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의 요정 세일러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달의 요정 세일러문은 1992년부터 1997년까지 일본에서 방영된 인기 애니메이션 시리즈이다. 평범한 소녀 츠키노 우사기가 루나라는 고양이와의 만남을 통해 세일러문으로 각성하여 악의 세력에 맞서 싸우는 이야기로, 세일러 전사들의 활약과 우정을 그린다. 시리즈는 5개의 시즌으로 구성되었으며, 다양한 적대 세력과의 전투, 새로운 캐릭터의 등장, 그리고 세일러 스타라이츠와의 최종 결전을 다루며, 1994년에 KBS를 통해 한국에서도 방영되어 큰 인기를 얻었다. 이 작품은 마법소녀물의 새로운 장을 열었으며, 강한 여성 캐릭터와 사회적 다양성을 반영하여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슈퍼히어로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 히어로 인사이드
히어로 인사이드는 만화 속 슈퍼 히어로가 현실에 나타나 상상력이 있는 사람들과 함께 히어로 파티를 벌이는 이야기를 그린 KBS 1TV 애니메이션으로, 다양한 히어로와 빌런들이 등장한다. - 슈퍼히어로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 슈퍼 히어로 스쿼드
슈퍼 히어로 스쿼드는 마블 코믹스 슈퍼 히어로들이 닥터 둠, 타노스, 다크 서퍼 등에 맞서 싸우는 활약을 그린 미국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시리즈로, 카툰 네트워크와 디즈니+에서 방영되었고 관련 비디오 게임과 만화 시리즈도 제작되었다. - 천문을 소재로 한 작품 - 코스모스 (1980년 텔레비전 프로그램)
코스모스는 칼 세이건이 기획, 제작, 진행하고 앤 드루얀과 스티븐 소터가 공동 집필한 13부작 과학 다큐멘터리 텔레비전 프로그램으로, 천문학, 물리학, 역사, 철학 등 다양한 분야를 융합하여 우주의 신비와 인류의 과학적 탐구를 탐구하며, 칼 세이건의 인문학적 성찰과 과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우주와 인간의 관계에 대한 깊이 있는 질문을 던지는 동시에 과학 다큐멘터리 제작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는다. - 천문을 소재로 한 작품 - 장영실 (드라마)
2016년 KBS1에서 방영된 24부작 대하드라마 장영실은 조선시대 과학자 장영실의 일대기를 그린 퓨전 사극으로, 세종의 총애를 받아 조선 과학 기술 발전에 기여한 그의 삶을 다루며 역사 왜곡 논란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약자에게 희망을 주는 메시지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달의 요정 세일러문 - 타케우치 나오코
타케우치 나오코는 1967년 야마나시현에서 태어난 일본의 만화가로, 《세일러 문》 시리즈로 성공하여 고단샤 만화상을 수상했으며, 현재는 관련 작품의 감수를 담당한다. - 달의 요정 세일러문 - 달의 요정 세일러문 (만화)
다케우치 나오코의 만화를 원작으로 토에이 애니메이션에서 제작한 《달의 요정 세일러문》은 TV 애니메이션 시리즈를 시작으로 다양한 미디어 믹스 작품으로 제작되어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은 마법소녀 장르의 대표작이다.
