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특별경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특별경보는 예상되는 현상이 특히 이상하여 중대한 재해가 일어날 우려가 현저히 클 때 발령되는 경보로, 일반 기상 경보보다 더 심각한 상황을 의미한다. 이는 2013년 기상 업무법 개정을 통해 도입되었으며, 쓰나미, 지진, 분화, 폭우, 폭풍, 고조, 파랑, 대설, 폭풍설 등 7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특별경보가 발령되면 지자체는 주민들에게 철저한 주지를 해야 하며, 주민과 관계 기관은 최대 규모의 방재 대응을 해야 한다. 기상청은 특별경보 발표 시 NHK, 도도부현, 소방청 등에 전달하며, J-ALERT를 통해 신속하게 정보를 전달한다. 특별경보는 폭우, 폭풍, 고조, 파랑, 대설 등에 적용되며, 각 현상에 따라 구체적인 기준이 마련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 기상청 - 긴급지진속보
    긴급지진속보는 지진 발생 직후 지진파를 감지하여 규모와 진앙지 등을 신속히 추정하고 예상 진도와 도달 시간을 예측하여 발표하는 경보 시스템으로, 기술 개발과 시스템 개선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 일본 기상청 - 히마와리 (기상위성)
    일본의 정지 궤도 기상 위성 시리즈인 히마와리는 1977년 1호 발사 이후 현재 8호와 9호가 운용 중이며 2028년 발사 예정인 10호가 개발 중으로, 초기 미국 기술 기반에서 점차 국산화되어 기상 관측과 재해 감시에 기여하고 있다.
  • 위기관리 - 코로나19 봉쇄
    코로나19 봉쇄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전 세계적으로 시행된 이동 및 사회적 활동 제한 조치로, 사망률 감소 효과에도 불구하고 경제적·사회적 부작용과 정부 대응의 중요성, 그리고 국가별 상이한 영향에 대한 논쟁과 비판이 존재한다.
  • 위기관리 - 재난안전관리본부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는 대한민국의 재난 예방 및 관리를 총괄하는 중앙정부 기관으로,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현재 본부장 아래 2실 1국, 6정책관, 1심의관, 28과(1센터) 등으로 구성되어 재난 대응 및 안전 정책 수립을 담당한다.
특별경보
개요
재해 수준과 특별 경보의 이미지
재해 수준과 특별 경보의 이미지 (기상청 HP에서 발췌)
영어 명칭Emergency Warning
일본어 명칭特別警報 (도쿠베쓰케이호)

2. 정의

일본 기상청(JMA)은 폭우, 지진, 쓰나미, 폭풍 해일 등 특별한 자연 현상으로 인한 잠재적 재난에 대해 경보를 발령한다. 경보 외에도, JMA는 현상이 경보 기준을 훨씬 초과할 규모로 예상될 경우 재난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특별 경보'''를 발령한다.[1]

특별 경보는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한 대규모 쓰나미, 이세만 태풍으로 인한 고조와 같이 수십 년에 한 번 있을 정도로 극심한 위험 수준을 나타낸다.[1] 특별 경보가 발령되면 주민들은 주변 환경과 지자체의 대피 권고 등 관련 정보에 주의를 기울이고,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해야 한다.[1]

특별 경보는 관련 경보 기준을 훨씬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규모의 현상에 대해 발령된다.[2] 경보 및 주의보는 특별경보 도입 후에도 현재의 형태로 계속 발령된다.[1] 해당 지역에 특별경보가 발령되지 않더라도 주민들은 경계를 늦춰서는 안 된다.[1]

2. 1. 법적 정의

특별경보는 기상 업무법 제13조의 2에서 "예상되는 현상이 특히 이상하므로 중대한 재해가 일어날 우려가 현저히 크다는 것을 경고하여 행하는 경보"라고 법적으로 정의하고 있다.[4] 2013년 5월 30일에 공포된 개정 기상 업무법 및 개정 국토교통성 설치법에서 새로운 제도로 마련되었으며, 같은 해 8월 30일 0시(JST)부터 운영이 시작되었다. 일반적인 경보보다 더욱 중대성이 높은 재해가 닥쳐오는 상황에서, 시정촌은 주민 등에게 철저한 주지를 하고, 주민 및 관계 기관은 최대 규모의 방재 대응을 취할 것을 요구하는 것이다.[4][6]

기존의 경보는 도도부현에서 시정촌으로의 통지 및 시정촌에서 주민・관공서에 대한 주지는 노력 의무였지만, 특별 경보는 이를 의무로 규정함으로써 주지의 강화를 도모하고 있다.[6]

경보 종류의 법적 정의
명칭정의준거법규
예보관측의 성과에 근거한 현상의 예상 발표법 2조 6항
colspan="2"| 주의보재해가 일어날 우려가 있음을 주의하여 행하는 예보령 4조
colspan="2"| 경보중대한 재해가 일어날 우려가 있음을 경고하여 행하는 예보법 2조 7항
특별 경보예상되는 현상이 특히 이상하므로 중대한 재해가 일어날 우려가 현저히 크다는 것을 경고하여 행하는 경보법 13조의 2
주:「법」은 기상 업무법,「령」은 기상 업무 시행령.



법령상으로는 현상에 따라 7가지로 구분되지만, 일부는 실제로 발표되는 표제(제목)와 다르다.

기상 업무법상의 특별 경보(실제로 발표되는 특별 경보와는 일부 다름)[8]
종류설명
기상 특별 경보폭풍우, 폭풍설, 폭우, 대설 등에 의한 현저히 중대한 재해의 경고. 실제로는 더욱 세분화되어, 현상명을 관명한 표제로 발표된다.
지진동 특별 경보지진동에 의한 현저히 중대한 재해의 경고. 발생한 단층 운동에 의한 지진동에 한한다. 긴급 지진 속보로 발표되고 있다.
화산 현상 특별 경보분화, 강회 등에 의한 현저히 중대한 재해의 경고. 현재는 분화 경보만이 운용되고 있다.
토사 붕괴 특별 경보폭우, 대설 등에 따른 산사태, 산사태 등에 의한 현저히 중대한 재해의 경고. 실무상으로는 다른 경보에 부수되어, 독립적으로 발표되는 일은 없다.
쓰나미 특별 경보쓰나미에 의한 현저히 중대한 재해의 경고. 대쓰나미 경보로 발표된다.
고조 특별 경보태풍 등에 의한 해면의 이상한 상승(고조)에 의한 현저히 중대한 재해의 경고.
파랑 특별 경보풍랑이나 너울에 의한 현저히 중대한 재해의 경고.



2019년 5월 29일부터 기상청은 "호우·홍수·고조 경계 레벨"(호우 경보, 토사 재해 경계 정보, 지정 하천 홍수 예보 및 고조 경보가 대상)의 운용을 시작했다. 이 중에서 호우 특별 경보는 5단계 중 가장 위험한 '''경계 레벨 5'''(이미 재해가 발생했거나 절박한 상황), 고조 특별 경보는 '''경계 레벨 4'''(신속하게 전원 피난)에 상당한다.[28][29][30]

2. 2. 법령상의 구분

기상 업무법 제13조의 2에서는 특별경보를 "예상되는 현상이 특히 이상하므로 중대한 재해가 일어날 우려가 현저히 크다는 것을 경고하여 행하는 경보"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는 2013년 5월 30일에 공포된 개정 기상 업무법 및 개정 국토교통성 설치법에서 새로운 제도로 마련되었으며, 같은 해 8월 30일 0시(JST)부터 운영이 시작되었다.[4][6]

일반적인 경보보다 더욱 중대한 재해가 닥쳐오는 상황에서, 시정촌은 주민 등에게 철저한 주지를 하고, 주민 및 관계 기관은 최대 규모의 방재 대응을 취할 것을 요구한다.[4][6] 기존의 경보는 도도부현에서 시정촌으로의 통지 및 시정촌에서 주민・관공서에 대한 주지가 노력 의무였지만, 특별 경보는 이를 의무로 규정하여 주지의 강화를 도모하고 있다.

특별경보는 동일본 대지진의 쓰나미나 이세만 태풍의 고조폭풍과 같이 수십 년에 한 번 발생할까 말까 한 매우 드문 빈도의 극히 대규모 재해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되는 기상 현상, 쓰나미, 지진, 분화가 대상이다.[5]

법적으로 특별경보는 경보의 일종이며, 더 나아가 경보 자체가 예보의 일종이므로, 특별경보도 예보의 일종이다.[4][6] 법령상으로는 현상에 따라 7가지로 구분되지만, 실제로 발표되는 표제(제목)는 다를 수 있다.

종류설명
기상 특별 경보폭풍우, 폭풍설, 폭우, 대설 등에 의한 현저히 중대한 재해의 경고. 실제로는 더욱 세분화되어, 현상명을 관명한 표제로 발표된다.
지진동 특별 경보지진동에 의한 현저히 중대한 재해의 경고. 발생한 단층 운동에 의한 지진동에 한한다. 긴급 지진 속보로 발표되고 있다.
화산 현상 특별 경보분화, 강회 등에 의한 현저히 중대한 재해의 경고. 현재는 분화 경보만이 운용되고 있다.
토사 붕괴 특별 경보폭우, 대설 등에 따른 산사태, 산사태 등에 의한 현저히 중대한 재해의 경고. 실무상으로는 다른 경보에 부수되어, 독립적으로 발표되는 일은 없다.
쓰나미 특별 경보쓰나미에 의한 현저히 중대한 재해의 경고. 대쓰나미 경보로 발표된다.
고조 특별 경보태풍 등에 의한 해면의 이상한 상승(고조)에 의한 현저히 중대한 재해의 경고.
파랑 특별 경보풍랑이나 너울에 의한 현저히 중대한 재해의 경고.



