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도숙 공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도숙 공도는 1981년 히가시 타카시에 의해 창시된 극진공수도 계열의 무술 단체이다. 안면 공격이 없는 풀 컨택트 룰에 한계를 느껴 창시되었으며,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반 일본 격투기 붐을 이끌었다. 실전성과 안전성을 추구하며, 2001년 쿠도라는 새로운 무도로 명칭을 변경하고 세계 대회를 개최했다. 현재는 일본,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에서 수련되고 있으며, 다양한 기술과 룰을 통해 실전성을 강조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무술 - 규도
    규도는 일본의 전통적인 궁술로 정신 수양과 예의범절을 중시하며, 선사 시대부터 시작되어 무사 계급의 등장과 함께 발전했고, 다양한 유파와 전일본궁도연맹을 중심으로 현대 스포츠화되었으며, 사법팔절을 기본 동작으로 수련하고, 도구와 기술 단계를 거쳐 전 세계적으로 보급되고 있다.
  • 일본의 무술 - 공수도
    공수도는 류큐 왕국의 무술에서 유래하여 중국 무술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으며, 다양한 유파와 수련 방식으로 구성되고, 2020년 하계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한국의 태권도에도 영향을 미쳤다.
  • 격투기 - 팔씨름
    팔씨름은 두 사람이 팔을 굽혀 손을 잡고 상대방의 손을 테이블에 닿게 하여 승패를 가리는 스포츠로, 에도 시대 일본에서 시작되어 미국에서 전문 스포츠로 발전했으며, 국제팔씨름연맹, 세계팔씨름연맹 등의 단체가 존재하고, 다양한 기술과 전략, 규칙이 적용된다.
  • 격투기 - 태권도
    태권도는 한국의 발차기 중심 무술이자 스포츠로, 1950년대 여러 무술 도장 통합 과정에서 명칭이 확립되었으며, 국제 태권도 연맹(ITF)과 세계 태권도 연맹(WT)으로 발전하여 WT 태권도는 올림픽 종목, ITF 태권도는 공산권 국가에 보급되며 세계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 기원별 무술 - 씨름
    씨름은 두 사람이 샅바를 잡고 힘과 기술을 겨루어 상대를 넘어뜨리는 한국의 전통 스포츠이자 민속놀이로, 고구려 고분 벽화에도 나타나 있으며 남북한 공동으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고 무제한급 우승자는 '천하장사'로 불린다.
  • 기원별 무술 - 종합격투기
    종합격투기는 타격과 그래플링 기술을 모두 활용하는 격투 스포츠로, 고대 판크라티온 등에서 기원하여 발리 투두, 프로레슬링 등을 거쳐 발전했으며, UFC 출범 후 대중적 인기를 얻어 현재는 통합 규칙을 따르는 UFC, 벨라토르 MMA, 원 챔피언십 등이 주요 단체로 활동하고 있다.
대도숙 공도
기본 정보
구도 한자 표기
구도 한자 표기
다른 이름가쿠토 가라테 (1981–2001)
컴뱃 가라테 대도숙
집중 분야혼합 무술
국가일본
창시자아즈마 다카시
창립1981년 (대도숙 및 가쿠토 가라테)
2001년 (구도)
계보가라테
유도
웹사이트구도 국제 연맹 (KIF)
대도숙
추가 정보
종목직접 타격
사용 무기없음
주요 기술주먹 지르기
발차기
메치기
조르기 기술
관절 꺾기
올림픽없음

2. 역사

1981년 아즈마 타카시가 극진공수도에 대한 불만을 품고 자신의 무술을 창시하면서 대도숙이 시작되었다. 대도숙 단체는 1981년 2월 17일에 운영을 시작했고, 첫 번째 도장은 "가라테도 대도숙"이라는 이름으로 미야기현에 문을 열었다. 자체 무술 스타일은 '''격투 가라테''' (格闘空手, eng. ''Fighting Karate'') 및/또는 '''격투 가라테 대도숙'''으로도 알려졌다. 같은 해, 대도숙의 졸업생들은 "1981 북두기 가라테 선수권 대회"에서 시합 데뷔를 했다.

1995년에 "가라테도 대도숙" 협회의 이름은 공식적으로 "격투 가라테 국제 연맹 대도숙" (KKIF)으로 변경되었다.

