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남조 (왕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조는 738년 당나라의 지원을 받아 윈난 지역에 건국된 왕국으로, 902년 정매사에 의해 멸망했다. 653년 대몽국으로 당나라에 조공을 바치며 세력을 확장했고, 737년 육조를 통일하여 남조를 건국했다. 이후 티베트와 동맹을 맺고 당나라와 대립하며 세력을 키웠다. 859년에는 황제를 칭하며 대례국으로 국호를 변경하고, 베트남을 공격하기도 했다. 902년 정매사가 왕위를 찬탈하여 대장화로 국호를 변경하며 멸망했고, 이후 대천흥, 대의녕을 거쳐 937년 단사평에 의해 대리국이 건국되었다. 남조는 흑묘와 백묘로 사회가 구성되었으며, 본주교, 비모교, 아찰리교 등 다양한 종교가 공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윈난성의 역사 - 차마고도
    차마고도는 약 1000년 전부터 중국 윈난성에서 티베트를 거쳐 중국 중부로 이어진 무역로로, 차와 티베트 말을 교역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중국 차 문화 확산에 기여했고 현재 일부 유적이 보존되고 있다.
  • 윈난성의 역사 - 남월
    남월은 기원전 203년부터 기원전 111년까지 중국 남부와 베트남 북부에 존재했던 조타가 건국한 고대 국가로, 한나라와 외교 관계를 맺었으나 한무제의 공격으로 멸망하고 한족과 월족 문화가 융합된 독특한 문화를 형성했다.
  • 중국의 옛 나라 - 청나라
    청나라는 만주족이 세운 중국 최후의 통일 왕조로, 후금에서 국호를 변경하여 시작되었고 명나라를 멸망시킨 후 중국 대륙을 통일하여 강희제, 옹정제, 건륭제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서구 열강의 침략과 내부 반란, 근대화 개혁 실패 후 신해혁명으로 멸망, 중국 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를 확보하고 다민족 국가로서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켰다.
  • 중국의 옛 나라 - 한나라
    한나라는 유방이 기원전 206년에 건국하여 220년에 멸망할 때까지 400년 이상 지속되었으며 전한과 후한으로 나뉘어 문화, 경제, 유교, 실크로드, 과학기술 등 중국 역사와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왕조이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남조 (왕국)
기본 정보
공식 명칭남조
원어 명칭중국어: 南詔 (난자오)
량수어: ꂷꏂꌅ (마신지)
기타 명칭남조 (南詔)
대례 (大禮)
로마자 표기Nanchao
태국어 표기น่านเจ้า (난차오)
라오어 표기ໜານເຈົ້າ, ນ່ານເຈົ້າ, ນ່ານເຈົ່າ, ໜອງແສ (/nǎːn.tɕâw, nāːn.tɕâw, nāːn.tɕāw, nɔ̌ːŋ.sɛ̌ː/)
베트남어 표기Nam Chiếu
Đại Lễ
샨어 표기လၢၼ်ႉၸဝ်ႈ (란 차오)
티베트어 표기འཇང་ཡུལ (장 율)
지도 정보
800년경 아시아의 정치적 상황, 남조 위치 표시
800년경 남조와 주변 국가
879년 남조의 영토
879년 남조의 영토
수도타이허 (779년 이전)
양주미 (779년 이후)
(현재의 대리시)
사용 언어
공용어량수어
바이어
중국어
종교
주요 종교불교
역사
성립738년
멸망902년
이전 국가촨만
이후 국가대장하
계승 국가대리국
현재 국가
현재 영토중국
라오스
미얀마
베트남

2. 역사

세누뤄(재위 649-674) - 남조 중흥화권(899년)


뤄성옌(재위 674-712) - 남조 중흥화권(899년)


618년 티베트고원에서 토번이 건국되자 티베트고원 동남부에 살던 이족바이족윈난성으로 이주하였다.

윈난성은 예로부터 중국과 인도를 잇는 남서 실크로드가 지나는 중요한 교통로였다. 윈난 지역은 중국 왕조의 세력이 때때로 장악하기도 했지만, 완전히 지배하지는 못했다. 8세기 중반, 토번의 세력이 이 지역으로 남하해 오면서 교역로 확보를 둘러싸고 당과 토번의 갈등이 발생했다.

윈난성으로 이주한 후 30여년 후인 648년 작은 소국을 건국하였고 5년후인 653년 당(唐)의 정관(貞觀) 연간에는 남조가 대몽국(大蒙國)이라 칭하여, 당나라에 조공(朝貢)하였다. 그 후 대몽(大蒙)은 당나라의 지원으로 세력을 크게 확장하였다.

당시 윈난의 얼하이(洱海, 현재의 윈난성 대리 백족 자치주) 지역에는 육조(六詔)라고 불리는 정치 세력이 있었다. 조(詔, 차오)는 왕을 의미하며, 육조의 최남단에 위치한 몽사조는 초대 세누뤄/細奴邏중국어가 7세기 중반에 당에 조공한 기록이 있다.

618년 티베트고원에서 토번이 건국되자 티베트고원 동남부에 살던 이족바이족이 윈난성으로 이주하였다.[40]

