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쿠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쿠만(肉まん)은 중국의 빠오즈에서 유래된 일본식 찐빵으로, 돼지고기, 채소 등을 소로 사용한다. 한국에서는 중화만두 또는 고기만두로 알려져 있으며, 팥소를 넣은 앙만두, 피자만두, 카레만두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일본에서는 다이쇼 시대부터 중화요리점, 슈퍼마켓, 편의점 등에서 인기 있는 간식으로 판매되며, 니쿠만 외에도 앙만, 차슈만, 카레만, 피자만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오쯔 - 샤오룽바오
샤오룽바오는 중국의 만두 일종으로, 얇은 만두피 안에 다진 고기와 육수를 넣어 쪄낸 음식이며, 1871년 상하이에서 처음 판매되어 상하이, 장쑤성 등 다양한 지역에서 발전했고, 뜨거운 육즙이 특징이다. - 바오쯔 - 탕바오
속에 뜨거운 국물이 든 중국 만두 요리인 탕바오는 지역과 조리법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며, 먹을 때 특별한 방법이 필요하고, 샤오롱바오와 비슷하지만 크기가 더 크고 국물이 많다. - 길거리 음식 - 소시지
소시지는 고기를 케이싱에 넣어 만든 식품으로,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여러 제조 과정을 거쳐 굽거나 삶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되며, 지방과 나트륨 함량이 높다는 단점도 있다. - 길거리 음식 - 피시 앤드 칩스
피시 앤드 칩스는 튀긴 생선과 두꺼운 감자튀김으로 이루어진 영국의 대표 음식으로, 19세기 후반 영국 노동계급의 주요 음식으로 자리 잡았으며 현재는 세계적으로 인기 있다. - 일본 요리 - 복어
복어는 몸을 부풀려 방어하고 독을 지닌 물고기로, 섭취 시 신경 마비를 일으킬 수 있지만, 자격증을 갖춘 요리사가 조리하면 식용으로 사용되며, 한국, 일본 등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된다. - 일본 요리 - 우동
우동은 일본의 면 요리로, 굵고 쫄깃한 면발이 특징이며 따뜻한 국물이나 차가운 츠유에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되어 일본 각지의 특색을 살린 여러 종류가 있고, 한국을 포함한 여러 나라에서 인기를 얻어 각 나라의 식문화에 맞게 변형되기도 한다.
니쿠만 | |
---|---|
개요 | |
![]() | |
종류 | 중화 요리, 만두 |
주재료 | 밀가루, 돼지고기, 채소 |
이름 | |
일본어 | 肉まん (니쿠만) |
중국어 | 包子 (바오쯔) |
영어 | Pork Bun (포크 번) |
역사 및 문화 | |
기원 | 중국의 만터우 |
지역별 명칭 | 간사이 지방: 부타만 (돼지고기) 야마구치현: 가시와만 (팥 앙금) |
특징 | 속재료: 다진 돼지고기, 양파, 양배추 등을 양념 빵: 발효된 밀가루 반죽 조리법: 찜통에 찌는 방식 |
관련 음식 | 앙만: 단팥빵 카레만: 카레빵 피자만: 피자빵 |
영양 정보 (일반적인 니쿠만 기준) | |
칼로리 | 약 200-250 kcal (개당) |
주요 영양소 |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
기타 정보 | |
먹는 방법 | 뜨거운 상태로 섭취 |
판매처 | 편의점, 슈퍼마켓, 제과점, 전문점 |
2. 명칭과 유래
중국의 "빠오즈"(包子)가 직접적인 원형으로 여겨지며, 이름은 빠오즈가 아닌 "만터우"(饅頭)라는 중국 찐빵에서 유래되었다. 현대 중국에서는 속이 없는 것을 만터우, 속이 있는 것을 빠오즈라고 부른다.
한국에서는 돼지고기 등을 사용한 고기만두, 팥소를 넣은 팥만두 외에도 피자만두, 카레만두, 불닭만두 등 중국에는 없는 다양한 종류의 중화만이 판매되고 있다.[1] 이러한 중화만은 편의점, 분식점, 마트 등에서 쉽게 구매할 수 있으며, 냉동식품으로도 많이 판매된다.
