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카오 신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카오 신지는 일본의 바둑 기사로, 1976년 지바현 지바시에서 태어났다. 1991년 프로 입단 후, 1996년 신인왕전 우승을 시작으로 용성전, 혼인보, 명인전, 십단전, 천원전 등 주요 타이틀을 획득하며 활발하게 활동했다.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에서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스승에게 물려받은 두터운 바둑 스타일로 실리에 중점을 두는 현대 바둑계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안 게임 바둑 메달리스트 - 이세돌
대한민국의 프로 바둑 기사 이세돌은 12세에 입단하여 2000년대 세계 바둑계를 이끌었고, 알파고와의 대국으로 주목받았으며, 공격적인 기풍으로 '비금도 소년', '쎈돌' 등으로 불렸고, 은퇴 후에는 텍사스 홀덤 플레이어 및 보드게임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 아시안 게임 바둑 메달리스트 - 이야마 유타
일본의 프로 바둑 기사 이야마 유타는 최연소 우승 및 다수의 타이틀 획득 기록을 세우고 7관왕을 달성하는 등 일본 바둑계 최고 기사로 인정받으며, 독창적인 기풍과 강력한 공격력으로 역대 최다 타이틀 획득 기록을 경신하였다. - 2010년 아시안 게임 바둑 참가 선수 - 이세돌
대한민국의 프로 바둑 기사 이세돌은 12세에 입단하여 2000년대 세계 바둑계를 이끌었고, 알파고와의 대국으로 주목받았으며, 공격적인 기풍으로 '비금도 소년', '쎈돌' 등으로 불렸고, 은퇴 후에는 텍사스 홀덤 플레이어 및 보드게임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 2010년 아시안 게임 바둑 참가 선수 - 이야마 유타
일본의 프로 바둑 기사 이야마 유타는 최연소 우승 및 다수의 타이틀 획득 기록을 세우고 7관왕을 달성하는 등 일본 바둑계 최고 기사로 인정받으며, 독창적인 기풍과 강력한 공격력으로 역대 최다 타이틀 획득 기록을 경신하였다. - 지바시 출신 - 가타오카 야스유키
가타오카 야스유키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로, 세이부 라이온스, 요미우리 자이언츠 등에서 선수 생활을 했고, 4년 연속 도루왕과 최다 안타 타이틀을 획득했으며, 현재는 야구 해설가로 활동하고 2024년부터 자이언츠 U15 주니어 유스 감독을 맡을 예정이다. - 지바시 출신 - 아오야기 타카시
아오야기 타카시는 일본의 학자이자 성우로, 한시 문의 낭영을 전문으로 연구하며, 디즈니 미키 마우스의 일본어판 성우를 역임했다.
다카오 신지 | |
---|---|
기본 정보 | |
이름 | 다카오 신지 |
원어명 | 高尾 紳路 |
출생일 | 1976년 10월 26일 |
출생지 | 지바현 지바시 |
소속 | 일본기원 도쿄본원 |
스승 | 후지사와 히데요키 |
단 | 9단 |
프로 입단 | 1991년 |
타이틀 정보 | |
타이틀 합계 | 15회 |
기성 | 도전 (2012) |
명인 | 2회 (2006, 2016) |
본인방 | 3회 (2005-07) |
천원 | 1회 (2014) |
십단 | 2회 (2008, 2014) |
2. 약력
다카오 신지는 1976년 10월 26일 일본 지바현 지바시에서 태어났다. 바둑 애호가인 아버지의 영향으로 어릴 때부터 바둑을 접했으며, 초등학교 4학년 때 일본기원 원생이 되었다. 1991년 후지사와 히데유키 9단의 문하생으로 입단하여 프로 기사가 되었다.
입단 후 1996년 제21기 신인왕전 우승을 시작으로, NEC 전영 토너먼트, 용성전 등에서 우승하며 두각을 나타냈다. 2005년 제60기 혼인보 타이틀을 획득하며 9단으로 승단했고, 2006년에는 명인전 우승으로 명인 본인방에 등극했다. 2008년 십단전 우승, 2014년 십단전과 천원전 우승 등 주요 타이틀을 석권했다.
2000년대 중반 조치훈, 하네 나오키, 야마시타 게이고와 함께 일본 바둑계의 "사천왕"으로 불렸으며, 특히 장쉬와의 라이벌 관계는 많은 이들의 관심을 받았다.
