아 세례, 유아 헌신, 새 교인 영입, 성찬, 결혼, 장례, 지역 교회의 조직, 새 임원 취임, 교회 봉헌을 위한 의식이 포함되어 있다.[42]
5. 조직과 제도
나사렛 교회는 감독제와 회중제를 결합하여 "대표적인" 정부 형태를 이룬다.[43] 이 구조의 두드러진 특징은 평신도와 성직자 간의 권력 분담, 그리고 지방 교회와 교단 간의 권력 분담이다. 1923년 총회에서 교단의 교회 정치에 관해 다음과 같이 언급되었다. "우리 교인들은 목사 임명에 있어서 극단적인 감독제를 원치 않았고, 극단적인 회중제 또한 원치 않았다. 과거에 우리는 민주주의 정신을 존중하면서 동시에 어느 정도의 효율성을 유지하기 위해 중도적인 입장을 찾으려 노력했다."[43]
5. 1. 교회 정치
나사렛 교회는 감독제와 회중제를 결합하여 "대표적인" 정부 형태를 이룬다.[43] 이 구조의 두드러진 특징은 평신도와 성직자 간의 권력 분담, 그리고 지방 교회와 교단 간의 권력 분담이다. 1923년 총회에서 교단의 교회 정치에 관해 다음과 같이 언급되었다. "우리 교인들은 목사 임명에 있어서 극단적인 감독제를 원치 않았고, 극단적인 회중제 또한 원치 않았다. 과거에 우리는 민주주의 정신을 존중하면서 동시에 어느 정도의 효율성을 유지하기 위해 중도적인 입장을 찾으려 노력했다."[43]5. 2. 총회 (General Assembly)
나사렛 교회의 총회는 교회 헌법에 따라 교리의 최고 수립, 입법 및 선출 권한을 수행한다. 전 세계 교단의 모든 지방회에서 선출된 대표들로 구성되며, 1985년 이후 4년마다 한 번씩 열린다. 모든 총회는 미국에서 개최되었다.2009년 6월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에서 열린 총회에는 총 1,030명의 대의원이 최종 등록했으며, 투표 자격을 갖춘 대의원은 982명, 비투표 대의원은 48명이었다. 총회는 총감독 위원회 위원을 선출하고 교회의 465개 지방회에서 제출된 입법 제안을 검토한다. 검토 대상은 목사 소환 방식에서 생명 윤리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5. 3. 총감독 위원회 (Board of General Superintendents)
나사렛 교회의 최고 선출직은 총감독이다.[44][45] 4년마다 나사렛 교회 총회에서 35세 이상 70세 이하의 안수를 받은 장로 6명을 4년 임기로 선출한다. 안수를 받은 여성과 남성 모두 총감독으로 선출될 자격이 있으며, 이 직을 역임한 45명 중 여성은 니나 G. 건터 박사(2005–2009)와 2017년에 선출되어 현재 재직 중인 칼라 선버그 박사, 두 명뿐이다.[44][45] 2005년까지 선출된 모든 장로는 미국 출신이었다. 과테말라 산 제로니모 출신인 크로커 박사는 중앙 아메리카 출신 최초의 총감독이자, 미국/캐나다 지역 외에서 거주하며 선출된 두 번째 총감독으로, 53차 투표에서 기록을 세우며 선출되었다.이 여섯 명의 장로는 교단 ''매뉴얼''에 따라 "나사렛 교회의 전 세계 사업을 관리할 책임"을 맡고, 교단의 정체성을 해석하는 총감독위원회를 구성한다. 총감독위원회의 모든 공식 행위는 총회의 검토를 받는다.
최연소 총감독으로 선출된 사람은 로이 T. 윌리엄스로, 1915년 총회 몇 주 안에 사망한 피니어스 F. 브리시와 윌리엄 C. 윌슨의 사망으로 인한 공석을 채우기 위해 선출되었을 때 32세였다. 윌슨은 선출된 지 33일 만에 47세의 나이로 사망하여 가장 짧은 기간 동안 총감독을 역임했다. R.T. 윌리엄스는 1916년 1월부터 1946년 3월 사망할 때까지 30년 넘게 재임하여 가장 오랫동안 총감독을 역임했다. 처음 11명의 총감독 중 8명이 재임 중 사망하여 총감독 수가 늘어나고, 72세의 상한 연령이 설정되었다. 1907년 10월에 선출된 최초의 두 총감독 중 한 명인 하이럼 F. 레이놀즈 박사(1854–1938)는 1932년 78세의 나이로 은퇴하여 이 직을 가장 오래 역임한 사람으로 기록되었다.
