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남양국경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양국경선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북도 온성군 남양노동자구의 남양역과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 옌볜 조선족 자치주 투먼 시의 투먼역을 연결하는 국제 철도 노선이다. 일제강점기 만주 지역으로 가는 최단 노선을 건설하기 위해 건설되었으며, 두만강을 경계로 조중 국경을 통과한다. 이 노선은 주로 자철광, 활석, 강철 등 북한의 수출품과 코크스 등 수입품의 운송에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3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전라선
    전라선은 익산역에서 여수엑스포역까지 연결되는 간선 철도 노선으로, 1914년 개통되어 국유화와 개량을 거쳐 현재 전철화되었으며, KTX가 운행되고, 노선 번호는 309번이며 총 길이는 180.4km이다.
  • 1933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게이오 이노카시라선
    게이오 이노카시라선은 게이오 전철의 노선으로 도쿄도 시부야역과 무사시노시 기치조지역을 연결하며 17개 역으로 구성, 급행 및 각역정차 열차가 운행된다.
남양국경선
노선 개요
노선 이름남양국경선
다른 이름(정보 없음)
원래 이름 (한국어)남양국경선(南陽國境線)
원래 이름 (언어)ko
노선 종류중량 철도
여객 및 화물 철도
지역 철도
노선 상태운영 중
위치함경북도
기점남양
종점국경
역 수2
개통일1933년 8월 1일
폐쇄일(정보 없음)
소유주남만주 철도 (1933–1945)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1945년 이후)
운영자(정보 없음)
노선 성격(정보 없음)
차량기지(정보 없음)
사용 차량(정보 없음)
노선 길이 (km)0.8
선로 길이(정보 없음)
선로 수단선
최소 곡선 반지름(정보 없음)
노선 번호(정보 없음)
노선 색상(정보 없음)
전철화 방식3000 V DC 가공선
최고 속도(정보 없음)
해발 고도(정보 없음)
최대 경사(정보 없음)
웹사이트(정보 없음)
노선 지도
두만강 위의 철도 교량
두만강 위의 철도 교량
노선도

2. 연혁

1929년 4월 1일 조선총독부 철도가 도문철도를 국유화하면서 회령역에서 관갈리역(현재의 관갈리)까지의 노선을 인수하여 "서도문선"이라 칭했다.[2] 이후 일본에서 만주로 가는 최단 노선 건설을 위해 1929년 웅기역(현재의 선봉)에서 관갈리 방향으로 "동도문선" 건설을 시작했다.[3] 1940년에는 청진-삼봉 노선 관리가 조선총독부 철도로 이관되어 함경선의 일부가 되었고, 남만주철도는 북선 동선 관리를 계속하며 소유권을 획득했다.[5]

2. 1. 일제강점기

1933년 8월 1일: 현재 구간은 상삼봉역(삼봉역)~남양역 구간과 함께 조선총독부 철도 소속 '도문선'(圖們線)으로 개통되었다.[9]

1933년 10월 1일: 도문선의 운영, 유지보수 등의 업무가 남만주철도주식회사에 위탁되었다.[10]

1934년 11월 1일: 북선동부선의 일부가 되었다.[11]

1945년 4월 1일: 남만주철도주식회사로 소속이 전환되었다.[12]

조선총독부 철도1929년 4월 1일 사유 철도인 도문철도를 국유화하여, 회령역에서 관갈리역(현재의 관갈리)까지의 노선을 인수하고 "서도문선"이라고 불렀다.[2] 일본에서 만주로 가는 가장 짧은 노선을 만들기 위해 1929년 웅기역(현재의 선봉)에서 관갈리 방향으로 "동도문선" 건설을 시작하여, 1932년 12월 1일 남양에 도달했고, 1933년 8월 1일 남양과 관갈리 사이를 연결하여 회령에서 웅기까지의 도문선을 완공했다. 당시 관갈리역은 통관역으로 개칭되었다.[3]

남양-통관 구간 개통과 동시에 남양에는 두만강을 건너는 다리가 건설되었고, 만주국 도문까지의 노선도 건설되었다.[3] 이를 통해 만주국 수도인 신징(현재의 창춘)에서 도문까지의 만주국 국철 징투선과 연결되었다. 이로써 일본에서 하얼빈까지 청진과 웅기의 한국 항구를 경유하여 신징을 통과하는 최단 거리가 확보되었다.

1933년 10월 1일 청진에서 웅기까지의 전체 노선 관리는 남만주철도(만철)로 이관되었고, 1934년 11월 1일 도문선의 웅기-남양 구간과 남양-도문선이 합쳐져 만철의 북선 동선 (웅기-남양-도문)이 되었고, 남양-삼봉 구간은 북선 서선이 되었다.[4] 1936년 신징과 나진역 사이를 운행하는 특급 열차 "아사히"가 개통되어 나진에서 일본으로 가는 페리와 연결되었다.[4]

1940년 청진-삼봉 노선 관리는 다시 센테츠로 이관되어 함경선의 일부가 되었고, 만철은 북선 동선 관리를 계속하며 소유권을 획득했다.[5]

2. 2. 해방 이후

제공된 원본 소스는 '해방 이후'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 대한 내용을 작성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원본 소스는 1945년 4월 1일까지의 사건만 기술하고 있으며, 이는 '해방 이전'에 해당합니다.

