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쓰나미경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쓰나미경보는 일본 기상청이 발표하는 쓰나미 경보 중 가장 높은 단계로, 3m 이상의 쓰나미가 예상될 경우 발령된다. 예상되는 쓰나미 높이에 따라 5m, 10m, 10m 초과로 세분화되며, 규모 8 이상의 거대 지진의 경우 '거대'로 표현된다. 과거에는 '쓰나미경보 (대쓰나미)'로 불렸으며, 2013년 명칭이 변경되었다. 대쓰나미경보 발령 시에는 즉시 고지대로 피난해야 하며, 2024년 노토반도 지진을 포함하여 과거 여러 지진에서 발령된 사례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 기상청 - 긴급지진속보
긴급지진속보는 지진 발생 직후 지진파를 감지하여 규모와 진앙지 등을 신속히 추정하고 예상 진도와 도달 시간을 예측하여 발표하는 경보 시스템으로, 기술 개발과 시스템 개선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 일본 기상청 - 히마와리 (기상위성)
일본의 정지 궤도 기상 위성 시리즈인 히마와리는 1977년 1호 발사 이후 현재 8호와 9호가 운용 중이며 2028년 발사 예정인 10호가 개발 중으로, 초기 미국 기술 기반에서 점차 국산화되어 기상 관측과 재해 감시에 기여하고 있다. - 일본의 지진해일 - 간토 대지진
1923년 9월 1일 간토 지방 남부에서 발생한 간토 대지진은 대규모 지진과 그로 인한 화재, 여진, 쓰나미로 막대한 피해를 초래했으며, 간토 대학살과 같은 비극을 낳고 일본의 재해 예방 및 도시 계획에 큰 영향을 준 일본 역사상 최악의 자연재해 중 하나이다. - 일본의 지진해일 -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2011년 3월 11일 일본 도호쿠 지방 태평양 연안에서 발생한 Mw 9.0~9.1 규모의 초대형 해구형 지진인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은 대규모 쓰나미를 동반하여 동일본 대지진이라는 대규모 재해를 야기했으며, 연동형 지진으로 지구 자전축 이동과 같은 지구적 규모의 영향과 지진 예측 시스템의 한계를 드러냈다.
대쓰나미경보 | |
---|---|
개요 | |
상세 정보 | |
대상 | 쓰나미 경보 발표 구역 |
내용 | 해일 높이 3m 초과 예상 시 발령 |
역사 | 2011년 3월 11일: 동일본 대지진을 계기로 도입 2013년 3월 7일: 개선안 발표 (명칭 통일) |
관련 기관 | 기상청 |
특징 | 2013년 3월 6일까지는 "쓰나미 경보 (대쓰나미)"라는 명칭으로 사용 예상되는 해일의 높이에 따라 발표되는 쓰나미 정보의 종류가 달라짐 |
해일 높이별 정보 종류 | |
예상되는 해일 높이 | 정보 종류 |
3m 초과 | 대쓰나미경보 |
1m 초과 3m 이하 | 쓰나미경보 |
0.2m 초과 1m 이하 | 쓰나미주의보 |
0.2m 이하 | 쓰나미 정보 (해일 도달 예상 시각, 해일 높이 등) |
주의사항 | |
해일 높이 과대 평가 가능성 | 실제 해일 높이가 예상보다 낮을 수 있음. 쓰나미 경보가 해제될 때까지 안전한 장소에서 대피해야 함. |
주요 전달 사항 | 대피 장소, 대피 방법 등 |
관련 정보 | |
관련 항목 | 쓰나미 쓰나미 경보 쓰나미주의보 |
외부 링크 | 기상청: 쓰나미 정보 기상청: 긴급 쓰나미 속보에 대해 기상청 |
2. 설명
일본 기상청은 예상되는 쓰나미 높이에 따라 경보를 세분화하여 발표하는데, 대쓰나미경보는 그 중 가장 높은 단계의 경보이다. 2013년 3월 7일 이전에는 '쓰나미경보 (대쓰나미)'라는 명칭을 사용했으나,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이후 쓰나미경보 개선 검토회에서 위험성을 인식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제기되어 '대쓰나미경보'로 변경되었다.[8][7]
과거에 쓰나미경보 (대쓰나미)가 발령된 사례로는 1953년 보소 해역 지진, 1983년 동해 중부 지진, 1993년 홋카이도 남서쪽 해역 지진, 2010년 칠레 지진,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이 있다. 2013년 8월 20일 이후로는 대쓰나미경보가 특별경보의 한 분류로 편입되었으며,[9] 2013년 제정된 이후 현재까지 대쓰나미경보가 발령된 사례는 2024년 1월 1일 발생한 2024년 노토반도 지진이 유일하다.