5. 4. 총회 평의회 (General Board)
나사렛 교회의 총회 평의회는 1923년 총회의 결정에 따라 만들어졌다. 이는 교회 예산을 놓고 서로 경쟁하는 경우가 많았던 독립적인 일반 평의회 시스템을 대체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러한 독립 평의회는 총회 평의회의 부서가 되었다.[46] 총회 평의회는 국제 교회를 대표하는 지방 감리사, 목사, 평신도 지도자들로 구성되며, 총회에서 지역별 간부 회의를 통해 선출된다. 매년 2월 말에 소집되는 이사회는 총회 사이의 국제 나사렛 교회를 관할하는 책임을 가지며, 교단의 법적 업무를 수행한다. 48명의 이사회 구성원은 교회의 지역을 대표하며, 추가로 4명의 구성원은 교육, 나사렛 청소년 국제부(Nazarene Youth International), 나사렛 선교 국제부(Nazarene Missions International)를 대표하기 위해 선출되었다. 52명의 이사회 구성원 중 약 절반이 미국 외 지역에서 선출되었으며, 여성은 6명에 불과하다.[47]5. 5. 성직자 (Ministers)
나사렛 교회는 두 가지 서품 제도를 운영한다. 안수된 장로와 안수된 집사가 그것이다.[48] 안수된 장로는 남녀를 불문하고 "말씀과 성례전"의 사역을 위해 구별된 사람이다. 그들의 주요 임무는 말씀을 선포하고, 성례전을 집행하며, 지역 교회를 이끄는 것이다. 안수된 집사는 "말씀과 성례전"이 아닌 다른 역할로 전임 사역을 위해 구별된 남녀이다. 집사로 안수받을 자격이 있는 사람으로는 음악, 기독교 사회 사역 또는 기독교 교육 책임자, 또는 일반적으로 회중을 이끄는 역할을 하지 않는 기타 사역에 전임으로 부름받은 사람들이 포함된다.[48] 교회는 또한 지방회 면허 목사도 둔다. 일반적으로 이들은 안수를 향해 나아가는 사람들이거나 안수된 사역에 대한 소명을 진지하게 고려하고 있는 사람들이다. 면허 목사는 경우에 따라 교회의 담임 목사가 될 수 있다.나사렛 교회는 또한 이러한 전문화된 형태의 기독교 봉사와 사역을 인정한다.[48] 2014년 9월, 나사렛 교회는 총 27,702명의 자격을 갖춘 또는 면허를 받은 목회자를 보유했으며, 그중 안수된 장로가 17,017명, 안수된 집사가 838명, 면허 목사가 9,847명이었다. 2010년 3월 24일, 방글라데시 지방회는 한 번의 예배에서 193명의 여성과 남성을 안수하는 교단 기록을 세웠는데, 여기에는 교단 역사상 가장 많은 30명의 여성이 포함되었으며, 이는 페루에서 안수받은 39명을 넘어선 기록이다.[49][50]
5. 6. 지역 교회 (Local Church)
나사렛 교회의 기본적인 조직 단위는 지방 교회 회중이며, 이는 조직 교회 또는 교회 유형 선교회(종종 "새 시작"이라고 함)일 수 있다.[51] 2014년 9월 말 기준으로 조직 교회는 21,425개, 교회 유형 선교회는 7,970개로 총 29,395개의 회중이 있었다.[51] 전 세계 나사렛 교회 회중의 평균 구성원은 78명이며, 주간 평균 예배 출석자는 51명이다.[52]2009년 2월 기준으로 매주 일요일 아침 평균 출석 인원 기준으로 교단에서 가장 큰 회중은 브라질의 파울리스타 수데스테 지구에 있는 캄피나스 중앙 교회로, 8,216명의 교인과 평균 주간 일요일 아침 예배 출석자 7,237명을 보고했다. 2009년 동안 873명의 새로운 나사렛 교인을 받았다.[53] 그 다음으로 큰 네 개의 회중은 콜롬비아의 카사 데 오라시온 파소 안초 교회(4,600명, 예배 7,000명); 브라질의 아메리카나 교회; 오하이오주 그로브 시티의 그로브 시티 나사렛 교회; 그리고 캔자스주 올라테의 나사렛 대학교회였다.[53]
5. 7. 지방회 (District)
지방 교회들은 행정적으로 지역구로 묶인다. 각 지역구는 지역구 감리자에 의해 이끌리며, 지역구 감리자는 일반적으로 지역구 총회라고 불리는 연례 회의에서 각 지방 교회의 대표들에 의해 선출된다. 새로운 지역구에서는 관할권 총감리자가 지역구 감리자를 임명할 수 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465개의 지역구가 있다. 규모는 나사렛 교회의 밀집도에 따라 다르다. 미국과 캐나다에는 80개의 지역구가 있다. 가장 큰 지역구는 브라질 남동 파울리스타 (24,686명의 정회원), 대한민국 전국 지역구 (23,143명의 회원), 인도 동부 (19,490명의 회원), 그리고 미국에서 가장 큰 오클라호마 (17,530명)이다. 지역구는 또한 '''구역'''으로 세분화될 수 있으며, 구역 내의 지방 교회들은 특히 청소년 행사를 위해 다양한 활동에 협력할 수 있다.5. 8. 지역 (Region)
나사렛 교회의 모든 지방회는 6개의 지리적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54][55][56][57][58][59]- 아프리카: 611,398명의 교인이 있으며, 42개 세계 지역의 6개 지구에서 130개 지방회에 8,686개 교회가 있다.[54]
- 아시아-태평양: 119,349명의 교인이 있으며, 29개 세계 지역의 7개 지구에서 46개 지방회에 1,894개 교회가 있다.[55]
- 유라시아: 240,585명의 교인이 있으며, 36개 세계 지역의 7개 지구에서 52개 지방회에 7,832개 교회가 있다.[56]
- 중앙 아메리카: 364,368명의 교인이 있으며, 31개 세계 지역의 5개 지구에서 77개 지방회에 3,133개 교회가 있다.[57]
- 남아메리카: 279,408명의 교인이 있으며, 10개 세계 지역의 8개 지구에서 80개 지방회에 2,603개 교회가 있다.[58]
- 미국/캐나다 (미국, 캐나다 및 버뮤다): 649,998명의 교인이 있으며, 3개 세계 지역의 9개 구역에서 80개 지방회에 5,247개 교회가 있다.[59]
이 지역은 2011년 이전 세계 선교 부서의 모든 기능을 통합하는 전략적 구조 조정을 거쳐 설립된 단체인 나사렛 세계 선교를 통해 관리된다.[60] 이 기구는 지역 사회, 지방회, 지역 및 국제적 수준에서 나사렛 교회가 선교를 지원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파트너십과 협력에 중점을 둔다.[60]
미국과 캐나다에는 교단 고등 교육 기관 중 하나를 중심으로 교육 구역이 있다. 각 지역 교회는 합의된 예산을 지방회 수준으로 지불하며, 각 지방회는 해당 구역의 나사렛 고등 교육 기관을 위해 지역 및 지방회 예산의 일부를 송금한다. 나사렛 교회의 교육 구역은 1918년에 처음 설립되었다.
5. 9. 구역 (Field)
글로벌 선교부가 관할하는 지역의 지방회는 종종 "필드"로 묶이며, 필드 전략 코디네이터가 전략적 리더십을 제공한다.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하위 지역을 "존"이라고 부를 수 있다. 2008년 1월 31일, 인도는 전 세계 나사렛 교회에서 필드 전략 코디네이터인 순일 당게 목사, 15명의 지방회 감독, 모든 사역 코디네이터, 그리고 모든 인도 출신 목회자를 포함하여 완전히 토착민으로 구성된 최초의 필드가 되었다.[61]6. 사역과 활동
국제 교단 본부는 1세기 이상 동안 미주리주 캔자스시티에 있었다. 2008년 9월부터 교단은 캔자스주 레넥사 "글로벌 사역 센터"(Global Ministry Center)로 이전했다.[73] 교단의 출판사는 나사렛 출판사(Nazarene Publishing House) (현재는 더 파운드리 출판사(The Foundry Publishing))이며, 1912년 창립 이후 미주리주 캔자스시티에 있다.
