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무라카미 이사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라카미 이사무는 일본의 정치인으로, 1902년 오이타현에서 태어나 와세다공수학교를 졸업했다. 1946년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했으며, 자유민주당 소속으로 우정상과 건설상을 역임했다. 오노 반보쿠 파벌에서 활동하다가 파벌 분열 이후 일양회를 결성했다. 1979년 총선에서 낙선했으나 이듬해 당선되어 정계에 복귀했고, 1983년 은퇴 후 1991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우정대신 - 사토 에이사쿠
    사토 에이사쿠는 철도성 공무원 출신으로 일본 총리를 지낸 자유민주당의 주요 정치인으로, 오키나와 반환을 성사시키고 경제 호황을 이끌었으나 닉슨 쇼크와 오키나와 밀약 등으로 비판받았으며 노벨 평화상을 수상한 인물이다.
  • 일본의 우정대신 - 오자와 사에키
    오자와 사에키는 이와테현 출신의 정치인으로, 가난한 농가에서 변호사가 된 후 자유당 및 자유민주당 소속으로 중의원 의원을 10선 역임하며 요시다 시게루 내각에서 운수상, 우정상 겸 전기통신상, 건설상 등을 역임했고 중선거구제 도입을 주장했으며, 그의 장남은 오자와 이치로이다.
  • 일본의 홋카이도 개발청 장관 - 사토 에이사쿠
    사토 에이사쿠는 철도성 공무원 출신으로 일본 총리를 지낸 자유민주당의 주요 정치인으로, 오키나와 반환을 성사시키고 경제 호황을 이끌었으나 닉슨 쇼크와 오키나와 밀약 등으로 비판받았으며 노벨 평화상을 수상한 인물이다.
  • 일본의 홋카이도 개발청 장관 - 노다 우이치
    노다 우이치는 일본의 관료 출신 정치인으로, 대장차관, 건설상, 행정관리청 장관, 경제기획청 장관 등을 역임했으며,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에 출마하기도 했다.
  • 일본의 건설대신 - 사토 에이사쿠
    사토 에이사쿠는 철도성 공무원 출신으로 일본 총리를 지낸 자유민주당의 주요 정치인으로, 오키나와 반환을 성사시키고 경제 호황을 이끌었으나 닉슨 쇼크와 오키나와 밀약 등으로 비판받았으며 노벨 평화상을 수상한 인물이다.
  • 일본의 건설대신 - 노다 우이치
    노다 우이치는 일본의 관료 출신 정치인으로, 대장차관, 건설상, 행정관리청 장관, 경제기획청 장관 등을 역임했으며,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에 출마하기도 했다.
무라카미 이사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무라카미 이사무
무라카미 이사무
이름무라카미 이사무
원어명村上 勇
로마자 표기Murakami Isamu
출생일1902년 4월 7일
출생지오이타현 미나미아마베군 오뉴지마촌 (현재의 사에키시)
사망지도쿄도
국적일본
학력
출신교와세다공수학교 (현재의 와세다대학예술학교)
정치 경력
소속 정당일본자유당→민주자유당→자유당→자유민주당
직책제8·35대 우정대신
내각제3차 하토야마 이치로 내각
미키 내각
임기 시작1955년 11월 22일
임기 종료1956년 12월 23일
1974년 12월 9일 - 1976년 9월 15일
직책 2제18대 건설대신
제17대 홋카이도 개발청 장관
제6대 수도권정비위원회 위원장
내각 2제2차 기시 개조 내각
임기 시작 21959년 6월 18일
임기 종료 21960년 7월 19일
직책 3중의원 의원
선거구 3오이타 1구
당선 횟수 314회
임기 시작 31946년 4월 11일
임기 종료 31983년 11월 28일
형제자매동생: 무라카미 하루조

2. 생애

무라카미 이사무는 1902년부터 1991년까지 활동한 일본의 정치인이다. 오이타현 출신으로, 건설업계에서 일하다가 정치에 입문하여 자유민주당 소속 중의원 의원을 지냈다. 우정대신과 건설대신을 역임했으며, 일본유족회 회장을 맡기도 했다.

오노 반보쿠의 파벌에서 활동하며 성장했으며, 오노 사후 파벌 분열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79년 총선에서 낙선했다가 다음 해 복귀했으나, 1983년 정계에서 은퇴했다.

2. 1. 정치 입문 이전

1902년 4월 7일 오이타현 미나미아마베군 오뉴지마촌(현 사이키시)에서 토건업자 무라카미 케사마츠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와세다공수학교(현 와세다 대학 예술학교)를 1918년에 졸업한 뒤, 토비시마구미(현 토비시마 건설)를 거쳐 건설회사를 세워 1944년엔 무라카미구미의 후신인 야마토 토건의 사장이 되었다.

2. 2. 정치 경력

1946년 총선에 일본자유당 공천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하였다. 오노 반보쿠 파벌인 목정회에 소속되어 활동했다. 무라카미는 오노를 처음 만났을 때 좋은 인상을 받지 못했지만, 한 신문 기자가 마련해준 자리에 반강제로 참여했다가 오노와 의기투합하게 되었다. 쇼와전공 사건으로 오노가 투옥되었을 때 간다 히로시 등과 함께 면회를 갔으며 소송 비용까지 마련해줄 정도로 친해졌다. 의리있고 성실하며 일솜씨가 있었기에 오노의 인정을 받았다.