2001년 요요기 제2체육관에서 세계 23개국의 참가로 「제1회 북두기 쿠도 세계선수권대회」를 개최하였다. 같은 해, 대도숙 창립자이자 총재인 아즈마 다카시는 공식 기자 회견을 열어 대도숙이 보급하는 스타일을 '''쿠도'''라고 칭하고, 자체적인 무도 무술이 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2002년 5월 「02 북두기 쿠도 전일본 체력별선수권」을 개최하였고, 일본 내각부로부터 NPO법인「국제쿠도연맹」이 인가되었다. 2004년 5월 「04 전일본 쿠도 체력별선수권대회」는 일본 문부과학성 후원으로 개최되어 우승자에게는 문부대신상이 수여되었다.

매년 두 차례 전일본 선수권(5월경 체력별·11월경 무차별)이 열리고, 4년에 한 번 세계 대회가 열린다. 일본에서는 1만명 정도가 공도를 수련하고 있으며, 가장 많은 수련 인구가 있는 곳은 러시아로, 5만에서 10만명 가까운 경기 인구가 존재한다. 그 외에도 칠레, 브라질, 오스트레일리아 등 40개국 이상으로 보급되어 있고, 현재도 경기 인구는 증가하고 있다.

2021년 4월 3일, 아즈마는 위암으로 사망했으며, 대도숙 총재 자리는 오사다 겐이치에게 넘어갔다.[7] 이후 프로 격투기 흥행과는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있지만, 타 단체와의 기술 교류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2. 1. 창시와 발전

1981년 아즈마 타카시가 극진공수도의 한계를 극복하고 실전 격투를 추구하기 위해 '대도숙'이라는 이름으로 창시했다. 아즈마 타카시는 극진공수도에서 흔한 머리 부상과 작은 체격의 선수가 불리한 점에 불만을 가졌다. 그는 자신의 저서에서 "싸움에서 옷깃을 잡고 머리 박치기를 잘한다"라고 언급하며 극진공수도의 풀 컨택트 규칙이 제한적이라고 느꼈다고 한다.[5]

초기에는 '''격투 가라테'''로 불렸으며, UFC 등 종합격투기 대회에 참가하여 실력을 입증했다. UFC 2회 대회에 동양인 최초로 이치하라 미노키를 파견하기도 했다. 1990년대에는 '''THE WARS'''라는 킥복싱 이벤트를 개최하여 "글러브를 착용한" 풀 컨택트 가라테 규칙을 중심으로 대도숙의 최고 실력자들을 선보였다.[6]

1990년대 중반부터 안전성을 강화하고 프로 격투기와 거리를 두는 독자적인 노선을 추구했다. 글러브를 착용하면 뇌에 손상을 입힐 수 있고, 그래플링 기술에 제한이 생겨 대도숙의 본래 이념과 멀어진다는 것이 이유였다.

2001년 제1회 세계대회를 계기로 '''쿠도(空道)'''로 명칭을 변경하고, 국제적인 보급을 확대했다. 일본 문부과학성의 후원을 받는 등 사회 체육 단체로 성장했다.

2. 2. 한국 전래

2008년 8월, 공도 창시자인 아즈마 타카시 숙장과 윤영문 사범(재일교포 2세, 당시 홋카이도 본부장)이 한국을 방문하여 세미나를 열었다.[8] 이후 서울에서 동호회 형태로 수련이 시작되었다.

2009년, 윤영문 지부장과 김기태 사무총장을 대표로 정식 지부가 인준되었다. 임재영 사범(당시 극진가라테 3단)은 일본 총본부에서 1년간 공도 유학을 거쳐 한국 지부 첫 유단자가 되었다. 같은 해 몽골에서 개최된 제1회 아시아 대회에 김광수 선수(당시 극진가라테 초단)가 참가했고, 제3회 세계 대회에는 김기태, 김광수, 이전국 선수가 출전하였다.

2014년 서울에서 열린 제2회 아시아 대회에는 많은 선수가 출전하여 김휘규 선수가 체급 우승을 차지하였다.