달의 요정 세일러문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장르 | 마법소녀 |
애니메이션 정보 | |
원제 | (Bishōjo Senshi Sērā Mūn) |
감독 | 사토 준이치 (시즌 1) 이쿠하라 쿠니히코 (R–SuperS) 이가라시 타쿠야 (Sailor Stars) |
프로듀서 | 이리야 아즈마 (시즌 1–SuperS) 켄지 오타 토시히코 아리사코 (SuperS–Sailor Stars) 코이치 야다 (SuperS–Sailor Stars) |
각본 | 스케히로 토미타 (시즌 1–S) 에노키도 요지 (SuperS) 야마구치 료타 (Sailor Stars) |
음악 | 아리사와 타카노리 |
제작사 | 도에이 애니메이션 |
방송사 | ANN (TV 아사히) }} |
방영 기간 | 1992년 3월 7일 ~ 1997년 2월 8일 |
시즌 수 | 5 |
에피소드 수 | 200 + 3개의 TV 스페셜 |
에피소드 목록 | 세일러문 에피소드 목록 |
기타 | 스페셜판은 'SuperS' 방영 기간 중에 방영됨 |
극장판 애니메이션 시리즈 | |
등장인물 및 성우 | |
츠키노 우사기 | 미츠이시 코토노 |
미즈노 아미 | 히사카와 아야 |
히노 레이 | 토미자와 미치에 |
키노 마코토 | 시노하라 에미 |
아이노 미나코 | 후카미 리카 |
지바 마모루 | 후루야 토오루 |
루나 | 한 케이코 |
아르테미스 | 코토 야스히로 |
치비우사 (R부터) | 아라키 카에 |
메이오 세츠나 (R부터) | 카와시마 치요코 |
카이오 미치루 (S부터) | 카츠키 마사코 |
텐오 하루카 (S부터) | 오가타 메구미 |
토모에 호타루 (S부터) | 미나구치 유코 |
다이아나 (SuperS부터) | 니시하라 쿠미코 |
호시노 히카루 (스타즈부터) | 니이야마 시호 |
오오키 코우 (스타즈부터) | 츠노다 나루미 |
야텐 히카루 (스타즈부터) | 사카모토 치카 |
카큐 프린세스 (스타즈부터) | 타마가와 사키코 |
치비치비 (스타즈부터) | 미츠이시 코토노 |
2. 시리즈 구성
토에이 동화가 제작한 『미소녀전사 세일러문』 시리즈는 1992년 3월 7일부터 1997년 2월 8일까지 총 5개의 시리즈로 방영되었다. 다케우치 나오코의 원작 만화를 바탕으로 했지만, 대중성을 위해 큰 줄거리는 유지하면서도 많은 부분이 각색되고 설정이 변경되었다.
한국에서는 1994년 비디오로 처음 소개되었고, 1997년 KBS 2TV와 투니버스에서 《달의 요정 세일러문》이라는 제목으로 방영되었다. 2012년 9월 3일부터 2016년 6월 24일까지는 대원방송 계열 채널인 애니원과 애니박스에서 극장판을 포함한 모든 에피소드를 재더빙하여 방영했다.
각 시리즈는 원작 만화의 주요 스토리 아크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애니메이션은 원작의 큰 줄거리를 따르지만, "약간 남성적인 관점"을 가지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 등[12] 세부적인 면에서는 차이점이 있다.
시리즈마다 아이캐치가 새롭게 제작되었는데, 시리즈 초반에는 몇 가지 차이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R 47화까지는 전반부와 후반부 아이캐치가 동일했고, SuperS 90화에서는 "S"의 색깔이 반전되었으며, 스타즈 167~172화에서는 효과음이 없었다.
원작자 다케우치 나오코는 캐릭터, 설정, 스토리 원안, 주제가 및 캐릭터송 작사 등 다양한 방식으로 시리즈에 참여했지만, 작품의 방향성 등을 두고 제작진과 갈등을 겪었다고 알려져 있다.
2. 1. 일본판 세일러문 (1기)
1992년 3월 7일부터 1993년2월 27일까지 총 46화가 방송되었다. 츠키노 우사기/세일러 문이 세일러 전사로 각성하고, 다른 세일러 전사들과 함께 다크 킹덤에 맞서 싸우는 이야기가 전개된다.츠키노 우사기(세레나)는 루나라는 마법 고양이와 만나 세일러 문으로 변신하는 능력을 얻는다.[5][6][7] 처음에는 자신의 운명을 받아들이지 못했지만, 점차 악과 싸우는 것의 중요성을 깨닫는다.[8]
퀸 베릴이 이끄는 다크 킹덤은 인간의 에너지를 빼앗고, 「幻の銀水晶」|Maboroshi no Ginzuishō|환상의 은수정일본어을 찾기 위해 요마를 소환한다. 우사기는 세일러 머큐리(미즈노 아미), 세일러 마스(히노 레이), 세일러 주피터(키노 마코토), 세일러 비너스(아이노 미나코)와 함께 싸운다. 이들은 턱시도 가면(치바 마모루)의 도움을 받기도 한다.
