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나미주의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쓰나미주의보는 일본 기상청이 발표하는 쓰나미 관련 주의보 중 하나로, 예상되는 쓰나미 높이가 20cm 이상 1m 이하일 때 발령된다. 쓰나미주의보가 발령되면, 바다에 있는 사람은 즉시 해안에서 멀리 떨어져야 하며, 해안가 접근을 삼가야 한다. 하지만, 육지 침수 우려가 없는 경우 거주 구역에서 즉시 대피할 필요는 없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이후, 쓰나미주의보의 의미에 대한 지자체의 혼란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대응 방식에 대한 재검토가 이루어졌다. 2020년 6월부터는 쓰나미주의보 이상 발령 시 시각적 전달 수단으로 쓰나미 플래그가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 기상청 - 긴급지진속보
긴급지진속보는 지진 발생 직후 지진파를 감지하여 규모와 진앙지 등을 신속히 추정하고 예상 진도와 도달 시간을 예측하여 발표하는 경보 시스템으로, 기술 개발과 시스템 개선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 일본 기상청 - 히마와리 (기상위성)
일본의 정지 궤도 기상 위성 시리즈인 히마와리는 1977년 1호 발사 이후 현재 8호와 9호가 운용 중이며 2028년 발사 예정인 10호가 개발 중으로, 초기 미국 기술 기반에서 점차 국산화되어 기상 관측과 재해 감시에 기여하고 있다. - 위기관리 - 코로나19 봉쇄
코로나19 봉쇄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전 세계적으로 시행된 이동 및 사회적 활동 제한 조치로, 사망률 감소 효과에도 불구하고 경제적·사회적 부작용과 정부 대응의 중요성, 그리고 국가별 상이한 영향에 대한 논쟁과 비판이 존재한다. - 위기관리 - 재난안전관리본부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는 대한민국의 재난 예방 및 관리를 총괄하는 중앙정부 기관으로,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현재 본부장 아래 2실 1국, 6정책관, 1심의관, 28과(1센터) 등으로 구성되어 재난 대응 및 안전 정책 수립을 담당한다. - 일본의 지진해일 - 간토 대지진
1923년 9월 1일 간토 지방 남부에서 발생한 간토 대지진은 대규모 지진과 그로 인한 화재, 여진, 쓰나미로 막대한 피해를 초래했으며, 간토 대학살과 같은 비극을 낳고 일본의 재해 예방 및 도시 계획에 큰 영향을 준 일본 역사상 최악의 자연재해 중 하나이다. - 일본의 지진해일 -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2011년 3월 11일 일본 도호쿠 지방 태평양 연안에서 발생한 Mw 9.0~9.1 규모의 초대형 해구형 지진인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은 대규모 쓰나미를 동반하여 동일본 대지진이라는 대규모 재해를 야기했으며, 연동형 지진으로 지구 자전축 이동과 같은 지구적 규모의 영향과 지진 예측 시스템의 한계를 드러냈다.