2019년 현재 유단자는 임재영(3단), 김광수, 배성범, 박하늘, 김휘규 외 3명이 있으며, 서울 신촌, 대구, 부산, 경산에 도장이 운영 중이다. 2020년에는 기존의 서울 신촌, 대구, 부산, 경산, 울산 도장에 더불어 부산 강서구 명지에 도장이 새로 열렸다.

3. 특징

공도(쿠도)는 보호 장비를 착용하고 최대한 현실적인 실제 싸움에 가깝게 겨루는 것을 목표로 하는 무술이다. 이를 위해 최소한의 규정만을 적용하며, 서서 싸우기, 던지기, 그래플링, 그라운드 싸움 등 실제 싸움의 모든 국면을 포함한 다양한 기술과 동작을 사용한다.[2]

공도 훈련은 기본, 일반 체력 훈련, 실전 훈련으로 구성되며, 극진공수도의 형은 수련 과정에서 제외되었다.

공도는 신체적, 정신적 발달을 모두 고려하는 종합적인 무술이자 철학이다. 일본식 예절인 무도(레이기)를 준수하며, 특정 일본식 인사 의례를 따르고, 전통적인 훈련 도복을 착용하며, 기술 명칭은 일본어를 사용한다.

3. 1. 실전성

가라테에서 발전한 무도인 공도는 실전성과 안전성을 매우 중시한다. 머리 부분에 보호구(NHG 쿠)를 착용하고, 지르기, 발차기는 물론 던지기, 머리치기, 팔굽치기, 급소차기, 누운기술, 급소 직전에서 멈추는 마운트 펀치, 관절기, 조르기 등 다양한 공격을 허용한다.[2] 이는 실제 격투 상황에 가까운 환경에서 수련할 수 있게 한다.

안면 보호구(쿠)는 코 골절이나 눈 부상 등 안면 부상 위험을 줄여준다.[3] 덕분에 사회인들도 얼굴의 상처나 멍을 걱정 없이 수련에 집중할 수 있다. 또한, 얇은 주먹 보호대만 착용해도 되므로, 무거운 글러브 착용으로 인한 뇌 손상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보호구 착용으로 인해 머리치기를 룰에 포함할 수 있게 된 것도 특징이다.

공도에서는 신체 지수(키+체중)에 따라 체급을 나눈다. 현재 북두기(무차별 제외)에서는 5개의 체급으로 나뉜다.[3]

체급신체 지수
경량급230 미만
중(中)량급230 이상 240 미만
경중량급240 이상 250 미만
중(重)량급250 이상 260 미만
초중량급260 이상



이러한 체급 구분은 신장과 체중을 모두 고려하여 공정한 경쟁을 추구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장이 크면 팔이 길어 원거리 공격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3. 2. 안전성

공도는 머리 부분에 보호구(NHG 쿠)를 착용하여 안면 부상과 뇌 손상 위험을 최소화한다. 안면 보호구는 코 골절, 눈 부상 등을 예방하고, 가볍고 얇은 주먹 보호대만 착용하여 뇌 손상을 줄인다.[2][3] 또한, 박치기를 허용하여 실전성을 높였다. 초기에는 '슈퍼 세이프'라는 보호구가 사용되었으나, 시야가 좋지 않고 거리 감각이 달라지는 단점이 있었다. 2007년에는 이러한 단점을 개선한 'NHG 쿠'가 개발되어 현재 모든 경기와 심사에서 사용되고 있다.[4]

쿠도 선수들이 격투를 벌이고 있다.


그라운드 공방 시간은 30초로 제한되어 과도한 관절기 사용을 방지한다. 이는 빠른 승부를 유도하고 선수들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도복 착용은 잡기 기술의 안전성을 높이고 부상 위험을 줄인다. 흰색과 파란색 도복을 사용하여 선수 식별을 용이하게 하고 오심을 줄인다.

3. 3. 수련 체계

가라테의 연습 방식이 남아있어 도장에서의 정좌, 예법, 인사, 기본 수련, 이동 수련, 약속 대련, 대련 등은 일반적인 가라테 도장과 비슷하게 진행된다. 특히 극진가라테에서 발전했기 때문에 그 영향을 엿볼 수 있다.

기본 수련과 이동 수련의 명칭은 다른 가라테 단체와 같지만, 내용은 많이 다르다. 발 기술은 큰 차이가 없지만, 손 기술은 복싱의 펀치와 비슷하게 반대쪽 손을 턱 옆에 올리는 형태이다. 자세도 실전과 같은 「겨루기 자세」가 기본이다.

