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편 도라에몽은 후지코 F. 후지오가 1979년부터 연재를 시작한 도라에몽 장편 만화 시리즈이다. 이 시리즈는 매년 영화 개봉에 맞춰 연재되었으며, 단행본으로도 출판되었다. 주요 등장인물로는 도라에몽, 노진구, 신이슬, 만퉁퉁, 왕비실이 있으며, 이들은 다양한 세계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모험을 통해 위기를 해결해 나간다. 작품은 영화화를 전제로 하여 단편보다 큰 규모의 이야기를 다루며, 시공간을 넘나드는 다채로운 설정과 비밀도구들이 등장하는 것이 특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만화 작품 - 망가미치 《망가미치》는 후지코 후지오가 1970년부터 2013년까지 연재한 만화가의 삶을 다룬 대장편 만화로, 다섯 편으로 구성되며 후지코 후지오 Ⓐ의 자전적 경험을 바탕으로 드라마화 및 단행본으로 발매되어 많은 사랑을 받았고, 2022년 최종화가 재게재되었다.
만화 작품 - 하늘의 혈맥 하늘의 혈맥은 오야마 쇼고의 역사 대하소설로, 1903년 러일 전쟁 직전의 만주를 배경으로 고대사 연구에 참여한 주인공이 역사의 소용돌이에 휘말리는 이야기이며, 일본 제국주의 사상적 기반을 비판적으로 조명하고 고대 시대 역사적 사건들을 교차하여 보여주는 독특한 구성을 취하고 있다.
대장편 도라에몽 - 도라에몽 노비타의 우주소전쟁 도라에몽 노비타의 우주소전쟁은 1985년에 개봉한 도라에몽 극장판 애니메이션으로, 피리카 별의 대통령 파피를 돕기 위해 PCIA 군대와 맞서 싸우는 도라에몽 일행의 우주 모험을 그린다.
대장편 도라에몽 - 도라에몽 노비타의 해저귀암성 도라에몽 노비타의 해저귀암성은 여름 캠핑 중 해저로 모험을 떠난 노진구와 친구들이 해저인, 아틀란티스, 핵무기의 위협에 맞서는 이야기를 그린 작품이다.
후지코 F. 후지오 - 침푸이 침푸이는 후지코 F. 후지오의 만화 및 애니메이션으로, 쥐를 닮은 외계인 침푸이가 지구 소녀 진애리를 돕는 이야기를 다루며, 미완으로 끝났고 도라에몽과 연관된 에피소드도 존재한다.
후지코 F. 후지오 - 우메보시 덴카 《우메보시 덴카》는 우메보시 별에서 온 덴카 왕자와 그의 가족들이 초등학생 나카무라 타로의 집에 얹혀살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후지코 F. 후지오의 만화 작품으로, TV 애니메이션과 극장판 애니메이션으로도 제작되었다.
1979년 『월간 코로코로 코믹』 1월호에 제1편인 「노비타의 공룡」 연재를 시작했다. 1975년에 발표된 단편에 내용을 추가하여 영화 원작용 장편으로 만들었다. 같은 해 9월부터 연재를 시작한 제2편 「노비타의 우주개척사」 이후는 모두 신작이다. 대개 매년 9월호 또는 10월호부터 연재를 시작하여 영화 상영이 가까운 3월호 또는 4월호에 완결하는 방식으로, 시리즈당 5~6회 정도 연재했다.
처음에는 단행본화되지 않고 "코로코로" 증간의 <컬러 코믹스>로 1편씩을 정리해 발매했다. 1983년부터 <텐토우무시코믹스>에서 단행본 발행이 시작되었으며, 처음 단행본화된 것은 같은 해 연재가 종료된 VOL.4 「노비타의 해저귀암성」이다. 이후 작품들은 원칙적으로 연재가 종료되는 해에 단행본이 발행되었다.
매년 3월 영화 개봉에 앞서 "코로코로"에서 연재하는 일정이 계속되었지만, 1988년 공개된 『노비타의 페러렐 서유기』는 후지코 F. 후지오의 건강 문제로 원작 만화가 집필되지 않았다. 따라서 영화 제10작의 원작인 「노비타의 일본탄생」은 『대장편 도라에몽』에서 제9작이 되었고, 이후 작품들도 영화와 만화의 통산 수에 1개의 차이가 생겼다.
1991년부터 1992년에 걸쳐 연재된 VOL.12 「노비타와 구름의 왕국」은 후지코 F. 후지오의 건강 문제로 마지막 2회가 연재 당시 집필되지 않았다. "코로코로"에는 후지코 프로에 의한 「완전 비주얼판 일러스트 스토리」(일러스트 및 문장)가 게재되었다. 연재와 같은 해에 단행본 발행도 되지 않았지만, 1994년에 완결편이 『도라에몽 클럽』에 게재되어 같은 해 단행본도 발행되었다. 따라서 VOL.13 「노비타와 양철의 미궁」보다 늦게 단행본화되었다. 완전 비주얼판 일러스트 스토리는 영화, 만화와 다른 내용이지만 단행본 및 관련 서적에는 수록되지 않았다.
1996년 VOL.17 「노비타의 태엽도시 모험기」 집필 중 후지코 F. 후지오가 사망하며 해당 작품이 유작이 되었다. 스스로 펜 입력까지 한 것은 첫 컬러 3페이지뿐이며, 나머지는 후지코 F. 후지오의 네임/원안을 바탕으로 후지코 프로가 제작했다. 이 작품까지 후지코 F. 후지오의 작품으로 여겨진다.