몇 가지 주요 사역은 다음과 같다.
- 나사렛 청소년 국제(Nazarene Youth International)(NYI)
- 주일학교 및 제자 훈련 사역
- 나사렛 선교 국제(Nazarene Missions International)(NMI)
- 나사렛 출판사(Nazarene Publishing House)(NPH)
6. 1. 고등 교육
나사렛 교회는 35개국에 52개의 교육 기관을 소유 및 운영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대학원 신학대학원, 학부 성경대학/신학대학, 간호사 훈련 대학, 교사 훈련 대학 등이 포함된다.[74] 나사렛 교회 매뉴얼은 "나사렛 교회는 고등 교육에 전념해 왔습니다. 교회 대학/대학교는 지역 교회가 아니지만 교회의 필수적인 부분이며, 교회의 표현입니다."라고 명시한다.[74] 나사렛 교육 기관은 나사렛 국제 교육 위원회(IBOE)의 감독을 받는다.[75]각 지역 교회와 구역 예산의 일부는 나사렛 고등 교육을 위해 할당되어 각 교육 구역 또는 국가의 해당 기관 비용을 보조한다. 2010년, 전 세계적으로 교단은 나사렛 교육 기관에 2,390만 4,271달러를 기부했다.[76] 2016년 기준, 전체 등록 학생 수는 51,555명이었으며, 이 중 약 31,000명은 캠퍼스 프로그램에, 19,000명은 연장 프로그램에 등록했다. 2010년 기준, 교육 자산 가치는 10억 4,143만 6,984달러였고, 부채는 3억 4,100만 9,574달러로 순자산은 7억 427만 410달러였다.
미국과 캐나다에는 지역별로 하나의 나사렛 인문 대학이 있다.[77] 이들 기관 지원 논리에 따라, 나사렛 인문 대학 간에는 해당 교육 구역 밖에서 적극적으로 모집하지 않고, 나사렛 대학 진학 예정자가 먼저 개별적으로 "비지역" 기관에서 정보를 구해야 한다는 신사 협정이 존재한다.
지역 대학으로는 캐나다 지역의 앰브로스 대학교(앨버타주 캘거리), 동부 미국 지역의 이스턴 나사렛 칼리지(매사추세츠주 퀸시), 북중부 미국 지역의 미드아메리카 나사렛 대학교(캔자스주 올라테), 동중부 미국 지역의 마운트 버논 나사렛 대학교(오하이오주 마운트 버논), 북서부 미국 지역의 노스웨스트 나사렛 대학교(아이다호주 팜파), 중부 미국 지역의 올리벳 나사렛 대학교(일리노이주 버본네스), 남서부 미국 지역의 포인트 로마 나사렛 대학교(캘리포니아주 샌디에고), 남중부 미국 지역의 사우던 나사렛 대학교(오클라호마주 베서니), 동남부 미국 지역의 트레베카 나사렛 대학교(테네시주 내슈빌)가 있다.[78] 2024년 7월 25일, ENC는 폐쇄 절차를 시작할 것이라고 발표했다.[79]
학교 | 소재지 | 2016년 등록 학생 수 |
---|---|---|
고려신학대학교 | 대한민국 천안시 | 5,208 [81] |
올리벳 나사렛 대학교 | 일리노이주 버본네스 | 4,670 |
아프리카 나사렛 대학교 | 케냐 나이로비 | 3,872 |
포인트 로마 나사렛 대학교 | 캘리포니아주 샌디에고 | 3,806 |
트레베카 나사렛 대학교 | 테네시주 내슈빌 | 3,093 |
사우던 나사렛 대학교 | 오클라호마주 베서니 | 2,090 |
2009년 10월 16일, 나사렛 대학원 신학대학원 및 신학 학교 글로벌 컨소시엄(GCNGSST)이 영국 맨체스터에서 출범했다.[82] 이 컨소시엄은 아프리카 나사렛 대학교(케냐 온가타 롱가이), 아시아 태평양 나사렛 신학대학교(필리핀 리잘주 타이에이), 브라질 나사렛 칼리지(Faculdade Nazarena do Brasil)(브라질 캄피나스), 고려신학대학교(대한민국 천안시), 나사렛 신학대학교(오스트레일리아 브리즈번), 나사렛 신학대학교(영국 맨체스터), 나사렛 신학대학원(미주리주 캔자스시티), 세미나리오 나사레노 데 라스 아메리카스(SENDAS)(코스타리카 산호세) 등 8개 기관으로 구성되었다.[82] 헨리 루스 재단의 지원을 받아 신학 교육에 사용할 수 있는 글로벌 자원을 최적화하여 나사렛 신학대학원을 연결한다. 컨소시엄의 많은 작업은 화상 회의를 통해 연중 이루어지며, 회원 기관의 총장 및 학술 학장 회의는 고려신학대학교와 나사렛 신학대학원 캠퍼스에서 개최되었다.[83]
6. 2. 청소년 사역 (Nazarene Youth International, NYI)
나사렛 청소년 국제기구(Nazarene Youth International, NYI)는 1923년 나사렛 청년회(Nazarene Young Peoples Society, NYPS)로 시작된 이래 나사렛 교회와 협력해 온 청소년 단체이다.[51] 1976년에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12세에서 29세 사이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활동했다. 2014년 9월 기준으로 NYI의 전 세계 회원 수는 16,597개의 지역 조직에서 활동하는 14세에서 25세 사이의 청소년 422,012명이었다.[51] 이는 2013년보다 8,871명 감소했지만, 2004년 이후 85,062명, 즉 25.24% 증가한 수치이다.[51]NYI가 후원하는 제3차 웨이브 신흥 지도자 컨퍼런스는 2012년 1월 3일부터 8일까지 태국 방콕에서 개최되었으며, 55개국에서 약 250명의 참가자가 참석했다.[84]
6. 3. 제자 훈련 사역 (Nazarene Discipleship International, NDI)
2010년 말, 나사렛 교회의 주일학교 및 제자 훈련 국제부(SDMI)는 전 세계 주일학교 주간 평균 출석 인원이 703,344명,[85] 글로벌 제자 훈련 그룹 출석 인원이 191,912명으로 총 895,256명(2009년 대비 52,132명 증가)이라고 보고했다.[85] 2009년에 총 전 세계 책임자 명단은 1,690,255명이었다.[86]2016년, 글로벌 제자 훈련 출석 인원은 1,245,818명으로 10년 동안 55%의 성장률을 보였고, 총 전 세계 책임자 명단은 1,845,786명이었다. 2022년, SDMI는 나사렛 제자 훈련 국제부(NDI)로 브랜드가 변경되었다.