쓰나미주의보 |
---|
2. 정의
일본 기상청은 쓰나미와 관련된 주의보 및 경보로 대쓰나미경보, 쓰나미경보, 쓰나미주의보의 3가지 체제를 갖추고 있다. 쓰나미주의보는 이 중에서 예상되는 쓰나미 높이가 20cm 이상 1m 이하일 때 발령된다.[25]
쓰나미주의보, 쓰나미경보, 대쓰나미경보 발표 체계와 기준, 쓰나미 예보 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
2. 1. 일본 기상청 쓰나미 경보 체계
일본 기상청은 쓰나미 관련 주의보 및 경보를 대쓰나미경보, 쓰나미경보, 쓰나미주의보의 3단계 체계로 발표한다. 예상되는 쓰나미 높이가 20 cm 이상 1 m 이하일 때는 쓰나미주의보가 발령되며, 예상되는 쓰나미 높이는 1m로 표기된다.[25] 규모 M8 이상의 거대지진일 경우, 정확한 지진 규모가 밝혀지기 전까지는 쓰나미주의보가 발령되지 않는다.[25]예상되는 쓰나미 높이가 1m를 넘으면 쓰나미주의보 대신 쓰나미경보나 대쓰나미경보가 발령된다. 1m 이상 3m 이하일 경우 쓰나미경보가 발령되며, 예상되는 쓰나미 높이는 3m로 표기된다.[25] 규모 M8 이상의 거대지진일 경우, 정확한 지진 규모가 밝혀지기 전까지는 '높음'이라고만 표기한다.[25] 3m 이상일 경우 대쓰나미경보가 발령되며, 예상되는 쓰나미 높이에 따라 5m, 10m, 10m 이상으로 표기된다. 규모 M8 이상의 거대지진일 경우, 정확한 지진 규모가 밝혀지기 전까지는 '거대'라고만 표기한다.[25]
예상되는 쓰나미 높이가 20cm 이하일 경우 쓰나미주의보는 발령되지 않고, 쓰나미예보 (약간의 해수면 변동)가 발령된다.[25]
style="text-align:center" rowspan="2" | | 발표 기준 | 예측되는 쓰나미 높이 | |
---|---|---|---|
수치 발표 | 거대지진 (M8 이상) | ||
대쓰나미경보 | 10 m 이상 예측됨 | 10 m 이상(10 m超) | 거대(巨大) |
5 m < 예상 높이 ≦ 10 m | 10 m | ||
3 m < 예상 높이 ≦ 5 m | 5 m | ||
쓰나미경보 | 1 m < 예상 높이 ≦ 3 m | 3 m | 높음(高い) |
쓰나미주의보 | 0.2 m ≦ 예상 높이 ≦ 1 m | 1 m | (표기하지 않음) |
일본 기상청은 지진 발생 시 진원 요소(진원지, 깊이, 규모)를 분석하고,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쓰나미 발생 여부를 재현한다. 높은 곳에서 20cm 이상[6] 50cm 정도의 쓰나미가 관측될 경우 쓰나미 예보 구역[7]과 함께 주의보를 발표한다.
쓰나미경보가 발표되면 해당 예보구역과 가까운 인근 예보구역에 쓰나미주의보가 발령되는 경우가 많다. 쓰나미경보 발표 시에는 긴급경보방송이 시행되지만, 쓰나미주의보만 발령될 경우에는 시행되지 않는다. 쓰나미주의보 해제 이후에도 해수면 변동이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면 쓰나미예보 (약간의 해수면 변동)가 발표된다.[25]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발생 이후, 2013년 3월 7일 쓰나미경보/주의보 발표 체제가 개정되기 전까지 쓰나미주의보는 높은 지역에서 최대 0.5m의 쓰나미가 예상되는 경우에 발표되었다. 또한, 쓰나미경보는 '쓰나미'와 '대쓰나미' 두 가지로 구분되었는데, '쓰나미'는 1m 또는 2m, '대쓰나미'는 3m 이상의 쓰나미가 예상되는 경우에 발표되었다. '쓰나미경보 (대쓰나미)'는 일반적으로 '대쓰나미경보'로 불렸으며, 일본 기상청도 2013년 개정 이후 대쓰나미경보라는 새로운 분류를 추가하였다.[26][25]
행정방재상 '발령'과 '발표'는 명확하게 구별된다. 일본 기상청은 쓰나미경보나 쓰나미주의보를 '발표'하고,[27][28] 내각부의 피난권고 가이드라인 등에서는 이를 기반으로 시정촌이 피난 지시를 '발령'하는 것으로 정의되어 있다.[29]
3. 발표 과정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에서는 단층 이동 각도를 45도로 정의한다. 이는 45도 이상이면 과대 평가되고, 그 이하면 과소 평가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단층 이동 각도 등은 원칙적으로 발생 후 2시간 정도에 발표된다.
과거 오키나와현 이시가키지마 근해에서 지진이 발생하여 경보가 발표된 사례가 있지만, 실제 관측된 쓰나미는 미약했다. 이는 수평 이동 단층에 의한 지진으로, 쓰나미 발생 위험이 없었기 때문이다. 2009년 8월에도 동일 지역에서 지진이 발생하여 주의보가 발표되었지만, 역시 수평 이동 단층으로 쓰나미는 발생하지 않았다. 현재 기술로는 단층을 즉시 분석하기 어려워, 해상에서 발생하는 규모가 큰 지진에 대해서는 '주의보' 이상을 발표할 수밖에 없다.