원작자인 후지코 F. 후지오 사후에도 매년 3월 신작 영화 개봉은 계속되었다. 이에 따라 만화도 후지코 프로에 의해 생전과 마찬가지로 영화 공개에 앞서 《월간 코로코로 코믹》에 발표가 계속되었고, 단행본도 《대장편 도라에몽》의 속권으로 발행되었다. 단, 후지코 프로 명의의 단행본에는 "만화판▶영화 시리즈"라는 시리즈명이 추가되어, 후지모토가 집필한 것과는 구분되었다[119]。
이 형태의 연재·단행본화는 영화 제25작품이자 애니메이션 영화 제1기[120] 마지막 영화가 된 《도라에몽: 진구와 고양이 왕국》이 마지막이 되었다. 총 24권. 그리고, 《도라에몽: 진구의 왕과 강아지 별》이 2004년 (헤이세이 16년) 3월에 개봉되었다.
### 영화 스토리 시리즈 등 (2006년 ~ 현재)
제2기[121] 영화는 성우 교체 및 애니메이션 리뉴얼 이후의 작품들을 말하며, 만화판은, 이후 『진구와 기적의 섬』 이후의 일부 작품은 『월간 코로코로 코믹』에서의 연재를 "대장편 도라에몽"으로 취급하고 있지만, 많은 작품의 단행본은 "영화 스토리" 시리즈로 발행되고 있다.
『대장편 도라에몽 만화판▷영화 시리즈』에서는 단행본 표지에 기재되는 저자는 후지코 F. 후지오 프로뿐이었지만, "영화 스토리" 시리즈에서는 "오카다 야스노리 [원작] 후지코 F. 후지오"와 같이, 만화 집필자의 이름도 기재되게 되었다.
무기와라는 기획・원안 협력/만화로 영화에도 크레딧. 히어로의 모티브가 된 만화 『미라・클・1』를 후지모토가 그린 것은 1979년.
33
30
진구의 신공룡
ES
2019
10
3
6
FP
F
무기와라
[각본] 카와무라 겐키
제1작 (초출은 1979년)의 오마주를 담은 오리지널 작품. 2020년 3월 발매의 단행본에서 완결편을 그림. 무기와라와 작품명이 만화로 영화에도 크레딧 (토키와 아이의 만화도 병기).
제목
단행본
초출년도
시작 호수
종료 호수
연재 횟수
작가
원작
만화
각본
비고
진구의 신공룡 ~쌍둥이 큐와 뮤~
챠오 코믹스 스페셜
2019
2020년 1
4
4
FP
F
토키와 아이
카와무라 겐키
소녀만화 화풍으로 영화를 코미컬라이즈. 2019년 12월 1일 발매의 2020년 1월호부터 연재 시작.
2. 2. 1. 만화판▷영화 시리즈 (1997년 ~ 2004년)
원작자인 후지코 F. 후지오 사후에도 매년 3월 신작 영화 개봉은 계속되었다. 이에 따라 만화도 후지코 프로의 하기와라 신이치와 오카다 야스노리에 의해 생전과 마찬가지로 영화 개봉에 앞서 월간 코로코로 코믹에 발표가 계속되었고, 단행본도 "대장편 도라에몽"의 속편으로 발행되었다. 그러나 후지코프로 명의의 단행본에는 "만화판▷영화 시리즈"라는 시리즈 이름이 추가되어 후지코 F. 후지오 본인이 집필한 것과는 구분된다.[119]
이 형태의 연재·단행본화는 영화 제25작으로 제1기[120]의 마지막 영화가 된 『도라에몽 노비타의 완냥시공전』 공개의 2004년까지 계속되었다.
2. 2. 2. 영화 스토리 시리즈 등 (2006년 ~ 현재)
제2기[121] 영화는 성우 교체 및 애니메이션 리뉴얼 이후의 작품들을 말하며, 만화판은 "대장편 도라에몽"의 속편이 아닌 "영화 스토리" 시리즈로 개별 발행되었다.[119] "영화 스토리" 시리즈에서는 원작은 후지코 F. 후지오, 작화는 오카다 야스노리 또는 무기와라 신타로 등 실제 집필자의 이름이 포함되었다.
후지코 F. 후지오는 1979년 12월 15일에 발매된 월간 코로코로 코믹 1980년 1월호부터 대장편 도라에몽 시리즈를 연재하기 시작했다. 첫 작품은 노비타의 공룡으로, 1980년 1월호부터 3월호까지 연재되었다. 이후, 노비타의 우주개척사(1980년 9월호~1981년 2월호), 노비타의 대마경(1981년 9월호~1982년 2월호) 등이 연재되었다. 초기에는 '후지코 후지오' 명의로 작품을 발표했으나, 노비타의 일본탄생 연재 중이던 1989년 3월호부터 '후지코 F. 후지오' 명의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노비타와 구름의 왕국은 후지코 F. 후지오의 컨디션 불량으로 1992년 1월호 연재가 중단되었고, 2월호와 3월호는 후지코 프로에서 그림과 글로 연재를 이어갔다. 이후 '도라에몽 클럽' 2호(1994년 5월 1일)에 완결판이 수록되었다.
후지코 F. 후지오의 유작은 노비타의 태엽도시 모험기로, 작가가 연재 제3회 집필 중 사망하면서 펜 터치는 연재 제1회의 표지와 4색 페이지뿐이었다. 연재 제3회까지는 후지코 F. 후지오의 밑그림을 바탕으로 후지코 프로 작화 스태프(하기와라 신이치 등)가 마무리했고, 이후에는 후지코 F. 후지오의 원안 등을 바탕으로 후지코 프로가 제작했다.