열사병 특별 경계 알림(2024년 창설)은 기상청 및 환경성이 발표하며, 기후 변화 적응법에 근거한다.[9]

3. 제정 경위

2000년대 이후 일본 기상청은 토사 재해 경계 정보 확충, 경보 및 주의보 발표 단위를 시정촌별로 세분화, '제목만 있는 단문 기상 정보' 시작 등 방재 정보를 개선해왔다.[10][11] 그러나 2011년 동일본 대지진과 태풍 12호 등 대형 재해로 인해 피난이 충분하지 않았던 문제점이 부각되었다.[5][12][61]

이에 따라 자치단체 요청과 국가 중앙 방재 회의 제언으로 방재 정보 개선이 요구되었고, 법 개정으로 이어졌다.[5][12][61] 그 결과, 1952년 기상 업무법 제정 이후 2단계(주의보, 경보) 체제였던 일본 기상청 경보 체계에 특별경보가 추가되었다.[18][19] 이는 1932년 기상 특보(현재의 주의보) 발표 시작 이후 81년 만의 새로운 단계 제정이었다.[18][19]

3. 1. 동일본 대지진과 태풍 12호의 교훈

2011년 동일본 대지진에서는 센다이 평야에서 쓰나미 침수 구역이 내륙 6km에 달하는 등 도호쿠 지방 태평양 연안을 중심으로 대규모 쓰나미가 덮쳐 2만 명 가까운 사망자, 실종자가 발생했다.[13][14][15] 같은 해 9월 초순에 일본에 상륙한 태풍 12호는 기이 반도를 중심으로 며칠간 강수량이 1500mm~2000mm에 달하는 기록적인 폭우를 내려, 토사 붕괴, 토석류, 범람 등으로 90명 이상의 사망자, 실종자가 발생했다.[16][17]

이 두 재해에서 기상청은 대쓰나미 경보와 토사 재해 경계 정보 등 최대 레벨의 경보를 발령했음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희생자와 막대한 피해가 발생했다. 경보의 중대성과 절박성을 알기 어렵다는 등의 지적이 제기되어 정보 전달 방식에 과제가 남았다. 이러한 교훈을 바탕으로, 자치단체의 요청과 국가 중앙 방재 회의의 제언에 따라 방재 정보 개선을 위한 법 개정이 이루어졌다.[5][12][61]

3. 2. 경보 체계의 변화

일본의 기상 경보 체계는 오랫동안 주의보와 경보의 2단계로 운영되었다. 그러나 2011년 동일본 대지진과 같은 대규모 재해를 겪으면서, 더 강력한 경보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5][12][61]

2000년대에 들어 기상청은 토사 재해 경계 정보 확충(도도부현마다 2005년 - 2008년에 걸쳐 순차적으로 시작)[10], 경보・주의보 발표 단위를 지방별에서 시정촌별로 세분화(2010년)[10], 중대한 재해의 절박함을 알리는 "제목만 있는 단문 기상 정보" 시작(2012년)[11] 등 방재 정보 개선을 추진했다.

하지만, 경보 등의 방재 정보를 받아 피난이 충분하지 않았던 사례가 끊이지 않았으며, 2011년에 잇따라 발생한 대형 재해로 인해 이 문제가 부각되었다.[5][12][61]

같은 해 3월 11일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에서는 센다이 평야에서 쓰나미 침수 구역이 내륙 6km에 달하는 등 도호쿠의 태평양 연안을 중심으로 대규모 쓰나미가 덮쳐 2만 명 가까운 사망자・실종자가 발생했다.[13][14][15]

또한 같은 해 9월 초순 일본에 상륙한 태풍 12호는 기이 반도를 중심으로 며칠간 강수량이 1,500 - 2,000mm에 달하는 기록적인 폭우를 내려, 토사 붕괴・토석류・범람 등으로 90명 이상의 사망자・실종자가 발생했다.[16][17]

이 두 재해에서는 기상청이 대쓰나미 경보와 토사 재해 경계 정보 등 최대 레벨의 경보를 발령했음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희생자와 막대한 피해가 발생했고, 경보의 중대성・절박성을 알기 어렵다는 지적이 제기되어 정보 제공 방식에 과제를 남겼다.

이러한 교훈을 바탕으로, 자치단체의 요청과 국가 중앙 방재 회의의 제언에 따라 방재 정보 개선 요구가 법 개정으로 이어졌다.[5][12][61]

이에 따라, 1952년 기상 업무법 제정 이후 2단계(주의보, 경보) 체제였던 일본 기상청의 경보 체계에 특별경보가 추가되었다.[18][19] 이는 1932년 기상 특보(현재의 주의보) 발표 시작 이후 81년 만의 새로운 단계 제정이었다.[18][19] 특별경보는 기존의 경보 기준을 훨씬 뛰어넘는 심각한 재해가 예상될 때 발령된다.[1]

4. 종류와 기준

특별경보는 경보 기준을 훨씬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특별한 현상에 대해 발령된다. 강우, 폭풍 등 6가지 기상 현상과 쓰나미, 분화, 지진에 대해 발표되며, 각 특별경보의 구체적인 기준은 "수십 년에 한 번"이라는 문구를 포함한다.[1]

강우, 폭풍 등의 6개는 "'''○○특별경보'''" 형태로 발표된다. 쓰나미, 분화, 지진 3가지에 대해서는 종전과 변함없이 "'''대쓰나미 경보'''", "'''분화 경보'''", "'''긴급지진속보'''" 형태로 발표된다. 쓰나미와 분화에 대해서는 발표 기준도 종전과 변함없다. 주의보나 경보는 특별경보 운용 개시 후에도 동일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별경보 발령 기준은 해당 지역의 재난 관리를 담당하는 지방자치단체의 의견을 수렴하여 결정되었다.[1]

4. 1. 기상 재해

태풍이나 집중 호우로 인한 수십 년에 한 번의 강수량이 예상되는 경우, 또는 토사 재해나 침수 피해와 관련하여 과거에 막대한 피해를 가져온 현상에 상응하는 지표 기준치 이상이 되는 지역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고, 게다가 더욱 격렬한 비가 계속해서 내릴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폭우 특별경보가 발령된다. 폭풍 특별경보는 수십 년에 한 번의 강도를 가진 태풍이나 그와 동등한 온대 저기압에 의한 폭풍이 예상되는 경우에 발령된다. 고조 특별경보는 수십 년에 한 번의 강도를 가진 태풍이나 그와 동등한 온대 저기압에 의한 고조가 예상되는 경우에 발령된다. 파랑 특별경보는 수십 년에 한 번의 강도를 가진 태풍이나 그와 동등한 온대 저기압에 의한 높은 파도가 예상되는 경우에 발령된다.

대설 특별경보는 수십 년에 한 번의 강설량이 예상되는 경우에 발령되며, 폭풍설 특별경보는 수십 년에 한 번의 강도를 가진 태풍과 동등한 온대 저기압에 의한 눈을 동반한 폭풍이 예상되는 경우에 발령된다.

이러한 기상 재해 특별경보의 기준에는 모두 "수십 년에 한 번"이라는 문구가 포함되어 있다. 기상청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볼 때 각 종류별로 연간 1~2회 정도 발표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별경보 종류와 기준
명칭종류기준
폭우 특별 경보폭우, 사면 현상(토사 재해)태풍이나 집중 호우로 인한 수십 년에 한 번의 강수량이 예상되는 경우.
폭풍 특별 경보폭풍수십 년에 한 번의 강도를 가진 태풍이나, 그와 동등한 온대 저기압에 의한 폭풍이 예상되는 경우.
고조 특별 경보고조수십 년에 한 번의 강도를 가진 태풍이나, 그와 동등한 온대 저기압에 의한 고조가 예상되는 경우.
파랑 특별 경보파랑수십 년에 한 번의 강도를 가진 태풍이나, 그와 동등한 온대 저기압에 의한 높은 파도가 예상되는 경우.
대설 특별 경보대설수십 년에 한 번의 강설량이 예상되는 경우.
폭풍설 특별 경보폭풍설수십 년에 한 번의 강도를 가진 태풍과 동등한 온대 저기압에 의한 눈을 동반한 폭풍이 예상되는 경우.


4. 2. 쓰나미 재해

대쓰나미 경보는 기존의 쓰나미 경보 중 대쓰나미 경보를 특별경보로 위치시킨 것이다.[57][58][59] 대쓰나미 경보는 3m를 초과하는 쓰나미가 예상되는 경우에 발표된다. 연안이나 하구 근처의 저지대뿐만 아니라, 내륙까지 피해가 미치는 쓰나미의 내습이 예상되는 경우가 해당된다.