3. 1. 쓰나미 예보 데이터베이스
일본 기상청은 쓰나미를 일으킬 수 있는 다양한 지진을 가정하여 시뮬레이션한 쓰나미 패턴 약 10만 건을 데이터베이스에 보존하고 있다.[30] 이 데이터베이스에는 일본 인근 여러 지점의 진원 단층에서 발생 가능한 다양한 진원 깊이와 규모의 지진에 대한 예보구별 쓰나미 높이와 예상 도달 시간이 기록되어 있다. 진원 단층의 방향은 과거 지진을 참고하며, 단층 기울기는 45°의 역단층으로 가정하여 시뮬레이션하였다.[31]
실제 지진 발생 시에는 진원과 규모를 파악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장 유사한 패턴을 검색, 지진 발생 후 약 3분 내에 쓰나미경보를 발표한다.[25][31] "쓰나미 도달 예상 시각과 예상되는 쓰나미 높이 정보"를 통해 예보구별 쓰나미 도달 예상 시각과 높이를, "각지의 만조 시각 및 쓰나미 도달 예상 시각 정보"를 통해 각 지점별 쓰나미 예상 도달 시각과 만조 시각 정보를 발표한다. 쓰나미 관측 시에는 "쓰나미 관측 정보"를 통해 실제 쓰나미 도달 시각과 높이를 발표한다.
하지만 진원이 해안과 가까울 경우 지진 발생 1-2분 내, 혹은 흔들림이 멈추기 전에 쓰나미가 도달하여 경보/주의보 발표가 늦어질 수 있다. 1999년 데이터베이스 구축 이후에도 쓰나미경보 발령 시점에서 제1파 도달 시각이 "이미 도달한 것으로 추측"이라고 발표된 사례도 있다. 따라서 해안가 주민들은 흔들림을 느끼면 쓰나미경보를 기다리지 않고 즉시 안전한 고지대로 대피해야 한다. 일본 기상청은 진원이 육지와 매우 가까운 해저에서 발생했을 경우 쓰나미경보가 늦을 수 있다며 '흔들리면 즉각 피난'을 원칙으로 해야 한다고 강조한다.[25]
기상청은 지진 발생 시 진원 요소(진원지, 깊이, 규모)를 분석하고,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통해 쓰나미 발생 여부를 재현한다. 20cm 이상[6] 50cm 정도의 쓰나미가 예상되면 쓰나미 예보 구역[7]과 함께 주의보를 발표한다.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는 단층 이동 각도를 45도로 정의하는데, 이는 45도 이상이면 과대평가, 그 이하면 과소평가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단층 이동 각도 등은 보통 2시간 내에 발표된다.
과거 오키나와현 이시가키지마 근해 지진 발생 시 경보가 발표되었으나, 실제 쓰나미는 미약했다. 이는 수평 이동 단층에 의한 지진으로 쓰나미 발생 위험이 없었기 때문이다. 2009년 8월에도 같은 지역에서 지진이 발생하여 주의보가 발표되었지만, 역시 수평 이동 단층으로 쓰나미는 발생하지 않았다. 현재 기술로는 단층의 즉시 분석이 불가능하여, 해상에서 발생하는 큰 규모의 지진에 대해서는 '주의보' 이상을 발표할 수밖에 없다.
3. 2. 실제 지진 발생 시 쓰나미 정보 발표 과정
일본 기상청은 쓰나미를 일으킬 수 있는 다양한 지진을 가정하여 시뮬레이션한 쓰나미예보 데이터베이스를 약 10만 건 보존하고 있다.[30] 이 데이터베이스에는 일본 인근 지점의 진원 단층에서 다양한 진원 깊이와 규모의 지진에 대한 예보구별 쓰나미 높이와 예상 도달 시간이 기록되어 있다. 단층의 기울기는 45°의 역단층으로 가정하여 시뮬레이션하였다.[31]
실제 지진 발생 시에는 먼저 진원과 지진 규모를 파악하고,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장 유사한 패턴을 검색하여 지진 발생 후 약 3분 내에 쓰나미경보를 발표한다.[25][31] 발표되는 정보는 다음과 같다.