6. 4. 선교 사역 (Nazarene Missions International, NMI)
나사렛 선교 국제(Nazarene Missions International, NMI)는 1915년 제4차 총회에서 재무 전문가 에이브럼 핏킨의 아내인 수잔 노리스 핏킨을 초대 회장으로 선출하면서 '''나사렛 해외 선교 협회'''로 설립되었다. 핏킨은 1948년 6월까지 회장직을 역임했다. NMI는 "각 지역 교회 내에서 세계 선교의 교회 관계의 핵심"이며,[87] "나사렛 교회의 지역 교회 기반의 글로벌 동원 및 홍보 부서"이다.[88] 916,470명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다.[89] NMI의 목적은 기도, 제자 훈련, 헌금, 교육을 통해 선교에 교회를 동원하는 것이다.[90]나사렛 교회는 창립 이후 지상 대명령을 따르기 위해 헌신해 왔다. 2013-2017년 ''매뉴얼''에 따르면 "역사적으로 나사렛 교회의 세계 선교는 전도, 긍휼 사역, 그리고 교육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91] 2014년, 이 교단은 40개 지역에 총 702명의 급여를 받는 선교사(나사렛 교회 세계 전도 기금에서 지원)를 파견했으며,[92] 그 중 일반 이사회 선교사의 40%가 미국 외 선교사였다.[94] 또한, 40개 지역에서 계약된 자원 봉사자들이 선교사로 봉사했다.[51] 2013년에는 27개 지역에서 687명의 선교사와 231명의 선교사 자녀가 파견되었고 (313명의 선교단 자원 봉사자 포함).[95] 2014년에는 나사렛 선교사가 35개 지역에서 파견되었다. 2013년에는 10,824명의 자원 봉사자가 선교에 참여했다. 선교단 외에도, 292명의 개인 자원 봉사자와 10,219명의 근로 및 증언 팀 구성원이 있었다.[95] 2010년에는 92명의 청소년 선교 참여자가 14개 지역에서 봉사했으며, 이 중 52명은 미국/캐나다 지역 외에서 참여했다.[96]
2002년 세계 전도 기금(WEF)에 5,400만 달러가 기부된 최고치에서[97] 2007-2008년 금융 위기의 결과로, 2012년 세계 전도 기금으로 모금된 총액은 약 3,830만 달러(전년 대비 50만 달러 감소)였다.[98] 하지만, 특별 선교 수입은 추가로 2,610만 달러였으며, 이는 전년 대비 530만 달러 감소한 수치였다.[92][98] 이 두 기부액을 합하면 총 6,440만 달러로,[98] 580만 달러 감소했다.[99] 미국 지역은 교단 전체 회원의 33% 미만임에도 불구하고, WEF 기금의 94%를 기여했으며,[98] 승인된 특별 기금의 90%를 기여했다.[99][92] 2012년 동안, 나사렛 교회 회중의 27.7%가 총 수입의 5.5%를 WEF에 기부했고, 회중의 추가 37.5%가 WEF에 기여했으며, 35%의 회중은 기여하지 않았다.[98]
'''JESUS Film Harvest Partners'''
나사렛 교회는 예수 영화 프로젝트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팀을 구성하여 ''예수 영화''를 상영하고 있다. 2014년에 글로벌 미션 (GM)과 JESUS Film Harvest Partners(JFHP)는 선교사와 지역 지도자들과 협력하여 619개의 예수 영화 팀을 운영하여 290개 언어와 135개 지역에서 복음을 전파했다. 1998년부터 2014년 6월까지 누적된 총 복음 전파 접촉 횟수는 67,280,854회였으며, 이 중 12,640,017명이 그리스도를 영접(접촉 횟수의 18.8%)하고, 5,261,310명(영접자의 41.6%)이 제자 훈련을 받았다. 1998년 이후 43,481개의 새로운 설교 지점이 시작되었다. 최신 정보는 jfhp.org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Work and Witness'''
1974년에 시작된 이래, 나사렛 교회의 워크 앤드 위트니스(Work and Witness)는 해외 선교지에 건물을 짓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자원 봉사 팀을 이문화 환경에 파견하는 사업이다. 워크 앤드 위트니스는 196,060명의 참가자를 배출했으며, 이들은 총 13,246,196 시간의 노동을 제공하여 6,564년에 해당하는 노동력을 제공했다. 2010년에는 총 8,955명의 참가자가 참여한 537개의 워크 앤드 위트니스 팀이 있었다. 2008년에는 72개 지역에서 팀들이 활동했다.