2. 1. 대쓰나미경보의 기준
대쓰나미경보는 높은 곳에서 3m 이상의 쓰나미가 닥칠 것으로 예측될 경우 발표되며, 예상되는 쓰나미 높이를 수치로 발표하는 경우에는 5m, 10m, 10m 초과 3가지로 구분해서 발표하며 규모가 8 이상인 거대지진의 경우 오차가 매우 커지므로 정확한 규모를 알 때까지 특정 수치가 아닌 단순히 '거대'라고만 표현한다.[8]발표 기준 | 예측되는 쓰나미 높이 | ||
---|---|---|---|
수치 발표 | 거대지진 (M8 이상) | ||
대쓰나미경보 | 10m 이상 예측됨 | 10m 초과 | 거대 |
5m < 예상 높이 ≦ 10m | 10m | ||
3m < 예상 높이 ≦ 5m | 5m | ||
쓰나미경보 | 1m < 예상 높이 ≦ 3m | 3m | 높음 |
쓰나미주의보 | 0.2m ≦ 예상 높이 ≦ 1m | 1m | (표기하지 않음) |
2013년 3월 7일 개정 이전 쓰나미 정보 체계에서는 "쓰나미경보 (대쓰나미)"라는 쓰나미경보의 한 구분으로 놓여 있었고, 높은 곳에서 3m 이상의 쓰나미가 닥칠 것으로 예측될 경우 3m, 4m, 6m, 8m, 10m로 구분하여 발표하였다.
공식 발표 자료 등에서는 "쓰나미의 쓰나미경보"나 "대쓰나미의 쓰나미경보"라는 호칭을 사용하고 있었지만 복잡해서 언론기관 등에서는 단순하게 "쓰나미경보 (쓰나미)"를 단순히 "쓰나미경보"로, "쓰나미경보 (대쓰나미)"는 "대쓰나미경보"로 구분해서 보도하는 등 쓰나미경보 (대쓰나미)는 대쓰나미경보로 쭉 불러왔다.[7] 2011년 발생한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이후 열린 쓰나미경보 개선 검토회에서 이전의 구분법이 위험성을 인식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제기되어 2013년 3월 7일부터는 일본 기상청도 정식 명칭을 대쓰나미경보로 수정하였다.[8][7]
2. 2. 쓰나미경보 체계
style="text-align:center" rowspan="2" | | 발표 기준 | 예측되는 쓰나미 높이 | |
---|---|---|---|
수치 발표 | 거대지진 (M8 이상) | ||
대쓰나미경보 | 10 m 이상 예측됨 | 10 m 초과(10 m超) | 거대(巨大) |
5 m < 예상 높이 ≦ 10 m | 10 m | ||
3 m < 예상 높이 ≦ 5 m | 5 m | ||
쓰나미경보 | 1 m < 예상 높이 ≦ 3 m | 3 m | 높음(高い) |
쓰나미주의보 | 0.2 m ≦ 예상 높이 ≦ 1 m | 1 m | (표기하지 않음) |
대쓰나미경보는 높은 곳에서 3 m 이상의 쓰나미가 닥칠 것으로 예측될 경우 발표되며 예상되는 쓰나미 높이를 수치로 발표하는 경우에는 5 m, 10 m, 10 m 초과 3가지로 구분해서 발표하며 규모가 8 이상인 거대지진의 경우 오차가 매우 커지므로 정확한 규모를 알 때까지 특정 수치가 아닌 단순히 '거대'라고만 표현한다.[8]
2. 3. 명칭 변경
2013년 3월 7일 이전에는 '쓰나미경보 (대쓰나미)'라는 명칭을 사용했으나,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이후 쓰나미경보 개선 검토회에서 위험성을 인식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제기되어 '대쓰나미경보'로 변경되었다.[2][1]3. 대응
일본 기상청은 대쓰나미경보 발령 시 예상되는 피해와 대피 요령을 안내한다. 중앙방재회의는 지진의 흔들림을 느끼기 어려운 경우에는 대쓰나미경보 등을 통해 피난을 유도하고, 대쓰나미경보를 듣는 즉시 대피해야 한다고 권고한다.[8][10][2][3]
3. 1. 예상 피해
일본 기상청은 대쓰나미경보가 발령되었을 경우, 예보 지역에 목조 가옥이 완전 파괴되거나 유실되며, 사람은 쓰나미 흐름에 휩쓸려 떠내려가는 피해가 예상된다고 밝히고 있다. 따라서 예보 지역 주민들은 즉시 고지대나 고층 빌딩 등 안전한 장소로 피난해야 한다. 쓰나미는 반복해서 덮치므로, 쓰나미경보가 완전히 해제될 때까지 안전한 장소에서 벗어나지 말고, 현재 위치가 안전하다고 생각하지 말고 더 높은 곳을 목표로 피난해야 한다.[8]또한 중앙방재회의의 쓰나미피난대책검토 워킹그룹 보고서에 따르면, 지진의 흔들림을 느끼기 어려운 경우에는 대쓰나미경보 등을 통해 피난 행동을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며, 대쓰나미경보를 듣는 즉시 대피하는 것을 철저히 해야 한다.[10]
3. 2. 대피 요령
일본 기상청에서는 대쓰나미경보가 발령되었을 경우, 예보 지역에 있는 사람들은 다음과 같이 행동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8]- 연안이나 강가에 있는 사람은 즉시 고지대나 고층 빌딩 등 안전한 장소로 피난해야 한다.