윈난성으로 이주한 후 30여년 후인 648년 작은 소국을 건국하였고 5년후인 653년 당(唐)의 정관(貞觀) 연간에는 남조가 대몽국(大蒙國)이라 칭하여, 당나라에 조공(朝貢)하였다.[40] 649년, 맹사(孟舍) 부족의 수장 신눌랍(細奴邏, Senola)은 가두팡(嘉度滂)의 아들이자 설룡(涉龍)의 손자로서 대몽(大蒙)을 건국하고 기가왕(奇嘉王, "뛰어난 왕")이라는 칭호를 사용하였다. 그는 당(唐)의 종주권을 인정하였다.[9] 652년, 신눌랍은 洱海(이해)와 蒼山(창산)을 다스리던 백묘와(白蠻)의 장낙진추(張樂進秋)의 영역을 병합하였다. 장낙진추가 자발적으로 신눌랍에게 자리를 내주었기에 이 과정은 평화롭게 이루어졌다. 이 합의는 대리에 있는 철주(鐵柱) 아래서 성립되었다. 그 후 흑묘와(黑蠻)와 백묘와는 각각 무사와 신하로서 역할을 하였다.[10][1] 655년, 신눌랍은 그의 장남을 장안으로 보내 당나라의 보호를 요청하였다. 당 황제는 신눌랍을 위주(威州) 태수로 임명하고 수놓은 관복을 하사하였으며, 672년에는 반란을 일으킨 부족들을 토벌할 군대를 파병하여 신눌랍의 지위를 더욱 공고히 하였다.[9] 신눌랍은 그의 아들 낙성연(羅盛焉)에게 뒤를 이었고, 낙성연은 장안으로 가 당에 조공을 바쳤다. 704년, 티베트 제국은 백묘와 부족들을 속국으로 삼고 흑묘와를 정복하였다.[9] 713년, 낙성연은 그의 아들 성로피(盛邏皮)에게 자리를 물려주었고, 성로피 또한 당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였다. 그는 733년 그의 아들 필로격(皮羅閣)에게 왕위를 계승하였다.[9]

필로격은 730년대 초부터 영토 확장을 시작하였다. 그는 먼저 이웃 묘(趙)인 맹수(孟邃)를 병합하였는데, 맹수의 지배자 조원(趙元)은 눈이 멀어 있었다. 필로격은 조원의 아들 원로(元洛)가 즉위하는 것을 지원하여 맹수를 약화시켰다. 조원이 암살당한 후, 필로격은 원로를 맹수에서 몰아내고 그 영토를 병합하였다. 남은 조/zhaos중국어들은 필로격에 맞서 연합하였으나, 그는 당나라와의 동맹을 통해 이들을 물리쳤다. 733년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당의 관리 연정휘(閻正輝)는 필로격과 협력하여 석랑(石郎) 묘를 성공적으로 공격하였고, 맹사 지배자들에게 작위를 수여하였다.[9]

석랑 공격에는 다른 두 조/zhaos중국어인 밀루오피(彌勒皮)가 다스리는 등단(鄧谠)과 두루오왕(杜羅王)이 다스리는 랑총(浪穹)도 참여하였다. 필로격은 건난(劍南, 현대 쓰촨성)의 군사령관 왕유(王羽)에게 뇌물을 주어 당 조정이 육조(六趙)를 통일하는 것을 지원하도록 설득함으로써 이러한 경쟁자들을 제거하려 하였다. 필로격은 그 후 등단을 기습 공격하여 밀루오피와 석랑 지배자 석왕천(石旺千)의 군대를 물리쳤다. 월서(越巂) 묘는 그 지배자 보충(保沖)이 그의 아내의 애인 장순추(張徇秋)에 의해 살해되면서 병합되었다. 장순추는 당 조정에 소환되어 처형되었다. 월서의 영토는 필로격에게 주어졌다. 보충의 아들 우증(虞增)은 도망쳐 남조의 확장에 저항하였으나, 필로격의 아들 갈로봉에게 패하여 양자강에서 익사하였다. 필로격의 서자손은 그의 계부인 갈로봉의 두각을 시샘하여 티베트 제국과 동맹을 맺어 자신의 묘를 세우려 하였다. 그의 계획이 발각되어 그는 살해되었다.[9]

737년, 피라각(皮羅閣)은 연이어 육조를 통일하고 남조(南詔)라는 새로운 왕국을 건설하였다. 738년, 당은 필로격에게 중국식 이름인 맹귀의(蒙歸義, "의로 돌아옴")[9]와 "운남왕(雲南王)" 칭호를 하사하였다.[9] 필로격은 739년에 태화(太和)(현대 대리 남쪽 수킬로미터 지점에 위치한 태화촌)에 새로운 수도를 건설하였다. 이 지역은 이호(洱海) 계곡 한가운데 위치하여 방어가 용이하고 비옥한 농토가 많아 이상적인 장소였다.[9] 필로격의 통치하에 백묘와는 운남 동부에서 서부로 이주하였다. 흑묘와와 백묘와는 신하와 무사의 계급 제도를 더욱 공고히 하기 위해 분리되었다.[1]

4대째 지도자인 피라각(皮羅閣, Mông Bì La Các)이 당나라의 지원을 받아 육조(六詔)를 통일하였다. 738년에 당나라는 피라각을 운남왕(雲南王)으로 책봉(冊封)하였는데, 이 해를 남조(南詔) 건국으로 볼 수 있다.[40]

몽사조(蒙舎詔)는 육조의 남쪽에 있었기에 남조라 불리게 되었다. 피라각은 더 나아가 전치(滇池) 지역(현재의 운남성 곤명시(昆明市))까지 세력을 확장하며 운남 전체 통일에 나섰다. 남조의 예상을 뛰어넘는 세력 확장으로 인해, 남서 교역로를 남조가 장악하게 된 당나라는 달가워하지 않았고, 남조는 당나라와 점차 대립하게 되었다.[40]

754년, 남조는 티베트 제국(토번)과 동맹을 맺었다. 이 동맹은 794년까지 지속되었다. 같은 해, 남조는 연원현(鹽源縣)의 염전을 장악하여 백성들에게 소금을 분배하는 것을 통제하였고, 이러한 관행은 대리국 시대에도 계속되었다. 격라봉은 티베트의 칭호를 받아들여 티베트 제국의 일원으로 활동하였다. 752년에 각라봉(閣羅鳳)은 티베트 제국의 책봉을 받아 형제의 나라로서 동제(東帝)의 호칭을 받았다.

754년 당나라의 검남류후(劍南留後)가 남조를 공격해왔지만, 티베트와 남조의 연합군에게 패하여 전군이 궤멸하였다. 이때 당나라 군대의 전사자를 매장한 무덤이 천보전사총(天寶戦士塚)으로서, 지금도 대리시에 남아 있다. 이후, 당나라에서는 안사의 난이 일어났기 때문에, 티베트와 남조는 사천 남부를 공략했다.

