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케야마 유타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케야마 유타로는 일본의 정치인으로, 농상무성 관료, 중의원 의원, 시즈오카현 지사를 역임했다. 1901년 시즈오카현에서 태어나 도쿄 제국대학 농학부를 졸업하고 농상무성에서 근무하며 농촌 경제 갱생 운동을 추진했다. 1946년 중의원 의원으로 당선되어 9선 의원을 지냈으며, 1954년 제1차 하토야마 이치로 내각에서 건설상으로 활동했다. 이후 시즈오카현 지사로 선출되어 재임 중 국립 의과대학 유치 문제로 논란을 겪기도 했다. 1971년 훈1등 서보장을 수훈했으며, 1982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즈오카현지사 - 유아사 구라헤이
유아사 구라헤이는 일본의 내무 관료이자 정치가로, 내무성 경보국장, 조선총독부 정무총감, 궁내대신, 내대신 등을 역임했으며, 조선총독부 정무총감 재직 시절 식민 통치에 앞장섰다는 비판과 쇼와 유신 반대, 궁중 양식파 활동 등의 행적을 남겼다. - 시즈오카현지사 - 아카이케 아쓰시
아카이케 아쓰시는 내무성 관료 출신으로 시즈오카현 지사, 조선총독부 내무국장 및 경무국장, 내각 척무국 장관, 경시총감 등을 역임하고 일제강점기 조선 통치에 관여하며 귀족원 의원도 지낸 일본의 관료이다. - 도쿄 농공대학 동문 - 박경원 (비행사)
한국 최초의 여성 비행사 중 한 명인 박경원은 일본에서 비행 기술을 습득하여 조종사로 활동했으나, 일제강점기 활동으로 친일 논란이 있다. - 도쿄 농공대학 동문 - 모리시타 모토하루
모리시타 모토하루는 일본의 정치인으로, 자유민주당 소속 중의원 의원을 8선 역임하고 스즈키 젠코 내각에서 후생대신을 지냈으며, 정계 은퇴 후에는 가문 소유의 산림을 도쿠시마현에 기증하여 환경 보호에 기여했다. - 일본 제국의 농림관료 - 아리가 나가오
아리가 나가오는 도쿄제국대학 철학과를 졸업하고 국제법을 공부한 일본의 법학자이자 관료로,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에 법률 고문으로 종군하고 헤이그 평화 회의에 일본 대표로 참석했으며, 황실전범 보완 작업 주도, 외교시보 창간 등의 활동을 했다. - 일본 제국의 농림관료 - 이토 분키치 (정치인)
이토 분키치는 이토 히로부미의 혼외자이자 남작으로, 귀족원 의원, 농상무성 관료, 닛산 이사, 일본광업 사장 등을 역임한 일본의 정치인이자 기업인이다.
다케야마 유타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01년 4월 25일 |
출생지 | 일본 시즈오카현 이와타군 미쓰케정 (현재 이와타시) |
사망일 | 1982년 7월 7일 (81세) |
출신 학교 | 도쿄 제국대학 농학부 실과 |
칭호 및 훈장 | 훈1등 서보장 |
친족 (정치인) | 장남 다케야마 유 |
경력 | |
전 직업 | 전국농업회 지도부장 |
소속 정당 | (국민협동당→) (개진당→) (일본민주당→) 자유민주당 |
정치 경력 | |
직책 | 제11·12대 건설대신 |
내각 | 제1차 하토야마 내각 제2차 하토야마 내각 |
임기 시작 | 1954년 12월 10일 |
임기 종료 | 1955년 11월 22일 |
선거구 | 시즈오카 3구 |
당선 횟수 | 9회 |
임기 시작 | 1946년 4월 11일 |
임기 종료 | 1966년 12월 27일 |
직책 | 제6·7대 시즈오카현 지사 (공선) |
당선 횟수 | 2회 |
임기 시작 | 1967년 1월 31일 |
임기 종료 | 1974년 6월 24일 |
2. 생애