3. 한국의 중화만
3. 1. 한국 중화만의 종류
한국에서는 일반적으로 돼지고기 등을 사용한 고기만두, 팥소를 넣은 팥만두가 있으며, 피자만두, 카레만두 등 중국에는 없는 다양한 종류가 판매되고 있다.[1]
종류 | 설명 |
---|---|
고기만두 | 돼지고기와 채소를 다져 넣어 만든 중화만으로, 가장 기본적인 형태이다. |
김치만두 | 김치를 주재료로 사용하여 매콤한 맛을 내는 중화만이다. |
야채만두 | 고기 대신 채소를 주재료로 사용하여 담백한 맛을 내는 중화만이다. |
팥만두 | 팥소를 넣어 달콤한 맛을 내는 중화만이다. |
피자만두 | 피자 소스와 치즈 등을 넣어 피자 맛을 내는 중화만이다. |
카레만두 | 카레 가루나 카레 소스를 넣어 카레 맛을 내는 중화만이다. |
불닭만두 | 매운 불닭 소스를 넣어 매운맛을 강조한 중화만이다. |
3. 2. 한국 중화만의 특징
한국에서는 일반적으로 돼지고기 등을 사용한 고기만두, 팥소를 넣은 앙만두, 피자만두, 카레만두 등 중국에는 없는 다양한 종류가 판매되고 있다.4. 일본의 중화만
일본에서는 다이쇼 시대와 쇼와 시대부터 각지에서 니쿠만을 먹었으며[2], 중화요리점, 슈퍼마켓, 편의점, 작은 매점에서 인기 있는 테이크아웃 상품이 되었다. 가정에서 만드는 경우는 적지만 냉장 또는 냉동 식품으로 많이 판매되며, 찜기에 넣어 해동하거나, 찜기가 없는 경우에는 가열 시 진공이 되지 않도록 느슨하게 랩을 씌워 소량의 물을 넣고 전자레인지로 해동한다.
니쿠만 바닥에는 찜기와 만두가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종이 시트(원래는 대나무 껍질)가 붙어있는 경우가 많다. 또한, 종류를 구별하기 위해 시트에 "고기만두", "팥만두" 등의 문자를 넣기도 한다.
찍어 먹는 소스는 지역에 따라 다른데, 주부 지방 이동은 그냥 먹는 경우가 많고[15], 간사이 지방은 연겨자나 우스터 소스를 곁들이는 경우가 많다.[14] 주고쿠 지방에서 규슈 북부에 걸쳐서는 식초간장과 연겨자를 함께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14]
4. 1. 판매 장소
일본에서는 차이나타운에 전해진 다이쇼 시대와 쇼와 시대부터 각지에서 니쿠만을 먹었으며[2], 중화요리점, 슈퍼마켓, 편의점, 작은 매점에서 인기 있는 테이크아웃 상품이 되었다. 가정에서 만드는 경우는 적지만 냉장 또는 냉동 식품으로 많이 판매되며, 찜기에 넣어 해동하거나, 찜기가 없는 경우에는 가열 시 진공이 되지 않도록 느슨하게 랩을 씌워 소량의 물을 넣고 전자레인지로 해동한다. 편의점에서는 보통 8월~9월경부터 겨울철에 걸쳐, 혹은 연중 따뜻하게 찐 니쿠만을 카운터 상품으로 판매한다.니쿠만 바닥에는 종이 시트(원래는 대나무 껍질)가 붙어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찜기와 만두가 달라붙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종류를 구별하기 위해 시트에 "고기만두", "팥만두" 등의 문자를 넣기도 한다.
4. 2. 일본 중화만의 종류
- '''니쿠만(肉まん)'''은 돼지고기와 양파, 죽순, 말린 표고버섯 등의 채소를 잘게 썰어 삶은 것을 넣어 만든다.[3] 말린 가리비, 굴 소스, 샥스핀 등을 넣는 경우도 있다. 껍질 윗부분에는 꼬인 듯한 무늬가 새겨져 있다.