하지만 진원이 해안과 가까운 경우, 지진 발생 1-2분 내 혹은 흔들림이 멈추기 전에 쓰나미가 도달할 수 있어 경보 발표가 늦어지는 사례가 발생할 수 있다. 1999년 이후에도 쓰나미경보 발령 시점에서 제1파 도달 시각이 "이미 도달한 것으로 추측"이라고 발표된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해안 부근 주민들은 흔들림을 느끼면 경보를 기다리지 않고 즉시 안전한 고지대로 대피해야 한다. 일본 기상청은 진원이 육지와 매우 가까운 해저에서 발생했을 경우 쓰나미경보가 쓰나미 내습보다 늦을 수 있다며 '흔들리면 즉각 피난'을 원칙으로 해야 한다고 강조한다.[25]
기상청은 지진 발생 후 진원 요소(진원지, 깊이, 규모)를 분석하고,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쓰나미 발생 여부를 재현한다. 20cm 이상[6] 50cm 정도의 쓰나미가 예상되면 쓰나미 예보 구역[7]과 함께 주의보를 발표한다.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에서는 단층 이동 각도를 45도로 정의하는데, 이는 45도 이상이면 과대 평가, 그 이하면 과소 평가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과거 오키나와현 이시가키지마 근해 지진 발생 당시 경보가 발표되었으나, 실제로는 미약한 쓰나미만 관측되었다. 이는 수평 이동 단층에 의한 지진으로 쓰나미 발생 위험이 없었기 때문이다. 현재 기술로는 단층의 즉시 분석이 불가능하여, 해상에서 발생하는 규모가 큰 지진에 대해서는 '주의보' 이상을 발표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4. 대응
일본 기상청은 쓰나미주의보가 발령되면 바다에 있는 사람은 즉시 바다에서 나와 해안에서 멀리 떨어져야 하며, 쓰나미주의보가 해제될 때까지 바다에 들어가거나 해안에 접근하지 말아야 한다고 규정한다.[1]
4. 1. 일본 기상청 및 관계 부처의 권고 사항
일본 기상청은 쓰나미주의보가 발령되었을 경우 "바다 위에 있는 사람은 즉시 바다에서 나와 해안에서 멀리 떨어져야 한다"고 하며, 쓰나미주의보가 해제될 때까지 바다에 들어가거나 해안가에 접근하지 말 것을 권고한다.[25] 일본 내각부, 소방청 등 관계 부처는 육지가 크게 침수될 우려가 없으며[32] 거주 구역에서 즉시 대피할 필요는 없다고 밝히고 있다.[33] 일본 기상청 기자회견에서도 "육지에서는 당장 피난갈 필요는 없지만, 바다 속에서 작업하거나 서핑, 해수욕, 갯바위 낚시 등의 레저 활동은 중지하고 바다에서 올라와 바다에 접근하지 말라"고 권고하고 있다.[34][35][36]4. 2. 동일본 대지진 이후 쓰나미 대응 재검토
2011년 12월부터 2012년 1월까지 일본 기상청이 실시한 의견 모집에서 각 지자체들은 "쓰나미주의보가 무슨 의미인지 알기 어렵다"는 의견을 제시했다.[37][38] 이에 기상청은 "쓰나미주의보에서는 거주 구역에서 즉각 대피가 불필요하다는 점을 충분히 인식, 개발하는 데 노력한다"는 목표를 제시하며, "쓰나미주의보 발표 시 거주 구역에서 과도한 피난을 보이면 쓰나미경보의 위기감을 약화시키는 영향이 있다"고 밝혔다.[37][38]중앙방재회의의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을 교훈으로 한 쓰나미 대책에 관한 전문조사회"에서는 지자체 측이 방재 대응을 치밀하게 세워 쓰나미주의보 발표 시점에서는 굳이 당장 피난가지 않아도 된다는 홍보를 강화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결론을 발표했다.[39] 기상청 쓰나미감시과 쓰나미예측모델개발추진관은 쓰나미주의보에 대해 오해가 있다며, 거주 구역 대피 권고가 아닌 바다에 있는 사람이 즉시 바다에서 나오고 주의하라는 경보 정도로 충분하며, 쓰나미주의보가 발령될 때마다 피난을 가면 양치기 소년 효과가 나서 대피 명령의 효과가 떨어진다고 말했다.[40][41]