수련에는 잽, 오른손 스트레이트, 왼손 훅, 오른손 훅, 왼손 어퍼, 오른손 어퍼, 좌우 팔굽치기, 앞굽이 앞차기, 정면 앞차기, 무릎 차기, 옆차올리기, 옆차기, 돌려차기, 뒤차기, 관절차기, 발목후리기, 급소차기등이 있다.

메치기(던지기), 누운기술(굳히기) 연습은 도복을 입고 하기 때문에 유도와 비슷한 점이 많다. 하지만 유도와 다른 점도 많은데, 예를 들어 유도에서는 한쪽 손과 한쪽 깃을 잡는 것이 반칙이지만, 공도에서는 반칙이 아니므로 이를 이용한 변칙적인 기술이 많다. 타격이 가능하므로 안면 가드를 내린 채 달라붙으면 안면 타격을 당할 수 있어 타격을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메치기 후에도 그라운드에서 불리한 포지션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유도에 비해 다리후리기 계열 연습 비율이 높고, 타격 위험 때문에 업어치기 계열 기술은 적게 사용한다.

누운기술에서는 유도와 달리 누르기에 의한 한판이 없고, 유도에서 인정되지 않는 하체관절기 등이 있다. 공도 룰 때문에 마운트나 백, 니온벨리 등의 포지션을 잡은 후 조르기나 꺾기를 노리는 것이 기본이지만, 그라운드 제한 시간이 30초이므로 짧은 시간에 승부를 내기 위해 포지셔닝을 어느 정도 무시하고 하체관절기를 쓰는 경우도 많다.

이처럼 유술기의 시간적 제한과 타격 가능성 때문에 메치기, 누운기술 모두 스피드가 매우 중요하다.

가라테나 유도처럼 띠 색깔로 단과 급을 나눈다.

띠 색깔단/급
검은띠초단 이상
갈색 띠1~2급
녹색 띠3~4급
노란띠5~6급
파란띠7~9급
주황띠10급
흰띠무급



승급·승단 심사는 기본 연습, 이동 연습, 메치기·관절기 등의 숙련도 심사와 겨루기로 이루어진다. 체력 체크로 벤치 프레스스쿼트 횟수가 급·단 단계별로 정해져 있어(체중, 연령에 따라 다름) 규정 횟수를 통과해야 한다.[2][3]

4. 경기 및 대회

대도숙 공도의 주요 대회는 '''북두기'''(北斗旗)라고 불리며, 북두칠성에서 이름을 따왔다. 최우수 선수에게는 북두기 깃발이 수여된다.

전일본 대회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 북두기 전일본 체력별 선수권 대회: 매년 5월경 센다이시 센다이 선 플라자에서 개최된다. 신장과 체중을 합한 "신체 지수"에 따라 5개 체급으로 나누어 경기를 진행하며, 일본 권법, 아마추어 슈토 선수 등 대도숙 이외의 선수들도 참가한다.[8] 2004년부터 문부과학성의 후원을 받아 우승자에게 문부과학대신상이 수여된다.
  • 북두기 전일본 무차별 선수권 대회: 매년 11월경 도쿄 국립 요요기 경기장 제2 체육관에서 개최된다.


4년에 한 번씩 '''북두기 세계 공도 선수권 대회'''와 '''월드컵'''이 개최된다. 월드 게임 종목으로 채택될 가능성도 높게 점쳐지고 있다. 세계 선수권 대회는 2001년 제1회 대회를 시작으로, 2005년, 2009년, 2014년, 2018년에 나고야에서 5회 대회가 개최되었다.

그 외에도 러시아, 유럽 등 공도가 활성화된 국가에서는 국내 및 지역 선수권 대회가 개최되고 있다.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개최되는 아시안 오픈 컵 대회 등이 유명하며, 2007년 9월에는 불가리아 소피아에서 제1회 공도 유럽 선수권 대회가 개최되어 18개국이 참가했다.

