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덜란드 여왕 부군 클라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클라우스는 네덜란드 여왕 베아트릭스의 부군으로, 독일에서 태어나 외교관으로 활동하다가 베아트릭스와 결혼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국방군에 징집되어 참전했으며, 전후 법학을 공부하고 외교관으로 일했다. 베아트릭스와의 결혼은 네덜란드 국민들 사이에서 논란이 있었지만, 이후 왕실의 일원으로서 개발 협력 및 사회 공헌에 기여했다. 그는 우울증, 암, 파킨슨병 등 건강 문제로 고통받았으며, 2002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덜란드의 귀족 - 필립스 판 마르닉스
필립스 판 마르닉스는 합스부르크 네덜란드에서 종교 개혁을 지지하고 네덜란드 독립 전쟁에 기여한 종교 개혁가, 정치가, 외교관, 작가, 암호학자였다. - 네덜란드의 귀족 - 이자벨 드 샤리에르
이자벨 드 샤리에르는 네덜란드 출신으로 스위스에서 활동하며 귀족 사회 비판과 여성 교육을 강조하는 프랑스어 작품을 쓴 작가, 사상가, 작곡가로, 프랑스 혁명 시기에는 스탈 부인과 함께 18세기 말 프랑스의 대표 작가로 평가받는다. - 암스베르크가 - 베아트릭스 (네덜란드)
베아트릭스는 1980년부터 2013년까지 네덜란드의 여왕으로 재위하며 네덜란드 정치와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고, 2013년 퇴위 후에는 공주로서 일부 왕실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 암스베르크가 - 클라우스 펠릭스 폰 암스베르크
클라우스 펠릭스 폰 암스베르크는 독일 농장 경영인이자 제1, 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장교로, 괴스타 폰 뎀 부셰-하덴하우젠 남작부인과의 사이에서 네덜란드 여왕 베아트릭스의 배우자인 클라우스 폰 암스베르크를 포함한 자녀를 두었다. - 네덜란드의 왕자 - 오라녜나사우 공자 요한 프리소
오라녜나사우 공자 요한 프리소는 베아트릭스 여왕의 차남으로 태어나 왕자였으나, 의회 승인 없는 결혼으로 왕위 계승권을 포기하고, 델프트 공대 졸업 후 골드만삭스에서 근무하다 스키 사고로 사망한 네덜란드 왕족이다. - 네덜란드의 왕자 - 빌럼 3세
빌럼 3세는 1849년부터 1890년까지 네덜란드 국왕이자 룩셈부르크 대공이었으며, 보수적인 성향에도 자유주의 파의 집권을 막지 못하고 룩셈부르크 헌법을 제정했으며, 프랑스에 룩셈부르크를 매각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변덕스러운 성격으로 주변에 공포감을 주었지만 평민들에게 인기가 있었고, 1890년 사망 후 네덜란드와 룩셈부르크의 동군 연합이 해소되었다.