쓰나미 재해
명칭종류기준
대쓰나미 경보쓰나미3m를 초과하는 대쓰나미가 예상되는 경우


4. 3. 화산 재해

분화구 근처뿐만 아니라, 거주지까지 피해가 미치는 분석이나 화쇄류 등의 내습이 예상되는 경우.분화 경계 레벨 미운용거주 지역 엄중 경계 또는 산록 엄중 경계 상당의 분화가 예상되는 경우.


4. 4. 지진 재해

긴급지진속보 중 최대 진도 6약 이상 또는 장주기 지진동 계급 4의 지진이 예측되는 경우 특별경보로 발표된다.[57][58][59]

5. 발표 단위와 기관

특별경보는 원칙적으로 시정촌(일부 구역)을 단위로 발표하며, 도쿄 23구는 각 특별구를 단위로 한다.[1] 특별경보 발표는 예보 구역을 담당하는 각 지방 기상대가 담당한다.[1]

기상 특별 경보의 종류와 기준은 다음과 같다.

종류와 기준
명칭종류기준
기상 재해
폭우 특별 경보폭우태풍이나 집중 호우로 인한 수십 년에 한 번의 강수량이 예상되는 경우.
사면 현상(토사 재해)
폭풍 특별 경보폭풍수십 년에 한 번의 강도를 가진 태풍이나, 그와 동등한 온대 저기압에 의한 폭풍이 예상되는 경우.
고조 특별 경보고조수십 년에 한 번의 강도를 가진 태풍이나, 그와 동등한 온대 저기압에 의한 고조가 예상되는 경우.
파랑 특별 경보파랑수십 년에 한 번의 강도를 가진 태풍이나, 그와 동등한 온대 저기압에 의한 높은 파도가 예상되는 경우.
대설 특별 경보대설수십 년에 한 번의 강설량이 예상되는 경우.
폭풍설 특별 경보폭풍설수십 년에 한 번의 강도를 가진 태풍과 동등한 온대 저기압에 의한 눈을 동반한 폭풍이 예상되는 경우.
쓰나미 재해
대쓰나미 경보쓰나미3m를 초과하는 대쓰나미가 예상되는 경우.
화산 재해
분화 경보 (거주 지역)
또는 분화 경보
분화분화 경계 레벨 운용 중분화 경계 레벨 5 및 4의 분화가 예상되는 경우 (거주 지역이 대상에 포함되는 분화 경보와 같음).
분화 경계 레벨 미운용거주 지역 엄중 경계 또는 산록 엄중 경계 상당의 분화가 예상되는 경우.
지진 재해
긴급지진속보지진동긴급지진속보 중 최대 진도 6약 이상 또는 장주기 지진동 계급 4의 지진이 예측되는 경우.



기상의 6가지 특별 경보 기준에는 모두 "수십 년에 한 번"이라는 문구가 있다.

발표 기준의 구체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다.

별표: 구체적 기준의 예시
현상기준
폭우토사 재해
침수 피해
태풍colspan="2" |
대설적설 깊이가 50년에 한 번의 값 이상이 된 지역이 현 정도의 넓이의 범위에 출현하고, 게다가 경보급의 강설이 1일 정도 이상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경우에 따라서는 경보를 건너뛰고, 주의보에서 특별 경보로 경계 레벨이 격상되는 경우도 있다.

대쓰나미 경보는 종전의 쓰나미 경보 중 대쓰나미 경보라고 불리던 "쓰나미 경보(대쓰나미)"를 특별 경보로 위치시킨 것이다. "분화 경보", "긴급지진속보"의 명칭은 경보와 같지만, 이에 관해 기상청은 조기 시작을 우선하기 위해 전문의 형식 변경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필요가 있었다는 것을 이유로 들고 있다.

6. 전달

특별경보는 기상업무법 제15조의 2에 따라 행정기관과 주민의 방재 대응을 지원하기 위해 발표 및 해제 전달 계통이 제도화되어 있다.[8][46] 도도부현 지사에서 시정촌장, 시정촌장에서 주민에게 알리는 것이 각각 의무화되어 있다는 점이 경보와 다르다.[8][46]

기상청 홈페이지에서는 폭우 특별경보(경계 레벨 5 상당)는 검은색(RGB=12, 0, 12)으로, 그 외의 특별경보(경계 레벨 4 상당)는 자색(RGB=170, 0, 170)으로 표시한다.[48] 이는 경계 레벨 및 위험도 분포(키키루)에 맞춘 색상 계통으로,[49] 2021년 2월 기상청 홈페이지 리뉴얼[50] 시 변경되었다.

6. 1. 전달 체계

특별경보는 다양한 기관을 통해 전달된다. 기상청은 주민, NHK, 도도부현, 소방청, NTT, 해상보안청, 경찰청 등에 특별경보를 전달한다.[8][46] 특히 도도부현 지사는 관계 시정촌장에게, 시정촌장은 주민과 관공서에 특별경보를 즉시 알릴 의무가 있다.[8][46]

시정촌에서 주민에게 알리는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방재행정무선이나 유선방송의 개별 수신기나 옥외 스피커 방송, 홍보차 순회, 소방단이나 자주방재조직, 자치회 등을 통한 전달, 휴대 전화 방재 메일 발신이나 긴급 속보 메일(지역 메일), 지역 케이블 TV나 커뮤니티 FM 방송 등이 있다.[5]

2014년 3월 27일부터는 J-ALERT를 통한 특별경보 전달도 시작되었다. J-ALERT는 원칙적으로 자동 기동하여 방재행정무선이나 커뮤니티 FM의 긴급 방송을 자동 기동시켜 특별경보 발표를 방송한다.

하지만 2013년 9월 18일 특별경보 첫 발표 당시, 교토부와 시가현의 4개 시정촌에서 새벽 전 어두운 시간대라는 이유로 주민에게 알리지 않은 사례가 발생했다. 기상청은 기상업무법 위반 가능성을 언급하며 유감을 표명했고, 전문가들도 이러한 판단이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47]

기상청 홈페이지에서는 폭우 특별경보(경계 레벨 5 상당)는 검은색(RGB=12, 0, 12), 그 외의 특별경보(경계 레벨 4 상당)는 자색(RGB=170, 0, 170)으로 표시한다.[48] 이는 경계 레벨 및 위험도 분포(키키루)에 맞춘 색상 계통으로,[49] 2021년 2월 기상청 홈페이지 리뉴얼[50] 시 변경되었다.

특별경보 전달 체계는 다음과 같다.[8][46]

전달 주체전달 대상비고
기상청주민보도 기관 협력 하에 실시
기상청NHK전 종류
기상청도도부현, 소방청, NTT 동일본·서일본지진동 제외
기상청해상보안청지진동·분화 제외
기상청경찰청분화·대쓰나미만
도도부현 지사관계 시정촌장경보에서는 "노력 의무"
경찰청, 소방청, NTT 동일본·서일본관계 시정촌장노력 의무
해상보안청항해 중 및 입항 중인 선박노력 의무
NHK공중
시정촌장공중·관공서경보에서는 "노력 의무"


6. 2. 주민 주지 방법

특별경보는 방재행정무선, 유선방송, 홍보차, 소방단, 자주방재조직, 자치회 등을 통해 전달되며, 휴대 전화의 방재 메일이나 긴급 속보 메일(지역 메일), 지역 케이블 TV, 커뮤니티 FM 방송으로도 전달된다.[5]

2014년 3월 27일부터는 J-ALERT를 통해 특별경보가 전달된다. J-ALERT는 방재행정무선이나 커뮤니티 FM의 긴급 방송을 자동 기동하여 "특별경보 발표"를 방송한다.

하지만 2013년 9월 18일 특별경보가 처음 발표되었을 때, 교토부와 시가현의 4개 시정촌에서 새벽 시간대라는 이유로 주민에게 알리지 않은 사례가 있었다. 이에 대해 기상청은 기상업무법 위반 가능성을 언급하며 유감을 표명했고, 전문가들도 부적절한 판단이었다고 지적했다.[47]

7. 대처

특별경보가 발표되면 즉시 생명을 보호하는 행동을 취하고, 몸을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5] 특별경보는 수십 년에 한 번 있을 정도로 극심한 위험 수준을 나타내므로, 주민들은 주변 환경과 지자체의 대피 권고 등 관련 정보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1]

특별경보가 발령되지 않았더라도, 최신 기상 속보, 주의보 및 경보를 참고하여 가능한 한 조기에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1]

7. 1. 현상별 대처 방법

特別警報일본어태풍과 같이 진행이 비교적 느린 현상에서는 접근하기 전 단계에서 발표하여 대피 등에 여유를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집중 호우처럼 수 시간 만에 급격하게 진행되는 현상에서는 특별경보가 발표된 시점에는 이미 주위가 위험한 상태여서 밖으로 대피하기 어려울 수 있다.[61]

이러한 상황에서는 무리하게 밖으로 대피하는 것만 생각하지 않고, 상황에 맞는 대처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홍수의 경우 건물 위층으로 대피하거나, 경사면 근처의 경우 대피소가 아니더라도 인근의 튼튼한 건물로 대피하거나, 집 안의 경사면에서 최대한 멀리 대피하는 등의 방법이 있다. 집중 호우처럼 급격하게 진행되는 현상에서는 재해가 확대되기 전의 '경보'나 시정촌(市町村)에서 내는 '대피 지시' 단계에서 위험을 예측하고 대피를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61]