793년 당나라토번의 세력을 억누르기 위해 남조를 토번으로부터 분리시키려는 공작을 진행했고, 당시 남조 왕 이모심(異牟尋)은 귀당(歸唐)의 뜻을 전했다. 이듬해인 794년, 당나라 사신이 남조의 수도에 도착하여, 이리호(洱海) 가에 있는 창산(蒼山)에서 회맹(會盟) 의식이 거행되었다. 이모심은 티베트 제국(吐蕃帝國)의 고압적인 태도에 불만을 품고 당에 귀순하였다. 당시 토번은 북방의 위구르와 전쟁 중이었기에, 이무흠은 토번의 신천도독부(神川都督府)(현재 윈난성(雲南省) 리장시(麗江市))를 공격하여 점령했다. 이로써 남조와 당나라의 관계는 강화되었고, 남조는 성도(成都)에 자제들을 유학 보내게 되었다. 801년, 남조와 당(唐)은 돌루 전투(Dulu)에서 티베트와 아바스 왕조의 노예 병사들로 구성된 부대를 격파하였다. 1만 명 이상의 티베트/아랍 병사들이 사망하고 약 6천 명이 포로로 잡혔다. 남조는 티베트의 7개 도시와 5개의 군사 주둔지를 점령하였고, 100개 이상의 요새가 파괴되었다.

794년 당나라와 동맹을 맺은 후, 801년 돌루 전투에서 토번과 아바스 왕조의 연합군을 격파하여 1만 명 이상을 죽이고 6천 명을 포로로 잡는 대승을 거두었다. 이 승리로 남조는 토번의 7개 도시와 5개 군사 주둔지를 점령하고 100개 이상의 요새를 파괴하여 당나라와 남조에게 유리하게 권력의 균형을 바꾸었다.

809년부터 816년까지 남조를 통치한 권룡성(勸龍晟)은 제멋대로 행동하다 권력 있는 주지사 왕측전(王側전)에게 살해되었다. 왕측전은 괴뢰 통치자 권리성(勸利晟)을 세웠으나, 3년 후 권리성은 권력을 되찾았다. 하지만 장군들의 도움을 받은 권풍유(勸豐祐)에 의해 다시 폐위되었다. 권풍유와 왕측전은 남조의 영토 확장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829년, 왕측전은 청두를 공격했지만 이듬해 철수했다. 남조는 미얀마로 세력을 확장하여, 820년대에 퓨국을 정복하고 832년에는 할린을 파괴했다. 835년에는 다시 할린으로 돌아와 많은 포로를 잡아갔다.

9세기 이후, 당나라토번의 국력이 쇠퇴하자 남조는 독자적인 세력 확장을 추진했다. 859년, 남조왕 세룡(世隆)은 황제를 자칭하고 국호를 '''대례국(大禮國)'''이라 칭했다. 이듬해 남조군은 중국령 베트남을 공격하여 교주(하노이)의 안남도호부를 함락시켰다.

875년, 고변(高骈)은 당(唐)으로부터 남조(南詔)에 대한 방어를 지휘하라는 임명을 받고, 성도(成都)의 난민들에게 귀향을 명령했다. 고변은 5,000명의 병력을 이끌고 남조 군대를 대도하(大渡河)까지 추격하여 격퇴하고, 갑옷을 입힌 군마를 노획하고, 50명의 부족 지도자들을 처형했다. 조정에 6만 명의 군대로 남조를 침략할 것을 제안했지만 거절되었다. 877년, 산서(山西) 출신 양씨(楊氏) 가문이 조직한 지역 군대에 의해 남조 군대는 보주(播州, 현 구이저우(貴州)) 지역에서 몰려났다. 이로써 남조의 확장주의적 원정은 사실상 종식되었다. 실롱(實籠)은 877년에 죽었다.

순화정(재위 897-902) - 남조 중흥화권(899)


실롱의 뒤를 이은 롱순은 880년 당나라와 혼인 동맹을 위한 협상을 시작했고, 이는 합의되었다. 그러나 이 혼인 동맹은 황초의 반란으로 인해 결실을 맺지 못했다. 880년 말 반란군은 낙양을 점령하고 통관을 장악했다. 그러나 롱순은 혼인을 포기하지 않았다. 883년 그는 안화 공주를 맞이하기 위해 사절을 성도로 보냈으나, 남조 사절단은 의례상의 분쟁으로 2년 동안 억류되었고 공주를 데려오지 못했다. 897년 롱순(隆舜)은 자신의 신하 중 한 명에게 살해당했다. 그의 뒤를 이은 순화정은 당나라에 우호 관계 회복을 요청하는 사절을 보냈지만, 이때 당 황제는 더 강력한 군벌들의 꼭두각시에 불과했다.

902년, 재상(부협, ''buxie'') 정마이시가 왕족을 살해하고 왕위를 찬탈하여 대장화(大長和, 902–928)로 개칭하면서 남조는 멸망했다. 정매사(鄭買嗣)는 순화정의 아들을 살해하고 궁정 쿠데타를 일으켜 남조 몽씨(蒙氏) 왕실 800명을 살해했다. 이로써 10대 164년 동안 지속된 남조는 멸망했다. 928년, 백묘족 귀족 양간진(견천절도사)은 재상 조산정을 도와 정씨 가문을 타도하고 대천흥(大天興, 928–929)을 세웠다. 새로운 정권은 1년 만에 조산정이 양간진에게 살해당하면서 막을 내렸고, 양간진은 대의녕(大義寧, 929–937)을 세웠다. 마침내 단사평이 937년 권력을 장악하고 대리국을 건국했다.

902년 한인 정매사(鄭買嗣)가 왕위를 찬탈(簒奪)하여 남조를 멸망시키고 대장화를 세웠다. 정매사는 스스로 황제에 즉위하여 새로운 왕조인 '''대장화(大長和)'''(902년-928년)를 열었다. 그러나 정매사의 대장화도 928년에 멸망하였다. 이후 '''대천흥(大天興)'''(흥원국)(928년-929년), '''대의녕(大義寧)'''(929년-937년)의 단명 정권이 이어졌고, 938년, 단사평(段思平)에 의해 대리국(大理国)이 건립되었다.

2. 1. 건국 이전



618년 티베트고원에서 토번이 건국되자 티베트고원 동남부에 살던 이족바이족윈난성으로 이주하였다.