네덜란드 여왕 부군 클라우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네덜란드 왕배 |
본명 | 클라우스-게오르크 빌헬름 오토 프리드리히 게르트 폰 암스베르크 |
출생일 | 1926년 9월 6일 |
출생지 | 바이마르 공화국, 하노버 주(현재 니더작센 주) 히차커 |
사망일 | 2002년 10월 6일 (향년 76세) |
사망지 |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
매장일 | 2002년 10월 15일 |
매장지 | 네덜란드, 델프트, 신 교회 |
배우자 | 베아트릭스 (1966년 결혼) |
자녀 | 빌럼-알렉산더르 요한 프리소 콘스탄테인 |
가문 | 암스베르크 |
아버지 | 클라우스 펠릭스 폰 암스베르크 |
어머니 | 괴스타 폰 뎀 부셰-하덴하우젠 남작부인 |
![]() | |
재위 기간 | |
즉위 | 1980년 4월 30일 |
퇴위 | 2002년 10월 6일 |
직업 | |
직업 | 외교관 공무원 |
2. 생애
클라우스 폰 암스베르크는 히틀러 유겐트 출신 독일인이라는 배경 때문에 베아트릭스 공주와의 결혼이 네덜란드 사회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점령에 대한 반감 때문이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공공에 대한 헌신, 겸손함, 솔직함으로 네덜란드 국민들의 마음을 사로잡아 왕실에서 가장 인기 있는 인물이 되었다.[4][5]
1980년 율리아나 여왕이 베아트릭스에게 양위하면서 클라우스는 왕배(여왕의 남편)가 되었다. 그는 제3세계 개발에 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개발 원조 분야에서 활동했으며, 여러 직책을 역임하며 사회 공헌에 힘썼다. 1998년에는 "넥타이 선언"을 통해 넥타이를 "목에 뱀처럼 감긴 족쇄"라고 표현하며 자유로운 복장을 촉구하는 등 파격적인 행보를 보이기도 했다.[6][7]
클라우스는 우울증을 비롯한 여러 건강 문제로 투병하다 2002년 파킨슨병과 심부전으로 사망했다.[3]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클라우스 폰 암스베르크는 1926년 9월 6일 히츠아커 근처 독일 되칭엔 성에서 클라우스 펠릭스 폰 암스베르크와 괴스타 폰 데어 부셰-하덴하우젠 남작 부인 사이에서 태어났다.[1] 그는 암스베르크 가문의 일원이었던 아버지와 폰 데어 부셰 귀족 가문 출신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둘째이자 외아들이었다. 아버지는 1928년부터 제2차 세계 대전까지 탕가니카 (구 독일령 동아프리카)에서 대규모 농장을 운영했다.1933년부터 1936년까지 바트 도베란의 프리데리코-프란시세움-김나지움에 다녔고, 1936년부터 1938년까지는 탕가니카의 기숙 학교에서 공부했다.[4] 1938년부터 클라우스와 그의 여섯 자매는 어머니의 할머니 저택에서 자랐다. 클라우스는 나치즘 청소년 단체인 도이체스 융폴크와 히틀러 유겐트 회원이었다.[1][2] 1938년부터 1942년까지는 현재 미엔지츠드로예인 독일 발텐슐레 미스드로이에서 공부했다.
1944년, 클라우스는 독일 국방군에 징집되어 1945년 3월 이탈리아에서 제90 기갑척탄병 사단 병사가 되었다.[4] 그는 전투에 참여하기 전에 메란에서 미국군에게 포로로 잡혔다.[4] 귀환 후 뤼네부르크에서 학교를 마치고 함부르크에서 법학을 공부했으며, 이후 독일 외교관으로 산토도밍고와 코트디부아르에서 근무했다. 1960년대에는 본으로 전근되었다.[3]
2. 2.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1944년, 클라우스는 독일 국방군에 징집되어 1945년 3월 이탈리아에서 독일 제90 기갑척탄병 사단 병사가 되었다.[4] 그는 전투에 참여하기 전에 메란에서 미국군에게 포로로 잡혔다.[4]2. 3. 외교관 경력