- '''부타만(豚まん)'''은 주로 서일본에서 니쿠만을 부르는 명칭이다. 서일본에서는 "고기"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쇠고기를 가리키기 때문이다. 세븐일레븐처럼 맛이나 양의 차이에 따라 "니쿠만"과 "부타만"을 모두 판매하는 경우도 있다.[7] 11월 11일은 "'''부타만의 날'''"로, 돼지 코 모양에서 유래된 것으로 여겨진다.[8]
- '''앙만(あんまん)'''은 팥 앙금을 넣은 찐빵이다.[4] 고기만두나 다른 재료와 구별하기 위해 식용 색소로 중앙에 표시하기도 한다. 편의점에서는 동일본에서는 고운 팥소, 서일본에서는 굵은 팥소가 판매되는 경우가 많다.[10]

- '''차슈만(チャーシューまん)'''은 중국의 차샤오바오에 해당한다. 주사위 모양으로 썰어 달콤 짭짤하게 조린 차슈를 소로 사용한다.
- '''카레만(カレーまん)'''은 1977년에 이무라야에서 발매되었다.[12] 껍질에 강황이나 착색료 등을 첨가하여 겉모습이 카레색(노란색)을 띤다. 속은 고기만두 또는 돼지고기 만두의 속을 카레 풍미로 조미한 것이나, 카레빵이나 드라이 카레에 가까운 것이 있다.
- '''피자만(ピザまん)'''은 1979년에 이무라야가 발매했을 때 "피자 니쿠만"이라는 명칭이었다.[13] 최근에는 안에 치즈를 넣고, 이탈리아풍 토마토 소스를 사용하는 등, 본래 피자의 맛에 가깝게 만든 것도 많다.
- 그 외에도 편의점에서는 다종 다양한 중화만(中華まん)이 대개 기간 한정으로 판매되고 있다. (예: 돼지고기 조림 만두, 데리야키 치킨 만두, 치즈 만두, 소금 돼지고기 만두, 해산물 만두, 그라탕 만두, 교자 만두, 몬자 만두, 오징어 먹물 만두, 초콜릿 만두, 커스터드 크림 만두, 캐러멜 만두, 푸딩 만두, 벚꽃 앙금 만두, 구운 고구마(안노이모) 만두 등)
4. 3. 일본 중화만의 특징
일본에서는 찜기와 만두가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닥에 대나무 껍질 등으로 만든 시트를 붙이는 경우가 많다. 또한, 종류를 구별하기 위해 시트에 "고기만두", "팥만두"와 같은 문자를 넣는 경우도 있다.[2]찍어 먹는 소스는 지역에 따라 다른데, 주부 지방 이동은 그냥 먹는 경우가 많고[15], 간사이 지방은 연겨자나 우스터 소스를 곁들이는 경우가 많다.[14] 주고쿠 지방에서 규슈 북부에 걸쳐서는 식초간장과 연겨자를 함께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14]
5. 역사
니쿠만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직접적인 원형은 중국의 빠오즈(包子)로 여겨지며, 이름은 빠오즈가 아닌 만터우(饅頭)라는 중국 찐빵에서 유래했다. 현대 중국에서는 속이 없는 것을 만터우, 속이 있는 것을 빠오즈라고 부른다.
1927년 나카무라야에서 "천하제일품 지나만두"라는 이름으로 판매된 것이 일본 최초라는 설이 있다. 이는 이 회사 창업자인 소마 부부가 중국 시찰 여행을 갔을 때 본 "바오즈"를 바탕으로 상품화한 것이다.[5] 그 이전에도 차이나타운 등에서 중국의 중화만을 팔았지만, 일본인의 입맛에는 맞지 않았다고 한다.[2]
1915년 고베 차이나타운(난킨마치)의 "로쇼키"는 "돈만두"로 판매한 중국식 바오즈가 일본 중화만의 시초라고 주장하지만,[6] 현재의 일본 중화만과 동일한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다.[2]
5. 1. 중국 기원설
중국의 빠오즈(包子)가 직접적인 원형으로 여겨지며, 이름은 빠오즈가 아닌 만터우(饅頭)라는 중국 찐빵에서 유래했다. 현대 중국에서는 속이 없는 것을 만터우, 속이 있는 것을 빠오즈라고 부른다.중화만(中華まん)은 삼국 시대 촉한의 재상 제갈량이 만들었다는 전설이 있다.[16] 『삼국지』에 따르면, 제갈량은 남만 정벌 후 돌아오는 길에 강의 범람을 막기 위해 사람 머리 대신 밀가루 반죽에 고기를 넣어 만든 만두를 제물로 바쳤다고 한다. 전쟁으로 많은 사람을 잃은 상황에서 인신공희로 더 이상 희생시킬 수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제갈량이 밀가루 반죽에 양이나 소의 고기를 넣어 만든 만두를 강에 던지자 범람이 멈췄다고 하며, 이것이 중국식 만두의 시작으로 여겨진다.