6. 4. 1. JESUS Film Harvest Partners
나사렛 교회는 예수 영화 프로젝트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팀을 구성하여 ''예수 영화''를 상영하고 있다. 2014년에 글로벌 미션 (GM)과 JESUS Film Harvest Partners(JFHP)는 선교사와 지역 지도자들과 협력하여 619개의 예수 영화 팀을 운영하여 290개 언어와 135개 지역에서 복음을 전파했다. 1998년부터 2014년 6월까지 누적된 총 복음 전파 접촉 횟수는 67,280,854회였으며, 이 중 12,640,017명이 그리스도를 영접(접촉 횟수의 18.8%)하고, 5,261,310명(영접자의 41.6%)이 제자 훈련을 받았다. 1998년 이후 43,481개의 새로운 설교 지점이 시작되었다. 최신 정보는 jfhp.org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6. 4. 2. Work and Witness
1974년에 시작된 이래, 나사렛 교회의 워크 앤드 위트니스(Work and Witness)는 해외 선교지에 건물을 짓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자원 봉사 팀을 이문화 환경에 파견하는 사업이다. 워크 앤드 위트니스는 196,060명의 참가자를 배출했으며, 이들은 총 13,246,196 시간의 노동을 제공하여 6,564년에 해당하는 노동력을 제공했다. 2010년에는 총 8,955명의 참가자가 참여한 537개의 워크 앤드 위트니스 팀이 있었다. 2008년에는 72개 지역에서 팀들이 활동했다.6. 5. 자비 사역 (Nazarene Compassionate Ministries)
나사렛 교회는 전 세계에 245개의 전임 사역 센터와 자원 봉사 활동을 운영하고 있다.[3] 나사렛 교인들은 전쟁, 기근, 허리케인, 홍수 및 기타 자연 재해와 인재로 피해를 입은 전 세계 사람들을 돕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교회는 전 세계에 64개의 의료 클리닉과 병원을 운영하고 있다.[3] 2008년, 나사렛 자비 사역[102]의 아동 발달 프로그램은 전 세계 77개국에서 123개의 아동 발달 센터를 운영하며 11,140명 이상의 후원을 제공하고 영양 프로그램을 통해 50,000명 이상의 아동의 필요를 충족시켰다.[103] 2010년에는 나사렛 자비 사역을 통해 매주 11,874명의 어린이가 음식을 제공받았다.[96]6. 6. 나사렛 출판사 (Nazarene Publishing House, NPH)
나사렛 출판사(Nazarene Publishing House, NPH)는 감리교-성결교 문헌을 발행하는 세계 최대의 출판사로, 나사렛 교회의 출판 부서이며, 펀드리 출판(Foundry Publishing)이라고도 불린다.[3] NPH는 매년 2천 5백만 부 이상의 문헌을 인쇄하며,[104] 11,000개 이상의 교회에서 250,000건 이상의 주문을 처리한다.[105]1911년 내슈빌에서 열린 나사렛 교회 제3차 총회에서 로드아일랜드, 텍사스, 로스앤젤레스에 있던 세 개의 출판사를 "하나의 중앙 출판사"로 통합하고, 세 개의 신문을 하나로 합병할 것을 권고했다. 1912년 미주리 주 캔자스시티 트루스트 애비뉴 2923번지에 설립된 오순절 나사렛 출판사(Pentecostal Nazarene Publishing House)는 나사렛 목사인 클래런스 J. 킨(Clarence J. Kinne)이 초대 관리자가 되었다.[106] B. F. 헤인스(B. F. Haynes)가 편집한 새로운 주간 신문인 ''거룩함의 헤럴드(Herald of Holiness)''는 1912년 4월 17일에 처음 발행되었다. ''다른 양들(The Other Sheep)'' (후에 ''세계 선교''(World Mission)) 잡지는 1913년 찰스 앨런 맥코넬(Charles Allen McConnell)의 지휘 하에 출판되었으며, 그는 1916년부터 1918년까지 NPH의 관리자였다.[107] ''거룩함의 헤럴드''와 ''다른 양들''은 1999년까지 발행되었으며, ''오늘의 거룩함(Holiness Today)''이 발간되면서 중단되었다. ''거룩함의 헤럴드''의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프랑스어판이 수년 동안 발행되었다.[108]
NPH는 나사렛 교회 총회와는 별개의 법인체이지만 교회에 책임을 지며, 이사회와 NPH를 감독하는 나사렛 교회 6명의 총감독 중 한 명에게 책임을 진다. NPH는 다양한 종류의 서적, 음악 및 자료를 출판한다. 서적을 출판하는 주요 레이블은 비콘 힐 프레스(Beacon Hill Press)이며, 주일학교 커리큘럼은 워드 액션(Word Action), 청소년 사역 자료는 베어풋 미니스트리(Barefoot Ministries)라는 레이블로 출판된다. 스페인어 자료는 카사 나사레나 데 퍼블리시온(Casa Nazarena de Publicaciones)에서 제작한다.
음악 및 드라마 자료는 릴레나스 출판(Lillenas Publishing)이라는 레이블로 출판되며, 이 레이블은 1925년 나사렛 목사이자 작곡가인 할도르 릴레나스(Haldor Lillenas)에 의해 인디애나 주 인디애나폴리스에서 설립되었으며,[109] 1930년 NPH에 인수되었다.[110][111]
7. 저명한 나사렛교인
다음은 나사렛 교회와 과거 또는 현재 관계나 소속이 있는 저명한 인물들이다.[112][113][114][115][116][117][118][119][120]
- 윌리엄 반텀 목사는 1968년부터 나사렛 교회 목사였으며,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정치인이자 케이프타운의 최초 흑인 시장(1995–2000)이었다.[112]
- 도나 플레처 크로우는 역사 소설 작가로, 노스웨스트 나사렛 대학교를 졸업했으며, 저서로 ''글래스톤베리''가 있다.[113]
- 제임스 돕슨 박사는 미국의 심리학자이자 ''가족을 위한 초점''의 창립자이며, 포인트 로마 나사렛 대학교 졸업생이다.[114]
- 켄트 R. 힐 박사는 전 미국 국제 개발처(USAID) 임시 행정관이자 이스턴 나사렛 대학교의 전 총장(1992–2001)이며, 노스웨스트 나사렛 대학교 졸업생이다.[115]
- 크리스탈 루이스는 도브 상 수상 경력이 있는 복음성가 가수이다.[116]
- 파블로 살라자르 멘디구치아는 멕시코 정치인으로, 전 치아파스 주지사(2000–2006)이자 전 멕시코 상원(1994–2000) 의원이다.[117]
- 에스더 R. 생어는 매사추세츠 주 퀸시에 위치한 퀸시 위기 센터와 매사추세츠 주 힝햄에 위치한 마사-메리 학습 센터 등 비영리 단체 2곳을 설립했으며, 1994년에 나사렛 교회 장로로 임명되었다.[118]
- 브라이언 소터는 킵 더 클로즈 캠페인의 저명한 지도자이자 스코틀랜드 사업가이다.[119]
- 래리 월은 펄 프로그래밍 언어의 창시자이자 오픈 소스 운동의 초창기 주요 기여자이며, 캘리포니아 주 쿠퍼티노에 있는 뉴 라이프 나사렛 교회 교인이다.[120]
- 빈스 스노우버거는 전 캔자스 주 출신 미국 하원 의원이다.
- 랜들 스테판스는 작가이자 역사가이다.
- 아기아 발바소라는 브라질 캄피나스에 있는 캄피나스 중앙 나사렛 교회 목사이다.
- 에드윈 에드워즈는 루이지애나 주지사를 네 번 역임했으며, 젊은 시절에 나사렛 교회 목사였으며, 로마 가톨릭으로 개종했다.
- 에이브럼 핏킨은 미국의 투자 은행가이자 자선가이며, 나사렛 교회 NMI(Nazarene Missions International) 설립자인 수잔 노리스 핏킨의 남편으로, 브루클린의 존 웨슬리 나사렛 교회 신자였다.