고령자, 장애인뿐만 아니라, 어린이, 임산부, 부상자, 환자, 일본어를 모르는 외국인, 그 지역 지리에 익숙하지 않은 여행자 등 재해 약자가 있는 곳에서는 더욱 빨리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61]

7. 2. 재해 약자에 대한 고려

고령자, 장애인, 어린이, 임산부, 외국인, 여행자 등 재해 약자에 대한 조기 대처가 중요하다.[61]

8. 문제점

특별경보는 동일본 대지진과 같이 대규모 재난을 야기하는 특별한 현상에 대해 발령된다. 그러나 발표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현상, 발표 타이밍과 예측 정확성, 그리고 기준 개선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1]

8. 1. 특별경보 발표에 이르지 않는 현상

대우(大雨)와 관련해서는 좁은 범위에서 발생하거나 1시간 정도 지속되는 극히 짧은 시간의 폭우는 특별경보가 발표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72]

2013년 태풍 26호가 2013년 10월 15일부터 16일까지 도쿄도오시마정(이즈오섬)에 기록적인 폭우를 내려 대규모 토석류 피해를 야기했지만, 특별경보는 발표되지 않았다. 특별경보는 도도부현 정도의 넓이로 발생하는 현상에 대응하기 때문에, 이즈오섬처럼 강우량 기준은 충족했지만 넓이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아베 내각의 스가 요시히데내각관방장관은 발표 기준 재검토를 언급했지만, 기준은 변경되지 않았다. 대신 섬 등지에서 폭우가 발생하면 기상대에서 각 시정촌으로 긴급 연락을 하고, 중대한 재해 임박을 알리는 "제목만의 단문 기상 정보"를 통해 중대성을 알리는 조치를 취하고 있다.

폭우는 수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것을 대상으로 하며, 1시간 정도의 "국지성 폭우"는 특별경보 발표 대상이 아니다. 기상청은 기록적 단시간 폭우 정보를 참고하도록 안내하고 있다.

대설 특별경보는 50년에 한 번 있을 기록적인 적설 이후 "경보급 강설이 하루 이상 계속된다"는 발표 기준이 있어, 남해 기압골에 의한 하루 정도의 대설에는 특별경보가 발표되기 어렵다. 이는 대설 특별경보가 겨울형 기압 배치에 의해 며칠 이상 지속되는 기록적인 대설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대설 특별경보는 일본해 측의 대설에는 적합하지만 태평양 측의 대설에는 적합하지 않다.[72] 2014년 2월 대설 당시 관동 지방에 기록적인 폭설이 내렸지만, 특별경보는 발표되지 않았다.

대설 특별경보는 적설량을 기준으로 하므로, 단시간 강설로 인한 재해에는 적합하지 않다. 기상청은 현저한 대설에 관한 기상 정보를 발령하여 대응하고 있다.

8. 2. 발표 타이밍과 예측 정확성

태풍 제8호가 오키나와 본섬에 접근했던 2014년 7월 7일부터 8일에 걸쳐 파랑, 폭풍, 고조, 호우 특별경보가 차례로 발표되었다. 그러나 태풍 중심이 통과한 후 9일 새벽 2시 52분에 경보로 전환되었다. 이후 태풍 외곽의 비구름이 오키나와 본섬에 계속 영향을 주면서 예상보다 많은 폭우가 내려 약 4시간 반 뒤인 7시 31분에 오키나와 본섬 지방에 다시 호우 특별경보가 발표되었다.[72][73]

첫 번째 특별경보는 태풍의 세력 예보를, 두 번째 특별경보는 해석 강수량을 기준으로 한 것이었다. 이처럼 서로 다른 기준이 적용되면서 특별경보의 기준과 정확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고, 기상 예보사 카타히라 아츠시는 서로 다른 기준을 같은 틀 안에서 발표하는 것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72][73]

9. 특별경보 발표 기준 개선

태풍 26호가 도쿄도 오시마정에 접근했을 때 기록적인 폭우로 큰 피해가 발생했지만, 특별 경보는 발표되지 않았다. 기상청은 특별 경보가 넓은 지역에 발생하는 현상에 대응하는 것이기 때문에 좁은 지역에는 해당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스가 요시히데 내각관방장관은 발표 기준 재검토를 요구했다.[43]

이후 섬 등지에서 폭우가 발생할 경우, 각 도도부현의 기상대에서 긴급 연락을 하고, 중대성을 알리는 "제목만의 단문 기상 정보"를 통해 알리는 조치를 취하게 되었다.

2019년 10월 11일, 이즈오시마의 재해를 참고하여 이즈 제도 북부에 새로운 기준에 따른 대우 특별 경보 발표 기준이 시행되었다. 새로운 기준은 과거 재해를 바탕으로 위험도 분포라는 "지수"를 정의에 도입하여 재해와의 관련성 및 신뢰성을 높였다. 또한, 기상청이 운영하는 위험도 분포의 격자가 5km에서 1km로 축소되어 고해상도 데이터가 되므로, 시정촌 단위나 도서부 단위로 발표가 가능하게 되었다.[43]

2022년 6월 30일부터는 대우 특별 경보(침수해)에 대한 기준 개선을 실시하여 대상 지역을 좁히고, 도서부 등 보다 좁은 지역에 발표가 가능하게 되어 정보의 신뢰도가 높아졌다.[76]

향후 다른 특별경보에 대해서도 개선이 검토될 예정이다.

9. 1. 대우 특별 경보 기준 개선

2013년 10월 15일부터 16일에 걸쳐 태풍 26호가 도쿄도오시마정(이즈오섬)에 접근했을 때, 기록적인 폭우로 대규모 토석류가 발생하여 큰 인명 및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이즈오섬에서는 1시간 동안 122.5mm, 24시간 동안 824mm라는 엄청난 강수량을 기록했지만, 특별 경보는 발표되지 않았다. 기상청은 특별 경보가 도도부현 정도의 넓은 지역에 발생하는 현상에 대응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즈오섬처럼 좁은 지역에는 해당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아베 내각의 스가 요시히데내각관방장관은 "규정이 있더라도 발표했어야 했다"고 지적하며 발표 기준 재검토를 요구했다.[43]

이후 기준은 변경되지 않았지만, 섬 등지에서 폭우가 발생할 경우 각 도도부현의 기상대에서 각 시정촌으로 긴급 연락을 하고, 중대한 재해 발생이 임박했음을 알리는 "제목만의 단문 기상 정보"를 통해 "○○시에서 50년에 한 번 있을 정도의 폭우"와 같이 중대성을 알리는 조치를 취하게 되었다.

2019년 10월 11일, 이즈오시마의 재해를 참고하여 새로운 기준에 따른 대우 특별 경보 발표 기준이 이즈 제도 북부에서 먼저 시행되었다. 개선된 기준은 "과거의 막대한 피해를 초래한 현상에 상당하는 기준값 이상이 되는 1km 격자(메시)가 묶여서 나타날 것으로 예측되며, 게다가 비가 계속 내릴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에 대우 특별 경보를 발표하는 것이다. 과거 재해를 바탕으로 위험도 분포라는 "지수"를 정의에 도입하여 재해와의 관련성 및 신뢰성을 높였다. 또한, 기상청이 운영하는 위험도 분포의 격자가 5km에서 1km로 축소되어 고해상도 데이터가 되므로, 시정촌 단위나 도서부 단위로 발표가 가능하게 되었다.[43]

2022년 6월 30일부터는 대우 특별 경보(침수해)에 대해, 보다 재해 발생과 연계가 강한 위험도 분포의 기술을 사용하여, 경계 레벨 5 상당의 상황에 보다 적합한 형태로 발표할 수 있도록 기준 개선을 실시한다.[75] 이로 인해 대상 지역을 좁히고, 도서부 등 보다 좁은 지역에 발표가 가능하게 되어 정보의 신뢰도가 높아졌다.[76]

9. 2. 폭풍·파랑·고조 특별경보 기준 개선

최근 태풍으로 인해 부상한 과제를 받아들여, 태풍 등을 요인으로 하는 특별경보에 대해 이세만 태풍급(중심 기압 930hPa 이하 또는 최대 풍속 50m 이상, 단 오키나와, 아마미, 오가사와라는 중심 기압 910hPa 이하 또는 최대 풍속 60m 이상)의 일률적인 기준이 아닌, 폭풍, 파랑, 고조 특별경보 각각에 지역별 발표 기준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1]

폭풍 특별경보는 건축 기준법의 기준 풍속, 고조 특별경보는 각 자치단체의 방파제 최고 높이 및 과거 최고 조위를 참고하는 안이 부상하고 있다.[1]

10. 특별경보 발표 사례

일본 기상청(JMA)은 폭우, 지진, 쓰나미, 폭풍 해일 등 특별한 자연 현상으로 인한 잠재적 재난에 대해 특별 경보를 발령한다. 이 경보는 경보 기준을 훨씬 초과하는 규모의 현상이 예상될 때 발령되며, 수십 년에 한 번 있을 정도로 극심한 위험 수준을 나타낸다.[1]

특별 경보는 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한 대규모 쓰나미, 1959년 이세만 폭풍 해일, 2011년 태풍 탈라스로 인한 폭우와 같이 관련 경보 기준을 훨씬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현상에 대해 발령된다.[2]

특별경보 발령 기준은 해당 지역의 재난 관리를 담당하는 지방자치단체의 의견을 수렴하여 결정되었다.