5. 2. 일본 전래
일본에서 처음 등장한 시기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나카무라야에서 1927년에 "천하제일품 지나만두"라는 이름으로 판매된 것이 최초이다. 이는 다이쇼 14년에 이 회사 창업자인 소마 부부가 중국 시찰 여행을 갔을 때 눈에 띈 "바오즈"라고 불리는 소가 든 만두를 바탕으로, 귀국 후 상품화한 것이다.[5]그 이전에도 차이나타운 등의 전문점이나 일부 중화요리점에서는 본고장 중국의 중화만을 팔았지만, 일본인의 입맛에는 맞지 않았다고 한다.[2]
고베 차이나타운(난킨마치)의 "로쇼키"는 1915년에 "돈만두"로 판매한 중국식 바오즈가 일본 중화만의 시초라고 주장하고 있지만,[6] 현재의 일본 중화만과 동일한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다.[2]
6. 제조 회사
회사명 | 비고 |
---|---|
이무라야 | |
나카무라야 | |
야마자키 제빵 | |
[https://www.meguro50ban.com 메구로 50번] | |
50번 가구라자카 본점 | |
[http://www.50ban.jp 가구라자카 50번] | 가구라자카 50번 총본점 |
모모타로 | |
기요켄 | |
헤이친로 | |
에도세이 | |
551 호라이 | |
호라이 본관 | |
후타미의 돼지고기 만두 | |
로쇼키 | |
산토 식품 큐슈 공장 | |
[http://www.yousukou.site/ 양자강] | |
[http://heiwakaikan.com/ 헤이와 회관] | |
산친 | |
마쓰자카 스즈야의 소고기 만두 | |
산노미야 잇칸로 | |
[http://daidoko.net 다이도코] | |
[http://daichin-shokuhin.com/hpgen/HPB/shop/shopguide.html 다이친 식품] | |
후타바 식품 | |
[https://fukuju.shopinfo.jp/ 대만 중화만두 전문점 후쿠주 fukuju] |
참조
[1]
웹사이트
大辞泉(yahoo辞書)「中華饅頭」
http://dic.yahoo.co.[...]
[2]
웹사이트
グリコ栄養食品たべもの事典
https://www.glico.co[...]
[3]
웹사이트
大辞泉(yahoo辞書)「にくまん(肉饅)」
http://dic.yahoo.co.[...]
[4]
웹사이트
大辞泉(yahoo辞書)「あんまん(餡饅)」
http://dic.yahoo.co.[...]
[5]
웹사이트
中華まん 新宿中村屋
https://www.nakamura[...]
新宿中村屋
2022-05-07
[6]
웹사이트
豚まんファン集まれ!発祥地・神戸で11月にサミット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2011-09-19
[7]
뉴스
セブン「豚まん」よりも「肉まん」を選んだほうがよい理由
https://weekly.ascii[...]
2021-01-12
[8]
웹사이트
豚まんサミット 11月11日神戸・[[南京町]]で
http://www.kobe-np.c[...]
神戸新聞
2011-09-19
[9]
웹사이트
KOBE 豚まんサミット
http://www.kobebutam[...]
[10]
웹사이트
こしあん、粒あんの境界線はどこ?
https://www.at-s.com[...]
静岡新聞
2022-01-11
[11]
웹사이트
セブンイレブンのあんまん "こしあん" "つぶあん" の境界線
https://togetter.com[...]
2021-11-13
[12]
서적
カレー語辞典
株式会社誠文堂新光社
2016-08-18
[13]
웹사이트
井村屋 昭和46年から昭和63年まで
https://web.archive.[...]
[14]
웹사이트
神戸新聞(2005/06/14日号・はてな?探偵団)
http://www.kobe-np.c[...]
[15]
웹사이트
'『肉まん』何つける問題 地域によって違う 醤油?からし?酢醤油?【Nスタ解説】 {{!}} TBS NEWS DIG (1ページ)'
https://newsdig.tbs.[...]
2023-11-21
[16]
웹사이트
諸葛孔明とマントウ
https://mog-lab.com/[...]
龍谷大学
2022-05-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