윈난성은 예로부터 중국과 인도를 잇는 남서 실크로드가 지나는 중요한 교통로였다. 윈난 지역은 중국 왕조의 세력이 때때로 장악하기도 했지만, 완전히 지배하지는 못했다. 8세기 중반, 토번의 세력이 이 지역으로 남하해 오면서 교역로 확보를 둘러싸고 당과 토번의 갈등이 발생했다.

윈난성으로 이주한 후 30여년 후인 648년 작은 소국을 건국하였고 5년후인 653년 당(唐)의 정관(貞觀) 연간에는 남조가 대몽국(大蒙國)이라 칭하여, 당나라에 조공(朝貢)하였다. 그 후 대몽(大蒙)은 당나라의 지원으로 세력을 크게 확장하였다.

당시 윈난의 얼하이(洱海, 현재의 윈난성 대리 백족 자치주) 지역에는 육조(六詔)라고 불리는 정치 세력이 있었다. 조(詔, 차오)는 왕을 의미하며, 육조의 최남단에 위치한 몽사조는 초대 세누뤄/細奴邏중국어가 7세기 중반에 당에 조공한 기록이 있다.

2. 2. 건국

618년 티베트고원에서 토번이 건국되자 티베트고원 동남부에 살던 이족바이족이 윈난성으로 이주하였다.[40]

윈난성으로 이주한 후 30여년 후인 648년 작은 소국을 건국하였고 5년후인 653년 당(唐)의 정관(貞觀) 연간에는 남조가 대몽국(大蒙國)이라 칭하여, 당나라에 조공(朝貢)하였다.[40] 649년, 맹사(孟舍) 부족의 수장 신눌랍(細奴邏, Senola)은 가두팡(嘉度滂)의 아들이자 설룡(涉龍)의 손자로서 대몽(大蒙)을 건국하고 기가왕(奇嘉王, "뛰어난 왕")이라는 칭호를 사용하였다. 그는 당(唐)의 종주권을 인정하였다.[9] 652년, 신눌랍은 洱海(이해)와 蒼山(창산)을 다스리던 백묘와(白蠻)의 장낙진추(張樂進秋)의 영역을 병합하였다. 장낙진추가 자발적으로 신눌랍에게 자리를 내주었기에 이 과정은 평화롭게 이루어졌다. 이 합의는 대리에 있는 철주(鐵柱) 아래서 성립되었다. 그 후 흑묘와(黑蠻)와 백묘와는 각각 무사와 신하로서 역할을 하였다.[10][1] 655년, 신눌랍은 그의 장남을 장안으로 보내 당나라의 보호를 요청하였다. 당 황제는 신눌랍을 위주(威州) 태수로 임명하고 수놓은 관복을 하사하였으며, 672년에는 반란을 일으킨 부족들을 토벌할 군대를 파병하여 신눌랍의 지위를 더욱 공고히 하였다.[9] 신눌랍은 그의 아들 낙성연(羅盛焉)에게 뒤를 이었고, 낙성연은 장안으로 가 당에 조공을 바쳤다. 704년, 티베트 제국은 백묘와 부족들을 속국으로 삼고 흑묘와를 정복하였다.[9] 713년, 낙성연은 그의 아들 성로피(盛邏皮)에게 자리를 물려주었고, 성로피 또한 당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였다. 그는 733년 그의 아들 필로격(皮羅閣)에게 왕위를 계승하였다.[9]

필로격은 730년대 초부터 영토 확장을 시작하였다. 그는 먼저 이웃 묘(趙)인 맹수(孟邃)를 병합하였는데, 맹수의 지배자 조원(趙元)은 눈이 멀어 있었다. 필로격은 조원의 아들 원로(元洛)가 즉위하는 것을 지원하여 맹수를 약화시켰다. 조원이 암살당한 후, 필로격은 원로를 맹수에서 몰아내고 그 영토를 병합하였다. 남은 조/zhaos중국어들은 필로격에 맞서 연합하였으나, 그는 당나라와의 동맹을 통해 이들을 물리쳤다. 733년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당의 관리 연정휘(閻正輝)는 필로격과 협력하여 석랑(石郎) 묘를 성공적으로 공격하였고, 맹사 지배자들에게 작위를 수여하였다.[9]

석랑 공격에는 다른 두 조/zhaos중국어인 밀루오피(彌勒皮)가 다스리는 등단(鄧谠)과 두루오왕(杜羅王)이 다스리는 랑총(浪穹)도 참여하였다. 필로격은 건난(劍南, 현대 쓰촨성)의 군사령관 왕유(王羽)에게 뇌물을 주어 당 조정이 육조(六趙)를 통일하는 것을 지원하도록 설득함으로써 이러한 경쟁자들을 제거하려 하였다. 필로격은 그 후 등단을 기습 공격하여 밀루오피와 석랑 지배자 석왕천(石旺千)의 군대를 물리쳤다. 월서(越巂) 묘는 그 지배자 보충(保沖)이 그의 아내의 애인 장순추(張徇秋)에 의해 살해되면서 병합되었다. 장순추는 당 조정에 소환되어 처형되었다. 월서의 영토는 필로격에게 주어졌다. 보충의 아들 우증(虞增)은 도망쳐 남조의 확장에 저항하였으나, 필로격의 아들 갈로봉에게 패하여 양자강에서 익사하였다. 필로격의 서자손은 그의 계부인 갈로봉의 두각을 시샘하여 티베트 제국과 동맹을 맺어 자신의 묘를 세우려 하였다. 그의 계획이 발각되어 그는 살해되었다.[9]

737년, 피라각(皮羅閣)은 연이어 육조를 통일하고 남조(南詔)라는 새로운 왕국을 건설하였다. 738년, 당은 필로격에게 중국식 이름인 맹귀의(蒙歸義, "의로 돌아옴")[9]와 "운남왕(雲南王)" 칭호를 하사하였다.[9] 필로격은 739년에 태화(太和)(현대 대리 남쪽 수킬로미터 지점에 위치한 태화촌)에 새로운 수도를 건설하였다. 이 지역은 이호(洱海) 계곡 한가운데 위치하여 방어가 용이하고 비옥한 농토가 많아 이상적인 장소였다.[9] 필로격의 통치하에 백묘와는 운남 동부에서 서부로 이주하였다. 흑묘와와 백묘와는 신하와 무사의 계급 제도를 더욱 공고히 하기 위해 분리되었다.[1]