- 로버트 W. 페이드는 미국의 핵 과학자로, 사우스캐롤라이나 주 그린빌의 제일 나사렛 교회 신자였다.
- 캐릴 앤 푸게이트는 연쇄 살인범 찰스 스타크웨더의 당시 여자친구였으며, 미국 역사상 최초로 1급 살인 혐의로 재판을 받은 최연소 여성이었다. 그녀는 네브래스카 주 요크의 네브래스카 여성 센터(1958–1976)에 수감되어 있는 동안 "나사렛 교회 보육원에서 일하고, 일요일에 성경 수업을 가르쳤으며, 가끔 설교를 했다".
- 빌 가이더는 서던 가스펠 가수이자 작곡가로, 다섯 번의 그래미상과 28개의 도브상을 수상했으며, 1982년에는 가스펠 음악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그는 나사렛 집안에서 자랐으며, 인디애나 주 알렉산드리아에 있는 그의 집 교회에서 교인이 되었다. 현재 그는 인디애나 주 앤더슨의 파크 플레이스 하나님의 교회에 출석한다.[121]
- 톰 행크스는 아카데미상 수상 배우로, 10대 시절 이모와 함께 살면서 나사렛 교회에 다녔다.[122]
- 게리 하트는 미국의 정치인으로, 상원 의원(1974–1980)을 역임했으며, 두 번(1984, 1988) 미국 대통령 후보로 출마했다. 그는 나사렛 교회 신자로 자랐고, 교단의 사무총장의 딸인 올레타 루드비히와 결혼했으며, 서던 나사렛 대학교를 졸업했다.[123]
- 튜니 헌세이커는 웨스트버지니아 주 페이에트빌의 전 경찰서장으로, 1960년 프로 복싱 경기에서 무하마드 알리의 첫 번째 상대였으며, 웨스트버지니아 주 오크 힐의 나사렛 교회 신자였다.
- 와이클레프 진은 아이티계 미국인 음악가로, 고(故) 게스너 진 목사의 아들이며 나사렛 교단에서 자랐다. 그는 뉴저지 주 뉴어크의 굿 셰퍼드 나사렛 교회를 다녔고, 잠시 이스턴 나사렛 칼리지에 다녔다.[124][125]
- R. T. 켄달은 다작의 기독교 작가로, 웨스트민스터 채플에서 25년 동안(1977–2002) 목회했으며, 켄터키 주 애슐랜드에서 나사렛 집안에서 태어나 감독 로이 T. 윌리엄스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그는 트레베카 나사렛 대학교를 졸업하고, 그의 칼뱅주의 신념 때문에 사임을 해야 하기 전에 교단에서 사역을 시작했다. 2008년에는 트레베카 나사렛 대학교에서 명예 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26]
- 토마스 킨케이드는 미국의 예술가였다.[127]
- 할도르 릴레나스는 노르웨이의 가스펠 명예의 전당 헌액자로, 나사렛 교단의 안수 목사였으며, 작가, 찬양 전도사, 시인, 음악 출판인이자 다작의 찬송가 작곡가로, 4,000편 이상의 찬송가를 작곡한 것으로 추정된다.[128]
- 존 멜렌캠프는 그래미상을 수상한 미국의 록 싱어송라이터로, 인디애나 주 시모어의 나사렛 교회에서 자랐다.[129]
- 론 레인스는 배우로, 나사렛 목사의 아들이며, 적어도 1969년까지 교단에서 활동했다.[130]
- 데비 레이놀즈는 여배우로, 나사렛 교회에서 자랐으며, 16년 동안 일주일에 세 번 출석했다.[131]
- 밥 피어스는 미국의 밥 피어스는 1950년에 국제 기독교 구호 및 개발 단체인 월드 비전과 사마리탄의 지갑(1970)의 설립자였으며, 나사렛 교단의 안수 목사였다.[132]
- 찰스 템플턴은 캐나다의 찰스 템플턴은 청소년을 위한 그리스도의 공동 설립자였으며, 온타리오 주 토론토에 있는 애비뉴 로드 나사렛 교회의 설립자였으며, 무신론자가 되기 전에 나사렛 교회에서 전도사로 활동했다.[133]
- 제임스 데이비드 본은 서던 가스펠의 선구자이자 음악 출판가로, 1997년에 서던 가스펠 음악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며, 1920년대에 테네시 주 로렌스버그의 나사렛 교회(현재 본 기념 나사렛 교회로 알려짐)의 신자가 되었고, 스피어스 가족을 교단으로 데려왔다.[134]
- 카파 세노는 일본의 그래픽 디자이너, 세트 디자이너, 수필가이자 소설가로, 제2차 세계 대전 전후에 일본 고베의 나사렛 집안에서 자랐다.[135]
- 도로시 데이비스 쿡은 1939년 11월 22일에 나사렛 선교사로 임명되었다. 그녀는 스와질란드에서 최초의 주 등록 간호사 프로그램을 설립했으며, 주변 국가에서 표준이 된 4개의 간호 교과서를 저술했다.[136]
참조
[1]
서적
Means of Grace as Formative Holiness: The Role and Significance of John Wesley's Spiritual Formation Practices in The Pursuit of Christian Holiness for The Church of The Nazarene
2016
[2]
서적
Methodism in Australia: A History
Routledge
2016-03-03
[3]
웹사이트
Church of the Nazarene-About Nazarenes
http://www.nazarene.[...]
2009-08-18
[4]
웹사이트
244823 Manual 2005-09
http://media.premier[...]
2014-06-23
[5]
웹사이트
Legislative Actions and G.S. Ballots – Nazarene Communications Network
http://www.nph.com/n[...]
[6]
웹사이트
Church of the Nazarene
http://www.ncnnews.c[...]
ncnnews.com
2013-03-02
[7]
웹사이트
Church of the Nazarene – Clergy Development
http://www.nazarenep[...]
nazarenepastor.org
2014-06-23
[8]
문서
"2013–2017 Manual of the Church of the Nazarene (Kansas City, Missouri: Nazarene Publishing House, 2013)"
[9]
웹사이트
The Rise of the Church of the Nazarene
http://www.nazarene.[...]
Nazarene.org
2015-07-30
[10]
문서
Watchword
[11]
문서
Watchword
[12]
문서
Manual 2005–2009
[13]
문서
Manual
[14]
문서
Manual
[15]
웹사이트
http://www.forminist[...]