(021) 2010년 9월 29일 초판 제1쇄 발행 (9월 24일 발매[110]), ISBN 978-4-09-143438-8
(022) 2011년 1월 30일 초판 제1쇄 발행 (1월 25일 발매[111]), ISBN 978-4-09-143449-4
(023) 2011년 7월 30일 초판 제1쇄 발행 (7월 25일 발매[112]), ISBN 978-4-09-143466-1
(024) 2011년 12월 27일 초판 제1쇄 발행 (12월 22일 발매[113]), ISBN 978-4-09-143478-4
(025) 2012년 3월 28일 초판 제1쇄 발행 (2012년 3월 23일 발매[114]), ISBN 978-4-09-143486-9
(026) 2012년 5월 30일 초판 제1쇄 발행 (2012년 5월 25일 발매[115]), ISBN 978-4-09-143499-9
5. 특징
大長編ドラえもん일본어은 영화화를 전제로 그려져 있으며 1화 완결이 원칙이 되는 단편에 비해 이야기의 규모가 큰 것이 특징이다. 단편에서는 좁은 동네를 무대로 몇 명의 친구로만 이야기가 진행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 시리즈에서는 옛날의 지구나 다른 행성 같은 비일상의 세계를 무대로 그 세계의 거주자와 강력한 적 등 다양한 인물이 등장한다. 항상 안 된 소년 노진구가 대장편에서는 맹활약[122], 만퉁퉁은 깡패보다는 의지할 수 있는 좋은 사람으로의 표현이 눈에 띄는 이미지를 받고 있지만 그것은 비일상적인 모험의 세계에 돌입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단편 뿐만 아니라 이기심으로 인해 난폭한 성격이다(우주개척사, 창세일기 등). 또한 왕비실도 퉁퉁이와 비슷한 특성이 있지만 5명 중 가장 겁쟁이로 간주되는 때도 적지 않고(공룡, 남해대모험 등) 비실이가 트러블메이커가 되는 작품도 있다(용의기사, 이상한 풍사 등). 한편 특유의 깊은 지식과 관찰력, 기술력을 발휘하고 있으며 참모와 엔지니어로 활약하는 작품도 많다(우주소전쟁, 양철의 미궁 등).
히로인인 신이슬에 대해서는 단편보다 더 온화한 소녀로 묘사되어 있으며 적에 대해 평화적 해결을 도모하는 경우가 많다(철인병단, 구름왕국 등). 또한 단편 이상으로 노진구에게 마음이 있는 듯한 묘사가 두드러지고 있으며 그것은 후작만큼 현저하다(철인병단, 도라비안 나이트, 몽환삼검사, 창세일기, 태엽도시 모험기 등). 그래서인지 주인공인 도라에몽의 출연이 약간 먹기할 정도이다.[123] 또한 이슬이가 노진구에게 사용하는 호칭은 일관되게 "노비타상"이다.[124]
이 시리즈에서는 주요 멤버가 도라에몽, 노진구, 만퉁퉁, 왕비실, 신이슬 5명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해당 이야기의 게스트 캐릭터와의 협력으로 위기를 해결하고 다른 사람이 문제 해결에 개입하는 일은 거의 없다(마계대모험, 페러렐 서유기에서는 도라미가 문제 해결에 개입하고 있다. 또한 애니메이션 제2작2기 시리즈의 극장 작품에서는 공룡2006, 신대마경, 우주영웅기, 보물섬, 달탐사기, 신공룡, 우주소전쟁2021을 제외하고 등장해 모험에 참여하고 협력을 하고 있다).
『大長編ドラえもん일본어』은 영화화를 전제로 그려졌으며, 1화 완결을 원칙으로 하는 단편에 비해 이야기의 규모가 큰 것이 특징이다. 단편에서는 "일상 속의 비일상"을 축으로 좁은 마을을 무대로 소수의 등장인물만으로 이야기가 진행되는 경우가 많지만, 이 시리즈에서는 지구상의 미지의 영역이나, 다른 행성, 과거의 세계와 같은 비일상의 세계가 무대로 설정되어 있으며, 그 세계의 주민이나 강력한 적 등 다양한 인물이 등장한다.
대장편에서 그려지는 이야기는 그 작품만으로 완결되며, 그 대장편용으로 등장한 세계나 캐릭터가 다른 대장편이나 단편에 등장하는 일은 없다. 다만, 단편 「언제 어디서나 스케치 세트」에서는 『진구의 일본 탄생』에서의 한 장면이 도구에 의해 그려진 그림으로 등장하는 등 연관성이 묘사되는 경우나, 애완동물 이야기가 나올 때 개나 고양이뿐만 아니라 공룡이 더해지는 등 내용에 과거 대장편의 내용이나 그 이후의 시계열을 시사하는 것이 섞여 있다.
또한 대장편의 작품 중에서는 기본적으로 주요 멤버 5명 외의 지구 인류(현대 지구의 지상에서 생활하는 사람)는 스토리의 본질에 관여하지 않으며, 모험의 내용도 알지 못한다[55]
그 때문에 5명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면, 지구 인류가 멸망의 위기에 처해 있었던 경우에도, 지구 인류로부터 감사받거나 영웅시되는 일은 없고, 5명의 생활에 변화가 생기지 않으며, 오히려 5명이 비일상적인 사건을 해결하고 단편과 같은 일상생활로 돌아가는 것이 대장편의 엔딩이 되는 경우가 많다. 그것에 의해 단편이나 다른 대장편에 영향을 주지 않는 이야기 구조로 되어 있다.
5. 1. 주요 등장인물
"대장편 도라에몽"에서는 주요 등장인물들의 역할과 성격 묘사가 단편 시리즈와는 다르게 나타난다.
도라에몽은 노진구 등의 활약으로 비중이 다소 줄어드는 경향이 있지만, 여전히 리더십을 발휘하는 지휘관 역할을 맡는다.[39] 작품에 따라서는 주인공다운 활약을 하거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기도 한다.[40] 어떤 작품에서든 도라에몽의 비밀도구가 결정적인 역할을 하지만, 비밀도구 일부 또는 전부가 일시적으로 사용 불가능해지는 경우도 있다.[41]
노진구는 단편에 비해 대장편에서 용감하게 활약하는 경우가 많다.[42] 하지만 모험을 시작하기 전 일상에서는 단편에서처럼 안 좋은 모습을 보이기도 하고, 모험 중에도 어리숙한 면이 강조되어 혼자 뒤처지거나 대나무 헬리콥터의 배터리가 먼저 떨어지는 등의 묘사가 자주 나타난다.