1955년 보수합동으로 자유민주당이 창당되자 참여했다. 제3차 하토야마 이치로 내각에서 우정대신, 제2차 기시 내각 (개조)에서 건설대신을 역임하며 주요 정치인으로 성장했다.

1964년 오노가 사망한 뒤 목정회는 파벌내 입각 문제로 다툼이 발생하여 분열하게 되었다. 무라카미가 중심이 된 일양회와 후나다 나카, 미즈타 미키오등이 중심이 된 일신회로 쪼개졌다. 1971년 미즈타가 나카가와 이치로 등을 설득해 일신회를 이탈해 일양회에 합류하자 무라카미는 파벌 회장직을 미즈타에게 양도했다.

1974년 미키 내각에서 두 번째 우정대신으로 입각했다. 1977년 10월 일본유족회장에 취임했다.

1979년 총선에서 낙선했지만, 다음 해 총선에서 승리하며 정계에 복귀했다. 하지만 노령을 이유로 다음 총선에 불출마하면서 정계를 은퇴했다. 지역구는 에토 세이시로가 물려받았다.

2. 3. 파벌 활동

1964년 오노 반보쿠가 사망하자 목정회 내에서 입각 문제로 다툼이 발생했다. 이는 결국 파벌의 분열로 이어져, 목정회는 후나다 나카, 미즈타 미키오 등이 중심이 된 일신회와 무라카미가 중심이 된 일양회(무라카미 파)로 분열되었다. 1971년, 미즈타 미키오나카가와 이치로 등을 설득해 일신회를 이탈해 일양회에 합류하자 무라카미는 파벌 회장직을 미즈타에게 양도했다.

2. 4. 각료 및 기타 경력

1974년 미키 내각에서 두 번째 우정대신을 역임했다. 1977년 일본유족회 회장에 취임했다. 원문에 중의원 징벌위원장, 중의원 인사위원장, 자유민주당 국회대책위원장 등을 역임했다는 내용은 나타나 있지 않으므로 해당 내용은 삭제한다.

2. 5. 정계 은퇴와 사망

1979년 제3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낙선했지만, 1980년 제3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78세의 고령에도 불구하고 득표수 1위로 화려하게 복귀했다. 1983년 고령을 이유로 정계를 은퇴했으며, 지역구는 에토 세이시로가 물려받았다. 1991년 1월 28일, 8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3. 평가 및 논란

무라카미 이사무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긍정적으로는 그의 정치적 수완과 지도력을 꼽을 수 있다. 하지만 요미우리 신문 정치부 기자 와타나베 츠네오는 오노 반보쿠와 친분이 있었으며, 무라카미를 싫어하여 후원 기업들에게 무라카미 파에 대한 정치 헌금 중단을 요청하기도 했다. 이는 무라카미의 자금줄을 좁히는 데 어느 정도 영향을 주었다.

3. 1. 논란

요미우리 신문 정치부 기자 와타나베 츠네오는 오노 반보쿠와 깊은 관계를 맺고 있었는데, 무라카미를 싫어하여 후원 기업에게 무라카미 파에 대한 정치 헌금을 중단하고 후나다 파에 일원화하도록 요청하는 인사장에 발신인으로 이름을 올렸다. 이 때문에 무라카미의 자금줄이 더욱 좁아져서 어느 정도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4. 역대 선거 기록

선거명선거구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당락비고
1946년 총선거오이타현자유당3위당선중선거구제
1947년 총선거오이타현 제1구자유당37,432표14.6%2위당선중선거구제
1949년 총선거오이타현 제1구민주자유당59,590표21.3%1위당선중선거구제
1952년 총선거오이타현 제1구자유당58,932표18.4%2위당선중선거구제
1953년 총선거오이타현 제1구자유당54,645표16.8%3위당선중선거구제
1955년 총선거오이타현 제1구자유당58,325표17.5%4위당선중선거구제
1958년 총선거오이타현 제1구자유민주당79,748표22.1%1위당선중선거구제
1960년 총선거오이타현 제1구자유민주당82,330표23.1%1위당선중선거구제
1963년 총선거오이타현 제1구자유민주당86,440표24.4%1위당선중선거구제
1967년 총선거오이타현 제1구자유민주당70,735표19.1%1위당선중선거구제
1969년 총선거오이타현 제1구자유민주당72,408표19.1%1위당선중선거구제
1972년 총선거오이타현 제1구자유민주당77,849표18.7%2위당선중선거구제
1976년 총선거오이타현 제1구자유민주당81,265표19%2위당선중선거구제
1979년 총선거오이타현 제1구자유민주당66,772표14.8%5위낙선중선거구제
1980년 총선거오이타현 제1구자유민주당104,522표21.8%1위당선중선거구제


5. 저서

激動35年の回想|격동 35년의 회상일본어 (무라카미 이사무 사무소, 1984년)

6. 기타

(원문 소스 부족으로 내용 작성 불가)

6. 1. 초기 무라카미 파 멤버


  • 이나무라 사콘시로
  • 오노 아키라
  • 칸다 히로시
  • 사토 후미오
  • 타무라 하지메
  • 토쿠야스 지츠조
  • 하라다 켄
  • 후쿠다 아츠야스
  • 미하라 아사오


출처: 아사히 신문 정치부 편, 『정당과 파벌』(아사히 신문, 1968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