4대째 지도자인 피라각(皮羅閣, Mông Bì La Các)이 당나라의 지원을 받아 육조(六詔)를 통일하였다. 738년에 당나라는 피라각을 운남왕(雲南王)으로 책봉(冊封)하였는데, 이 해를 남조(南詔) 건국으로 볼 수 있다.[40]

몽사조(蒙舎詔)는 육조의 남쪽에 있었기에 남조라 불리게 되었다. 피라각은 더 나아가 전치(滇池) 지역(현재의 운남성 곤명시(昆明市))까지 세력을 확장하며 운남 전체 통일에 나섰다. 남조의 예상을 뛰어넘는 세력 확장으로 인해, 남서 교역로를 남조가 장악하게 된 당나라는 달가워하지 않았고, 남조는 당나라와 점차 대립하게 되었다.[40]

2. 3. 티베트와의 동맹

754년, 남조는 티베트 제국(토번)과 동맹을 맺었다. 이 동맹은 794년까지 지속되었다. 같은 해, 남조는 연원현(鹽源縣)의 염전을 장악하여 백성들에게 소금을 분배하는 것을 통제하였고, 이러한 관행은 대리국 시대에도 계속되었다. 격라봉은 티베트의 칭호를 받아들여 티베트 제국의 일원으로 활동하였다. 752년에 각라봉(閣羅鳳)은 티베트 제국의 책봉을 받아 형제의 나라로서 동제(東帝)의 호칭을 받았다.

754년 당나라의 검남류후(劍南留後)가 남조를 공격해왔지만, 티베트와 남조의 연합군에게 패하여 전군이 궤멸하였다. 이때 당나라 군대의 전사자를 매장한 무덤이 천보전사총(天寶戦士塚)으로서, 지금도 대리시에 남아 있다. 이후, 당나라에서는 안사의 난이 일어났기 때문에, 티베트와 남조는 사천 남부를 공략했다.

2. 4. 당나라와의 관계 개선

793년 당나라토번의 세력을 억누르기 위해 남조를 토번으로부터 분리시키려는 공작을 진행했고, 당시 남조 왕 이모심(異牟尋)은 귀당(歸唐)의 뜻을 전했다. 이듬해인 794년, 당나라 사신이 남조의 수도에 도착하여, 이리호(洱海) 가에 있는 창산(蒼山)에서 회맹(會盟) 의식이 거행되었다. 이모심은 티베트 제국(吐蕃帝國)의 고압적인 태도에 불만을 품고 당에 귀순하였다. 당시 토번은 북방의 위구르와 전쟁 중이었기에, 이무흠은 토번의 신천도독부(神川都督府)(현재 윈난성(雲南省) 리장시(麗江市))를 공격하여 점령했다. 이로써 남조와 당나라의 관계는 강화되었고, 남조는 성도(成都)에 자제들을 유학 보내게 되었다. 801년, 남조와 당(唐)은 돌루 전투(Dulu)에서 티베트와 아바스 왕조의 노예 병사들로 구성된 부대를 격파하였다. 1만 명 이상의 티베트/아랍 병사들이 사망하고 약 6천 명이 포로로 잡혔다. 남조는 티베트의 7개 도시와 5개의 군사 주둔지를 점령하였고, 100개 이상의 요새가 파괴되었다.

2. 5. 전성기

794년 당나라와 동맹을 맺은 후, 801년 돌루 전투에서 토번과 아바스 왕조의 연합군을 격파하여 1만 명 이상을 죽이고 6천 명을 포로로 잡는 대승을 거두었다. 이 승리로 남조는 토번의 7개 도시와 5개 군사 주둔지를 점령하고 100개 이상의 요새를 파괴하여 당나라와 남조에게 유리하게 권력의 균형을 바꾸었다.

809년부터 816년까지 남조를 통치한 권룡성(勸龍晟)은 제멋대로 행동하다 권력 있는 주지사 왕측전(王側전)에게 살해되었다. 왕측전은 괴뢰 통치자 권리성(勸利晟)을 세웠으나, 3년 후 권리성은 권력을 되찾았다. 하지만 장군들의 도움을 받은 권풍유(勸豐祐)에 의해 다시 폐위되었다. 권풍유와 왕측전은 남조의 영토 확장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829년, 왕측전은 청두를 공격했지만 이듬해 철수했다. 남조는 미얀마로 세력을 확장하여, 820년대에 퓨국을 정복하고 832년에는 할린을 파괴했다. 835년에는 다시 할린으로 돌아와 많은 포로를 잡아갔다.

9세기 이후, 당나라토번의 국력이 쇠퇴하자 남조는 독자적인 세력 확장을 추진했다. 859년, 남조왕 세룡(世隆)은 황제를 자칭하고 국호를 '''대례국(大禮國)'''이라 칭했다. 이듬해 남조군은 중국령 베트남을 공격하여 교주(하노이)의 안남도호부를 함락시켰다.

2. 6. 쇠퇴와 멸망

875년, 고변(高骈)은 당(唐)으로부터 남조(南詔)에 대한 방어를 지휘하라는 임명을 받고, 성도(成都)의 난민들에게 귀향을 명령했다. 고변은 5,000명의 병력을 이끌고 남조 군대를 대도하(大渡河)까지 추격하여 격퇴하고, 갑옷을 입힌 군마를 노획하고, 50명의 부족 지도자들을 처형했다. 조정에 6만 명의 군대로 남조를 침략할 것을 제안했지만 거절되었다. 877년, 산서(山西) 출신 양씨(楊氏) 가문이 조직한 지역 군대에 의해 남조 군대는 보주(播州, 현 구이저우(貴州)) 지역에서 몰려났다. 이로써 남조의 확장주의적 원정은 사실상 종식되었다. 실롱(實籠)은 877년에 죽었다.