클라우스는 독일 외교관으로 산토도밍고와 코트디부아르에서 근무했으며, 1960년대에는 본으로 전근되었다.[3]2. 4. 베아트릭스 공주와의 만남과 결혼
클라우스는 1963년 새해 전야 바트 드리부르크에서 오이엔하우젠 백작이 주최한 만찬에서 베아트릭스 공주를 처음 만났다.[4] 클라우스와 베아트릭스는 폰 데어 부셰 가문의 후손으로 먼 친척 관계(5촌 고모의 재혼)였다.[4] 이들은 1964년 여름 자르-비트겐슈타인-베를레부르크의 타티아나 공주와 헤세 방백 모리츠의 결혼 전날 파티에서 다시 만났다.[4]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지 20년이 지났지만, 독일의 억압에 대한 기억이 네덜란드 국민들에게 강하게 남아있었다. 때문에 비아트릭스 공주의 약혼자가 독일인이자 전 히틀러 유겐트 회원이라는 사실에 대한 불만이 있었다.[4] 그럼에도 불구하고, 율리아나 여왕은 약혼을 취소하는 것을 심각하게 고려한 후 약혼을 승인했다.[4] 1965년에는 국회에서 약혼이 승인되었는데, 이는 비아트릭스가 왕위 계승 서열에 남기 위해 필요한 절차였다.[4] 그해 말 클라우스는 네덜란드 시민권을 얻었고 자신의 이름 철자를 네덜란드식으로 변경했다.[4]
1966년 3월 10일 두 사람의 결혼식이 거행되었다.[4] 결혼식 날, 아나키스트 예술가 단체인 프로보는 "클라우스, 물러가라!(Claus, 'raus!)"와 "내 자전거 돌려줘(Mijn fiets terug)"와 같은 구호를 외치며 격렬한 시위를 벌였다. 이는 점령 독일군이 네덜란드 자전거를 몰수했던 기억을 상징하는 것이었다. 프로보 그룹은 결혼 행렬에 연막탄을 던지기도 했다.[1][4]
2. 5. 네덜란드 왕실의 일원
클라우스는 1963년 새해 전야 바트 드리부르크에서 오이엔하우젠 백작이 주최한 만찬에서 비아트릭스 공주를 처음 만났다. 클라우스와 비아트릭스는 먼 친척 관계(5촌 고모의 재혼)로, 둘 다 폰 데어 부셰 가문의 후손이었다. 그들은 1964년 여름 자르-비트겐슈타인-베를레부르크의 타티아나 공주와 헤세 방백 모리츠의 결혼 전날 파티에서 다시 만났다. 전쟁 후 20년이 지났음에도 독일의 억압에 대한 기억이 여전히 강하게 남아있어, 네덜란드 국민들은 비아트릭스의 약혼자가 독일인이자 전 히틀러 유겐트 회원이라는 사실에 불만을 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율리아나 여왕은 약혼을 취소하는 것을 심각하게 고려한 후 약혼을 승인했다.[4] 1965년에는 국회에서 약혼이 승인되었는데, 이는 비아트릭스가 왕위 계승 서열에 남기 위해 필요한 절차였다. 그해 말 그는 네덜란드 시민권을 얻었고 자신의 이름 철자를 네덜란드식으로 변경했다.1966년 3월 10일 두 사람은 결혼했다. 결혼식 날에는 폭력적인 시위가 있었으며, 특히 아나키스트 예술가 단체인 프로보가 주도했다. 그들은 "클라우스, 물러가라!(Claus, 'raus!)"와 "내 자전거 돌려줘(Mijn fiets terug)"와 같은 기억에 남는 구호를 외쳤는데, 이는 점령 독일군이 네덜란드 자전거를 몰수했던 기억을 상징하는 것이었다. 프로보 그룹이 결혼 행렬에 연막탄을 던지기도 했다.[1][4] 한동안, 비아트릭스가 네덜란드의 마지막 군주가 될 것이라고 생각되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클라우스는 대중에게 받아들여졌으며, 말년에는 왕실에서 가장 인기 있는 인물로 여겨지기도 했다.[4][5] 이러한 네덜란드 여론의 변화는 클라우스가 공공의 대의(특히 제3세계 개발, 그는 이에 대한 전문가로 여겨졌다)에 기여하려는 강한 동기, 그의 진정한 겸손함, 그리고 그의 솔직함(왕실 의전의 범위 내에서, 그러나 때로는 그 경계에서 벗어나기도 했다)에 의해 이루어졌다.
대중은 또한 네덜란드 법이 왕실의 언론 및 행동의 자유에 부과한 제한 외에도 그의 삶의 의미를 부여하려는 클라우스의 노력에 동정심을 느꼈다. 그러나 이러한 제한은 점차 완화되었으며, 클라우스는 비록 자문 역할이기는 하지만 개발 원조 부서의 선임 직원으로 임명되기도 했다.