2010년 광저우 아시안게임 남자 단체전 동메달, 2012년 NEC 컵 우승, 2016년 명인전 재탈환 등 꾸준한 활약을 이어갔다. 2022-23년 제47기 기성전 S 리그 잔류 및 도전권 결정 토너먼트 진출 등 현재까지도 현역으로 활동 중이다.
2. 1. 주요 경력
연도 | 경력 |
---|---|
1986년 | 일본 전국 소년 소녀 바둑 대회 2위(초등 4학년) |
1991년 | 후지사와 히데유키 9단의 문하생으로 입단, 초단 |
1992년 | 2단 승단 |
1993년 | 3단 승단 |
1994년 | 4단 승단 |
1996년 | 제21기 일본 신인왕전 우승, 5단 승단 |
1998년 | 제23기 일본 신인왕전 준우승 (대 야마시타 케이고) 6단 승단 |
2000년 | 제15기 NEC 전영 토너먼트 대회 우승, 제9기 용성전 우승, 7단 승단 |
2002년 | 제17기 NEC 전영 토너먼트 대회 우승, 제27기 일본 신인왕전 준우승 (대 장쉬), 8단 승단 |
2003년 | 제16회 후지쯔배 8강, 제41기 십단전 준우승 (대 왕리청 2:3) |
2004년 | 제2회 도요타덴소배 32강, 제6회 농심배 일본대표, 제16기 용성전 우승 |
2005년 | 제60기 혼인보 타이틀 획득 (대 장쉬 4:1), 9단 승단, ※첫 리그 진입, 도전권 획득, 첫 우승. |
2006년 | 제61기 혼인보 우승, 2연패 (대 야마다 기미오 4:2), 제31기 명인전 우승 (대 장쉬 4:2) ※첫 명인전 리그 진입, 도전권 획득, 사상 6번째 명인 본인방 등극. |
2007년 | 제62기 혼인보 우승 (대 요다 노리모토 4:1, 본인방전 3연패, 총 10번째 타이틀 획득), 다이와증권배 우승. |
2008년 | 제46기 십단전 우승 (대 조치훈 3:0), 제63기 혼인보 준우승 (대 하네 나오키 3:4, 일본 사상 여섯번째 3연패 후 4연승 허용). |
2009년 | 개인통산 700승 달성, 제47기 십단전 준우승 (대 장쉬 1:3), 제64기 일본 혼인보 준우승 (대 하네 나오키 2:4) |
2010년 | 광저우 아시안게임 남자 단체전 동메달, 제35기 십단전 준우승 (대 이야마 유타 0:4) |
2012년 | 제31기 NEC컵 우승, 제36기 기성전 준우승 (대 장쉬 3:4) |
2013년 | 제68기 일본 혼인보 준우승 (대 이야마 유타 3:4) |
2014년 | 제52기 일본 십단전(十段戰) 우승 (3:2 승리 상대 유키 사토시 9단), 제40기 일본 천원전(天元戰) 우승 (3:2 승리 상대 이야마 유타 9단) |
2015년 | 제53기 일본 십단전 준우승 (2:3 패배 상대 이다 아쓰시 8단), 제40기 일본 명인전 준우승 (0:4 패배 상대 이야마 유타 9단), 제41기 일본 천원전 준우승 (0:3 상대 이야마 유타 9단) |
2016년 | 제71기 일본 혼인보 준우승 (1:4 패배 상대 이야마 유타 9단), 제41기 일본 명인전 우승 (4:3 상대 이야마 유타 9단) |
2017년 | 제42기 일본 명인전 준우승 (1:4 상대 이야마 유타 9단), 제24기 아함동산배 준우승 (상대 무쓰우라 유타) |
2. 2. 타이틀 획득 및 준우승 기록
국내 | ||
---|---|---|
타이틀 | 우승 | 준우승 |
기성 | 1 (2012) | |
명인 | 2 (2006, 2016) | 4 (2007, 2010, 2015, 2017) |
본인방 | 3 (2005–2007) | 3 (2008, 2009, 2013) |
천원 | 1 (2014) | 1 (2015) |
십단 | 2 (2008, 2014) | 2 (2003, 2009) |
아곤배 | 2 (1999, 2017) | |
용성전 | 2 (2000, 2004) | |