- 쓰나미는 반복해서 덮치므로, 쓰나미경보가 완전히 해제될 때까지 안전한 장소에서 떠나면 안 된다.
- '여기라면 안심'이라고 생각하지 말고, 더 높은 곳을 목표로 피난해야 한다.
또한 중앙방재회의의 쓰나미피난대책검토 워킹그룹은 "지진의 흔들림을 느끼기 어려운 경우에는 대쓰나미경보 등을 통해 피난 행동을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며, 대쓰나미경보를 듣는 즉시 대피하는 것도 철저히 할 필요가 있다"고 말하고 있다.[10]
3. 3. 중앙방재회의 권고
중앙방재회의의 쓰나미피난대책검토 워킹그룹이 정리한 보고서에서는 "지진의 흔들림을 느끼기 어려운 경우에는 대쓰나미경보 등을 통한 피난 행동 환기가 중요하며, 대쓰나미경보를 듣는 즉시 대피하는 것을 철저히 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하고 있다.[10][3]4. 발표 사례
대쓰나미경보는 과거 여러 차례 발령된 적이 있다. 현행 "대쓰나미 경보"와 과거 "쓰나미 경보(대쓰나미)"의 발령 사례는 아래 표와 같다.[4]
발생일 | 지진명 |
---|---|
1953년 11월 26일 | 보소 해역 지진[4][5] |
1983년 5월 26일 | 동해 중부 지진[5] |
1993년 7월 12일 | 홋카이도 남서쪽 해역 지진[5] |
2010년 2월 28일 | 칠레 지진[6] |
2011년 3월 11일 |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동일본 대지진)[4] |
2024년 1월 1일 | 노토반도 지진[4] |
4. 1. 쓰나미경보 (대쓰나미) 발령 사례
현 대쓰나미경보 변경 이전 "쓰나미경보 (대쓰나미)" 시절 발표된 사례는 다음과 같다.- 1953년 11월 26일 보소 해역 지진[11][12]
- 1983년 5월 26일 동해 중부 지진[12]
- 1993년 7월 12일 홋카이도 남서쪽 해역 지진[12]
- 2010년 2월 27일 칠레 지진(일본 시각 기준 경보 발표는 2월 28일)[13]
- 2011년 3월 11일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11]
현 대쓰나미경보 체제 정립 이후 발표된 사례는 다음과 같다.
- 2024년 1월 1일 노토반도 지진[11]
4. 2. 대쓰나미경보 발령 사례
현행 대쓰나미경보 체제 정립 이후에는 총 1차례 발표되었다.- 2024년 노토반도 지진[11]
현행의 "대쓰나미 경보"에 해당하는 "쓰나미 경보(대쓰나미)"는 총 6차례 발표되었다.[4]
발생일 | 지진명 |
---|---|
1953년 11월 26일 | 보소 해역 지진[4][5] |
1983년 5월 26일 | 동해 중부 지진[5] |
1993년 7월 12일 | 홋카이도 남서쪽 해역 지진[5] |
2010년 2월 28일 | 칠레 지진[6] |
2011년 3월 11일 |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동일본 대지진)[4] |
2024년 1월 1일 | 노토반도 지진[4] |
참조
[1]
웹사이트
「大津波警報」に名称統一 気象庁が改善案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3-02-07
[2]
간행물
平成25年3月7日から津波警報が変わります
https://www.jma.go.j[...]
気象庁
[3]
웹사이트
中央防災会議 防災対策推進検討会議 津波避難対策検討ワーキンググループ
https://www.bousai.g[...]
[4]
뉴스
時時刻刻 揺れ直後 強い津波 珠洲・能登」「大津波警報6回目 仕組みは パターン10万通り計算 予想高さ3メートル超で発表「解除後も地震警戒を」
朝日新聞
2024-01-05
[5]
뉴스
大津波警報 震源近くで被害甚大
産経新聞
2010-03-01
[6]
뉴스
チリ地震 太平洋岸に津波 住民4万2000人避難 久慈120、仙台110センチ
読売新聞
2011-03-01
[7]
웹인용
「大津波警報」に名称統一 気象庁が改善案
http://www.nikkei.co[...]
日本経済新聞
2013-02-07
[8]
간행물
平成25年3月7日から津波警報が変わります
https://www.jma.go.j[...]
気象庁
[9]
웹사이트
「気象業務法及び国土交通省設置法の一部を改正する法律の施行期日を定める政令」及び「気象業務法施行令の一部を改正する政令」について
https://www.jma.go.j[...]
気象庁
2013-08-21
[10]
웹사이트
中央防災会議 防災対策推進検討会議 津波避難対策検討ワーキンググループ
https://www.bousai.g[...]
[11]
뉴스
時時刻刻 揺れ直後 強い津波 珠洲・能登」「大津波警報6回目 仕組みは パターン10万通り計算 予想高さ3メートル超で発表「解除後も地震警戒を」
朝日新聞
2024-01-05
[12]
뉴스
大津波警報 震源近くで被害甚大
産経新聞
2010-03-01
[13]
뉴스
チリ地震 太平洋岸に津波 住民4万2000人避難 久慈120、仙台110センチ
読売新聞
2011-03-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