다케야마 유타로는 1901년 4월 25일에 시즈오카현 이와타군 미쓰케정(지금의 이와타시)에서 농업을 하는 다케야마 소이치로의 장남으로 태어났다.[2] 시즈오카현립 나카이즈미 농업학교(현 시즈오카현립 이와타 농업고등학교)를 거쳐 1922년에 도쿄 제국대학 농학부 실과(1935년 도쿄 고등 농림학교로 독립, 현 도쿄 농공대학)를 졸업했다.[2] 이후 농상무성에 들어가 기관이 되었으며[2] 1930년대 농산어촌 경제 갱생 운동(이른바 "자력 갱생 운동")을 실시해 전국 각지를 돌아다녔다. 1941년부터는 도쿄 고등 농림학교 교수를 겸임했다.[2]
1945년 농림성을 퇴직한 뒤 전국 농업회 지도부장이 되었다.[2] 1946년 총선에 일본 협동당에서 구 시즈오카 전현 1구에서 입후보하여 첫 당선되었다.(당선 동기로는 고사카 젠타로, 니카이도 스스무, 에자키 마스미, 오자와 사에키, 이시이 코지(石井光次郎), 사카타 미치타, 미즈타 미키오, 무라카미 이사무, 하라 겐자부로, 가와사키 슈지, 이데 이타로, 하야카와 타카시, 나카노 시로 등) 이후 9회 연속 당선되었다.[2] 1948년 국민 협동당 서기장이 되었다. 나중에 개진당으로 옮겨 갔으며 1953년에는 농림성 시절에 면식이 있던 간사장 마쓰무라 겐조 밑에서 부간사장을 지내는 등 마쓰무라의 측근이 되었다.[3]
1954년에 제1차 하토야마 이치로 내각이 출범하자 건설상으로 입각해 일본 주택 공단과 일본 도로 공단 설립에 앞장섰다. 이들은 모두 다케야마의 구상에 기초한 것이다.[3] 보수합동으로 자유민주당이 출범하자 마쓰무라·미키파에 속했으며 이후 자유민주당 국회대책위원장, 부간사장 등을 역임했다. 후루이 요시미와 함께 마쓰무라의 측근으로서 중일 국교 회복 추진에도 진력했다.[2]
1963년 총선에서 당선돼 9선 의원이 되었지만 1966년 12월에 사임한 뒤 1967년에 시즈오카현지사 선거에 출마해 당선되면서 시즈오카현지사가 되었다.[4] 현지사로 재임하면서 다고노우라항 헤드로 공해 문제와 맞닥뜨렸으며 국립의과대학을 유치할 때 시즈오카시 유치 결정을 번복하고 하마마쓰시에 유치했다. 이는 시즈오카현 중부와 동부의 자민당 소속 현의회 의원들의 반감을 사게 만들어 집단 탈당하는 소동을 일으켰다.
1971년에 현지사 재선에 성공했지만 1974년에 참의원 의원 야마모토 게이자부로가 현지사 선거 출마 의욕을 보이자 순순히 그에게 원활하게 선양하기 위해 물러났다. 이후 그대로 정계를 은퇴했다. 1971년에 훈1등 서보장을 수훈했다.
1982년 7월 7일에 사망했다. 향년 81세.
2. 1. 초기 생애 및 관료 경력
다케야마 유타로는 1901년 4월 25일 시즈오카현 이와타군 미쓰케정(지금의 이와타시)에서 태어났다.[2] 시즈오카현립 나카이즈미 농업학교를 거쳐 1922년에 도쿄 제국대학 농학부 실과(지금의 도쿄 농공대학)를 졸업했다.[2] 이후 농상무성에 들어가 기관이 되었으며 1930년대 농산어촌 경제 갱생 운동을 실시해 전국 각지를 돌아다녔다.[2] 1941년부터는 도쿄 고등농림학교 교수를 겸임했다.[2]1945년 농림성을 퇴직한 뒤 전국통업회 지도부장이 되었다가[2] 1946년 총선에 국민협동당에서 출마해 당선되면서 정치인이 되었다.[2] 1948년에 국민 협동당 서기장이 되었고, 나중에 개진당으로 옮겨가 마쓰무라 겐조 간사장 밑에서 부간사장을 지내는 등 마쓰무라의 측근이 되었다.[3]
1954년에 제1차 하토야마 이치로 내각이 출범하자 건설상으로 입각해 일본 주택 공단과 일본 도로 공단 설립에 앞장섰다.[3] 보수합동으로 자유민주당이 출범하자 마쓰무라·미키파에 속했으며 이후 자유민주당 국회대책위원장, 부간사장 등을 역임했다.[2] 후루이 요시미와 함께 마쓰무라의 측근으로서 중일 국교 회복 추진에도 진력했다.[2]
1963년 총선에서 당선돼 9선 의원이 되었지만, 1966년 12월에 사임한 뒤 1967년에 시즈오카현지사 선거에 출마해 당선되면서 시즈오카현지사가 되었다.[4] 1971년에 현지사 재선에 성공했지만 1974년에 참의원 의원 야마모토 게이자부로가 현지사 선거 출마 의욕을 보이자 순순히 물러났다. 이후 그대로 정계를 은퇴했다. 1971년에 훈1등 서보장을 수훈했다.
