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위 계단 함수는 0보다 작은 값에서는 0, 0 이상인 값에서는 1을 갖는 구간 함수이다. 헤비사이드 함수라고도 불리며, 아이버슨 괄호, 지시 함수, 부호 함수의 선형 변환 등을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H(0)의 값은 1/2, 1, 0 등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이는 함수의 그래프, 연속성, 해석적 근사 등과 관련된다. 또한, 디랙 델타 함수의 적분으로 표현되며, 램프 함수의 미분, 푸리에 변환, 라플라스 변환 등 다양한 변환을 통해 나타낼 수 있다.
2. 정의
헤비사이드 단위 계단 함수(Heaviside unit step function)는 x ≥ 0 일 때 1, x < 0 일 때 0의 값을 갖는 함수이다. 헤비사이드 함수는 다음과 같이 여러 방법으로 정의할 수 있다.
H영어는 대개 적분에 사용되며, 함수가 단일 지점에서 갖는 값은 적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H(0)영어에 어떤 특정 값을 선택하든 거의 중요하지 않다. 실제로 H영어를 분포 또는 L의 원소(L 공간 참조)로 간주하면, 이러한 객체는 거의 모든 곳에서만 정의되므로 0에서의 값을 논하는 것조차 의미가 없다. 만약 몇몇 해석적 근사(위에 있는 예시와 같이)를 사용한다면, 0에서의 관련 극한값이 무엇이든 종종 사용된다.
특정 값을 선택하는 데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
H(0) = 1/2영어가 종종 사용되는데, 이는 그래프가 회전 대칭을 갖기 때문이다. 다른 말로, H - 1/2영어는 기함수이다. 이 경우, 부호 함수와의 다음 관계가 모든 x영어에 대해 성립한다.
:
: 또한, 모든 x에 대해 H(x) + H(-x) = 1이다.
H(0) = 1영어은 H영어가 우연속이어야 할 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누적 분포 함수는 일반적으로 우연속으로 취급되며, 르베그-스틸체스 적분에서 적분되는 함수도 그러하다. 이 경우, H영어는 닫힌 반무한 구간의 지시 함수이다.
:
: 이에 해당하는 확률 분포는 퇴화 분포이다.
H(0) = 0영어은 H영어가 좌연속이어야 할 때 사용된다. 이 경우, H영어는 열린 반무한 구간의 지시 함수이다.
:
최적화 및 게임 이론과 같은 함수 해석학적 맥락에서, 제한 함수의 연속성을 유지하고 특정 해의 존재를 보장하기 위해 헤비사이드 함수를 다중 값 함수로 정의하는 것이 종종 유용하다. 이러한 경우, 헤비사이드 함수는 가능한 해의 전체 구간 H(0) = [0,1]영어을 반환한다.
계단 함수는 x < 0영어 또는 x > 0영어의 범위에서 연속이지만, x = 0영어에서 값 c영어를 취하는 계단 함수는 다음과 같다.
:
위 함수를 실수 전체의 집합 위의 함수 로 생각하면, c영어를 어떻게 정하든 원점 x = 0영어에서 불연속이다. c영어의 값은 필요에 따라 편리한 값을 선택할 수 있지만, c = 0, 1/2, 1영어 등이 종종 사용되며, 각각 다음과 같다.
{2|x|} & (x \neq 0)
\end{cases}
\end{align}
|
|
|}
또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
:
:
여기서 함수 sgn영어은 부호 함수이다.
4. 해석적 근사
생화학 및 신경과학에서는 단위 계단 함수에 대한 근사가 유용하며, 여기서 계단 함수의 로지스틱 근사(예: 힐 방정식 및 미카엘리스-멘텐 방정식)은 화학 신호에 대한 바이너리 세포 스위치를 근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더 큰 는 에서 더 날카로운 전환에 해당한다. 만약 를 사용하면, 극한에서 등식이 성립한다.
:
계단 함수에 대한 다른 많은 매끄럽고 해석적인 근사가 있다.[1] 가능한 것들 중에는 다음이 있다.
:
:
이 극한은 점별 수렴과 분포의 의미에서 성립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점별 수렴은 분포 수렴을 의미하지 않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하지만 점별 수렴하는 함수 시퀀스의 모든 멤버가 어떤 "좋은" 함수에 의해 균일하게 제한되어 있으면, 분포의 의미에서도 수렴이 성립한다.)
일반적으로, 0 주위에 뾰족하고 분산을 제어하는 매개변수를 가진 연속 분포의 모든 누적 분포 함수는 분산이 0에 접근하는 극한에서 근사로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의 세 가지 근사는 모두 일반적인 확률 분포의 누적 분포 함수이다. 각각 로지스틱 분포, 코시 분포, 정규 분포이다.
단위 계단 함수의 푸리에 변환은 분포이다. 푸리에 변환의 정의에 대한 상수 중 하나를 사용하여 다음을 얻을 수 있다.
:
여기서 p.v.는 시험 함수를 의 코시 주요값으로 보내는 분포이다. 적분에 나타나는 극한은 (완전) 분포의 의미로도 취해진다.
7. 2. 라플라스 변환
헤비사이드 계단 함수의 라플라스 변환은 메로모픽 함수이다. 단측 라플라스 변환을 사용하면 다음을 얻는다.
:
양측 변환을 사용할 경우 적분을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으며 결과는 동일하다.
참조
[1]
서적
Heaviside Step Function
https://mathworld.wo[...] [2]
서적
The Fourier transform and its applications
McGraw-Hill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