3. 노선 정보

이 노선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중화인민공화국 간의 수출입 교통에 사용되며, 중국으로 운송되는 주요 수출품은 자철광, 활석, 강철이며, 주요 수입품은 코크스이다.[6] 이러한 열차는 종종 중국 또는 북한의 DF5형 기관차가 견인한다.[7][8]

거리 (km)역명
총 거리구간 거리한자 표기한국어 표기
0.00.0南陽남양
0.80.8國境국경
1.20.4豆滿江두만강 철교
3.33.3图们투먼


  • 노선 거리: 남양 ~ 투먼 간 3.3km
  • 역 수: 2 (양쪽 종착역 포함)
  • 궤간: 1435mm (표준궤)
  • 전철화 구간: 전 구간 (직류 3000V)
  • 복선 구간: 없음

4. 역 목록

역명로마자 역명한자 역명역간 거리 (km)남양 기점 (km)투먼 기점 (km)접속 노선소재지
남양Namyang南陽0.00.03.3함북선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북도 온성군 남양노동자구
국경[13]Kukkyŏng國境0.80.82.5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북도 온성군 남양노동자구
두만강 (조중 국경)
투먼[14]Túmén圖們2.13.30.0창투 철로·투자 철로·투훈 철로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 옌볜 조선족 자치주 투먼 시



함경북도 온성군 남양노동자구 남양역에서 함북선이 연결되며, 국경역에서 두만강을 건너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 옌볜 조선족 자치주 투먼 시의 투먼역으로 연결된다.[13][14]

4. 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북도 온성군 남양노동자구에 위치한 남양역에서 함북선이 연결된다.[13] 국경역에서 두만강을 건너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 옌볜 조선족 자치주 투먼 시의 투먼역으로 연결된다.[14]

역명로마자 역명한자 역명접속 노선남양—투먼 구간 거리 (km)
남양Namyang南陽함북선0.0
국경[13]Kukkyŏng國境0.8
두만강 (조중 국경)
투먼[14]Túmén圖們창투 철로·투자 철로·투훈 철로3.3


4. 2. 중화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중화인민공화국의 국경은 두만강을 사이에 두고 있으며, 함경북도 온성군 남양노동자구의 남양역에서 두만강을 건너면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 옌볜 조선족 자치주 투먼 시의 투먼에 이르게 된다.[14]

역명한자 역명접속 노선
투먼圖們창투 철로, 투자 철로, 투훈 철로



남양에서 투먼까지의 거리는 3.3km이다.[13]

조선글 (한자)총 거리 (km)연결 노선
투먼 (圖們)3.3중국철도 창투 철로, 투자 철로, 투훈 철로


4. 3. 조중 국경



두만강을 경계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중화인민공화국이 국경을 맞대고 있다. 함경북도 온성군 남양노동자구의 남양역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 옌볜 조선족 자치주 투먼 시의 투먼역이 두만강 철교를 통해 연결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거리 (km)중화인민공화국
남양역0.0투먼역[14]
국경[13]0.8
두만강 (조중 국경)


5. 운행 계통

이 노선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중화인민공화국 간의 수출입 교통에 사용되며, 중국으로 운송되는 주요 수출품은 자철광, 활석, 강철이며, 주요 수입품은 코크스이다.[6] 이러한 열차는 종종 중국 또는 북한의 DF5형 기관차가 견인한다.[7][8]

참조

[1] 서적 将軍様の鉄道 Shōgun-sama no Tetsudō
[2] 간행물 The Public Journal of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朝鮮総督府官報 1929-03-28
[3] 간행물 The Public Journal of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朝鮮総督府官報 1933-07-26
[4] 웹사이트 南満州鉄道株式会社全路線 https://web.archive.[...] 2017-02-21
[5] 간행물 The Public Journal of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朝鮮総督府官報 1945-04-21
[6] 웹사이트 Hambuk Line http://terms.naver.c[...] The traffic and geography in North Korea
[7] Flickr International train from Namyang to Tumen https://www.flickr.c[...]
[8] Flickr International train from Tumen to Namyang https://www.flickr.c[...]
[9]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1963호 1933-07-26
[10] 간행물 조선총독부고시 제465호,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호외 1933-10-01
[11] 웹사이트 南満州鉄道株式会社全路線 http://homepage1.nif[...]
[12]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5461호 1945-04-21
[13] 문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중화인민공화국 간의 국경 신호장 역할을 한다.
[14] 문서 남양국경선의 역은 아니며, 이 노선과 직결되는 창투 철로의 역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