1980년 4월 30일, 클라우스의 장모인 율리아나 여왕은 베아트릭스 공주에게 양위했고, 베아트릭스는 네덜란드의 여왕이 되었다.[9] 즉위식 이후 부부는 네덜란드령 안틸레스와 아루바를 방문했다.[9] 남편으로서 클라우스는 공공 기관, 상업 및 산업 기업, 농업 및 어업 부문의 회사를 자주 방문했다.[9]
왕세자비의 남편으로서 클라우스는 국가 개발 협력 자문 위원회 및 그 사무국의 일원이었고, 1970~1980년 국가 개발 전략 위원회와 네덜란드 개발 기구의 의장을 역임했다. 또한 개발 협력부 장관의 특별 고문으로 활동했다. 그는 1980년까지 이 직책을 유지했다.[8] 1984년 클라우스는 개발 협력 감사관, 네덜란드 중앙은행 이사회 이사(1998년까지), 로열 PTT 네덜란드 이사회 이사, 교통 및 공공 사업 플랫폼 의장이 되었다.[10] 클라우스는 국립 기념물 및 역사적 건물 보호 조정 위원회와 빌럼 1세 재단의 명예 의장이었다. 또한 콘서트헤보우 오케스트라와 네덜란드 스카우트의 후원자이기도 했다.[10] 클라우스의 70번째 생일에, 네덜란드 정부의 제안으로 문화 및 개발을 위한 프린스 클라우스 기금이 설립되었다. 이 기금은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문화와 개발 간의 상호 작용을 증진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10]
2. 6. 왕실 활동 및 사회 공헌
클라우스 공은 왕실의 일원으로서 다양한 활동과 사회 공헌을 했다. 1980년 4월 30일, 장모인 율리아나 여왕이 베아트릭스 공주에게 양위하면서 베아트릭스는 네덜란드의 여왕이 되었다.[9] 즉위식 이후 부부는 네덜란드령 안틸레스와 아루바를 방문했다.[9] 클라우스 공은 공공 기관, 상업 및 산업 기업, 농업 및 어업 부문의 회사를 자주 방문했다.[9]1984년 클라우스 공은 개발 협력 감사관, 네덜란드 중앙은행(De Nederlandsche Bank N.V.) 이사회 이사(1998년까지), 로열 PTT 네덜란드 이사회 이사, 교통 및 공공 사업 플랫폼 의장이 되었다.[10] 또한 국립 기념물 및 역사적 건물 보호 조정 위원회와 빌럼 1세 재단의 명예 의장이었으며, 콘서트헤보우 오케스트라와 네덜란드 스카우트의 후원자이기도 했다.[10]
클라우스 공은 공공의 대의, 특히 제3세계 개발에 대한 강한 기여 의지를 보였으며, 그의 진정한 겸손함과 솔직함은 왕실 의전의 범위 내에서 때로는 그 경계를 벗어나기도 했다. 이러한 점은 네덜란드 여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그는 왕실에서 가장 인기 있는 인물 중 하나로 여겨지게 되었다.[4][5]
1998년에는 연례 클라우스 프린스상을 세 명의 아프리카 패션 디자인에게 수여하면서 "넥타이 선언"을 통해 넥타이를 "목에 뱀처럼 감긴" "새로운 족쇄"라고 표현하며, 넥타이를 풀고 바닥에 던지는 파격적인 행동을 하기도 했다.[6][7]
클라우스 공의 70번째 생일을 기념하여 네덜란드 정부의 제안으로 문화 및 개발을 위한 프린스 클라우스 기금이 설립되었다. 이 기금은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문화와 개발 간의 상호 작용을 증진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10]
클라우스 공은 우울증을 앓기도 했지만, 이를 국민에게 정기적으로 알리고 가족에 대한 사랑을 솔직하게 표현하는 등, 유머 감각을 갖춘 그의 언행과 인품은 국민들에게 깊은 사랑을 받았다. 그는 "여왕보다 인기 있는 사람"이라고 불릴 정도였다.