실롱의 뒤를 이은 롱순은 880년 당나라와 혼인 동맹을 위한 협상을 시작했고, 이는 합의되었다. 그러나 이 혼인 동맹은 황초의 반란으로 인해 결실을 맺지 못했다. 880년 말 반란군은 낙양을 점령하고 통관을 장악했다. 그러나 롱순은 혼인을 포기하지 않았다. 883년 그는 안화 공주를 맞이하기 위해 사절을 성도로 보냈으나, 남조 사절단은 의례상의 분쟁으로 2년 동안 억류되었고 공주를 데려오지 못했다. 897년 롱순(隆舜)은 자신의 신하 중 한 명에게 살해당했다. 그의 뒤를 이은 순화정은 당나라에 우호 관계 회복을 요청하는 사절을 보냈지만, 이때 당 황제는 더 강력한 군벌들의 꼭두각시에 불과했다.

902년, 재상(부협, ''buxie'') 정마이시가 왕족을 살해하고 왕위를 찬탈하여 대장화(大長和, 902–928)로 개칭하면서 남조는 멸망했다. 정매사(鄭買嗣)는 순화정의 아들을 살해하고 궁정 쿠데타를 일으켜 남조 몽씨(蒙氏) 왕실 800명을 살해했다. 이로써 10대 164년 동안 지속된 남조는 멸망했다. 928년, 백묘족 귀족 양간진(견천절도사)은 재상 조산정을 도와 정씨 가문을 타도하고 대천흥(大天興, 928–929)을 세웠다. 새로운 정권은 1년 만에 조산정이 양간진에게 살해당하면서 막을 내렸고, 양간진은 대의녕(大義寧, 929–937)을 세웠다. 마침내 단사평이 937년 권력을 장악하고 대리국을 건국했다.

2. 7. 멸망 이후

902년 한인 정매사(鄭買嗣)가 왕위를 찬탈(簒奪)하여 남조를 멸망시키고 대장화를 세웠다. 정매사는 스스로 황제에 즉위하여 새로운 왕조인 '''대장화(大長和)'''(902년-928년)를 열었다. 그러나 정매사의 대장화도 928년에 멸망하였다. 이후 '''대천흥(大天興)'''(흥원국)(928년-929년), '''대의녕(大義寧)'''(929년-937년)의 단명 정권이 이어졌고, 938년, 단사평(段思平)에 의해 대리국(大理国)이 건립되었다.

3. 역대 군주

남조의 군주들은 부친 이름의 끝 글자를 아들 이름의 첫 글자에 붙이는 부자연명(父子連名) 형식을 사용했다.

대수묘호시호재위 기간연호기타
몽사조(蒙舍詔)
제1대고조(高祖)기가왕(奇嘉王)세노라(細奴羅)653년 ~ 674년
제2대세종(世宗)흥종왕(興宗王)라성염(羅盛炎)674년 ~ 712년
제3대--염각(炎閣)712년
제4대태종(太宗)위성왕(威成王)성라피(盛羅皮)712년 ~ 728년
남조(南詔)
제5대귀의왕(歸義王)피라각(皮羅閤)728년 ~ 748년
제6대신무왕(神武王)각라봉(閣羅鳳)748년 ~ 779년찬보종(贊普鐘) 752년 ~ 768년
장수(長壽) 769년 ~ 779년
(추존)도혜왕(悼惠王)봉가이(鳳伽異)(추존)추존왕.
제7대효항왕(孝恆王)이모심(異牟尋)779년 ~ 808년견룡(見龍) 780년 ~ 783년
상원(上元) 784년 ~ 808년
제8대효혜왕(孝惠王)심합권(尋閤勸)808년 ~ 809년응도(應道) 809년
제9대유왕(幽王)권룡성(勸龍晟)809년 ~ 816년용흥(龍興) 810년 ~ 816년
제10대정왕(靖王)권리성(勸利晟)816년 ~ 823년전의(全義) 816년 ~ 819년
대풍(大豊) 820년 ~ 823년
제11대소성왕(昭成王)권풍우(勸豊祐)823년 ~ 859년보화(保和) 824년 ~ 839년
천계(天啓) 840년 ~ 859년
대예(大禮)
제12대경장황제
(景莊皇帝)
세륭(世隆)859년 ~ 877년건극(建極) 860년 ~ 877년1대 황제
대봉민(大封民)
제13대무선황제
(武宣皇帝)
융순(隆舜)877년 ~ 897년정명(貞明) 878년 ~ ?
승지(承智) ? ~ ?
대동(大同) ? ~ 888년
차야(嵯耶) 889년 ~ 897년
2대 황제
제14대효애황제
(孝哀皇帝)
순화정(舜化貞)897년 ~ 902년중흥(中興) 897년 ~ 902년3대 황제



3. 1. 몽사조(蒙舍詔)

몽사조(蒙舍詔)는 남조의 초기 왕조이다. 초대 군주 세누라(細奴羅)는 653년부터 674년까지 재위했으며, 고조(高祖) 기가왕(奇嘉王)으로 불렸다. 2대 군주 라성염(羅盛炎)은 세종(世宗) 흥종왕(興宗王)으로 불렸으며, 674년부터 712년까지 재위했다. 3대 군주 염각(炎閣)은 712년에 잠시 재위했다. 4대 군주 성라피(盛羅皮)는 태종(太宗) 위성왕(威成王)으로 불렸으며, 712년부터 728년까지 재위했다.

3. 2. 남조(南詔)

남조(南詔)는 728년 피라각(皮羅閤)이 당나라의 지원을 받아 건국하였으며, 738년에 당나라로부터 운남왕(雲南王)으로 책봉되었다. 피라각의 뒤를 이어 즉위한 각라봉(閣羅鳳)은 752년부터 768년까지 찬보종(贊普鐘), 769년부터 779년까지 장수(長壽)라는 연호를 사용했다.

각라봉 사후, 그의 손자 이모심(異牟尋)이 즉위하였고, 봉가이(鳳伽異)는 도혜왕(悼惠王)으로 추존되었다. 이모심780년부터 783년까지 견룡(見龍), 784년부터 808년까지 상원(上元)이라는 연호를 사용했다.