우사기는 달의 공주 프린세스 세레니티로 각성하고 은수정을 얻지만, 마모루는 다크 킹덤에 붙잡힌다. 세일러 전사들은 과거 실버 밀레니엄에서 세레니티의 친구이자 보디가드였으며, 세레니티는 지구의 왕세자 엔디미온(마모루)을 사랑했다. 그러나 다크 킹덤의 공격으로 실버 밀레니엄은 파괴되었고, 퀸 세레니티는 은수정의 힘으로 퀸 메타리아를 물리치고 세일러 전사들을 지구에서 다시 태어나게 했다.
세일러 전사들은 북극에서 다크 킹덤을 찾아가지만, DD 걸스로부터 우사기를 보호하려다 죽는다. 우사기는 세뇌된 마모루를 해방시키지만, 마모루는 퀸 베릴을 쓰러뜨리는 동시에 우사기를 보호하다 죽는다. 우사기는 은수정을 사용하여 퀸 베릴을 물리치고, 자신과 세일러 전사들, 마모루를 부활시킨다. 지구는 정상으로 돌아오고, 모두 (아르테미스와 루나 제외) 이 사건을 기억하지 못한다.
세일러 전사의 변신 뱅크는 "메이크 업!" 주문과 함께 신체조 스타일로 묘사되며, 후속 작품에 영향을 주었다.[96] 변신 뱅크는 초전자로보 콤바트라V의 로봇 합체 장면을 기반으로 했으며, 40초 이상으로 길게 제작되었다.[96] 변신 뱅크의 그림 콘티와 연출은 대부분 첫 등장 회를 연출한 애니메이터들이 담당했다.
초반에는 우사기가 "변장 펜"으로 일하는 여성으로 변신하여 정보 수집을 하는 마법 소녀 요소도 있었다. 우사기, 아미, 레이 3인 체제로 진행되다가 중반에 마코토, 종반에 미나코가 합류했다.
우사기, 레이, 마모루의 삼각관계, 우사기의 친구 오사카 나루와 사천왕 네프라이트의 비련, 사천왕 쿤차이트와 조이사이트의 게이 커플 관계 등 원작과 다른 연애 양상이 펼쳐졌다.
제45화에서 주피터, 머큐리, 비너스, 마스가 전사하고, 최종화인 제46화에서 턱시도 가면과 세일러 문도 사망하는 충격적인 전개가 그려졌다.[118] 최종화에서 우사기 일행은 은수정의 힘으로 환생하고, 본편의 역사도 말소되었지만, 인간관계는 차기작 이후에도 이어졌다.
2. 2. 일본판 세일러문 R (2기)
1993년 3월 6일부터 1994년 3월 12일까지 총 43화(47~89화)가 방송되었다. 이야기는 전작 최종화의 라스트 씬 시점으로부터 2개월 후부터 시작된다.[119]전작의 호평을 받아 급하게 시리즈화되었기 때문에, 이야기 진행이 원작을 따라잡지 않도록, 처음 13화까지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스토리인 "마계수 편"을 방송했다. 마계수 편에서는 전작의 기억을 잃은 우사기 일행의 재결집이 그려지고, 오리지널 캐릭터 에일/은하성 쥬로와 안/은하 나츠미, 달 그림자 기사(나이트)가 등장한다.
14화부터는 원작 제2기에 해당하는 "블랙 문 일족 편"을 방송하였다. 미래에서 온 소녀 치비우사와 새로운 세일러 전사 세일러 플루토가 처음 등장하고, 치비우사의 목숨을 노리는 블랙 문 일족과의 싸움이 그려졌다.
59화에서 초대 시리즈 디렉터(SD)인 사토 준이치가 하차하고(이후에도 연출로 참가), 60화부터 이쿠하라 쿠니히코로 교체되었다. 또한, 이 작품을 마지막으로 초대 캐릭터 디자이너인 타다노 카즈코가 하차하였다.