2012년 7월 18일 중앙방재회의의 쓰나미대피대책검토 워킹그룹이 정리한 보고서에서는 "해수욕 등으로 해안 보전 시설보다 더 바다에 가까운 사람은 쓰나미주의보에서도 대피해야 한다"고 정리하였다.[42] 구시로시의 해저드 맵에서는 쓰나미주의보가 발표될 시 "해안, 하구, 강변에서 신속히 떨어지세요"라고 표기하였다.[43][44] 오아라이정의 쓰나미 피난 유도 지도에서는 쓰나미주의보에서 피난이 필요한 지역으로 오이라이 산비치 해수욕장과 인접한 주차장이 지정되어 있다.[45]
하지만 쓰나미주의보가 발표되었을 경우 내륙 지역의 초등학교와 유치원에서도 고지대로 대피하라는 지침을 내린 효고현 미나미아와지시 교육위원회나,[46] 쓰나미주의보가 발표된 경우 미리 정해진 지역에 피난 권고를 발령한다고 규정한 니시노미야시의 사례,[47] 쓰나미주의보 급의 쓰나미가 일어날 경우 거주 구역에서 피난하도록 유도하는 방재 대책을 연구하고 이를 발표하는 경우도 존재한다.[48][49]
실제로 쓰나미주의보가 발령된 경우, 2011년 3월 9일 발생한 산리쿠 해역 지진 당시 오후나토정, 히로노정, 후다이촌이 피난 권고를 내렸다.[50][51][52][53] 2011년 7월 10일 산리쿠 해역 지진 발생 당시에는 이와테현 오쓰치정, 미야기현 히가시마쓰시마시에서 피난 지시를 내렸으며, 그 외 각 지역에 피난 권고가 내려져 바다나 하구에서 멀리 떨어질 뿐 아니라 일부 거주 구역에서는 대피소나 고지대로 피난하라는 명령이 떨어졌다.[54][55][56][57] 2012년 3월 14일 발생한 산리쿠 해역 지진에서도 쓰나미주의보가 발령되자 이와테현 오쓰치정이 피난 지시를, 리쿠젠타카타시와 가마이시시 등 이와테현의 5개 시정촌과 무쓰시, 히가시도리촌, 가자마우라촌에서 주민에게 피난 권고를 발령했다.[58]
4. 3. 연안 지역 지자체의 대응
2016년 후쿠시마현 해역 지진 당시 쓰나미경보가 발표되었을 때 연안의 시정촌에 따라 대응이 달라지는 문제가 발생했다.[59] 미야기현은 2017년 10월 쓰나미 대책 지침을 개정하여 피난지시 발령 기준을 쓰나미주의보 이상으로 개정했다고 발표했다.[59] 하지만 오나가와정이나 미나미산리쿠정의 지역 방재대책에서는 쓰나미경보 이상이 발표되었을 때 피난지시 등이 내려져 있도록 규정되어 있어 각 기초자치단체의 관계자는 쓰나미주의보로 피난지시 발령 기준을 내리는 것이 혼란을 가져올 것이라 우려하는 경우도 있다.[59] 시의 영역이 넓은 이시노마키시의 경우에도 피난은 중요하나 여러 영향을 받기 때문에 피난대상지역의 결정에는 근거가 되는 데이터가 있어야 한다고 보고 있다.[59]2021년 미야기현 해역 지진 당시 미야기현에서 쓰나미주의보가 발표되었을 때도 연안의 각 시정촌 대응이 달랐다. 9개 정은 미야기현의 쓰나미 대책지침에 따라 피난지시를 내렸지만 이시노마키시, 게센누마시, 미나미산리쿠정, 오나가와정은 각 시정촌의 방재 계획에 따라 주의만 환기하였으며 히가시마쓰시마시와 리후정은 독자적 판단으로 각각 피난권고와 주의환기조치를 내렸다.[59]
5. 쓰나미 플래그
2020년 6월부터 쓰나미주의보 이상이 발표되었을 경우 해수욕장 등에서 시각적인 전달 수단으로 쓰나미 플래그가 제정되었다.