1982년 7월 7일에 사망했다. 향년 81세.
2. 2. 정치 경력
1901년 4월 25일 시즈오카현 이와타군 미쓰케정(지금의 이와타시)에서 태어나, 도쿄 제국대학 농학부를 졸업했다.[2] 농상무성에 들어가 기관으로 근무하며 1930년대 농산어촌 경제 갱생 운동을 실시했다.[2] 1941년부터 도쿄 고등농림학교 교수를 겸임했다.[2]1945년 농림성을 퇴직하고 전국통업회 지도부장이 되었다.[2] 1946년 총선에 일본 협동당 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되면서 정치인이 되었다.[2] 국민협동당 서기장(1948년), 개진당 부간사장을 역임했다. 마쓰무라 겐조의 측근으로 활동했다.[3]
1954년 제1차 하토야마 이치로 내각에서 건설상으로 입각하여 일본 주택 공단과 일본 도로 공단 설립에 앞장섰다.[3] 보수합동 후 자유민주당 마쓰무라·미키파에 소속되었으며, 당 국회대책위원장, 부간사장 등을 역임했다. 후루이 요시미와 함께 중일 국교 회복 추진에 진력했다.[2]
1963년 총선에서 9선 의원이 되었지만, 1966년 사임하고 1967년 시즈오카현지사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4] 현지사 재임 중 다고노우라항 헤드로 공해 문제 해결에 힘썼다. 국립 의과대학 유치 과정에서 시즈오카시로 결정된 것을 하마마쓰시로 변경하여 현 의원들의 반발을 샀다.
1971년 현지사 재선에 성공했지만, 1974년 야마모토 게이자부로에게 자리를 물려주고 정계를 은퇴했다. 같은 해 훈1등 서보장을 수훈했다.
1982년 7월 7일 사망했다. 향년 81세.
2. 3. 사망
3. 역대 선거 기록
선거명 | 회차 | 직책 | 선거구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 여부 | 비고 |
---|---|---|---|---|---|---|---|---|---|
총선 | 22회 | 중의원 의원 | 시즈오카현 전현구 | 국민협동당 | 5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
총선 | 23회 | 중의원 의원 | 시즈오카현 제3구 | 국민협동당 | 44,352표 | 16.43% | 1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총선 | 24회 | 중의원 의원 | 시즈오카현 제3구 | 국민협동당 | 43,107표 | 14.04% | 2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총선 | 25회 | 중의원 의원 | 시즈오카현 제3구 | 개진당 | 53,898표 | 16.64% | 3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총선 | 26회 | 중의원 의원 | 시즈오카현 제3구 | 개진당 | 54,133표 | 16.89% | 3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총선 | 27회 | 중의원 의원 | 시즈오카현 제3구 | 일본민주당 | 79,448표 | 23.31% | 1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총선 | 28회 | 중의원 의원 | 시즈오카현 제3구 | 자유민주당 | 60,971표 | 16.52% | 3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총선 | 29회 | 중의원 의원 | 시즈오카현 제3구 | 자유민주당 | 75,737표 | 20.53% | 1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총선 | 30회 | 중의원 의원 | 시즈오카현 제3구 | 자유민주당 | 75,862표 | 19.33% | 1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현지사 선거 | 6회 | 시즈오카현지사 | 시즈오카현 선거구 | 자유민주당 | 935,680표 | 64.19% | 1위 | 당선 | 소선거구제 |
현지사 선거 | 7회 | 시즈오카현지사 | 시즈오카현 선거구 | 자유민주당 | 919,463표 | 68.13% | 1위 | 당선 | 소선거구제 |
4. 평가
4. 1. 긍정적 평가
4. 2. 비판적 평가
5. 소속 정당
참조
[1]
웹사이트
科学技術庁長官 竹山 裕
https://www.kantei.g[...]
首相官邸
2021-11-13
[2]
웹사이트
発見!いわた 「磐田の著名人」 竹山 祐太郎
https://www.lib-iwat[...]
磐田市立図書館
2021-11-13
[3]
웹사이트
第1次鳩山(一)内閣 閣僚名簿
https://www.kantei.g[...]
内閣府
2021-11-13
[4]
웹사이트
歴代公選知事名簿(都道府県別) 静岡県
http://www.nga.gr.jp[...]
全国知事会
2021-1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