종류와 기준
명칭종류기준
기상 재해
폭우 특별 경보폭우태풍이나 집중 호우로 인한 수십 년에 한 번의 강수량이 예상되는 경우.
사면 현상(토사 재해)
폭풍 특별 경보폭풍수십 년에 한 번의 강도를 가진 태풍이나, 그와 동등한 온대 저기압에 의한 폭풍이 예상되는 경우.
고조 특별 경보고조수십 년에 한 번의 강도를 가진 태풍이나, 그와 동등한 온대 저기압에 의한 고조가 예상되는 경우.
파랑 특별 경보파랑수십 년에 한 번의 강도를 가진 태풍이나, 그와 동등한 온대 저기압에 의한 높은 파도가 예상되는 경우.
대설 특별 경보대설수십 년에 한 번의 강설량이 예상되는 경우.
폭풍설 특별 경보폭풍설수십 년에 한 번의 강도를 가진 태풍과 동등한 온대 저기압에 의한 눈을 동반한 폭풍이 예상되는 경우.
쓰나미 재해
대쓰나미 경보쓰나미3m를 초과하는 대쓰나미가 예상되는 경우.
화산 재해
분화 경보 (거주 지역)
분화 경보
분화분화 경계 레벨 운용 중분화 경계 레벨 5 및 4의 분화가 예상되는 경우 (거주 지역이 대상에 포함되는 분화 경보와 같음).
분화 경계 레벨 미운용거주 지역 엄중 경계 또는 산록 엄중 경계 상당의 분화가 예상되는 경우.
지진 재해
긴급지진속보지진동긴급지진속보 중 최대 진도 6약 이상 또는 장주기 지진동 계급 4의 지진이 예측되는 경우.



기상청은 전국적으로 볼 때, 기상의 6가지 특별 경보 기준에는 모두 "수십 년에 한 번"이라는 문구가 있으며, 1종류당 연간 1~2회 전후의 빈도로 발표될 것으로 보고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경보를 건너뛰고, 주의보에서 특별 경보로 경계 레벨이 격상되는 경우도 있다.

특별 경보는 도도부현・시정촌에서 주민과 관공서로의 전달・주지가 의무화되어 있는 관계상, 경보나 주의보와는 달리, 그 기준을 정할 때는 미리 관계하는 도도부현 지사의 의견을 들어야 하며, 기준을 개정할 때도 이 규정이 준용된다.

2024년7월 현재, 대규모 강우 특별 경보 이외의 특별 경보가 발표된 적이 있는 곳은 모두 태풍을 기인으로 하는 "폭풍·파랑·고조" 특별 경보에 의한 가고시마현·오키나와현 뿐이며, 대설이나 폭풍설 등, 눈을 기인으로 하는 사례는 한 번도 발생하지 않았다.

쓰나미, 화산 폭발, 지진의 경우에는 종전과 변함없이 "대쓰나미 경보", "분화 경보", "긴급지진속보"의 표제로 발표된다. 쓰나미와 화산 폭발에 대해서는 발표 기준도 종전과 변함없다. 대쓰나미 경보는 종전의 쓰나미 경보 중 대쓰나미 경보라고 불리던 "쓰나미 경보(대쓰나미)"를 특별 경보로 위치시킨 것이다. "분화 경보", "긴급지진속보"의 명칭은 경보와 같지만, 기상청은 조기 시작을 우선하기 위해 (경보의 전달에 사용하고 있는) 전문의 형식 변경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필요가 있었다는 것을 이유로 들고 있으며, 앞으로 전문 내에서의 궁리나 명칭 변경 등을 검토한다고 한다.

10. 1. 기상 재해 발표 사례

※지역 내의 어느 시정촌에 발표됨(모든 시정촌은 아님).주요 피해[77]해당 기사2013년9월 16일대규모 강우교토부, 시가현, 후쿠이현[78]사망자 2명태풍 제18호2014년7월 7일 - 9일폭풍·파랑·고조·대규모 강우오키나와현미야코지마 지방, 오키나와 본섬 지방[80][81]rowspan="2" |태풍 제8호2014년 7월 9일[82]대규모 강우오키나와현 오키나와 본섬 지방[83][81]2014년8월 9일대규모 강우미에현[84]사망자 1명태풍 제11호2014년9월 11일대규모 강우2015년9월 10일 - 11일대규모 강우토치기현, 이바라키현, 미야기현[87][88][89]사망자 20명간토·도호쿠 폭우2016년10월 3일폭풍·파랑·고조·대규모 강우오키나와현 오키나와 본섬 지방[90]태풍 제18호2017년7월 5일 - 6일대규모 강우시마네현[91]후쿠오카현, 오이타현[92][93]사망·실종자 계 42명규슈 북부 호우2018년7월 6일 - 8일대규모 강우후쿠오카현, 사가현, 나가사키현, 히로시마현, 오카야마현, 돗토리현, 교토부, 효고현, 기후현, 고치현, 에히메현[94][95][96][97][98]사망·실종자 계 271명2018년 7월 호우2019년7월 20일대규모 강우나가사키현 고토, 쓰시마[99]태풍 제5호2019년8월 28일대규모 강우사가현, 후쿠오카현, 나가사키현[100]사망자 4명[101]2019년 8월 전선에 따른 대규모 강우2019년10월 12일 - 13일대규모 강우시즈오카현, 가나가와현, 도쿄도, 사이타마현, 군마현, 야마나시현, 나가노현, 이바라키현, 토치기현, 니가타현, 후쿠시마현, 미야기현, 이와테현[102][103][104]사망·실종자 계 108명2019년 동일본 태풍2020년7월 4일대규모 강우구마모토현, 가고시마현[105]사망·실종자 계 86명2020년 7월 호우2020년 7월 6일 - 7일대규모 강우후쿠오카현, 사가현, 나가사키현[106]2020년 7월 8일대규모 강우기후현, 나가노현[107]2020년10월 10일 - 11일대규모 강우도쿄도 이즈 제도 남부(미야케촌, 미쿠라지마촌)[108]태풍 제14호2021년7월 10일대규모 강우가고시마현, 구마모토현, 미야자키현[109]2021년8월 13일대규모 강우히로시마현[110]사망자 13명2021년 8월의 대규모 강우2021년8월 14일 - 15일대규모 강우나가사키현, 사가현, 후쿠오카현, 히로시마현[111][112][113]2022년8월 3일 - 4일대규모 강우야마가타현, 니가타현[114][115]2022년9월 17일 - 19일폭풍·파랑·고조가고시마현[116]rowspan="2" |태풍 제14호대규모 강우미야자키현[117]2023년7월 10일대규모 강우후쿠오카현, 오이타현[118][119]2023년8월 15일대규모 강우돗토리현[120]태풍 제7호2024년7월 25일 - 26일대규모 강우야마가타현[121]사망자 3명rowspan="2" |야마가타현[122][123]2024년 8월 28일 - 29일폭풍·파랑·고조가고시마현[124][125]태풍 제10호2024년9월 21일 - 22일대규모 강우이시카와현[126]사망자 15명노토반도 호우2024년11월 9일대규모 강우가고시마현 요론정[127]


10. 2. 화산 현상 발표 사례

다음은 화산 현상 발표 사례이다.

발표일대상 화산분화 경계 레벨 · 경계 사항 등출처
2015년 5월 29일 - 2016년 6월 14일구치노에라부 섬레벨 5 (대피)[128][129]
2015년 8월 15일 - 9월 1일사쿠라지마레벨 4 (피난 준비)[130][131]
2018년 8월 15일 - 8월 29일구치노에라부 섬레벨 4 (피난 준비)[132][133]
2022년 7월 24일 - 7월 27일사쿠라지마레벨 5 (대피)[134][135]


10. 3. 쓰나미 현상 발표 사례

2024년 1월 1일 16시 22분, 2024년 노토반도 지진으로 인해 이시카와현 노토에 대쓰나미 경보(특별경보)가 발표되었다.[136][137][138] 예상되는 쓰나미의 최대 파고는 5m였으며, 이시카와현 가나자와항과 야마가타현 사카타항에서 80cm의 쓰나미가 관측되었다.[136][137][138]

10. 4. 지진 현상 발표 사례

다음은 긴급지진속보(특별경보)가 발표된 사례이다.