2. 7. 건강 문제와 사망
클라우스는 수년간 우울증과 싸웠고, 1998년에는 전립선 제거 수술을 받았다. 2001년에는 신장 제거 수술을 받았다.[3] 그는 결국 2002년 10월 6일 파킨슨병과 심부전으로 사망했다.[3]
클라우스는 우울증, 암, 파킨슨병과 같은 다양한 건강 문제로 고통받았다. 그는 오랜 투병 끝에 2002년 10월 6일 암스테르담의 학술 의료 센터에서 폐렴 및 파킨슨병의 합병증으로 7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3] 그는 오라녜나사우 백작부인 엘로이즈가 태어난 지 4개월도 채 안 되어 사망했다.
클라우스는 10월 15일 델프트의 왕실 묘지에 안장되었다. 이는 1962년 빌헬미나 여왕 이후 첫 번째 완전한 국장이었다.
3. 자녀
베아트릭스와의 사이에서 3남을 두었다.
- 빌럼알렉산더르 (1967년 ~ ): 네덜란드 국왕
- 요한 프리소 (1968년 ~ 2013년)
- 콘스탄테인 (1969년 ~ )
4. 칭호, 훈장 및 문장
thumb
클라우스 공은 생전에 다음과 같은 훈장들을 받았다.
국가 | 훈장 | 수여 일자 |
---|---|---|
네덜란드 | 1966년 | |
오스트리아 | 1994년 | |
덴마크 | 1975년 10월 29일 | |
에티오피아 제국 왕가 | ![]() | 1969년 |
프랑스 | 1984년 | |
독일 | 1983년 3월 1일 | |
아이슬란드 | ![]() | 1994년 |
이탈리아 | 1985년 3월 27일 | |
코트디부아르 | 1973년 | |
일본 | 2000년 | |
노르웨이 | 1968년 | |
포르투갈 | 1991년 5월 14일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 1999년 |
스페인 | 1985년 10월 7일 | |
스웨덴 | 1976년 | |
튀니지 | ![]() | 1973년 |
영국 | 1982년 11월 18일 |
4. 1. 칭호
- 1926년 9월 6일 – 1966년 2월 16일: 클라우스 폰 암스베르크
- 1966년 2월 16일 – 1966년 3월 10일: 클라우스 반 암스베르크
- 1966년 3월 10일 – 1980년 4월 30일: ''전하'' 네덜란드 클라우스 왕자, 용커르 판 암스베르크[11]
- 1980년 4월 30일 – 2002년 10월 6일: ''전하'' 네덜란드 왕자
4. 2. 훈장
국가 | 훈장 | 수여 일자 |
---|---|---|
네덜란드 | 1966년 | |
오스트리아 | 오스트리아 공화국 공로 훈장 대성장[14] | 1994년 |
덴마크 | 코끼리 훈장 기사[15] | 1975년 10월 29일 |
에티오피아 제국 왕가 | 시바 여왕 훈장 대십자 | 1969년 |
프랑스 | 레지옹 도뇌르 훈장 대십자 | 1984년 |
독일 | 독일 연방 공로 훈장 특별 대십자 | 1983년 3월 1일 |
아이슬란드 | 매 훈장 대십자 | 1994년 |
이탈리아 | 이탈리아 공화국 공로 훈장 칼라 대십자 기사[16] | 1985년 3월 27일 |
코트디부아르 | 코트디부아르 국가 훈장 대십자 | 1973년 |
일본 | 대훈위 국화대수장 대수장 | 2000년 |
노르웨이 | 성 올라프 훈장 칼라 대십자[17] | 1968년 |
포르투갈 | 그리스도 군사 훈장 대십자[18] | 1991년 5월 14일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선린 훈장 대십자[19] | 1999년 |
스페인 | 1985년 10월 7일 | |
스웨덴 | 북극성 훈장 사령관 대십자 | 1976년 |
튀니지 | 튀니지 공로 훈장 대수장 | 1973년 |
영국 | 로열 빅토리아 훈장 명예 기사 대십자 | 1982년 11월 18일 |
4. 3. 가계
1세대 | 2세대 | 3세대 | 4세대 | |
---|---|---|---|---|
1. 네덜란드 클라우스 공 | 2. 클라우스 펠릭스 폰 암스베르크 | 4. 빌헬름 폰 암스베르크 | 8. 가브리엘 폰 암스베르크 | |
9. 마리 폰 파소 | ||||
3. 괴스타 폰 데어 부셰-하덴하우젠 남작 부인 | 5. 엘리제 폰 피어레게 | 10. 레오폴트 폰 피어레게 | ||
11. 아그네스 폰 구츠미트 남작 부인 | ||||
6. 게오르크 폰 데어 부셰-하덴하우젠 남작 | 12. 율리우스 폰 데어 부셰-하덴하우젠 남작 | |||