신이슬은 단편보다 더 온화한 소녀로 그려지며, 적에게 평화적인 해결을 추구하는 경우가 많다.[43] 또한 노진구에게 호감을 보이는 묘사가 두드러지며, 후속 작품일수록 더욱 현저해진다.
만퉁퉁은 단편에서 보이는 괴롭힘 묘사는 줄어들고 "믿음직한 좋은 녀석"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모험 전 일상에서는 단편과 같이 제멋대로이고 난폭한 성격을 보이기도 한다.[44]
왕비실은 단편에서의 음흉한 성격은 줄어들지만, 겁쟁이로서의 묘사가 두드러진다.[45] 트러블 메이커로 취급되는 작품도 있지만,[46] 박식함과 관찰력, 기술력을 발휘하여 참모나 기술자 같은 "두뇌파 캐릭터"로 활약하는 작품도 많다.[47] 퉁퉁이와 비실이는 다른 3명의 호인들과 대비되어 적이나 아군인지 모르는 세력에 대한 의혹, 경계심을 불러일으키거나,[48] 부상당한 적 구조에 반대하거나,[49] 제멋대로 행동하여 위기를 초래하는 묘사도 보인다.[50]
주요 멤버는 도라에몽, 노진구, 신이슬, 만퉁퉁, 왕비실 5명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해당 이야기의 게스트 캐릭터와 협력하여 위기를 해결한다.
5. 2. 단편 등장인물의 역할
《대장편 도라에몽》에서는 주요 5인방 외 단편 등장인물들은 문제 해결에 거의 개입하지 않는다.[122] 예외적으로 도라미와 타임 패트롤이 문제 해결에 큰 역할을 하는 경우가 있다. 노비 노비스케(아빠)나 노비 타마코(엄마) 등 주요 멤버의 부모들은 대장편에 자주 등장하지만, 일상 장면에 한정되며 모험에는 참가하지 않는다.[51][52]
엄마는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간접적으로 모험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다. 노비타의 방에 들어와 중요한 도구를 버리거나, 훈계와 외출 금지 처분으로 노비타의 발을 묶는 것이 전형적인 예시이다. 이러한 행동은 노비타 일행에게 방해, 장애, 위험이 되기도 하지만(《노비타와 용의 기사》, 《노비타의 도라비안 나이트》, 《노비타의 우주표류기》 등), 도움을 주기도 한다(《노비타의 몽환삼검사》 등).[53]
기본적으로 주요 멤버의 부모들은 노비타 일행의 모험을 눈치채지 못하지만, 《노비타의 우주소전쟁》에서는 피리카 별의 파피를 숨겼을 때, 노비타의 부모도 이성인의 존재를 인지하고 함께 식사를 한다.[51] 《노비타의 태엽도시 모험기》에서는 노비타 일행이 과거에 "위험한 대모험"을 했다는 것을 눈치채고 걱정하는 묘사가 있다.
데키스기 히데토시와 선생님은 여러 대장편에 등장하지만, 일상 장면에 한정되며 모험에는 참가하지 않는다. 《노비타의 창세일기》에서는 이세계의 일기가 여름 방학 자유 연구로 쓰였기 때문에 선생님에게 제출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53]
그 외 단편 캐릭터 중 칸나리 씨는 《노비타의 대마경》, 《노비타와 용의 기사》[54]에 등장하여 도라에몽의 도구를 파괴하며 방해하는 역할을 한다. 스네오의 사촌 스네키치는 직접 등장하지 않지만 《노비타와 철인군단》, 《노비타의 우주소전쟁》에서 언급된다. 자이코는 대장편에 등장한 적이 없다.
주요 멤버 이외는 모험에 참가하지 않는다는 사정으로, 인간 관계도 단편과는 약간 다르다. 대장편에서는 "언제나의 5명" 이외의 마을 아이들은 동료로 삼으려 하지 않고, 관심을 보이면 거짓말까지 하면서 쫓아내는 묘사도 있다(《노비타의 일본탄생》, 《노비타와 구름 왕국》).
5. 3. 주요 비밀도구
"대장편 도라에몽"에서는 영화화를 전제로 이야기가 전개되므로, 단편보다 규모가 크고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한다.[122] 노비타는 대장편에서 맹활약하며,[122] 자이언은 평소 깡패같은 모습보다는 의지할 수 있는 면모를 보인다.[122] 스네오 역시 자이언과 비슷한 특성을 보이지만, 때로는 겁쟁이로 묘사되기도 한다.[122] 시즈카는 단편보다 더 온화하고 평화적인 해결을 추구하며,[123] 노비타에게 호감을 가진 묘사가 두드러진다.[123][124] 주요 멤버는 도라에몽, 노비타, 자이언, 스네오, 시즈카 5명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이들이 게스트 캐릭터와 협력하여 위기를 해결한다.
대장편에 자주 등장하는 비밀도구로는 이동 수단인 어디로든 문, 대나무 헬리콥터, 타임머신 등이 있다. 무기로는 공기포, 쇼크 건, 휙휙 망토, 스몰 라이트 등이 사용된다. 의사소통 수단으로는 만약의 만약 젤리, 복숭아 도장 경단 등이 있다.
대장편에서만 사용되는 새로운 도구도 다수 등장한다. 반면, 너무 편리하거나 강력한 도구는 이야기의 균형을 위해 등장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56][57]
6. 사회적 영향
6. 1.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
6. 2. 진보적 관점에서의 조명
참조
[1]
웹사이트
映画ストーリー ドラえもん
https://www.shogakuk[...]
2024-01-28
[2]
웹사이트
Doraemon Nobita's Dinosaur 2006 DS Original Comic (Tentomushi Comics Special)
https://www.cdjapan.[...]
2024-01-28
[3]
웹사이트
Doraemon Nobita's Dinosaur 2006 DS Original Comic (Tentomushi Comics Special)
https://www.cdjapan.[...]
2024-01-28
[4]
웹사이트
映画ストーリー ドラえもん
https://www.shogakuk[...]