발표 연월일·시각대상 지역예상관측해당 기사
진도장주기 지진동 계급최대 진도최대 장주기 지진동 계급
2014년11월 22일 22시 08분나가노현 북부5강에서 6약[140]미운용6약[140]3[141]나가노현 가미시로 단층 지진
2016년4월 14일 21시 26분구마모토현 구마모토5강에서 6강[142]7[142]3[141]구마모토 지진 (2016년)
2016년4월 16일 1시 25분구마모토현 구마모토6약에서 6강[143]7[143]4[141]
구마모토현 아소6약[144]
2016년 4월 16일 1시 46분구마모토현 구마모토5강에서 6약[145]6약[145]2[141]
2016년 4월 16일 11시 29분오이타현 남부6약에서 7[146]3[146]rowspan="2" |
미야자키현 북부 평야부5강에서 6약[147]
2016년10월 21일 14시 07분돗토리현 중부6약에서 6강[148]6약[148]3[141]돗토리현 중부 지진
오카야마현 북부5강에서 6강[149]
돗토리현 동부5강에서 6약[150]
2018년6월 18일 7시 58분교토부 남부, 오사카부 북부5강에서 6약[151]6약[151]2[141]오사카부 북부 지진
2018년9월 6일 3시 08분이부리 지방 중동부7[152]7[152]4[141]홋카이도 이부리 동부 지진
이시카리 지방 남부, 히다카 지방 서부6강[153]
소라치 지방 남부6약[154]
2019년6월 18일 22시 22분야마가타현 쇼나이6약 이상[155]6강[155]3[141]야마가타현 앞바다 지진
2021년2월 13일 23시 08분후쿠시마현 나카도리6강[156]6강[156]4[141]후쿠시마현 앞바다 지진 (2021년)
후쿠시마현 하마도리, 미야기현 남부, 미야기현 중부, 후쿠시마현 아이즈6약[157]
2021년3월 20일 18시 10분미야기현 중부5강에서 6약[158]5강[158]3[141]미야기현 앞바다 지진 (2021년 3월)
2021년5월 1일 10시 27분미야기현 중부6약[159]5강[159]2[141]미야기현 앞바다 지진
2022년1월 22일 1시 08분오이타현 남부6약 이상[160]5강[160]2[141]휴가나다 지진 (2022년)
2022년3월 16일 23시 37분미야기현 중부6강 이상[161]6강[161]4[141]후쿠시마현 앞바다 지진
미야기현 남부, 후쿠시마현 하마도리, 미야기현 북부, 후쿠시마현 나카도리, 이와테현 내륙 남부, 야마가타현 무라야마6약 이상[161]
2022년6월 19일 15시 08분이시카와현 노토6약 이상[162]6약[162]1[141]노토 군발 지진
2023년5월 5일 14시 42분이시카와현 노토6강 이상[163]4[163]6강[163]3[141]노토 군발 지진
2023년5월 5일 21시 58분이시카와현 노토6약 이상[164]5강[164][165]2[141]노토 군발 지진
2024년1월 1일 16시 10분이시카와현 노토6강에서 7[166]7[166]4[167]노토반도 지진 (2024년)
2024년 1월 1일 16시 11분이시카와현 노토6강에서 7[166]3[166]
도야마현 서부, 이시카와현 가가6약[166]
2024년4월 17일 23시 14분에히메현 난요6약[168]6약2[169]분고 수도 지진
2024년 6월 3일 6시 31분이시카와현 노토6약에서 7[170]3[171]5강2노토반도 지진 (2024년)
니가타현 조에츠5강에서 6약[170]3[172]
2024년 8월 8일 16시 42분미야자키현 남부 평야부6약에서 6강[173]6약2휴가나다 지진 (2024년)[174]
미야자키현 북부 평야부5강에서 6약[173]3[173]


참조

[1] 웹사이트 Japan Meteorological Agency https://www.jma.go.j[...] 2021-04-29
[2] 간행물 Emergency Warning System https://www.jma.go.j[...] JMA 2021-07-26
[3] 웹사이트 Emergency Warning System to be Launched 30 August 2013 https://www.jma.go.j[...] 気象庁 2013-08-03
[4] 웹사이트 特別警報について https://www.jma.go.j[...] 気象庁 2013-09-14
[5] 웹사이트 よくある質問集 > 特別警報について https://www.jma.go.j[...] 気象庁 2013-09-14
[6] 간행물 気象業務法及び国土交通省設置法の一部を改正する法律の公布 https://www.jma.go.j[...] 気象庁 2013-05-31
[7] 간행물 気象業務法及び国土交通省設置法の一部を改正する法律案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13-08-03
[8] 웹사이트 気象業務法施行令(昭和二十七年政令第四百七十一号) https://laws.e-gov.g[...] 総務省行政管理局 2024-07-24
[9] 웹사이트 熱中症特別警戒情報等の運用に関する指針 https://www.wbgt.env[...] 環境省大臣官房環境保健部 2024-02-27
[10] 간행물 第1回 資料3 近年の防災気象情報の改善と気象予測技術の現状 https://www.jma.go.j[...] 気象庁 防災気象情報の改善に関する検討会 2012-10-11
[11] 간행물 見出しのみの短文で伝える気象情報の発表について https://www.jma.go.j[...] 気象庁予報部 2012-06-21
[12] 뉴스 「警報」の発表基準をはるかに超える「特別警報」とは? http://thepage.jp/de[...] THE PAGE''(ワードリーフ) 2013-08-28
[13] 뉴스 仙台空港付近は6km以上津波浸水、パスコが解析 http://www.nikkeibp.[...] 日経bpネット 2011-03-14
[14] 뉴스 東日本大震災:仙台平野の川 陸地の倍の速さで津波逆流 http://mainichi.jp/s[...] 毎日jp(毎日新聞) 2011-05-22
[15] 웹사이트 東日本大震災について 被害状況と警察措置 http://www.npa.go.jp[...] 警察庁 2014-07-10
[16] 웹사이트 災害をもたらした気象事例 平成23年台風第12号による8月30日から9月5日にかけての大雨と暴風 https://www.data.jma[...] 気象庁 2014-07-19
[17] 간행물 台風12号による被害状況及び消防機関の活動状況等について(第15報) http://www.fdma.go.j[...] 消防庁 2011-10-05
[18] 서적 注意報 築地書館 2002
[19] 웹사이트 気象庁の歴史 https://www.jma.go.j[...] 気象庁 2013-06-09
[20] 문서 府県予報区の単位では京都府・福井県・滋賀県に対して、市町村単位では京都府・福井県の全域および滋賀県の[[豊郷町]]を除く全域に対して、大雨特別警報が発表された。豊郷町には代わりに大雨注意報が発表されていた。
[21] 간행물 平成25年(2013年)9月15日〜9月16日 台風第18号による大雨 http://www.data.jma.[...] 気象庁 2013-09-18
[22] 간행물 平成25年台風第18号による大雨について(京都府気象速報) 京都地方気象台 2013-09-17
[23] 뉴스 京都・滋賀・福井に大雨特別警報 初の発令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3-09-16
[24] 뉴스 台風8号:沖縄に特別警報 最大瞬間風速70メートル http://mainichi.jp/s[...] 毎日新聞 2014-07-07
[25] 웹사이트 防災気象情報の改善に関する検討会 https://www.jma.go.j[...]
[26] 간행물 防災気象情報の改善に関する検討会 報告書(案) https://www.jma.go.j[...] 気象庁 2013-09-17
[27] 뉴스 防災気象情報、5レベルで発表 避難行動取りやすく 気象庁、16年度導入めざす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3-09-07
[28] 웹사이트 避難勧告等に関するガイドラインの改定(平成31年3月29日) https://www.bousai.g[...] 内閣府:防災情報のページ 2019-06-20
[29] 웹사이트 防災気象情報と警戒レベルとの対応について https://www.jma.go.j[...] 気象庁 2019-06-20
[30] 뉴스 災害警戒レベル 避難行動の底上げも必要 https://kumanichi.co[...] 熊本日日新聞 2019-06-18
[31] 서적 気象業務はいま 2010 http://www.jma.go.jp[...] 気象庁 2010-06-01
[32] 문서 北海道は7区分、沖縄県は4区分のほかは、すべて都道府県単位。
参考リンク:「[https://www.jma.go.jp/jma/kishou/know/yougo_hp/shichoson_ichiran.html 警報・注意報や天気予報の発表区域]」、気象庁