역대 북두기 전일본 무차별 선수권 대회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무차별급(남자)
연도우승준우승3위4위
11981년이와사키 야타로고토 아키라무라카미 시게유키무라카미 아키라
21982년이와사키 야타로(2)니시 료무라카미 아키라마츠모토 고
31983년니시 료이와사키 야타로미우라 에츠오나가타 켄이치
41984년니시 료(2)나가타 켄이치이와사키 야타로미우라 에츠오
51985년나가타 켄이치니시 료사와다 료지미우라 에츠오
61986년나가타 켄이치(2)야마다 토이치로사토 카즈오미우라 에츠오
71987년야마다 토이치로나가타 켄이치니시 료아라이 히데아키
81988년야마다 토이치로(2)히가 마사유키마츠시타 요시히로쇼다 마사토
91989년나가타 켄이치(3)미네기시 아키오키무라 마사모토카토 키요타카
101990년이치하라 카이키이시다 케이이치키무라 마사모토이이무라 켄이치
111991년카토 키요타카오키미 마사요시이치하라 카이키니시데 타로
121992년나가타 켄이치(4)카토 키요타카이치하라 카이키이시다 케이이치
131993년이치하라 카이키(2)이시다 케이이치츠지이 쿄나가누마 유타카
141994년야마다 토이치로(3)이치하라 카이키아키야마 켄지카토 키요타카
151995년사카이 오사무나카야마 마사카즈세미 슐트이가라시 유지
161996년세미 슐트이나기 타쿠이치아리에프 베체슬라프나카야마 마사카즈
171997년세미 슐트(2)모리 나오키야마자키 스스무알렉세이 코노넨코
181998년알렉세이 코노넨코이나기 타쿠이치야마자키 스스무나가노 츠네미치
191999년이나기 타쿠이치야마자키 스스무모리 나오키타케야마 타쿠미
202000년이나기 타쿠이치(2)야마자키 스스무알렉세이 코노넨코이이무라 켄이치
2001년제1회 공도 세계 대회와 겸함
222002년후지마츠 야스미치시미즈 카즈마알렉산더 로버트테라모토 마사유키
232003년야마자키 스스무시미즈 카즈마알렉산더 로버트테라모토 마사유키
242004년후지마츠 야스미치(2)이가라시 유지히라츠카 요지이나다 타쿠야
2005년제2회 공도 세계 대회와 겸함
262006년후지마츠 야스미치(3)시미즈 카즈마사사자와 카즈아리히라츠카 요지
272007년후지마츠 야스미치(4)요시자와 마사히로타카하시 완이나다 타쿠야
2008년제3회 세계 대회의 대표 선수 선발을 위해 "무차별"이 아닌 "체력별"로 진행
2009년제3회 전세계 선수권과 겸함
302010년카토 히사테루호리코시 료스케나카무라 치다이아가츠마 타케시
312011년호리코시 료스케키난 마이크사사키 츠구하루나카무라 치다이
322012년카토 히사테루호리코시 료스케카토 카즈노리나카무라 치다이
332013년카토 히사테루나카무라 치다이타니이 쇼타메구로 유타
2014년제4회 전세계 선수권과 겸함
352015년시미즈 료타메구로 유타타나카 요스케오시키 히데요시
362016년노무라 코타시미즈 료타오시키 히데요시카와시타 요시토
2017년제3회 아시아 공도 선수권 대회로 진행
372019년카토 카즈노리이와사키 다이가핫토리 아키히로메구로 유타
2020년코로나19로 인해 개최되지 않음
2021년"체력별"만 개최
2022년"체력별" 및 "2022 아시아 공도 선수권 대회" 개최
382023년니시오 유우키사사키 류키콘도 하루토츠지노 코헤이
392024년나카가미 유다이로니시오 유우키핫토리 아키히로메구로 유타


4. 1. 룰

펀치, 발차기, 팔꿈치 치기, 무릎 차기, 머리 박치기 등 다양한 타격 기술과 던지기, 관절기, 조르기 등 그래플링 기술을 허용한다. KO(4초 이상 전투 불능), 한판, 판정 등으로 승패를 결정하며, 판정 시에는 '효과', '유효', '기술 유효' 등의 포인트를 기준으로 평가한다.[1]

경기 시간은 3분(연장전 3분, 최대 1회)이며, 그라운드 공방은 1회 30초, 최대 2회까지 허용된다. 선 상태에서 클린치는 10초까지 허용된다.[1]