13. 율리아네 마틸데 폰 살비아티 | ||||
7. 가브리엘레 마리 폰 데어 부셰-이펜부르크 남작 부인 | 14. 에버하르트 폰 데어 부셰-이펜부르크 남작 | |||
15. 바르바라 바린카 폰 켈리우스 |
참조
[1]
뉴스
Claus von Amsberg, 76, Popular Dutch Prince
https://www.nytimes.[...]
2002-10-07
[2]
웹사이트
Hitler Youth: Prelude to War 1933–1939
http://www.historypl[...]
2014-04-23
[3]
뉴스
Prince Claus of Netherlands Dies
https://www.washingt[...]
2002-10-07
[4]
뉴스
Obituary: Prince Claus of the Netherlands
https://www.theguard[...]
2002-10-07
[5]
웹사이트
Máxima en Claus populairste Oranje-leden
http://www.rtl.nl/(/[...]
[6]
웹사이트
Claus' speech in which he removes his tie, among other video fragments
http://nos.nl/video/[...]
[7]
웹사이트
Prins Claus werpt stropdas af (1998)
https://nos.nl/l/261[...]
2011-04-06
[8]
웹사이트
Prince Claus's Work until 1980
https://www.royal-ho[...]
2015-01-20
[9]
웹사이트
Prince Claus and Queen Beatrix
https://www.royal-ho[...]
2015-01-20
[10]
웹사이트
Prince Claus's Public appointments
https://www.royal-ho[...]
2015-01-20
[11]
웹사이트
Titels leden Koninklijke Familie
https://www.koninkli[...]
The Royal House
2015-01-14
[12]
웹사이트
Kanselarij der Nederlandse Orden: Index gedecoreerden, Achternaam: Amsberg, van
https://hdl.handle.n[...]
[13]
웹사이트
Vierdaagsekruisje van prins Claus te zien - Vorsten
http://www.vorsten.n[...]
2016-05-23
[14]
웹사이트
Reply to a parliamentary question about the Decoration of Honour
http://www.parlament[...]
[15]
서적
Statshaandbog for Kongeriget Danmark for Aaret 1995
https://slaegtsbibli[...]
J.H. Schultz A.-S. Universitetsbogtrykkeri
[16]
웹사이트
Italian Presidency
http://www.quirinale[...]
[17]
간행물
Norges Statskalender for Aaret 1970
Forlagt av H. Aschehoug & Co. (w. Nygaard)
[18]
웹사이트
ENTIDADES ESTRANGEIRAS AGRACIADAS COM ORDENS PORTUGUESAS - Página Oficial das Ordens Honoríficas Portuguesas
https://www.ordens.p[...]
[19]
웹사이트
1999 National Orders awards - South African Government
http://www.gov.za/ab[...]
[20]
웹사이트
Boletín Oficial del Estado
http://www.boe.es/bo[...]
1985-10-08
[21]
문서
Prince Claus wearing the Order of Isabella the Catholic
https://drive.google[...]
[22]
뉴스
네덜란드 여왕 남편 사망
https://news.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