2024-01-28
[5]
웹사이트
映画ストーリー ドラえもん
https://www.shogakuk[...]
2024-01-28
[6]
웹사이트
映画ストーリー ドラえもん のび太の人魚大海戦
https://www.shogakuk[...]
2024-01-28
[7]
웹사이트
ドラえもん 映画ストーリー のび太と奇跡の島
https://www.shogakuk[...]
2024-01-28
[8]
웹사이트
ドラえもん のび太のひみつ道具博物館
https://www.shogakuk[...]
2024-01-28
[9]
웹사이트
ドラえもん のび太の宇宙英雄記
https://www.shogakuk[...]
2024-01-28
[10]
웹사이트
ドラえもん 映画ストーリー 『のび太の新恐竜』
https://www.shogakuk[...]
2024-01-28
[11]
문서
[12]
서적
ドラえもん&藤子・F・不二雄公式ファンブック - Fライフ増刊 T・P本~アニメ「T・Pぼん」と藤子・F・不二雄の世界
小学館
[13]
서적
20周年だよ! ドラえもん ザ・ムービー
キネマ旬報社
1999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20]
문서
[21]
간행물
Neo Utopia
1994
[22]
뉴스
『ドラえもん』第7弾『のび太と竜の騎士』芝山努監督に聞く“地底世界の謎”
徳間書店
1987-03
[23]
간행물
Neo Utopia
1994
[24]
서적
てれびくん 映画ドラえもん 超全集
小学館
[25]
간행물
Neo Utopia
[26]
간행물
Neo Utopia
[27]
서적
ドラえもん物語 ~藤子・F・不二雄先生の背中~
小学館
2017
[28]
서적
大長編ドラえもん
[29]
간행물
Neo Utopia
[30]
문서
[31]
간행물
Neo Utopia
[32]
서적
大長編ドラえもん
[33]
서적
大長編ドラえもん
[34]
간행물
Neo Utopia
[35]
문서
[36]
문서
このシリーズ区分は、2001年に発行された同シリーズ4作目となる『ドラえもん のび太と翼の勇者たち|のび太と翼の勇者たち』の単行本で初めてつけられた。『ドラえもん のび太の南海大冒険|のび太の南海大冒険』から『ドラえもん のび太の太陽王伝説|のび太の太陽王伝説』までの3巻には当初はこのシリーズ名表記はなく、『翼の勇者たち』発行以降の増版時に追加されている。
[37]
문서
2005年の声優交代以前、ドラえもん (キャラクター)|ドラえもんを大山のぶ代が担当している時期のことを指す。
[38]
문서
2005年の声優交代以降、ドラえもん (キャラクター)|ドラえもんを水田わさびが担当している時期のことを指す。
[39]
문서
『のび太と鉄人兵団』、『のび太とアニマル惑星』など
[40]
문서
『のび太の海底鬼岩城』、『のび太と竜の騎士』、『のび太の日本誕生』、『のび太と雲の王国』、『のび太とロボット王国』など。
[41]
문서
『のび太の大魔境』、『のび太のドラビアンナイト』、『のび太と雲の王国』、『のび太とブリキの迷宮』、『のび太と夢幻三剣士』、『のび太の南海大冒険』、『のび太とふしぎ風使い』など
[42]
문서
『のび太の銀河超特急』において、スネ夫が「のび太…大長編になるとかっこいいことをいう』というメタ発言をしている。
[43]
문서
ただし、『のび太の海底鬼岩城』ではその直前に説得を図っているものの、それに聞く耳を持たず世界中に鬼核弾(核ミサイル)を撃つと豪語する人工知能のポセイドンに対して「あんたを爆破してやる!」と怒りに任せた発言をしているシーンがある。
[44]
문서
『のび太の宇宙開拓史』『のび太の創世日記』など
[45]
문서
『のび太の恐竜』、『のび太の大魔境』、『のび太の宇宙小戦争』、『のび太の南海大冒険』など
[46]
문서
『のび太と竜の騎士』、『のび太とふしぎ風使い』など
[47]
문서
『のび太の宇宙小戦争』『のび太とブリキの迷宮』など
[48]
문서
『のび太と竜の騎士』『のび太と雲の王国』など
[49]
문서
『のび太と鉄人兵団』『のび太とロボット王国』など
[50]
문서
『のび太の海底鬼岩城』『のび太とアニマル惑星』『のび太の宇宙漂流記』など
[51]
문서
ただし、『のび太の宇宙小戦争』の映画版では、パピがのび太の両親と対面している場面はない。
[52]
문서
完全に忘れたわけではなく、のび助本人は「夢」だったと思っている。
[53]
문서
映画のエンディングでは提出後、先生に「たいへんよくできました」と評価された描写がある。つまり、ドラえもんの道具による異世界の観察というテーマを先生が認知し、受理したことになる。
[54]
문서
ただし、映画版の『ドラえもん のび太の大魔境』(1982年版)と『ドラえもん のび太と竜の騎士』では、神成さんは登場せず、ドラえもんの道具は別の理由で破壊されている。『のび太の大魔境』のリメイク映画の『映画ドラえもん 新・のび太の大魔境 〜ペコと5人の探検隊〜|新・のび太の大魔境 〜ペコと5人の探検隊〜』(2014年)では、漫画の通り神成さんにより破壊された。
[55]
문서
主要メンバー5人も彼ら以外の地球人類を巻き込もうとする描写はほとんど見られないが、『のび太と鉄人兵団』では、ドラえもんとのび太が鉄人兵団襲来をママに相談して相手にされなかった後、警察、自衛隊、内閣総理大臣|総理大臣、国際連合事務総長|国連事務総長、全国こども電話相談室|こども電話相談室に通報を試みるも、誰も信じてくれなかったという描写がある。また『雲の王国』ではジャイアンとスネ夫が天上人の軟禁から脱走して地上の自衛隊や国連軍に連絡を取って地上人の危機を伝えようと目論むも、パルパルに見つかって阻止される描写がある。例外的に5人の冒険に関わることになった地球人類として、『のび太と雲の王国』のタガロと密猟者達、『のび太のねじ巻き都市冒険記』の前科百犯の熊虎鬼五郎などがいる。いずれもその大長編のみのゲストキャラである。
[56]