'R'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119] 토에이 동화 측은 "로맨스"의 머리글자로 해석했다.[119] TV 아사히 측은 "리턴즈", "윤회전생", "(주인공 츠키노 우사기의 이름에서) 래빗"의 머리글자라는 설도 있다고 했으며[119], 홍보부는 보는 측에서 자유롭게 판단해주길 바란다고 코멘트했다.[119]
2. 3. 일본판 세일러문 S (3기)
1994년 3월 19일부터 1995년 2월 25일까지 총 38화(90~127화)가 방송되었다. 원작 3기 '데스 버스터즈 편'에 해당하며, 텐오 하루카/세일러 우라누스, 카이오 미치루/세일러 넵튠, 세일러 플루토가 새롭게 등장한다.[97]우사기들은 중학교 3학년으로 진급하고, 치비우사는 세일러 전사 견습생인 세일러 치비 문으로 돌아온다. 외부 태양계 전사인 세일러 우라누스, 넵튠, 플루토는 데스 버스터즈와의 전투에 합류한다.
이 시리즈에서는 '퓨어한 마음'을 가진 인간에게 숨겨진 아이템 '탈리스만'을 찾는 데스 버스터즈와 이들을 막으려는 세일러 전사들 간의 대립이 그려진다. 특히, 우사기의 도덕주의와 하루카, 미치루의 현실주의 간의 갈등이 중요한 축을 이룬다. 중반부에는 멸망 직전의 세계를 파괴할 수 있는 세일러 새턴과 '진정한 구세주(메시아)'가 얻는 아이템 '전설의 성배'를 둘러싼 삼파전이 벌어진다.[97]
캐릭터 디자인은 이토 이쿠코로 변경되었으며, 이 작품을 마지막으로 초대 시리즈 구성이었던 토미타 요시히로가 하차한다.[97]
동성애가 메인 테마는 아니지만, 텐오 하루카와 카이오 미치루의 등장 이후, 백합 팬덤이 남성에게까지 확대되는 현상이 나타났다.[98]
2. 4. 일본판 세일러문 SuperS (4기)
1995년 3월 4일부터 1996년 3월 2일까지 총 39화(128~166화, 스페셜 1화)가 방송되었다. 치비우사와 페가수스의 만남, 그리고 데드 문 서커스와의 대결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진행된다.[97]치비우사는 꿈속에서 알리콘인 페가수스를 만나 비밀스러운 관계를 맺는다. 페가수스는 세일러 전사들을 영구적인 슈퍼 형태로 업그레이드하고 치비우사가 소환할 때 힘을 빌려주는 방식으로 돕는다. 이 새로운 힘은 아름다운 꿈을 가진 인간들을 노리는 신비한 서커스 단체인 데드 문 서커스와 싸우는 데 사용된다. 데드 문 서커스는 지르코니아와 그녀의 하수인인 아마존 트리오가 이끌며, 페가수스가 골든 크리스탈을 가지고 있다고 믿고 인간의 드림 미러를 조사하여 페가수스를 찾으려고 한다. 이 크리스탈로 데드 문 서커스의 지배자인 퀸 네헤레니아는 봉인된 거울에서 풀려날 수 있다.
퀸 네헤레니아는 한때 자신의 왕국의 여왕이었지만 허영심에 사로잡혔다. 그녀는 아름다움을 잃을까 두려워 젊음을 유지하기 위해 백성들의 꿈을 삼켰다. 그녀는 헬리오스(페가수스의 진정한 모습)라는 사제가 소유한 골든 크리스탈을 찾았고, 그 결과 퀸 세레니티에 의해 거울 속에 봉인되었다. 퀸 네헤레니아는 페가수스를 추적할 목적으로 데드 문 서커스를 조직했다. 그녀는 골든 크리스탈을 얻지만, 그녀의 하수인인 아마조네스 쿼르텟에 의해 배신당하여 크리스탈을 치비우사에게 넘겨준다. 퀸 네헤레니아는 크리스탈을 사용하여 패배하고 노화로 시들기 시작하여, 한때 봉인되었던 거울로 다시 들어가게 된다. 헬리오스는 자신의 고향인 엘리시온으로 돌아간다.
천왕성과 해왕성은 데드 문 서커스의 위협을 알고 있지만, 다른 사람들이 그들의 개입 없이도 스스로 처리할 수 있다고 판단하는 에피소드 스페셜에 등장한다. 만화와 달리, 외부 태양계 세일러 전사들은 명왕성과 토성을 포함하여, 다음 시즌까지 이 스토리 아크의 애니메이션 각색에 언급되거나 관여하지 않는다.