6. 과거 사례
쓰나미 경보·쓰나미 주의보 발표 사례 목록
참조
[1]
웹사이트
平成25年3月7日から津波警報が変わります
https://www.jma.go.j[...]
気象庁
[2]
웹사이트
"「大津波警報」に名称統一 気象庁が改善案"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3-01-09
[3]
웹사이트
デスク日誌(1/27):発表か発令か
https://kahoku.news/[...]
2022-03-18
[4]
웹사이트
発令と発表
https://www.tokai-tv[...]
2022-03-18
[5]
웹사이트
避難勧告等に関するガイドライン2(発令基準・防災体制編)
https://www.bousai.g[...]
2022-03-18
[6]
웹사이트
【防犯・防災・事故の情報】津波警報 | 焼津・藤枝ポータルサイト「しだまちライフ」
http://www.shidamach[...]
[7]
문서
北は北方四島から西は八重山諸島、南は小笠原諸島まで、全国の海岸・湾岸を66分割して網羅した区域。
[8]
웹사이트
津波警報の発表基準等と情報文のあり方に関する提言について
https://www.jma.go.j[...]
気象庁報道発表
2012-02-07
[9]
웹사이트
いただいたご意見と気象庁の見解
https://www.jma.go.j[...]
[10]
웹사이트
中央防災会議「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を教訓とした地震・津波対策に関する専門調査会」(第8回)議事概要について
https://www.bousai.g[...]
[11]
웹사이트
NHKR1『私も一言!夕方ニュース』
https://x.com/nhk_hi[...]
[12]
웹사이트
NHKR1『私も一言!夕方ニュース』2012年2月7日
https://x.com/nhk_hi[...]
[13]
웹사이트
中央防災会議 防災対策推進検討会議 津波避難対策検討ワーキンググループ
https://www.bousai.g[...]
[14]
문서
大津波警報・津波警報が発表されたときの対応は、居住区が避難の対象に含まれる。
[15]
웹사이트
津波ハザードマップの例(防災白書)
https://www.bousai.g[...]
内閣府防災担当
[16]
PDF
500年間隔地震 津波ハザードマップ(釧路地区中部・東部)
http://www.city.kush[...]
釧路市
[17]
문서
大津波警報・津波警報・津波注意報の3種類の避難エリアが指定されている。
[18]
PDF
大洗町海水浴場の津波避難対策について
http://www.town.oara[...]
大洗町
[19]
웹사이트
【報告】津波注意報発表から解除までの現地及びみえの動き
http://mvsc.jp/2011/[...]
[20]
웹사이트
被災地に震災後初の津波 高台避難の住民「恐怖心残る」
http://www.asahi.com[...]
[21]
웹사이트
津波注意報に「またか」と不安の声
https://web.archive.[...]
[22]
웹사이트
岩手、気仙大橋仮橋が開通 津波注意報で避難に利用
http://www.kyoto-np.[...]
[23]
웹사이트
北海道・青森・岩手沿岸の津波注意報解除
http://www.nikkei.co[...]
[24]
웹사이트
津波注意報で避難指示どうする? 進む高台移転、沿岸市町の対応分かれる
https://kahoku.news/[...]
河北新報
2021-03-29
[25]
웹사이트
平成25年3月7日から津波警報が変わります
https://www.jma.go.j[...]
気象庁
[26]
웹인용
"「大津波警報」に名称統一 気象庁が改善案"
http://www.nikkei.co[...]
日本経済新聞
2013-01-09
[27]
웹인용
デスク日誌(1/27):発表か発令か
https://kahoku.news/[...]
2022-03-18
[28]
웹인용
発令と発表
https://www.tokai-tv[...]