[16]
웹사이트
Proof Copy Version3
http://media.premier[...]
2014-06-23
[17]
서적
The Encyclopedia of American Religions
McGrath Publishing Company
1978
[18]
성경
[19]
웹사이트
Archives' Answers: The denomination's name – Nazarene Communications Network
http://www.nph.com/n[...]
2012-08-26
[20]
웹사이트
The Rise of the Church of the Nazarene
http://wesley.nnu.ed[...]
Wesley.nnu.edu
2015-07-30
[21]
웹사이트
Called unto Holiness
http://wesley.nnu.ed[...]
Wesley.nnu.edu
2015-07-30
[22]
웹사이트
Internationalization in the Church of the Nazarene
http://www.nazarene.[...]
Nazarene.org
2015-07-30
[23]
문서
Watchword
[24]
문서
Watchword
[25]
문서
Purkiser, Called 2
[26]
문서
Watchword
[27]
웹사이트
Church of the Nazarene
http://www.ncnnews.c[...]
2009-07-13
[28]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Holiness Movement
Scarecrow Press
2009-08-03
[29]
웹사이트
Church of the Nazarene – Home
http://www.nazarene.[...]
2010-01-17
[30]
문서
Manual 2005–2009
[31]
Video
A Conversation with Tom Noble: Professor of Theology, Nazarene Theological Seminary
http://videos.gracea[...]
Grace and Peace Magazine – Church of the Nazarene – USA/Canada Region
2010-05-20
[32]
문서
Oord and Lodahl, 2005
[33]
웹사이트
God's Preparing, Accepting, and Sustaining Grace
http://gbgm-umc.org/[...]
The United Methodist Church GBGM
2007-08-02
[34]
웹사이트
Statement of Belief
http://www.cambridge[...]
Cambridge Christ United Methodist Church
2007-08-02
[35]
웹사이트
The New Birth by John Wesley (Sermon 45)
http://new.gbgm-umc.[...]
The United Methodist Church GBGM
2007-08-02
[36]
웹사이트
Altar Call
http://archives.umc.[...]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07-08-02
[37]
웹사이트
Quotes by various Methodist Bishops and Leaders of the Past
http://www.imarc.cc/[...]
The Independent Methodist Arminian Resource Center
2007-08-02
[38]
서적
The Protestant Ethic and the Spirit of Capitalism
https://archive.org/[...]
Routledge
2009-01-04
[39]
웹사이트
A Pastoral Perspective on Homosexuality
http://www.nazarene.[...]
Nazarene.org
2015-07-30
[40]
문서
"''Manual'' 2001–2005"
[41]
웹사이트
Church of the Nazarene beliefs on drinking no alcohol
http://www.nodrinkin[...]
nodrinking.com
2016-12-29
[42]
웹사이트
http://media.premier[...]
[43]
웹사이트
History of Nazarene Polity
http://www.nazarenep[...]
nazarenepastor.org
2014-06-23
[44]
웹사이트
Dr. Nina G. Gunter – Church of the Nazarene
http://www.nazarene.[...]
[45]
웹사이트
Dr. Carla D. Sunberg – Church of the Nazarene
http://www.nazarene.[...]
[46]
웹사이트
http://www.nazarene.[...]
[47]
웹사이트
Church of the Nazarene
http://www.ncnnews.c[...]
2014-01-05
[48]
웹사이트
http://www.nazarene.[...]
[49]
웹사이트
Search – engagemagazine.com
http://engagemagazin[...]
[50]
웹사이트
http://www.eurasiare[...]
[51]
웹사이트
Church of the Nazarene Growth, 2004–2014
http://nazarene.org/[...]
Nazarene.org
2015-07-30
[52]
웹사이트
General secretary releases 2013 stats – Nazarene Communications Network
http://www.nph.com/n[...]
2014-12-15
[53]
웹사이트
Top 100 Churches in 2014 Worship Attendance
http://www.nazarene.[...]
Nazarene.org
2015-07-30
[54]
웹사이트
Church of the Nazarene Africa Region
http://www.africanaz[...]
[55]
웹사이트
Asia-Pacific Region Church of the Nazarene
http://www.asiapacif[...]
[56]
웹사이트
Home – Eurasia Region Church of the Nazarene
http://www.eurasiare[...]
[57]
웹사이트
Fields – Mesoamerica Region
http://mesoamericare[...]
[58]
웹사이트
Iglesia del Nazareno (Región SAM)
http://en.samnaz.org[...]
2014-12-15
[59]
웹사이트
USA / Canada Region
http://usacanadaregi[...]
[60]
웹사이트
Mission Structure Revision
http://globalmission[...]
globalmission.nazarene.org
2014-06-23
[61]
웹사이트
Nazarene Communications Network
http://www.ncnnews.c[...]
ncnnews.com
2008-02-08
[62]
웹사이트
Church of the Nazarene
http://www.ncnnews.c[...]
ncnnews.com
2014-01-12
[63]
웹사이트
Church of the Nazarene
http://www.ncnnews.c[...]
2009-12-18
[64]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nazarene.[...]
2016-12-11
[65]
웹사이트
Stan A. Toler, "Report of the Board of General Superintendents to the 90th Session of the General Board, Church of the Nazarene", Lenexa, Kansas, 24 February 2013
http://nazarene.org/[...]
2014-06-23
[66]
뉴스
General secretary releases 2016 stats
http://www.nazarene.[...]
2016-12-08
[67]
문서
Finke and Starke
[68]
웹사이트
Holiness leaders form Global Wesleyan Alliance – Nazarene Communications Network
http://www.nph.com/n[...]
2011-12-17
[69]
서적
The Encyclopedia of Christianity
Wm. B. Eerdmans Publishing
2003
[70]
웹사이트
http://www.wdcmedia.[...]
[71]
웹사이트
http://holinessandun[...]
2009-08-31
[72]
웹사이트
Holiness Without the Legalism
http://www.christian[...]
2006-03-27
[73]
웹사이트
1 About the GMC
https://web.archive.[...]
nazarene.org
2014-06-23
[74]
간행물
The 2013–2017 Manual of the Church of the Nazarene
[75]
웹사이트
http://www.nazarene.[...]
2011-09-29
[76]
웹사이트
2010 International Board of Education report – Nazarene Communications Network
https://web.archive.[...]