초기(128 - 131화)의 오프닝에서는 타이틀명이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SS』로 표기되었지만, "『SS』 부분이 하켄크로이츠(갈고리 십자)를 연상시킨다"는 클레임이 붙어, 1시간 스페셜 방송분부터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SuperS』 표기로 변경되었다. 그 영향으로, 영상 소프트에서는 오프닝의 타이틀 표기가 본 방송의 1시간 스페셜 이후의 버전으로 교체되었다.
2. 5. 일본판 세일러문 Sailor Stars (5기)
1996년 3월 9일부터 1997년 2월 8일까지 총 34화(167~200화)가 방송되었다. 처음 6화는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스토리인 "네헤레니아 부활 편"으로, 외부 태양계 세일러 전사들도 재결집하여 처음으로 레귤러 멤버들이 모두 모였다.[10]7화부터는 원작 5기에 해당하는 "섀도우 갤럭티카 편"이 방송되었다. 이 시리즈에서는 세일러 스타 파이터/호시노 코우, 세일러 스타 메이커/타이키 코우, 세일러 스타 힐러/야텐 코우, 세일러 치비치비/치비치비가 등장한다.[10]
우사기는 고등학생이 되었고, 우사기와 마모루, 그리고 호시노 코우의 삼각관계를 중심으로 특별한 인간이 가진 "진정한 스타 시드"를 찾는 섀도우 갤럭티카와의 싸움이 펼쳐진다.[10]
감독은 이가라시 타쿠야로 교체되었고, 캐릭터 디자인은 타메가이 카츠미, 시리즈 구성은 야마구치 료타로 변경되었다.[10]
4기까지는 "미소녀 전사"가 부제목처럼 2단 표기되었으나, 이번 시리즈에서는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까지가 부제목이 되고 그 아래에 "세일러 스타즈"를 크게 표시하는 형태로 바뀌었다. 오프닝(OP) 곡도 "문라이트 전설"에서 "세일러 스타 송"으로 변경하는 등, 이미지를 새롭게 바꾸었다.[10]
3. 등장인물
달의 요정 세일러문은 여러 적대 세력과 맞서 싸우는 세일러 전사들의 이야기를 다룬다. 주요 등장인물은 크게 세일러 전사 및 협력자, 그리고 그들과 대립하는 적대 세력으로 나눌 수 있다.
세일러 전사 측에는 주인공인 츠키노 우사기를 비롯하여, 미즈노 아미, 히노 레이, 키노 마코토, 아이노 미나코 등이 있다. 이들은 다크 킹덤을 시작으로 블랙 문 일족, 데스 버스터즈, 데드 문 서커스, 섀도우 갤럭티카 등 다양한 적들과 맞서 싸운다.
각 시리즈별 주요 적대 세력과 간부들은 다음과 같다.
시리즈 | 적대 세력 | 주요 간부 |
---|---|---|
1기 (달의 요정 세일러문) | 다크 킹덤 | 퀸 베릴, 4천왕 (제다이트, 네프라이트, 조이사이트, 쿤차이트) |
2기 (달의 요정 세일러문 R) | 블랙 문 일족 | 프린스 데이먼드, 주홍의 루베우스, 청색의 사피르, 녹색의 에스메로드, 블랙 문 4자매 |
3기 (달의 요정 세일러문 S) | 데스 버스터즈 | 토모에 소이치 교수, 카오리나이트, 위치스 5 |
4기 (달의 요정 세일러문 SuperS) | 데드 문 서커스 | 지르코니아, 아마존 트리오, 아마조네스 쿼르텟, 네헤레니아 |
5기 (달의 요정 세일러문 세일러 스타즈) | 섀도우 갤럭티카 | 세일러 갤럭시아, 세일러 아니마메이츠 |
3. 1. 세일러 전사 및 협력자
츠키노 우사기(세레나)는 루나라는 마법 고양이와 만나면서 세일러 문으로 변신할 수 있는 능력을 얻게 된다.[5][6][7] 우사기는 자신의 운명을 받아들이고 악과 싸우는 것의 중요성을 깨닫는다.[8]우사기는 다크 킹덤과 싸우면서 미즈노 아미, 히노 레이, 키노 마코토, 아이노 미나코 등 다른 세일러 전사들과 합류한다. 미나코는 루나의 파트너인 아르테미스와 함께한다. 턱시도 가면은 대학생인 치바 마모루라는 민간인 모습을 가지고 있으며, 우사기와 로맨틱한 관계를 맺는다.