신인왕전 | 1 (1996) | 2 (1998, 2002) |
NEC배 | 1 (2012) | 2 (2003, 2007) |
다이와컵 | 1 (2007) | |
다이와컵 그랜드 챔피언 | 2 (2010, 2011) | |
NEC 슌에이 | 2 (2000, 2002) | |
신예 | 1 (2000) | |
합계 | 15 | 18 |
횟수 | 기전 | 기·회 | 대국일 | 상대 | 결과 | |
---|---|---|---|---|---|---|
우승 | 1 | 신인왕전 | 21기 | 1996년 9월 | 나카무라 신야 5단 | 2-0 |
우승 | 2 | NEC 슌에이전 | 15기 | 2000년 | 하네 나오키 7단 | 1-0 |
우승 | 3 | 용성전 | 9기 | 2000년 | 다카기 쇼이치 9단 | 1-0 |
우승 | 4 | NEC 슌에이전 | 17기 | 2002년 | 아키야마 지로 7단 | 1-0 |
우승 | 5 | 신예전 | 33기 | 2003년 | 김수준 7단 | 1-0 |
우승 | 6 | 용성전 | 13기 | 2004년 | 야마다 기조 8단 | 1-0 |
획득 | 7 | 혼인보전 | 60기 | 2005년 6월 | 장쉬 혼인보 | 4-1 |
방어 | 8 | 혼인보전 | 61기 | 2006년 7월 | 야마다 기미오 9단 | 4-2 |
획득 | 9 | 명인전 | 31기 | 2006년 11월 | 장쉬 명인 | 4-2 |
방어 | 10 | 혼인보전 | 62기 | 2007년 6월 | 요다 노리모토 9단 | 4-1 |
획득 | 11 | 십단전 | 46기 | 2008년 4월 | 조치훈 십단 | 3-0 |
우승 | 12 | NEC 컵 | 31기 | 2012년 3월 | 조치훈 9단 | 1-0 |
획득 | 13 | 십단전 | 52기 | 2014년 4월 | 유키 사토시 십단 | 3-2 |
획득 | 14 | 천원전 | 40기 | 2014년 12월 | 이야마 유타 천원 | 3-2 |
획득 | 15 | 명인전 | 41기 | 2016년 11월 | 이야마 유타 명인 | 4-3 |
다카오 신지는 후지사와 슈코 9단의 제자로, 일본 최고의 바둑 기사 중 한 명이다. 스승에게 물려받은 두터운 바둑으로, 실리에 치중하는 경향이 강한 현대 바둑계에서 이채를 띠고 있다.[9]
3. 인물 및 평가
어릴 적부터 젊은 유망주로 기대를 받았지만, 조치훈, 하네 나오키, 야마시타 게이고와 함께 일본의 "사천왕"으로 불리는 다른 기사들에 비해 타이틀 경쟁에서는 다소 뒤처졌다. 2000년 무렵 장쉬, 야마시타 게이고, 하네 나오키와 함께 "젊은 사천왕"으로 불렸지만, 다른 3명이 7대 타이틀을 획득하는 동안 3대 기전 리그 진입조차 하지 못해 뒤처졌다는 생각을 했다고 한다.
그러나 2005년, 본인방 리그에 신규 참가하여 승리하고, 장쉬 본인방을 4승 1패로 꺾으며 첫 메이저 타이틀을 획득했다. 이후 2007년까지 본인방위를 3연패했다. 2013년 이후 이야마 유타가 7대 타이틀을 독점하기 시작한 가운데, 2014년 십단・천원, 2016년에는 이야마로부터 명인위를 획득하는 등 선전하고 있다.기전 승부 획득 연도 출전 획득 기수 연패 기성 7번 승부
1-3월1 명인 7번 승부
9-11월2006년(제31기), 2016년 6 2기 본인방 7번 승부
5-7월2005년(제60기)-2007년 7 3기 3 왕좌 5번 승부
10-12월천원 5번 승부
10-12월2014년(제40기) 2 1기 기성 5번 승부
6-8월십단 5번 승부
3-4월2008년(제46기), 2014년 5 2기 출전 횟수 합계 21회, 획득 합계 8기,
3대 기전 획득 수 합계 5기
2005년, 스승 후지사와가 두 번 도전했지만 이루지 못했던 혼인보 타이틀을 첫 도전에서 획득했을 때, "이기고 있는 바둑으로 뭘 꾸물거리는 거야"라고 혼났다고 한다.