[33] 웹사이트 災害時気象資料 令和4年台風第14号による9月15日から19日にかけての鹿児島県の気象状況について https://www.jma-net.[...] 鹿児島地方気象台 2022-09-20
[34] 웹사이트 大雨特別警報を発表した事例等における雨量等の予測と実際の状況等について(速報) 令和4年9月17日~19日に鹿児島県に暴風、波浪、高潮特別警報、宮崎県に大雨特別警報を発表した事例 https://www.jma.go.j[...] 気象庁大気海洋部 2022-10-15
[35] 간행물 雨による災害発生の危険度の高まりを評価する技術を活用した大雨・洪水警報や大雨特別警報の改善、及び危険度分布の提供開始について https://www.jma.go.j[...] 気象庁 2017-06-15
[36] PDF 「大雨警報(浸水害)や洪水警報の危険度分布の提供開始」、及び「大雨・洪水警報や大雨特別警報の改善の延期」について https://www.jma.go.j[...] 気象庁 2017-07-03
[37] PDF 大雨・洪水警報や大雨特別警報の改善の延期について https://www.jma.go.j[...] 気象庁 2017-07-06
[38] PDF 雨による災害発生の危険度の高まりを評価する技術を活用した大雨・洪水警報や大雨特別警報の改善、及び危険度分布の提供について https://www.jma.go.j[...] 気象庁 2017-04-28
[39] PDF 雨によって引き起こされる災害発生の危険度の高まりを評価する技術 https://www.jma.go.j[...] 気象庁
[40] 뉴스 大雨特別警報 特に危険度高い市町村に絞って発表へ http://www3.nhk.or.j[...] 2017-07-08
[41] PDF 参考6:地方自治体からの主な意見・要望に対する気象庁の見解・対応 https://www.jma.go.j[...] 気象庁 2013-07-31
[42] 문서 特別警報の発表基準について https://www.jma.go.j[...] 気象庁 2020-09-04
[43] 웹사이트 大雨特別警報の新たな発表指標_R011010 https://www.jma.go.j[...] 気象庁 2020-09-04
[44] 웹사이트 気象等の特別警報の指標(発表条件) https://www.jma.go.j[...] 気象庁 2022-08-31
[45] 문서 降った雨が土壌中にどれだけ溜まっているかを数値化したもの
[46] 문서 「気象業務法及び国土交通省設置法の一部を改正する法律の施行期日を定める政令」及び「気象業務法施行令の一部を改正する政令」について https://www.jma.go.j[...] 気象庁 2013-08-21
[47] 문서 特別警報、京滋の4市町周知せず 法律違反か http://www.kyoto-np.[...] 京都新聞 2013-10-13
[48] 문서 防災情報:気象警報・注意報 https://www.jma.go.j[...] 気象庁 2023-08-16
[49] 문서 土砂災害警戒情報・土砂キキクル(大雨警報(土砂災害)の危険度分布) https://www.jma.go.j[...]
[49] 문서 浸水キキクル(大雨警報(浸水害)の危険度分布) https://www.jma.go.j[...] 気象庁 2023-08-16
[50] PDF 気象庁ホームページのリニューアルについて ~地域に発表されている防災気象情報が見やすくなります~ http://www.jma.go.jp[...] 気象庁 2021-04-19
[51] 웹사이트 特別警報について http://www.jma.go.jp[...] 気象庁 2013-10-13
[52] 웹사이트 気象庁ホームページにおける気象情報の配色に関する設定指針 http://www.jma.go.jp[...] 気象庁 2013-10-13
[53] 웹사이트 気象警報・注意報 http://www.jma.go.jp[...] 気象庁 2018-07-06
[54] 웹사이트 気象警報・注意報 http://www.jma.go.jp[...] 気象庁 2019-10-13
[55] 웹사이트 大雨の警戒レベルをわかりやすく伝えるために 5色の配色を定めました https://www.bousai.g[...] 内閣府(防災担当) 2020-10-27
[56] 웹사이트 気象警報・注意報 http://www.jma.go.jp[...] 気象庁 2020-10-10
[57] 웹사이트 気象の特別警報、Eテレ・BSも NHK、8月30日から https://web.archive.[...] 共同通信社 47NEWS 2013-07-31
[58] 문서 「特別警報」への対応について https://www.nhk.or.j[...] 日本放送協会 放送総局長会見資料 2013-07-31
[59] 논문 沖縄県に台風による初の「特別警報」 https://www.nhk.or.j[...] NHK放送文化研究所 2014-09
[60] 웹사이트 NHKの技術2023 https://www.nhk.or.j[...] NHK広報局 2023-08-16
[61] 문서 ニュース特設 「特別警報」とは? http://www3.nhk.or.j[...] NHK NEWS WEB 2013-07-31
[62] 문서 記録的短時間大雨情報の解説 https://www.jma.go.j[...] 気象庁 2013-08-03
[63] 문서 土砂災害警戒情報の解説 https://www.jma.go.j[...] 気象庁 2013-08-03
[64] 문서 大雨と落雷及び突風に関する熊本県気象情報【府県気象情報】 http://agora.ex.nii.[...]
[65] 문서 大雨と突風に関する九州北部地方(山口県を含む)気象情報【地方気象情報】 http://agora.ex.nii.[...]
[66] 문서 知識・解説 > 気象警報・注意報 https://www.jma.go.j[...] 気象庁 2022-10-07
[67] 뉴스 伊豆大島の雨量、史上最多 特別警報なぜ出なかった http://www.asahi.com[...] 2013-10-17
[68] 뉴스 台風26号 温帯低気圧に https://web.archive.[...] 2013-10-17
[69] 뉴스 伊豆大島で特別警報発表されず…「広がりなく」 https://web.archive.[...] 2013-10-17
[70] 뉴스 特別警報 なぜ出なかったか http://www3.nhk.or.j[...] 2013-10-17
[71] 뉴스 官房長官:「特別警報」発令規定 見直しの必要 http://mainichi.jp/s[...] 2013-10-17
[72] 뉴스 「特別警報」まもなく導入1年 浮かび上がった課題とは? https://news.yahoo.c[...] ウェザーマップ(Yahoo!ニュース) 2014-07-17
[73] 간행물 (速報)平成26年台風第8号について http://www.jma-net.g[...] 沖縄気象台 2014-07-09
[74] 웹사이트 大雨特別警報と警戒レベルの関係を分かりやすくします https://www.jma.go.j[...] 気象庁 2020-08-21
[75] 웹사이트 今出水期から行う防災気象情報の伝え方の改善について https://www.jma.go.j[...] 気象庁大気海洋部業務課、水管理・国土保全局河川計画課 2022-05-18
[76] 웹사이트 別添資料 https://www.jma.go.j[...] 気象庁大気海洋部業務課、水管理・国土保全局河川計画課 2022-05-18
[77] 문서 特別警報が発表された都道府県での被害
[78] 뉴스 台風接近、初の大雨特別警報 滋賀・京都・福井に https://www.nikkei.c[...] 2013-09-16
[79] 문서 大雨特別警報は沖縄本島地方のみ。
[80] 웹사이트 沖縄県宮古島地方に特別警報を発表 https://www.jma.go.j[...] 気象庁 2014-07-07
[81] 웹사이트 災害時気象速報 平成26年台風第8号及び梅雨前線による7月6日から11日にかけての大雨及び暴風 https://www.jma.go.j[...] 気象庁 2014-09-30
[82] 문서 上記7月7日からの特別警報が一旦解除されてからの、再発表。
[83] 웹사이트 沖縄本島地方に特別警報発表 https://www.jma.go.j[...] 気象庁 2014-07-09
[84] 웹사이트 台風第11号と三重県の大雨特別警報について https://www.jma.go.j[...] 気象庁 2014-08-09
[85] 웹사이트 北海道(石狩・空知・後志地方)に特別警報発表 https://www.jma.go.j[...] 気象庁 2014-09-11
[86] 웹사이트 胆振地方に特別警報発表 http://www.jma-net.g[...] 室蘭地方気象台 2014-09-11
[87] 웹사이트 栃木県に特別警報発表 https://www.jma.go.j[...] 気象庁 2015-09-10
[88] 웹사이트 茨城県に特別警報発表 https://www.jma.go.j[...] 気象庁 2015-09-10
[89] 웹사이트 宮城県に特別警報発表 https://www.jma.go.j[...] 気象庁 2015-09-11
[90] 웹사이트 沖縄本島地方に特別警報発表 https://www.jma.go.j[...] 気象庁 2016-10-03
[91] 웹사이트 島根県に特別警報発表 https://www.jma.go.j[...] 気象庁 2017-07-05
[92] 웹사이트 福岡県に特別警報発表 https://www.jma.go.j[...] 気象庁 2017-07-05
[93] 웹사이트 福岡県・大分県に特別警報発表 https://www.jma.go.j[...] 気象庁 2017-07-05
[94] 웹사이트 福岡県と佐賀県、長崎県に特別警報発表 https://www.jma.go.j[...] 気象庁 2018-07-06
[95] 웹사이트 広島県、岡山県、鳥取県に特別警報発表 https://www.jma.go.j[...] 気象庁 2018-07-06
[96] 웹사이트 京都府、兵庫県に特別警報発表 https://www.jma.go.j[...] 気象庁 2018-07-06
[97] 웹사이트 岐阜県に特別警報発表 https://www.jma.go.j[...] 気象庁 2018-07-07
[98] 웹사이트 高知県と愛媛県に特別警報発表 https://www.jma.go.j[...] 気象庁 2018-07-08
[99] 웹사이트 長崎県に特別警報発表 https://www.jma.go.j[...] 気象庁 2019-07-20
[100] 웹사이트 佐賀県、福岡県、長崎県に特別警報発表 https://www.jma.go.j[...] 気象庁 2019-08-28
[101] 웹사이트 令和元年8月の前線に伴う大雨に係る被害状況等について (令和元年9月3日9時30分現在) https://www.bousai.g[...] 内閣府 2019-09-03
[102] 웹사이트 7都県に大雨特別警報発表 https://www.jma.go.j[...] 気象庁 2019-10-12
[103] 웹사이트 5県に大雨特別警報発表 https://www.jma.go.j[...] 気象庁 2019-10-12
[104] 웹사이트 岩手県に大雨特別警報発表 https://www.jma.go.j[...] 気象庁 2019-10-13