우사기는 달의 공주 프린세스 세레니티로 깨어나고, 세일러 전사들은 실버 밀레니엄에서의 과거 삶을 알게 된다. 세레니티는 지구의 왕세자 엔디미온(마모루의 과거 정체성)과 사랑했지만, 다크 킹덤의 공격으로 실버 밀레니엄은 파괴되고 세레니티, 엔디미온, 세일러 전사들은 죽음을 맞이한다. 퀸 세레니티는 실버 크리스탈의 힘으로 퀸 메타리아를 물리치고, 쓰러진 전사들을 지구에서 다시 태어나게 한다.
에일과 안이라는 외계인 쌍둥이가 지구로 온 후, 루나는 세일러 전사들의 기억을 되살린다. 이후 치비우사가 미래에서 오고, 세일러 전사들은 치비우사와 함께 미래로 가서 네오 퀸 세레니티가 된 우사기를 만난다. 치비우사는 우사기와 마모루의 딸이며, 세일러 플루토는 시공간의 문을 지킨다.
얼마 후, 세일러 전사들은 데스 버스터즈와 마주한다. 텐오 하루카와 카이오 미치루가 합류하고, 메이오 세츠나와 치비우사도 돌아온다. 치비우사는 페가수스를 만나고, 페가수스는 세일러 전사들을 슈퍼 형태로 업그레이드한다.
세일러 우라누스, 세일러 넵튠, 세일러 플루토, 세일러 새턴은 더욱 강력해진 슈퍼 형태로 돌아와 다른 전사들을 돕는다. 세일러 갤럭시아는 네헤레니아 여왕을 해방시켜 세일러 문에게 복수하도록 부추긴다.
마모루는 유학을 떠나고, 우사기와 친구들은 아자부 고등학교에 입학한다. 치비우사는 자신의 시대로 돌아가고, 세일러 애니마메이츠가 세일러 갤럭시아의 지휘 아래 스타 시드를 노린다. 우사기는 세일러 스타라이츠 (코우 세이야, 코우 타이키, 코우 야텐)의 도움을 받고, 치비 치비가 우사기와 함께 살게 된다.
3. 2. 적대 세력
다크 킹덤, 블랙 문 일족, 데스 버스터즈, 데드 문 서커스, 갤럭시아와 그 부하 섀도우 갤럭티카 등 다양한 적대 세력이 등장한다.- '''다크 킹덤'''은 퀸 베릴이 이끌며, 인간의 에너지를 빼앗아 퀸 메타리아에게 바치고, 은수정을 찾기 위해 요마를 소환한다. 주요 간부로는 퀸 베릴, 제다이트, 네프라이트, 조이사이트, 쿤차이트가 있다.
- '''블랙 문 일족'''은 와이즈 맨의 조종을 받아 지구를 파괴하려는 세력이다. 주요 간부로는 프린스 데이먼드, 주홍의 루베우스, 청색의 사피르, 녹색의 에스메로드와 블랙 문 4자매(페츠, 케라베라스, 베르체, 코안)가 있다.
- '''데스 버스터즈'''는 미스트리스 9을 부활시키기 위해 순수한 하트 크리스탈을 모으는 조직이다. 토모에 소이치 교수가 이끌며, 카오리나이트와 위치스 5(유지얼, 미메트, 테루루, 빌루이, 시프린, 푸치롤)가 주요 간부이다.
- '''데드 문 서커스'''는 지르코니아가 이끌며, 골든 크리스탈을 가진 페가수스를 찾기 위해 인간의 드림 미러를 조사한다. 아마존 트리오(타이거즈 아이, 호크스 아이, 피쉬아이)와 아마조네스 쿼르텟(세레세레, 쥰쥰, 파라파라, 베스베스)이 주요 간부이다. 이들의 배후에는 네헤레니아가 있다.