  • 메치기 후 넘어진 상대에게 방어 없이 찌르기, 차기 등의 '끝내기'를 했을 경우, 또는 누운 상태에서 마운트, 백, 니온밸리 상태에서 '끝내기'를 했을 경우 '효과'가 주어진다.[1]
  • 효과적인 공격이 되었다고 생각되는 강하고 확실한 메치기가 있었을 경우에도 '효과'가 주어진다.[1]
  • 타격에 의한 공방에서 2초 이상 다운되면 '기술 유효', 2초 미만은 '유효', 다운은 없었지만 타격이 강력했을 경우 '효과'가 주어진다.[1]


대도숙 공도 세계 선수권 대회의 경우, 그라운드 기술은 각 30초 이내로 두 번만 허용되며, 등이나 급소 공격은 금지된다. 경기는 13m x 13m 크기의 다다미 위에서 진행되며, 내부에 9m x 9m의 경기 구역이 있다. 득점은 기술 자체보다는 상대방이 얼마나 타격을 받았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점수는 1점에서 8점(코카, 유코, 와자, 잇폰)까지 부여되며, 8점을 얻으면 승리한다. 서브미션, 기절, 넉아웃으로도 승리할 수 있다.[1]

무승부일 경우 판정이나 재경기가 진행된다.

4. 2. 대회

'''북두기'''(北斗旗, 호쿠토키)는 전일본 공도 연맹이 주최하는 공도 대회의 명칭으로, 북두칠성에서 이름을 따왔다. 최우수 선수에게는 북두기 깃발이 수여되며, 이 깃발의 이름이 대회의 명칭으로도 사용된다.

전일본 대회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 북두기 전일본 체력별 선수권 대회: 매년 5월경 센다이시의 센다이 선 플라자에서 개최된다. 신장과 체중을 합한 "신체 지수"에 따라 5개 체급으로 나누어 경기를 진행한다.[8] 일본 권법, 아마추어 슈토 선수 등 대도숙 이외의 선수들도 참가한다. 2004년부터 문부과학성의 후원을 받아 우승자에게 문부과학대신상이 수여된다.
  • 북두기 전일본 무차별 선수권 대회: 매년 11월경 도쿄국립 요요기 경기장 제2 체육관에서 개최된다.


4년에 한 번씩 '''북두기 세계 공도 선수권 대회'''와 '''월드컵'''이 개최된다. 월드 게임 종목으로 채택될 가능성도 높게 점쳐지고 있다.

세계 선수권 대회는 2001년 제1회 대회를 시작으로, 2005년, 2009년, 2014년, 2018년에 나고야에서 5회 대회가 개최되었다.

그 외에도 러시아, 유럽 등 공도가 활성화된 국가에서는 국내 및 지역 선수권 대회가 개최되고 있다.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개최되는 아시안 오픈 컵 대회 등이 유명하며, 2007년 9월에는 불가리아 소피아에서 제1회 공도 유럽 선수권 대회가 개최되어 18개국이 참가했다.

다음은 역대 북두기 전일본 무차별 선수권 대회의 결과이다.