경마가 취미로, 경주마의 일구 주주가 되기도 했으며, 과거 실크 프리마돈나(2000년의 오크스 우승마) 등에 출자했다.[10] JRA 공식 사이트의 경마 칼럼에서 인터뷰를 하기도 했는데, 경마를 시작한 계기는 "중학생 시절 프로 기사의 공부 모임에서 일부 선배들이 텔레비전의 경마 중계를 보고 있었던 것"이라고 한다.[11] 스승인 후지사와에게 경마를 좋아하는 것을 숨겼지만, 나중에 알게 된 후에는 도쿄 개최 토요일마다 함께 경마를 관전했다고 한다.[12]
친형은 역사학자 다카오 요시키이며, 개그 콤비 자분글의 카토 아유무는 친척이다.
3. 1. 라이벌 관계
야마시타 케이고와의 라이벌 관계는 1986년 8월 방송 경기에서 시작되었다. 이 경기는 8살의 야마시타가 9살의 다카오 신지를 꺾고 우승을 차지한 '전일본 초등학교 선수권' 결승전이었다. 이들의 라이벌 관계는 1996년 다카오 신지가 복수에 성공하면서 다시 불붙었다. 다카오 신지는 신진왕전 준결승에서 야마시타를 꺾고 결승에서 나카무라 신야를 꺾었다. 1998년, 이번에는 신진왕전 결승에서 야마시타가 다카오 신지를 2-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두 사람의 타이틀 매치는 계속해서 주고받았으며, 다카오 신지는 2003년 십단 도전 최종국에서 야마시타를 꺾으며 최신 승리를 거두었다.
4. 기타 활동
경마가 취미이다. 경주마의 일구 주주가 되기도 했으며, 과거에 실크 프리마돈나(2000년의 오크스 우승마) 등에 출자했다.[10] JRA 공식 사이트의 경마 칼럼에서 인터뷰를 받기도 했는데, 이에 따르면 경마를 시작한 계기는 "중학생 시절 프로 기사의 공부 모임에서 일부 선배들이 텔레비전의 경마 중계를 보고 있었던 것"이라고 한다.[11] 스승인 후지사와에게 경마를 좋아하는 것을 계속 숨기고 있었지만, 후에 후지사와가 알게 되었고, 도쿄 개최 토요일은 매주 경마장에 다니며 후지사와와 경마를 관전하게 되었다고 한다.[12] 같은 경마광인 쇼기 기사 와타나베 아키라와도 교우하며, 와타나베를 일구 주주 동료로 끌어들였다.[13] 도박 관련으로는 영화 감독인 소미 신지와도 관계가 깊었다고 한다.[14]
2009년부터 블로그를 운영하며 자신의 대국이나 타이틀전 해설 등을 하고 있다.
참조
[1]
서적
高尾紳路 不惑の出発
日本棋院
2017
[2]
서적
高尾紳路 不惑の出発
日本棋院
2017
[3]
웹사이트
千寿会
http://www.senjukai.[...]
[4]
웹사이트
第1回ワールドマインドスポーツゲームズ(WMSG)|囲碁
http://archive.nihon[...]
2019-02-06
[5]
웹사이트
http://www.nihonkiin[...]
[6]
웹사이트
第71期本因坊戦
http://www.nihonkiin[...]
[7]
웹사이트
第42期名人戦
http://www.nihonkiin[...]
[8]
웹사이트
第47期 棋聖戦
https://www.nihonkii[...]
2022-10-02
[9]
웹사이트
高尾紳路十段、「このまま並の棋士で…」と恐れた時期も NHKテキストView
https://web.archive.[...]
[10]
간행물
競馬最強の法則
KKベストセラーズ
2010-06
[11]
웹사이트
私の競馬、俺の競馬 / 高尾紳路・第1回
http://www.jra.go.jp[...]
JRA
2009-10-28
[12]
웹사이트
私の競馬、俺の競馬 / 高尾紳路・第3回
https://web.archive.[...]
JRA
2009-11-11
[13]
웹사이트
私の競馬はちょっと新しい 第8回 日本将棋連盟棋士 渡辺明さん
https://web.archive.[...]
JRA-VAN
[14]
블로그
相米慎二監督
https://blog.goo.ne.[...]
高尾紳路オフィシャルブログ
2011-11-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