[105] 웹사이트 熊本県と鹿児島県に大雨特別警報発表 https://www.jma.go.j[...] 気象庁 2020-07-04
[106] 웹사이트 福岡県、佐賀県、長崎県に大雨特別警報発表 https://www.jma.go.j[...] 気象庁 2020-07-06
[107] 웹사이트 岐阜県と長野県に大雨特別警報発表 https://www.jma.go.j[...] 気象庁 2020-07-08
[108] 웹사이트 東京都(伊豆諸島南部)に大雨特別警報を発表 https://www.jma.go.j[...] 気象庁 2020-10-10
[109] 웹사이트 鹿児島県、宮崎県、熊本県に大雨特別警報発表 https://www.jma.go.j[...] 気象庁 2021-07-10
[110] 웹사이트 広島県に大雨特別警報発表 https://www.jma.go.j[...] 気象庁 2021-08-13
[111] 웹사이트 佐賀県、長崎県に大雨特別警報発表 https://www.jma.go.j[...] 気象庁 2021-08-14
[112] 웹사이트 福岡県に大雨特別警報発表 https://www.jma.go.j[...] 気象庁 2021-08-14
[113] 웹사이트 広島県に大雨特別警報発表 https://www.jma.go.j[...] 気象庁 2021-08-14
[114] 웹사이트 山形県に大雨特別警報発表 https://www.jma.go.j[...] 気象庁 2022-08-03
[115] 웹사이트 新潟県に大雨特別警報発表 https://www.jma.go.j[...] 気象庁 2022-08-04
[116] 웹사이트 鹿児島県に暴風、波浪、高潮特別警報発表 https://www.jma.go.j[...] 気象庁 2022-09-17
[117] 웹사이트 宮崎県に大雨特別警報発表 https://www.jma.go.j[...] 気象庁 2022-09-18
[118] 웹사이트 福岡県に大雨特別警報発表 https://www.jma.go.j[...] 気象庁 2023-07-10
[119] 웹사이트 大分県に大雨特別警報発表 https://www.jma.go.j[...] 気象庁 2023-07-10
[120] 웹사이트 鳥取県に大雨特別警報発表 https://www.jma.go.j[...] 気象庁 2023-08-15
[121] 웹사이트 山形県に大雨特別警報発表 https://www.jma.go.j[...] 気象庁 2024-07-25
[122] 웹사이트 山形県に大雨特別警報発表 https://www.jma.go.j[...] 気象庁 2024-07-26
[123] 문서 上記の特別警報が一旦警報に切り替えられた後、再び発表された
[124] 웹사이트 鹿児島県に暴風、波浪特別警報発表 https://www.jma.go.j[...] 気象庁 2024-08-28
[125] 웹사이트 鹿児島県に高潮特別警報発表 https://www.jma.go.j[...] 気象庁 2024-08-28
[126] 웹사이트 石川県に大雨特別警報発表 https://www.jma.go.j[...] 気象庁 2024-09-21
[127] 웹사이트 鹿児島県に大雨特別警報発表 {{!}} 気象庁 https://www.jma.go.j[...] 2024-11-09
[128] 웹사이트 5月29日に発生した口永良部島の爆発的噴火について-口永良部島に噴火警戒レベル5(避難)の特別警報を発表- https://www.jma.go.j[...] 気象庁 2015-05-29
[129] 웹사이트 口永良部島の噴火警報について -噴火警戒レベルを5(避難)から3(入山規制)に引下げ- https://www.jma.go.j[...] 気象庁 2016-06-14
[130] 웹사이트 桜島の火山活動について -桜島に噴火警戒レベル4(避難準備)の特別警報を発表- https://www.jma.go.j[...] 気象庁 2015-08-15
[131] 웹사이트 桜島の噴火警戒レベルを4(避難準備)から3(入山規制)へ引下げ https://www.jma.go.j[...] 気象庁 2015-09-01
[132] 웹사이트 口永良部島の噴火警戒レベルを4(避難準備)へ引上げ https://www.jma.go.j[...] 気象庁 2018-08-15
[133] 웹사이트 口永良部島の噴火警戒レベルを3(入山規制)へ引下げ https://www.jma.go.j[...] 気象庁 2018-08-29
[134] 웹사이트 桜島の噴火警戒レベルを5へ引上げ https://www.jma.go.j[...] 気象庁 2022-07-24
[135] 웹사이트 桜島の噴火警戒レベルを3へ引下げ https://www.jma.go.j[...] 気象庁 2022-07-27
[136] 문서 当初、気象庁は輪島港で1m20cm以上の津波を観測したとしていたが、輪島港周辺では大規模な地盤隆起が発生しており、これによって正常な観測ができていなかった可能性があるとしてこのデータを削除した。[[北陸電力]]によると、志賀原子力発電所に設置された水位計で、同日午後5時45分から午後6時までの間におよそ3mの水位上昇が確認されたとしている。
[137] 웹사이트 「輪島で津波1.2m以上」を削除 隆起で観測に不備か 気象庁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4-03-14
[138] 웹사이트 関東・中部地方の主な地震活動 https://www.jma.go.j[...] 気象庁 2024-03-14
[139] 문서 長周期地震動階級の緊急地震速報への適用は2023年2月から開始。
[140] 웹사이트 気象庁|緊急地震速報(警報)発表状況 https://www.data.jma[...] 2021-07-13
[141] 웹사이트 気象庁|長周期地震動階級1以上を観測した地震 https://www.data.jma[...] 2023-05-10
[142] 웹사이트 気象庁|緊急地震速報(警報)発表状況 https://www.data.jma[...] 2021-07-13
[143] 웹사이트 気象庁|緊急地震速報(警報)発表状況 https://www.data.jma[...] 2021-07-13
[144] 웹사이트 気象庁|緊急地震速報(警報)発表状況 https://www.data.jma[...] 2021-07-13
[145] 웹사이트 気象庁|緊急地震速報(警報)発表状況 https://www.data.jma[...] 2021-07-13
[146] 웹사이트 気象庁|緊急地震速報(警報)発表状況 https://www.data.jma[...] 2021-07-13
[147] 웹사이트 気象庁|緊急地震速報(警報)発表状況 https://www.data.jma[...] 2021-07-13
[148] 웹사이트 気象庁|緊急地震速報(警報)発表状況 https://www.data.jma[...] 2021-07-13
[149] 웹사이트 気象庁|緊急地震速報(警報)発表状況 https://www.data.jma[...] 2021-07-13
[150] 웹사이트 気象庁|緊急地震速報(警報)発表状況 https://www.data.jma[...] 2021-07-13
[151] 웹사이트 気象庁|緊急地震速報(警報)発表状況 https://www.data.jma[...] 2021-07-13
[152] 웹사이트 気象庁|緊急地震速報(警報)発表状況 https://www.data.jma[...] 2021-07-13
[153] 웹사이트 気象庁|緊急地震速報(警報)発表状況 https://www.data.jma[...] 2021-07-13
[154] 웹사이트 気象庁|緊急地震速報(警報)発表状況 https://www.data.jma[...] 2021-07-13
[155] 웹사이트 気象庁|緊急地震速報(警報)発表状況 https://www.data.jma[...] 2021-07-13
[156] 웹사이트 気象庁|緊急地震速報(警報)発表状況 https://www.data.jma[...] 2021-07-13
[157] 웹사이트 気象庁|緊急地震速報(警報)発表状況 https://www.data.jma[...] 2021-07-13
[158] 웹사이트 気象庁|緊急地震速報(警報)発表状況 https://www.data.jma[...] 2021-07-13
[159] 웹사이트 気象庁|緊急地震速報(警報)発表状況 https://www.data.jma[...] 2021-07-13
[160] 웹사이트 気象庁|緊急地震速報(警報)発表状況 https://www.data.jma[...] 2022-01-21
[161] 웹사이트 気象庁|緊急地震速報(警報)発表状況 https://www.data.jma[...] 2022-03-17
[162] 웹사이트 気象庁|緊急地震速報(警報)発表状況 https://www.data.jma[...] 2022-06-21
[163] 웹사이트 気象庁|緊急地震速報(警報)発表状況 https://www.data.jma[...] 2023-05-05
[164] 웹사이트 気象庁|緊急地震速報(警報)発表状況 https://www.data.jma[...] 2023-05-05
[165] 웹사이트 気象庁|緊急地震速報(警報)発表状況 https://www.data.jma[...] 2023-05-05
[166] 웹사이트 気象庁|緊急地震速報(警報)発表状況 https://www.data.jma[...] 2024-01-01
[167] 웹사이트 気象庁|長周期地震動の観測結果 https://www.data.jma[...] 2024-01-01
[168] 웹사이트 気象庁|緊急地震速報(警報)発表状況 https://www.data.jma[...] 2024-04-19
[169] 웹사이트 長周期地震動の観測結果 https://www.data.jma[...] 2024-04-18
[170] 웹사이트 気象庁|緊急地震速報(警報)発表状況 https://www.data.jma[...] 2024-06-02
[171] 웹사이트 気象庁|緊急地震速報(警報)発表状況 https://www.data.jma[...] 2024-06-02
[172] 웹사이트 気象庁|緊急地震速報(警報)発表状況 https://www.data.jma[...] 2024-06-02
[173] 웹사이트 気象庁|緊急地震速報(警報)発表状況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4-08-08
[174] 문서 南海トラフ地震臨時情報(巨大地震注意)を発表
[175] 간행물 Emergency Warning System to be Launched 30 August 2013 http://www.jma.go.jp[...] 気象庁 2013-08-03
[176] 웹사이트 特別警報について http://www.jma.go.jp[...] 2013-09-14
[177] 웹사이트 よくある質問集 > 特別警報について http://www.jma.go.jp[...] 2013-09-14
[178] 간행물 特別警報の発表基準について 参考6:地方自治体からの主な意見・要望に対する気象庁の見解・対応 http://www.jma.go.jp[...] 気象庁 2013-08-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