문서
たとえば劇中で重要な機械が故障した場合にはタイムふろしきか復元光線を使えば簡単に直せるはずなのに、ドラえもんはこれらの道具を決して使わず、わざわざ自分の手で苦心して修理を試みている。原作者である藤子・Fの死後に製作された『のび太のワンニャン時空伝』では、『のび太の恐竜』の場合と同様にタイムマシンが故障してドラえもんが慌てていた時、タイムふろしきや復元光線を出さない理由として「あいにく手元にない」と弁明していた。『のび太の宇宙小戦争』では、スモールライトでドラえもん達が小さくなっている間に敵の手でスモールライトを奪われる展開があるが、この作品ではビッグライトの存在が完全に無視されており、ドラえもん達はスモールライトを取り戻さなければ元の大きさに戻れないと騒いでいた(この前年に製作された『のび太の魔界大冒険』ではビッグライトが使用されている)。この作品では、「スモールライトで小さくなった人間を元の大きさに戻すには、スモールライトから出る解除光線を当てる」「解除光線を当てなくても、時間が経つとスモールライトの効き目が切れて自然に元の大きさに戻る」という作品独自の新設定が付け加えられている。
[57]
문서
ドラえもんの道具の中には、ついた嘘が全て本当になるソノウソホントや、地球はかいばくだん、一発で戦車を吹き飛ばすというジャンボガン、鉄筋のビルを一瞬で煙にするという熱線銃などの強力な道具が存在するにも関わらず、ドラえもんは劇中でこれらの道具を一度たりとも使ったことがない(これらの道具や兵器は、いずれも大長編シリーズが描かれる以前の短編「ソノウソホント」「ネズミとばくだん」で登場した)。
[58]
문서
当初は〈てんとう虫コミックス〉から発行されていたが、後にサブレーベルの〈てんとう虫コロコロコミック〉に移動。
[59]
문서
ただし、『のび太の海底鬼岩城』においては、後述の中公コミックス刊行時に描き下ろされた。
[60]
문서
17巻まで。また8巻までは当初「藤子不二雄」名義で発行され、1988年の独立後の増版時に「藤子不二雄{{Unicode|Ⓕ}}」名義に、1989年の増販時に「藤子・F・不二雄」名義に変更されている。
[61]
문서
18巻以降
[62]
문서
( ) 内はまんが版映画シリーズとしての巻数。
[63]
웹사이트
'『大長編ドラえもん 1 のび太の恐竜』'
http://skygarden.sho[...]
2009-10-25
[64]
웹사이트
'『大長編ドラえもん 2のび太の宇宙開拓史』'
https://comics.shoga[...]
2009-10-25
[65]
웹사이트
'『大長編ドラえもん 3のび太の大魔境』'
http://skygarden.sho[...]
2009-10-25
[66]
웹사이트
'『大長編ドラえもん 4のび太の海底鬼岩城』'
http://skygarden.sho[...]
2009-10-25
[67]
웹사이트
'『大長編ドラえもん 5のび太の魔界大冒険』'
http://skygarden.sho[...]
2009-10-25
[68]
웹사이트
'『大長編ドラえもん 6のび太の宇宙小戦争』'
http://skygarden.sho[...]
2009-10-25
[69]
웹사이트
'『大長編ドラえもん 7のび太と鉄人兵団』'
http://skygarden.sho[...]
2009-10-25
[70]
웹사이트
'『大長編ドラえもん 8のび太と竜の騎士』'
http://skygarden.sho[...]
2009-10-25
[71]
웹사이트
『大長編ドラえもん 9のび太の日本誕生』
http://skygarden.sho[...]
2009-10-25
[72]
웹사이트
『大長編ドラえもん 10のび太とアニマル惑星』
http://skygarden.sho[...]
2009-10-25
[73]
웹사이트
『大長編ドラえもん 11のび太のドラビアンナイト』
http://skygarden.sho[...]
2009-10-25
[74]
웹사이트
『大長編ドラえもん 12のび太と雲の王国』
http://skygarden.sho[...]
2009-10-25
[75]
웹사이트
『大長編ドラえもん 13のび太とブリキの迷宮』
http://skygarden.sho[...]
2009-10-25
[76]
웹사이트
『大長編ドラえもん 14のび太と夢幻三剣士』
http://skygarden.sho[...]
2009-10-25
[77]
웹사이트
『大長編ドラえもん 15のび太の創世日記』
https://comics.shoga[...]
2009-10-25
[78]
웹사이트
『大長編ドラえもん 16のび太と銀河超特急』
http://skygarden.sho[...]
2009-10-25
[79]
웹사이트
『大長編ドラえもん 17のび太のねじ巻き都市冒険記』
http://skygarden.sho[...]
2009-10-25
[80]
웹사이트
『大長編ドラえもん 18のび太の南海大冒険』
http://skygarden.sho[...]
2009-10-25
[81]
웹사이트
『大長編ドラえもん 19のび太の宇宙漂流記』
http://skygarden.sho[...]
2009-10-25
[82]
웹사이트
『大長編ドラえもん 20のび太の太陽王伝説』
http://skygarden.sho[...]
2009-10-25
[83]
웹사이트
『大長編ドラえもん 21のび太と翼の勇者たち』
http://skygarden.sho[...]
2009-10-25
[84]
웹사이트
『大長編ドラえもん 22のび太とロボット王国』
https://comics.shoga[...]
2009-10-25
[85]
웹사이트
『大長編ドラえもん 23のび太とふしぎ風使い』
http://skygarden.sho[...]
2009-10-25
[86]
웹사이트
『大長編ドラえもん 24のび太のワンニャン時空伝』
http://skygarden.sho[...]