- '''섀도우 갤럭티카'''는 세일러 갤럭시아가 이끌며, 인간의 스타 시드를 노린다. 세일러 아니마메이츠(세일러 아이언 마우스, 세일러 일루미나 세이렌, 세일러 레드 크로우, 세일러 틴 냥코)가 주요 간부이다.
4. 한국 방영
한국에서는 1994년에 1기만 우리말 녹음되어 대원씨아이에서 VHS로 출시되었으며, 당시 제목은 '세일러문'이었다.
1997년 4월 1일부터 KBS 2TV에서 '달의 요정 세일러문'이라는 제목으로 방송되었으나, 일부 에피소드나 장면은 방영되지 않았다. 방송위원회(現)의 만화 사전심의 과정에서 4기인 SuperS가 선정적이고 어린이 정서에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방송 불가 판정을 받아, 3기인 S의 마지막 화를 끝으로 1997년 9월 8일에 조기 종영되었다.[141] 그러나 종영 반대 서명운동으로 인해 1997년 12월 3일부터 SuperS의 중반부 에피소드부터 방영이 재개되어 1998년 6월 11일에 세일러 스타즈까지 완결되었다. KBS에서는 R, S, SuperS 등의 부제를 붙이지 않고 처음부터 끝까지 '달의 요정 세일러문'이라는 제목으로 방영했다. 그러다가 2000년 1월 12일부터 1기만 재편성해 6월 7일까지 매주 수~목 오후 6시 15분마다 방영했다.
2012년 9월 3일부터 대원방송에서 '달의 요정 세일러문'이라는 제목으로 극장판까지 포함해 새로이 목소리를 녹음해 방영했으며, 2016년에 완결되었다.[142] KBS 방영 당시 방영되지 않은 에피소드(SuperS 스페셜 편 제외)와 대부분의 장면을 방영했으며, KBS와는 달리 부제를 붙여 방영했다.
5. 음악
아리사와 다카노리는 시리즈 전편의 배경음악을 담당했는데, 그의 음악은 높은 평가를 받아 JASRAC의 JASRAC 상을 수상했다.
음악의 큰 특징은 변신 장면이나 필살 기술에서 같은 도로 화음을 쌓는 특징적인 음계를 사용하는 것이다.
- SM - 변신 장면과 아이캐치에서 4퇴적 화음(B, E, A, D, G, C)을 사용했고, 필살 기술 「문 힐링 에스컬레이션」(은수정 취득 이전)에서는 온음음계를 사용했다.
- R - 변신 아이템 사용 시 징글 4도 화음 쌓기를 사용했다.
- S - 변신 아이템 사용 시 징글 5도 화음 쌓기(C, G, D, A, E, B, [E♭, B♭, F, C])를 사용했고, 필살 기술 「문 스파이럴 하트 어택」 및 「레인보우 문 하트 에이크」, 차회 예고(15초) 끝부분(이상 공통)에서는 4도 화음 쌓기(G, C, F, B♭, E♭, A♭)를 사용했다. 또한 「하트 어택」 SE(장난감에도 효과음으로 수록)에서는 온음음계를 사용했다.
- SS - 변신 장면 및 다음 예고 도입 부분(이상 공통)에서 4도 화음 쌓기(F, B♭, E♭, A♭)를 사용했다.
배경 코러스가 「세일러문」이라고 노래하는 것도 큰 특징이다. 코러스에는 이외의 대사가 아닌 나머지는 스캣이 약간 들어가는 것만으로 매우 효과적이었다. 극장판 R 이후에는 다른 세일러 전사들의 변신 장면에 따라 그 캐릭터 이름이 배경 코러스에 들어가는 각 캐릭터 전용 변신 음악도 만들어졌다. 이러한 코러스 사용은 아리사와 타카노리가 1980년대 초반 코러스 그룹 「SOAP」를 결성했었던 영향이 크다.
R에서는 색소폰과 클라리넷, S에서는 (카이오 미치루의 특기에 맞춰) 바이올린의 특징적인 솔로를 포함한 곡이 많이 사용되었다.