이모심의 뒤를 이은 심합권(尋閤勸)은 809년응도(應道)라는 연호를 사용했다. 심합권의 뒤를 이어 즉위한 권룡성(勸龍晟)은 810년부터 816년까지 용흥(龍興)이라는 연호를 사용했고, 권리성(勸利晟)은 816년부터 819년까지 전의(全義), 820년부터 823년까지 대풍(大豊)이라는 연호를 사용했다. 권풍우(勸豊祐)는 824년부터 839년까지 보화(保和), 840년부터 859년까지 천계(天啓)라는 연호를 사용하며 남조를 다스렸다.

3. 3. 대례(大禮)

세륭(世隆)은 대례(大禮)의 경장황제(景莊皇帝)로 859년부터 877년까지 재위하였다. 연호는 건극(建極)을 사용하였다.

3. 4. 대봉민(大封民)

대봉민(大封民)은 남조세륭(世隆)이 877년에 대예(大禮)를 멸망시키고 세운 국가이다. 2대 황제 융순은 878년부터 897년까지 재위하며 정명(貞明), 승지(承智), 대동(大同), 차야(嵯耶) 등의 연호를 사용하였다. 3대 황제 순화정은 897년부터 902년까지 재위하며 중흥(中興)이라는 연호를 사용하였다.

4. 문화

4. 1. 언어와 민족

남조와 달리 왕국(Dali Kingdom)에서 남아 있는 자료들은 지배 엘리트들이 한자를 사용했음을 보여준다. 1950년대에 발굴된 남조의 경전은 백어(Bai language)로 쓰여졌지만, 남조는 이 문자를 표준화하거나 대중화하려는 시도를 한 것 같지는 않다.

남조의 수도 주변의 유력 가문들은 양(Yang), 이(Li), 조(Zhao), 동(Dong)과 같은 중국식 성을 채택하고 한족(Han Chinese) 혈통을 주장했다. 그러나 지배자들은 옹창(Yongchang) 출신의 아이라오(Ailao) 후손임을 내세웠다.[18]

남조의 지배 엘리트의 민족성은 명확하지 않다. 현대 운남성의 이족과 백족 모두 남조의 지배자들로부터 후손임을 주장한다. 웨이산 이족 후이족 자치현에서는 이족이 남조의 건국자 신눌로(細奴邏)로부터 직계 후손임을 주장한다.[19]

분할 시대(311~589)의 역사뿐만 아니라 수당 시대(581~907)의 찬(爨) 왕국들도 오늘날 이족의 조상들에 의해 통치되었던 것으로 여겨지며, 현재 진행 중인 논쟁에서 적어도 한 파벌은 740년 이후 운남과 주변 지역을 지배했던 남조 왕국이 이족이 주도하는 정치체였다고 생각한다. 스티븐 해럴은 남조 지배 엘리트의 민족 정체성은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지만, 그 이후의 양(楊) 왕조와 단(段) 왕조는 모두 확실히 백족이었다고 언급했다.

산화비(山花碑)에 새겨진 방격백문(方格白文)으로 쓰인 15세기 시


가죽, 나무, 가죽으로 만든 이족(Yi people)의 갑옷, 청나라

4. 2. 종교

남조의 초기 종교는 토착 신앙인 본주교(Benzhuism)였다.[25] 본주교는 지역 수호신과 신들을 숭배하는 종교였다. 본주 신들은 특별한 상황에서 죽은 사람들의 영혼이며, 계층적으로 조직되어 있지 않다. 운남성의 고고학적 발견에 따르면, 부와 건강을 얻기 위해 금속 기둥 주변에서 청동 북을 사용하여 본주 신들에게 동물과 인신 공양을 바쳤던 것으로 보인다. 의례에 철 기둥을 사용하는 관습은 대리국까지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남조도전(Nanzhao tuzhuan)』에는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모습이 기둥 주위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다.[25] 백족은 본주교 외에 여성 무당을 가지고 있으며, 강족과 유사하게 흰 돌을 숭배했다.[26]

이족은 비모교(毕摩教)라는 민족 종교를 가졌다.[27] 비모교(毕摩教)의 현대 상징은
비모교(毕摩教)의 현대 상징
과 같다. 비모교는 '경전의 주인'을 뜻하는 ''비모''(bimo)로 알려진 무당-사제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7] 비모들은 출생, 장례, 결혼 및 명절 의식을 집전한다.[28] 이족은 중국 민간 종교와 유사하게 조상을 숭배하고 신격화했으며, 불, 언덕, 나무, 바위, 물, 땅, 하늘, 바람, 숲과 같은 자연의 신들도 숭배했다.[28]

8세기 후반부터 남조에는 밀교(密教)의 일종인 아찰리교(阿吒力敎)가 전래되어 유행했다. 남조와 대리국에서 행해진 불교는 아찰리(阿吒力)(아차리아)로 알려져 있으며, 821년에서 824년경 인도 승려인 이현매순(李賢邁順)에 의해 창시되었다. 839년에는 찬드라굽타(Candragupta)라는 아차리아가 남조에 들어왔다. 권풍유(權風祐)는 그를 국사로 임명하고 자신의 여동생 월영(月英)을 찬드라굽타에게 시집보냈다.[32]
남조 투전 두루마리 발췌 - 남조 불교도들은 피부가 밝게, 비불교도들은 반항적인 키 작고 갈색 피부의 사람들로 묘사되어 있다.
남조 왕 권풍유는 당나라(唐朝)의 중국 건축가들에게 삼탑(三塔)을 짓도록 의뢰했다.[32] 남조의 마지막 왕은 불교를 공식적인 국가 종교로 삼았다.[33] 아찰리는 밀교(密教) 또는 밀교 불교의 한 종파로 간주된다. 아차리아 자체는 산스크리트어(Sanskrit)로 구루(guru) 또는 스승을 의미한다. 백족 사이의 아찰리 관행에 따르면, 아차리아는 결혼하여 자녀를 둘 수 있었다. 아차리아의 지위는 세습되었다. 이 지역은 오늘날까지도[35] 밀교 불교와 강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관음(觀音)과 마하칼라(Mahākāla)의 숭배는 다른 형태의 중국 불교(中國佛教)와 매우 다르다.[36] 남조는 오늘날 미얀마에 있는 바간 왕국(蒲甘王國)뿐만 아니라 티베트와 벵골(팔라 제국(Pala Empire))과 강한 종교적 관계를 맺었을 가능성이 있다.[37]