2011-03-13
[77]
웹사이트
http://www.nazarene.[...]
2011-09-29
[78]
서적
Guidelines and Handbook for Educational Institutions of the Church of the Nazarene
https://web.archive.[...]
Church of the Nazarene International Board of Education
2009-05-24
[79]
웹사이트
Preparing for Closure FAQs
https://enc.edu/clos[...]
2024-07-30
[80]
뉴스
International Board of Education releases global statistics
http://www.nazarene.[...]
NCN News
2016-12-15
[81]
웹사이트
http://www.kornu.ac.[...]
2008-12-26
[82]
웹사이트
Church of the Nazarene
https://web.archive.[...]
2009-10-30
[83]
웹사이트
NTS hosts Nazarene Global Consortium of Graduate Schools of Theology – Nazarene Communications Network
https://web.archive.[...]
2012-08-26
[84]
웹사이트
2010 Nazarene Youth International report – Nazarene Communications Network
https://web.archive.[...]
2011-03-13
[85]
웹사이트
2010 Sunday School and Discipleship Ministries International report – Nazarene Communications Network
https://web.archive.[...]
2011-12-27
[86]
간행물
Highlights of the 87th Session of the General Board
2010-05/06
[87]
웹사이트
2008 Nazarene Missions International Report – Nazarene Communications Network
https://web.archive.[...]
2009-03-17
[88]
웹사이트
NMI: Nazarene Missions International information
http://home.snu.edu/[...]
Home.snu.edu
2014-04-21
[89]
웹사이트
http://www.nazarene.[...]
2007-02-12
[90]
웹사이트
2010 Nazarene Missions International report – Nazarene Communications Network
https://web.archive.[...]
2011-03-13
[91]
간행물
Manual 2013–2017
[92]
웹사이트
Church of the Nazarene
https://archive.toda[...]
[93]
웹사이트
Prayer Mobilization Line
https://web.archive.[...]
2012-04-17
[94]
웹사이트
Missions, Holiness, and Education: An Interview with Carla Sunberg
https://web.archive.[...]
2015-03-02
[95]
웹사이트
Nazarene Missions International
https://web.archive.[...]
2014-12-15
[96]
웹사이트
2010 Global Mission report – Nazarene Communications Network
https://web.archive.[...]
2011-03-13
[97]
웹사이트
Board of General Superintendents Report: 'Called To Be Witnesses' – Nazarene Communications Network
https://web.archive.[...]
2012-03-03
[98]
웹사이트
Stan A. Toler, "The Radical Optimism of Grace", Report of the Board of General Superintendents to the 90th Session of the General Board, Church of the Nazarene, Lenexa, Kansas, 24 February 2013
https://web.archive.[...]
2014-06-23
[99]
웹사이트
Church of the Nazarene
https://web.archive.[...]
ncnnews.com
2011-03-05
[100]
웹사이트
Progress : JESUS Film Harvest Partners Official Website
https://web.archive.[...]
[101]
웹사이트
https://www.ncnnews.[...]
2014-12-16
[102]
웹사이트
Nazarene Compassionate Ministries
http://www.ncm.org/
ncm.org
2014-06-23
[103]
잡지
Child Development and Sponsorship Report
2009-04
[104]
웹사이트
Retrieved 18 March 2009.
https://web.archive.[...]
2014-06-23
[105]
웹사이트
Retrieved 18 March 2009
https://web.archive.[...]
oracle.com
2014-06-23
[106]
웹사이트
http://m7conference.[...]
[107]
문서
http://www.snu.edu/c[...]
[108]
웹사이트
http://dentonnazaren[...]
[109]
웹사이트
HoMY 67: Wonderful Grace of Jesus
http://subversiveinf[...]
[110]
웹사이트
A Hymn of Grace: Wonderful Grace of Jesus
http://faithalone.or[...]
1997-03
[111]
서적
Holiness Churches
Indiana University Press
1994
[112]
뉴스
BBC News – AFRICA – Cape Town mayor resigns over porn
http://news.bbc.co.u[...]
2000-09-13
[113]
웹사이트
Beacon Hill Press of Kansas City
http://isbndb.com/d/[...]
isbndb.com
2014-06-23
[114]
서적
Religion and Public Life in the Southern Crossroads: Showdown States
Rowman Altamira
2004
[115]
웹사이트
http://www.usaid.gov[...]
[116]
웹사이트
The Crystal Lewis Blog
http://crystallewis.[...]
2023-04-02
[117]
웹사이트
Out of the Salt Shaker
http://www.christian[...]
1998-11-16
[118]
간행물
Esther Sanger Called Nazarene Mother Teresa: Throwaway People Find Soul Friend Near Boston
http://digitalcommon[...]
Olivet Nazarene University
1990-06
[119]
웹사이트
http://www.trinitych[...]
[120]
웹사이트
http://www.wall.org/[...]
[121]
웹사이트
Denomination and style at averyfineline
http://averyfineline[...]
averyfineline.com
2014-06-23
[122]
웹사이트
The Religion of Tom Hanks
http://www.ldsfilm.c[...]
[123]
서적
God and Caesar in America: An Essay on Religion and Politics
Fulcrum Publishing
2005
[124]
잡지
Music News
https://www.rollings[...]
[125]
웹사이트
Q&A With 'The Carnival II (Memoirs of an Immigrant)' Artist Wyclef Jean
http://nymag.com/art[...]
2007-11-21
[126]
웹사이트
http://www.rtkendall[...]
[127]
웹사이트
The Kinkade Crusade
http://www.christian[...]
2000-12-04
[128]
서적
Down Melody Lane: An Autobiography
Beacon Hill Press
1953
[129]
웹사이트
"Mellencamp Muses About Mortality, 'Love' (2009-07-03)"
http://www.publicbro[...]
2009-08-05
[130]
잡지
Ron Raines, Musical Maverick
https://books.google[...]
Godspeed Musicals
1991
[131]
잡지
Debbie Reynolds: "Now, I'm a Happy Cynic"
https://books.google[...]
David A. Smart
1960-07
[132]
서적
Bob Pierce: This One Thing I Do
Word Books
1983
[133]
잡지
Canada: Evangelist to Editor
http://www.time.com/[...]
1960-10-03
[134]
문서
Watchword
[135]
서적
少年H
Kodansha
1997
[136]
간행물
The legacy of Dorothy Davis Cook
https://www.bu.edu/m[...]
2004-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