5. 1. 주제가
주제가 이름 | 방영된 화수 | 가수 |
---|---|---|
달빛 전설 (ムーンライト伝説|문라이토 덴세쓰일본어) | 1-89화 | DALI |
달빛 전설 (ムーンライト伝説|문라이토 덴세쓰일본어) | 90-166화 | Moon Lips |
세일러스타송 | 167-200화 | 하나자와 카에 |
문 프라이드 (MOON PRIDE) | 크리스탈 1-26화 | 모모이로 클로버 Z |
뉴 문에 사랑을 ニュームーンに恋して|뉴문니 코이시테일본어 | 크리스탈 3기 1-4화, 13화 | 야쿠시마루 에츠코 |
뉴 문에 사랑을 ニュームーンに恋して|뉴문니 코이시테일본어 | 크리스탈 3기 5-8화 | 호리에 미츠코 |
뉴 문에 사랑을 ニュームーンに恋して|뉴문니 코이시테일본어 | 크리스탈 3기 9-12화 | 모모이로 클로버 Z |
주제가 이름 | 방영된 화수 | 가수 |
---|---|---|
하트 무빙 (HEART MOVING) | 1-26화 | 타카마츠 미사에 |
프린세스 문 (プリンセス・ムーン일본어) | 27-46화 | 하시모토 우시오, 애플파이 |
소녀의 폴리시 (乙女のポリシー|오토메노 포리시일본어) | 47-91화 | 이시다 요코 |
턱시도 미라주 (タキシード・ミラージュ|타키시도・미라쥬일본어) | 92-127화 | Peach Hips |
우리가 되고 싶어서 (私たちになりたくて|와타시타치니 나리타쿠테일본어) | 128-140화 | 후지타니 미와코 |
나답게 살아요 (“らしく”いきましょ|라시쿠 이키마쇼일본어) | 141-166화 | Meu |
바람도 하늘도 분명··· (風も空もきっと…|카제모 소라모 킷토일본어) | 167-172화 | 미즈키 아리사 |
바람도 하늘도 분명··· (風も空もきっと…|카제모 소라모 킷토일본어) | 173-199화 | 미즈키 아리사 |
달빛 전설 (ムーンライト伝説|문라이토 덴세쓰일본어) | 200화 | Moon Lips |
달무지개 (月虹|겟코일본어) | 크리스탈 1-26화 | 모모이로 클로버 Z |
eternal eternity | 크리스탈 3기 1-4화, 13화 | 미나가와 준코, 오하라 사야카 |
소녀의 조언 (乙女のススメ|쇼죠노 스스메일본어) | 크리스탈 3기 5-8화 | 후쿠엔 미사토 |
영원만이 두 사람을 잇는다 (永遠だけが二人を架ける|에엔다케가 후타리오 카케루일본어) | 크리스탈 3기 9-12화 | 노지마 켄지 |
한국에서 방영할 때는 '''달빛의 전설'''이라는 노래를 김현아가 불렀다.[1] 한국판 작사는 당시 대원동화에서 이 작품의 연출을 맡고있던 황정렬 감독이 하였고, 한국어 작사가 이름으로 표기되어 있는 황이연은 그의 딸이다.[1] 한국판 편곡 및 프로듀서는 이승복 음악가가 맡아서 하였다.[1]
5. 2. 삽입곡
月にかわっておしおきよ|쓰키니 카왓테 오시오키요일본어ほっとけないよ|홋토케나이요일본어
幻の銀水晶~シルバークリスタル|마보로시노 긴즈이쇼 ~ 실버 크리스탈일본어
夢見るだけじゃダメ|유메미루다케쟈 다메일본어
あなたのせいじゃない|아나타노 세이쟈나이일본어
永遠のメロディー|에이엔노 멜로디일본어
同じ涙を分け合って|오나지 나미다오 와케앗테일본어
愛の戦士|아이노 센시일본어
セーラーチームのテーマ|세라 팀므노 테마일본어
もっとすてきな朝がくるよ|못토 스테키나 아사가 쿠루요일본어
届かぬ想い-My Friends Love-|토도카누 오모이 – মাই ফ্রেন্ডস লাভ –일본어
I am セーラームーン|아이 엠 세라문일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