2009-10-25
[87]
문서
[88]
문서
[89]
웹사이트
『大長編ドラえもん 1』
http://skygarden.sho[...]
2009-10-25
[90]
웹사이트
『大長編ドラえもん 2』
http://skygarden.sho[...]
2009-10-25
[91]
웹사이트
『大長編ドラえもん 3』
http://skygarden.sho[...]
2009-10-25
[92]
웹사이트
『大長編ドラえもん 4』
http://skygarden.sho[...]
2009-10-25
[93]
웹사이트
『大長編ドラえもん 5』
http://skygarden.sho[...]
2009-10-25
[94]
웹사이트
『大長編ドラえもん 6』
http://skygarden.sho[...]
2009-10-25
[95]
웹사이트
『大長編ドラえもん 7』
http://skygarden.sho[...]
2009-10-25
[96]
웹사이트
『大長編ドラえもん 8』
http://skygarden.sho[...]
2009-10-25
[97]
웹사이트
『大長編ドラえもん 9』
http://skygarden.sho[...]
2009-10-25
[98]
웹사이트
『大長編ドラえもん 10』
http://skygarden.sho[...]
2009-10-25
[99]
웹사이트
『大長編ドラえもん 11』
http://skygarden.sho[...]
2009-10-25
[100]
웹사이트
『大長編ドラえもん 12』
http://skygarden.sho[...]
2009-10-25
[101]
웹사이트
『大長編ドラえもん 13』
http://skygarden.sho[...]
2009-10-25
[102]
웹사이트
『大長編ドラえもん 14』
http://skygarden.sho[...]
2009-10-25
[103]
웹사이트
『大長編ドラえもん 15』
http://skygarden.sho[...]
2009-10-25
[104]
웹사이트
『大長編ドラえもん 16』
http://skygarden.sho[...]
2009-10-25
[105]
웹사이트
『大長編ドラえもん 17』
http://skygarden.sho[...]
2009-10-25
[106]
웹사이트
『ドラえもん のび太の恐竜』
http://skygarden.sho[...]
2011-05-24
[107]
웹사이트
『ドラえもん のび太の恐竜』
http://skygarden.sho[...]
2009-10-25
[108]
간행물
「「大長編ドラえもん」連載史」『月報』14-1(大全集『大長編ドラえもん』1巻付録)
2010-09
[109]
문서
( ) 内は大全集の通巻巻数。
[110]
웹사이트
『藤子・F・不二雄大全集 大長編ドラえもん1』
https://comics.shoga[...]
2010-09-24
[111]
웹사이트
『藤子・F・不二雄大全集 大長編ドラえもん2』
https://comics.shoga[...]
2011-01-25
[112]
웹사이트
『藤子・F・不二雄大全集 大長編ドラえもん3』
https://comics.shoga[...]
2011-07-25
[113]
웹사이트
『藤子・F・不二雄大全集 大長編ドラえもん4』
https://comics.shoga[...]
2011-12-22
[114]
웹사이트
『藤子・F・不二雄大全集 大長編ドラえもん5』
https://comics.shoga[...]
2012-03-23
[115]
웹사이트
『藤子・F・不二雄大全集 大長編ドラえもん6』
https://comics.shoga[...]
2012-03-23
[116]
웹사이트
『藤子・F・不二雄大全集 別巻 Fの森の歩き方』
https://comics.shoga[...]
2010-11-13
[117]
문서
처음에는 [[후지코 후지오]] 명의로 발표했다. [[후지코 후지오 Ⓐ]]와의 콤비 해체 후 후지코 후지오 Ⓕ 명의를 거쳐 [[후지코 F. 후지오]] 명의로.
[118]
문서
처음에는 <텐토우무시코믹스>에서 발행되었지만 후에 하위 레이블인 <텐토우무시코로코로코믹>으로 이동.
[119]
문서
이 시리즈의 구분은 이 시리즈 4틈새기가 되는 「[[도라에몽 노비타와 날개의 용사들|노비타와 날개의 용사들]]」의 단행본으로 처음 붙여졌다. 「[[도라에몽 노비타의 남해대모험|노비타의 남해대모험]]」부터 「[[도라에몽 노비타의 태양왕전설|노비타의 태양왕전설]]」까지의 3권은 처음에는 없었고 "날개의 용사들" 발행 이후의 증판 때 추가되고 있다.
[120]
문서
2005년의 성우 교체 이전, [[도라에몽 (등장인물)|도라에몽]]을 [[오오야마 노부요]]가 담당하고 있는 시기.
[121]
문서
2005년의 성우 교체 이후, [[도라에몽 (등장인물)|도라에몽]]을 [[미즈타 와사비]]가 담당하고 있는 시기.
[122]
문서
"노비타의 은하초특급"에서 스네오가 "노비타... 대장편이 되면 멋진 것을 한다."라는 메타 휙 셔널 발언을 하고 있다.
[123]
문서
그러나 일본탄생, 로봇왕국, 완냥시공전(중반), 인어대해전, 신일본탄생 등 주인공인 도라에몽이 주역이 되어 활약하는 작품도 존재한다.
[124]
문서
그러나 초기의 3작품인 공룡, 우주개척사, 대마경의 영화판에서는 시즈카가 노비타를 "노비타군"이라고 불렀다.
[125]
문서
17권까지. 또한 8권까지는 당초 후지코 후지오 명의로 발행된 콤비 해체 후 증판 때 후지코 F. 후지오 명의로 변경되었다.
[126]
문서
18권 이후.
[127]
문서
()내는 만화판▷영화 시리즈의 권수.
[128]
웹인용
『大長編ドラえもん 1 のび太の恐竜』
http://skygarden.sho[...]
2009-10-25
[129]
웹인용
『大長編ドラえもん 2のび太の宇宙開拓史』
http://skygarden.sho[...]
2009-10-25
[130]
웹인용
『大長編ドラえもん 3のび太の大魔境』
http://skygarden.sho[...]