4. 3. 군사

남조에는 로주자(羅苴子, 호랑이 아들)라 불리는 정예 선봉대가 있었다.[14] 이들은 상비군으로 복무했으며, 100명의 병사 중 가장 강한 자만이 로주자로 선발되었다.[14] 붉은 투구, 가죽 갑옷, 청동 방패를 착용했지만 맨발이었다.[14] 전방에서 입은 상처만 허용되었고, 후방에 상처를 입으면 처형되었다.[14] 그들의 지휘관은 로주좌(羅苴佐)라 불렸다.[14] 왕의 친위대인 주누취주(諸奴取諸)는 로주자에서 선발되었다.[14]
장승문(張勝文)의 <대리국 불상 권왕도(大理國梵像卷王圖)>의 일부. 맨발의 전사들, 오른쪽은 아마도 로주자(羅苴子)일 것이다.

5. 정치

남조 사회는 서쪽 윈난에 거주하는 관리 계급인 백묘(白蠻)와 동쪽 윈난에 거주하는 군사 계급인 흑묘(黑蠻)의 두 계급으로 나뉘었다. 남조의 통치자들은 흑묘의 맹사 부족 출신이었다. 남조는 (6개 대신 9개의) 부서와 과거 시험 제도를 통해 의 정부 체제를 본떴다. 그러나 남조의 통치 체제는 본질적으로 봉건적이었다.[15][16] 남조 귀족의 자녀들은 중국식 교육을 받기 위해 당나라 수도인 장안을 방문했다.[1]

일부 자료에서는 남조를 이족이 지배하는 사회로 보기도 하며, 이족 문화에서 노예 제도가 중요한 역할을 했기 때문에 남조를 전통적인 노예 사회로 간주하기도 한다. 노예 문화는 매우 널리 퍼져 있어서 때로는 아이들의 이름을 부모가 소유하거나 소유하기를 원했던 노예의 수량과 질에 따라 짓기도 했다. 예를 들어 률르뿌(많은 노예), 률르다(강한 노예), 률르쉬(노예 지휘관), 률른지(노예의 기원), 률르포(노예 영주), 률르하(백 명의 노예), 진누(많은 노예) 등이다.[17]

참조

[1] 서적 Tibetan Civiliza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1972
[2] 서적 Mystifying China's Southwest Ethnic Borderlands: Harmonious Heterotopia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2017
[3] 서적 China, Volume 10 https://books.google[...] Lonely Planet Publications 2011-05-15
[4] 서적 Exploring nationalisms of China: themes and conflict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11-05-15
[5] 웹사이트 Cuan Culture in Yunnan – Yunnan Exploration: Yunnan Travel, Yunnan Trip, Yunnan Tours 2020/2021 https://www.yunnanex[...]
[6] 웹사이트 The Faded Buddhist Country: A Brief History of Ancient Yunnan Constitution by 山滇之城 https://medium.com/@[...] 2018-08-19
[7] 서적 Chinese Dialects and Culture American Academic Press 2017
[8] 학술지 From Yue To Tai http://www.siamese-h[...] 2002
[9] 웹사이트 Nanzhao 南詔 (www.chinaknowledge.de) http://www.chinaknow[...]
[10] 서적 Religious and Ethnic Revival in a Chinese Minority: The Bai People of Southwest Chin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8-08-06
[11] Master of Arts The role of Nanzhao history in the formation of Bai identity https://core.ac.uk/d[...] University of Oregon 2023-01-30
[12] 서적 Stories from an Ancient Land: Perspectives on Wa History and Culture Berghahn Books 2021
[13] 보고서 The Tai Original Diaspora https://so06.tci-tha[...] Journal of the Siam Society 2014
[14] 웹사이트 罗苴子是什么意思_罗苴子的解释_汉语词典_词典网 https://www.cidianwa[...]
[15] 웹사이트 全历史 https://m2.allhistor[...]
[16] 웹사이트 The Bai ethnic minority https://www.mfa.gov.[...]
[17] 웹사이트 Perspectives on the Yi of Southwest China https://publishing.c[...]
[18] 서적 Buddhist Encounters and Identities Across East Asia BRILL 2018
[19] 웹사이트 Between Winds and Clouds: Chapter 5 http://www.gutenberg[...]
[20] 서적 2007
[21] 서적 1925
[22] 서적 1960
[23] 서적 Buddhist Encounters and Identities Across East Asia BRILL 2018
[24] 서적 1925
[25] 웹사이트 圖片 http://arts.fgs.org.[...]
[26] 웹사이트 The Benzhu religion of the Bai http://traditions.cu[...] 2013-11-03
[27] 학술지 Masters of Psalmody (Bimo): Scriptural shamanism in Southwestern China https://preo.u-bourg[...] 2020-12-15
[28] 서적 Ethnic Groups of North, East, and Central Asia: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14-02-10
[29] 웹사이트 Perspectives on the Yi of Southwest China https://publishing.c[...]
[30] 웹사이트 Out of the mountains https://www.environm[...] Federal Ministry of Education and Research 2018
[31] 학술지 The Dhāraṇī pillar of Kunming, Yunnan: A legacy of esoteric Buddhism and burial rites of the Bai people in the kingdom of Dali, 937–1253 1997
[32] 서적 India China Encyclopedia Vol. 1 2014
[33] 웹사이트 Nanzhao State and Dali State http://www.dali.gov.[...] City of Dali
[34] 서적 India China Encyclopedia Vol. 1 2014
[35] 학술지 Baijie and the Bai: Gender and Ethnic Religion in Dali, Yunnan 2013
[36] 논문 Mahākāla worship in the Dali kingdom (937-1253) – A study and translation of the ''Dahei tianshen daochang yi''
[37] 서적 Where China Meets India: Burma and the New Crossroads of Asia
[38] 문서 タイ族に関する記述
[39] 문서 烏蕃族に関する記述
[40] 문서 蒙舎詔に関する記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