무차별급(남자)
연도우승준우승3위4위
11981년이와사키 야타로고토 아키라무라카미 시게유키무라카미 아키라
21982년이와사키 야타로(2)니시 료무라카미 아키라마츠모토 고
31983년니시 료이와사키 야타로미우라 에츠오나가타 켄이치
41984년니시 료(2)나가타 켄이치이와사키 야타로미우라 에츠오
51985년나가타 켄이치니시 료사와다 료지미우라 에츠오
61986년나가타 켄이치(2)야마다 토이치로사토 카즈오미우라 에츠오
71987년야마다 토이치로나가타 켄이치니시 료아라이 히데아키
81988년야마다 토이치로(2)히가 마사유키마츠시타 요시히로쇼다 마사토
91989년나가타 켄이치(3)미네기시 아키오키무라 마사모토카토 키요타카
101990년이치하라 카이키이시다 케이이치키무라 마사모토이이무라 켄이치
111991년카토 키요타카오키미 마사요시이치하라 카이키니시데 타로
121992년나가타 켄이치(4)카토 키요타카이치하라 카이키이시다 케이이치
131993년이치하라 카이키(2)이시다 케이이치츠지이 쿄나가누마 유타카
141994년야마다 토이치로(3)이치하라 카이키아키야마 켄지카토 키요타카
151995년사카이 오사무나카야마 마사카즈세미 슐트이가라시 유지
161996년세미 슐트이나기 타쿠이치아리에프 베체슬라프나카야마 마사카즈
171997년세미 슐트(2)모리 나오키야마자키 스스무알렉세이 코노넨코
181998년알렉세이 코노넨코이나기 타쿠이치야마자키 스스무나가노 츠네미치
191999년이나기 타쿠이치야마자키 스스무모리 나오키타케야마 타쿠미
202000년이나기 타쿠이치(2)야마자키 스스무알렉세이 코노넨코이이무라 켄이치
2001년제1회 공도 세계 대회와 겸함
222002년후지마츠 야스미치시미즈 카즈마알렉산더 로버트테라모토 마사유키
232003년야마자키 스스무시미즈 카즈마알렉산더 로버트테라모토 마사유키
242004년후지마츠 야스미치(2)이가라시 유지히라츠카 요지이나다 타쿠야
2005년제2회 공도 세계 대회와 겸함
262006년후지마츠 야스미치(3)시미즈 카즈마사사자와 카즈아리히라츠카 요지
272007년후지마츠 야스미치(4)요시자와 마사히로타카하시 완이나다 타쿠야
2008년제3회 세계 대회의 대표 선수 선발을 위해 "무차별"이 아닌 "체력별"로 진행
2009년제3회 전세계 선수권과 겸함
302010년카토 히사테루호리코시 료스케나카무라 치다이아가츠마 타케시
312011년호리코시 료스케키난 마이크사사키 츠구하루나카무라 치다이
322012년카토 히사테루호리코시 료스케카토 카즈노리나카무라 치다이
332013년카토 히사테루나카무라 치다이타니이 쇼타메구로 유타
2014년제4회 전세계 선수권과 겸함
352015년시미즈 료타메구로 유타타나카 요스케오시키 히데요시
362016년노무라 코타시미즈 료타오시키 히데요시카와시타 요시토
2017년제3회 아시아 공도 선수권 대회로 진행
372019년카토 카즈노리이와사키 다이가핫토리 아키히로메구로 유타
2020년코로나19로 인해 개최되지 않음
2021년"체력별"만 개최
2022년"체력별" 및 "2022 아시아 공도 선수권 대회" 개최
382023년니시오 유우키사사키 류키콘도 하루토츠지노 코헤이
392024년나카가미 유다이로니시오 유우키핫토리 아키히로메구로 유타


5. 한국의 쿠도

2008년 8월 창시자인 아즈마 타카시 숙장과 윤영문 사범(재일교포 2세, 당시 홋카이도 본부장)이 한국을 방문하여 세미나를 연 이후, 서울특별시에서 동호회 형태로 수련이 시작되었다.[7] 2009년 윤영문 지부장과 김기태 사무총장을 대표로 하는 정식 지부로 인준되었고, 임재영 사범(당시 극진가라데 3단)은 일본 총본부에서 1년간 쿠도 유학을 거쳐 한국지부 첫 유단자가 되었다.[7]

2008년 몽골에서 개최된 제1회 아시아대회에 김광수 선수(당시 극진가라테 초단)가 참가했고, 2009년 제3회 세계대회에 김기태, 김광수, 이전국 선수가 출전하였다.[7] 2014년 서울에서 열린 제2회 아시아대회에는 많은 선수가 출전하여 김휘규 선수가 체급 우승을 차지하였다.[7]

2019년 현재 유단자는 임재영(3단), 김광수, 배성범, 박하늘, 김휘규 외 3명이 있으며, 서울특별시 신촌, 대구, 부산, 경산에 도장이 운영 중이다.[7] 2020년 기존에 서울특별시 신촌, 대구, 부산, 경산, 울산 도장에 더불어 부산 강서구 명지 도장이 새로 열렸다.[7]

6. 관련 단체

대도숙에서 분파한 단체로는 종합격투기 단체인 화술혜주회, 가라테 선도회 등이 있다.