2022-03-18
[29]
웹인용
避難勧告等に関するガイドライン2(発令基準・防災体制編)
https://www.bousai.g[...]
2022-03-18
[30]
웹사이트
津波予報データベースを全国的に改善〜平成28年11月22日の福島県沖の地震の際の宮城県での津波の過小予測を踏まえて〜
https://www.jma.go.j[...]
気象庁
2018-07-17
[31]
웹사이트
津波を予測するしくみ
https://www.data.jma[...]
気象庁
2018-08-25
[32]
웹사이트
広報ぼうさい 特集 津波について知ろう
http://www.bousai.go[...]
内閣府防災担当
2011-12-21
[33]
웹사이트
減災啓発ツール みんなで減災 津波への備え
http://www.bousai.go[...]
内閣府防災担当
2012-02-06
[34]
웹인용
サモア大地震、日本にも津波到達の可能性
http://www.news24.jp[...]
2022-09-24
[35]
웹사이트
地震後4-5時間は津波の可能性~気象庁
http://www.news24.jp[...]
[36]
웹인용
津波注意報発表の可能性=サモアの地震で-気象庁
http://jmjp.jp/topic[...]
2022-09-24
[37]
문서
津波警報の発表基準等と情報文のあり方に関する提言について
https://www.jma.go.j[...]
気象庁報道発表、平成24年2月7日
[38]
문서
いただいたご意見と気象庁の見解
https://www.jma.go.j[...]
[39]
문서
中央防災会議「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を教訓とした地震・津波対策に関する専門調査会」(第8回)議事概要について
https://www.bousai.g[...]
[40]
Youtube
NHKR1『私も一言!夕方ニュース』
http://twitter.com/n[...]
[41]
Youtube
NHKR1『私も一言!夕方ニュース』2012年2月7日
http://twitter.com/n[...]
[42]
문서
中央防災会議 防災対策推進検討会議 津波避難対策検討ワーキンググループ
https://www.bousai.g[...]
[43]
문서
津波ハザードマップの例(防災白書)
https://www.bousai.g[...]
内閣府防災担当
[44]
문서
500年間隔地震 津波ハザードマップ(釧路地区中部・東部)
http://www.city.kush[...]
釧路市
[45]
문서
大洗町海水浴場の津波避難対策について
http://www.town.oara[...]
大洗町
[46]
뉴스
津波 学校の責任で避難…兵庫
http://www.yomiuri.c[...]
[47]
웹인용
"「もし災害に見舞われたら」津波災害編 ①発令者及び避難勧告・指示の発令基準"
http://www.nishi.or.[...]
2022-09-25
[48]
웹인용
サモア諸島沖の地震による津波注意報に対する対応
http://www.kz.tsukub[...]
2022-09-25
[49]
웹인용
静岡県は耐震先進県?
http://www.kz.tsukub[...]
2022-09-25
[50]
문서
三陸沖地震・津波注意報の発表に伴う対応状況
http://www.pref.iwat[...]
[51]
웹인용
2漁港拠点に整備 老朽化堤防補強図る
http://www.iwate-np.[...]
2022-09-25
[52]
뉴스
宮城県北部で震度5弱
http://www.sponichi.[...]
[53]
뉴스
津波注意報の発表で避難所に避難した住民たち
http://www.yomiuri.c[...]
[54]
웹인용
【報告】津波注意報発表から解除までの現地及びみえの動き
http://mvsc.jp/2011/[...]
2022-09-25
[55]
뉴스
被災地に震災後初の津波 高台避難の住民「恐怖心残る」
http://www.asahi.com[...]
[56]
웹인용
津波注意報に「またか」と不安の声
http://sankei.jp.msn[...]
2022-09-25
[57]
뉴스
岩手、気仙大橋仮橋が開通 津波注意報で避難に利用
http://www.kyoto-np.[...]
[58]
뉴스
北海道・青森・岩手沿岸の津波注意報解除
http://www.nikkei.co[...]
[59]
웹사이트
津波注意報で避難指示どうする? 進む高台移転、沿岸市町の対応分かれる
https://kahoku.news/[...]
河北新報
2021-03-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