2009-10-25
[131]
웹인용
『大長編ドラえもん 4のび太の海底鬼岩城』
http://skygarden.sho[...]
2009-10-25
[132]
웹인용
『大長編ドラえもん 5のび太の魔界大冒険』
http://skygarden.sho[...]
2009-10-25
[133]
웹인용
『大長編ドラえもん 6のび太の宇宙小戦争』
http://skygarden.sho[...]
2009-10-25
[134]
웹인용
『大長編ドラえもん 7のび太と鉄人兵団』
http://skygarden.sho[...]
2009-10-25
[135]
웹인용
『大長編ドラえもん 8のび太と竜の騎士』
http://skygarden.sho[...]
2009-10-25
[136]
웹인용
『大長編ドラえもん 9のび太の日本誕生』
http://skygarden.sho[...]
2009-10-25
[137]
웹인용
『大長編ドラえもん 10のび太とアニマル惑星』
http://skygarden.sho[...]
2009-10-25
[138]
웹인용
『大長編ドラえもん 11のび太のドラビアンナイト』
http://skygarden.sho[...]
2009-10-25
[139]
웹인용
『大長編ドラえもん 12のび太と雲の王国』
http://skygarden.sho[...]
2009-10-25
[140]
웹인용
『大長編ドラえもん 13のび太とブリキの迷宮』
http://skygarden.sho[...]
2009-10-25
[141]
웹인용
『大長編ドラえもん 14のび太と夢幻三剣士』
http://skygarden.sho[...]
2009-10-25
[142]
웹인용
『大長編ドラえもん 15のび太の創世日記』
http://skygarden.sho[...]
2009-10-25
[143]
웹인용
『大長編ドラえもん 16のび太と銀河超特急』
http://skygarden.sho[...]
2009-10-25
[144]
웹인용
『大長編ドラえもん 17のび太のねじ巻き都市冒険記』
http://skygarden.sho[...]
2009-10-25
[145]
웹인용
『大長編ドラえもん 18のび太の南海大冒険』
http://skygarden.sho[...]
2009-10-25
[146]
웹인용
『大長編ドラえもん 19のび太の宇宙漂流記』
http://skygarden.sho[...]
2009-10-25
[147]
웹인용
『大長編ドラえもん 20のび太の太陽王伝説』
http://skygarden.sho[...]
2009-10-25
[148]
웹인용
『大長編ドラえもん 21のび太と翼の勇者たち』
http://skygarden.sho[...]
2009-10-25
[149]
웹인용
『大長編ドラえもん 22のび太とロボット王国』
http://skygarden.sho[...]
2009-10-25
[150]
웹인용
『大長編ドラえもん 23のび太とふしぎ風使い』
http://skygarden.sho[...]
2009-10-25
[151]
웹인용
『大長編ドラえもん 24のび太のワンニャン時空伝』
http://skygarden.sho[...]
2009-10-25
[152]
문서
[153]
문서
[154]
웹인용
『大長編ドラえもん 1』
http://skygarden.sho[...]
2009-10-25
[155]
웹인용
『大長編ドラえもん 2』
http://skygarden.sho[...]
2009-10-25
[156]
웹인용
『大長編ドラえもん 3』
http://skygarden.sho[...]
2009-10-25
[157]
웹인용
『大長編ドラえもん 4』
http://skygarden.sho[...]
2009-10-25
[158]
웹인용
『大長編ドラえもん 5』
http://skygarden.sho[...]
2009-10-25
[159]
웹인용
『大長編ドラえもん 6』
http://skygarden.sho[...]
2009-10-25
[160]
웹인용
『大長編ドラえもん 7』
http://skygarden.sho[...]
2009-10-25
[161]
웹인용
『大長編ドラえもん 8』
http://skygarden.sho[...]
2009-10-25
[162]
웹인용
『大長編ドラえもん 9』
http://skygarden.sho[...]
2009-10-25
[163]
웹인용
『大長編ドラえもん 10』
http://skygarden.sho[...]
2009-10-25
[164]
웹인용
『大長編ドラえもん 11』
http://skygarden.sho[...]
2009-10-25
[165]
웹인용
『大長編ドラえもん 12』
http://skygarden.sho[...]
2009-10-25
[166]
웹인용
『大長編ドラえもん 13』
http://skygarden.sho[...]
2009-10-25
[167]
웹인용
『大長編ドラえもん 14』
http://skygarden.sho[...]
2009-10-25
[168]
웹인용
『大長編ドラえもん 15』
http://skygarden.sho[...]
2009-10-25
[169]
웹인용
『大長編ドラえもん 16』
http://skygarden.sho[...]
2009-10-25
[170]
웹인용
『大長編ドラえもん 17』
http://skygarden.sho[...]
2009-10-25
[171]
웹인용
『ドラえもん のび太の恐竜』
http://skygarden.sho[...]
2011-05-24
[172]
웹인용
『ドラえもん のび太の恐竜』
http://skygarden.sho[...]
2009-10-25
[173]
간행물
「「大長編ドラえもん」連載史」
월 報
2010-09
[174]
문서
[175]
웹인용
『藤子・F・不二雄大全集 大長編ドラえもん1』
http://skygarden.sho[...]
2010-09-24
[176]
웹인용
『藤子・F・不二雄大全集 大長編ドラえもん2』
http://skygarden.sho[...]
불명
[177]
웹인용
『藤子・F・不二雄大全集 大長編ドラえもん3』
http://sol-comics.sh[...]
불명
[178]
웹인용
『藤子・F・不二雄大全集 大長編ドラえもん4』
http://sol-comics.sh[...]
불명
[179]
웹인용
『藤子・F・不二雄大全集 大長編ドラえもん5』
http://sol-comics.sh[...]
불명
[180]
웹인용
『藤子・F・不二雄大全集 大長編ドラえもん6』
http://sol-comics.sh[...]
불명
[181]
웹인용
『藤子・F・不二雄大全集 別巻 Fの森の歩き方』
http://skygarden.sho[...]
불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