전일본 공도 연맹 대도숙 총본부

7. 유명 선수


  • 세미 슐트: 종합격투기 선수이자 킥복서로, 1996년과 1997년 북두기 무차별 챔피언이었다.[6]
  • 니시 요시노리: 종합격투기 선수이자 와술혜주회 설립자로, 1983년과 1984년 북두기 무차별 챔피언이었다.
  • 오사다 켄이치: 1985년, 1986년, 1989년, 1992년 북두기 무차별 챔피언이었다.
  • 이치하라 미노키: 종합격투기 선수이자 UFC 출전자로, 1990년과 1993년 북두기 무차별 챔피언이었다. UFC 2에서 호이스 그레이시와 대결했다.[6]
  • 사와다 료지: 1985년, 1986년, 1987년 중량급 우승.
  • 사카이 오사무
  • 매그넘 TOKYO
  • 호리 케이
  • 야마자키 스스무: 2003년 무차별급 챔피언.
  • 야마다 토이치로
  • 알렉세이 코노넨코: 1998년 무차별급 챔피언.
  • 이이무라 켄이치
  • 시미즈 카즈마
  • 이나다 타쿠야
  • 와타나베 마사아키
  • 후지마츠 야스미치
  • 이나가키 타쿠이치
  • 아사오카 히데키 (격투기 통신 편집장)
  • 모리 나오키: 1995년 경량급 우승.
  • 이와사키 야타로: 1982년 무차별급 챔피언.
  • 타케야마 타쿠미
  • 히라오카 요시오: 1995년 중량급 우승.
  • 야시마 유미
  • 이와키 히데유키: 2005년 제2회 공도 세계 선수권 중량급 세계 챔피언.
  • 카와보 텐코츠
  • 카토 키요히사: 1991년 무차별급 챔피언.
  • 리 해스델: 종합격투기 선수이자 킥복서.
  • 디샤 파타니: 인도 배우이자 피트니스 애호가.
  • 로만 아나시킨: 러시아 무술가로 쿠도 7단 검은띠 보유.
  • 콜리안 에드거: 쿠도 러시아 스포츠 명예 마스터, 육군 격투 및 컴뱃 삼보 러시아 스포츠 마스터 후보, 쿠도 세계 챔피언 2회 (2005, 2009), 세계 쿠도 선수권 은메달리스트 (2014) 및 동메달리스트 (2018), 쿠도 월드컵 우승자 (2011), 유럽 쿠도 챔피언 (2008), 러시아 쿠도 챔피언 5회.
  • 히사키 카토: 벨라토르 MMA 및 킥복싱에서 활동하는 종합격투기 선수.
  • 악셰이 쿠마르: 볼리우드 슈퍼스타이자 무술가.
  • 탑시 파누: 볼리우드 여배우이자 무술가.
  • 메훌 보라: 쿠도 5단 검은띠 및 인도 무술 홍보자.
  • 블라디미르 조린: 러시아 쿠도 국가대표팀 코치, 동양 무술 쿠도 국제 심판, 러시아 쿠도 연맹 부회장, 검은띠, 쿠도 6단, "쿠도의 기초" 저자. 로만 아나시킨과 함께 러시아 쿠도의 선구자.
  • 이리나 비코바: 2005년 여자부 무제한급 세계 쿠도 챔피언, 러시아 쿠도 챔피언 18회, 2008년 유럽 쿠도 챔피언, 쿠도 4단.

참조

[1] 웹사이트 Kudo International Federation - KIF is a governing organization for "KUDO", mixed Budo sport https://web.archive.[...] 2016-10-20
[2] 웹사이트 Panamericano de Kudo en Chile será dirigido por su fundador https://deportes.ter[...] Terra Chile
[3] 웹사이트 Kudo: El gran camino para tener una mente abierta http://www.elpais.co[...] El País
[4] 웹사이트 "[daidojuku] Official site of the International Kudo Federation Daidojuku" https://web.archive.[...] 2016-10-17
[5] 서적 Azuma Takashi, Hamidashi karate
[6] 웹사이트 WARS – Daidojuku http://daidojuku.com[...]
[7] 웹사이트 2021.04.11 大道塾創始者・東孝永眠にともない、新塾長に長田賢一が就任 – Daidojuku http://daidojuku.com[...] 2021-04-12
[8] 웹사이트 Московская межрегиональная федерация Дайдо-Джуку http://daidojuku.ch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