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지사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지사륜은 불교에서 우주의 구조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개념으로, 특히 《장아함경》, 《대루탄경》, 《기세경》 등의 경전에 나타난다. 이 개념은 3천대천세계를 구성하는 풍륜, 수륜, 금륜의 세 가지 지륜을 기본으로 하며, 《기세경》에서는 공륜이 추가되어 4륜으로 설명되기도 한다. 대지사륜은 각각 바람, 물, 땅, 허공을 상징하며, 수미산을 중심으로 9산 8해, 여러 층급의 천상계로 이루어진 우주 구조를 나타낸다. 수미산은 불교에서 깨달음의 경지를 상징하며, 각 층급은 수행의 단계를 의미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불교 우주론 - 사천왕
사천왕은 불교에서 수미산의 네 방위를 지키는 제석천의 부하인 지국천왕, 증장천왕, 광목천왕, 다문천왕으로 구성된 불법 수호신이다. - 불교 우주론 - 로카
로카는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 등 인도 종교에서 우주 또는 세계의 영역을 의미하며, 각 종교는 로카의 개념을 통해 고유한 우주론과 윤회 사상을 설명한다. - 불교 용어 - 불멸기원
불멸기원은 석가모니의 입멸을 기원으로 하는 불교력의 연호로, 기원전 544년 설과 기원전 543년 설에 따라 계산에 차이가 있으며, 태음태양력을 기반으로 윤년과 윤달을 통해 태양력과의 차이를 조정하고,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불교 관련 행사 및 휴일 표기에 사용된다. - 불교 용어 - 마음챙김
마음챙김은 불교 용어인 '사띠'와 '스므르티'에서 유래하여 현재 순간에 대한 자각과 수용을 의미하며, 스트레스 감소 및 정신 건강 증진을 위해 심리학, 의학 분야에서 활용되고 다양한 분야에서 유사한 개념이 존재하나 상업화 및 윤리적 문제에 대한 비판도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대지사륜 |
---|
2. 경론별 설명
여러 불교 경전에서는 3천대천세계와 그 중심인 수미산을 포함한 1수미세계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대표적인 경전으로는 《장아함경》, 《대루탄경》, 《기세경》 등이 있으며, 각 경전은 세계를 이루는 기본 요소와 천상 세계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묘사한다.
- 《장아함경》 제18권 〈세기경〉에서는 세계를 받치는 풍륜(風輪), 수륜(水輪), 금륜(金輪)의 3륜 구조와 수미산의 모습, 그리고 그곳에 거주하는 신들과 욕계, 색계, 무색계의 천상 세계를 차례로 설명한다.
- 《대루탄경》 제1권 〈염부리품〉 역시 3륜 구조와 수미산, 그리고 욕계, 색계, 무색계의 천상 세계를 상세히 묘사한다. 《장아함경》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각 륜의 깊이나 천상계의 설명 등에서 일부 차이를 보인다.
- 《기세경》 제1권 〈염부주품〉은 세계의 기반을 허공(虛空) 즉 공륜(空輪)으로 설명하며, 그 위에 풍륜, 수륜, 금륜이 차례로 놓이는 4륜(四輪) 구조를 제시한다. 또한 수미산의 구조와 6욕천을 비롯한 천상 세계에 대한 설명을 담고 있다.
이들 경전은 고대 인도의 우주관을 바탕으로 불교적인 세계관을 체계화하여 보여주며, 수미산을 중심으로 한 1수미세계의 구조와 다양한 천상계의 모습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각 경전의 구체적인 설명은 해당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2. 1. 장아함경
《장아함경》 제18권 〈30. 세기경(世紀經) 1) 염부제주품(閻浮提洲品)〉에서는 고타마 붓다가 비구들에게 우주의 구조, 즉 3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에 대해 설명한 후, 1수미세계의 구체적인 모습을 상세히 묘사한다.이 세계는 가장 아래에 풍륜(風輪)이 있으며 그 깊이는 6040유순이고 가장자리는 끝이 없다. 풍륜 위에는 수륜(水輪)이 있고 깊이는 3030유순이며 역시 가장자리가 없다. 수륜 위에는 금륜(金輪) 즉 대지(大地)가 있으며, 그 깊이는 16만 8천 유순이고 가장자리는 끝이 없다. 땅[地]은 물[水] 위에, 물은 바람[風] 위에 놓여 있는 구조이다. 대해(大海)의 깊이는 8만 4천 유순이며, 그 가장자리 또한 끝이 없다.
세계의 중심에는 수미산(須彌山)이 있다. 수미산은 바닷물 속에 잠긴 부분이 8만 4천 유순이고, 바다 위로 솟은 부분 역시 8만 4천 유순이다. 산의 뿌리는 금륜(대지)에 닿아 있으며, 단단한 지분(地分)으로 이루어져 있다. 산은 굽은 곳 없이 곧게 솟아 있으며, 온갖 나무가 자라 향기를 내뿜는다. 이곳에는 성현(聖賢)들과 신묘한 천신들이 거주한다. 산기슭에는 순수한 금모래가 깔려 있고, 산의 네 면에는 각각 높이 7백 유순의 봉우리[埵]가 솟아 있으며, 이 봉우리들은 칠보(七寶)로 이루어져 비스듬히 바다를 향해 있다.
수미산에는 아래, 중간, 위 세 단계의 층계로 된 길이 있다. 아래 층계 길(너비 60유순)에는 가루라족(伽樓羅足)이라는 귀신이 살고, 중간 층계 길(너비 40유순)에는 지만(持鬘)이라는 귀신이 살며, 위 층계 길(너비 20유순)에는 희락(喜樂)이라는 귀신이 산다. 각 층계 길 양옆에는 일곱 겹의 보배 담장, 난간, 그물, 가로수 등이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고, 아름다운 새들이 지저귄다.
수미산 중턱의 네 봉우리(높이 4만 2천 유순)에는 사천왕이 거주하는 궁전이 있다. 수미산 정상에는 도리천(忉利天, 삼십삼천)의 궁전이 있다. 그 위로는 일정한 거리의 곱절씩 높아지며 야마천(焰摩天), 도솔천(兜率天), 화락천(化自在天, 화자재천),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이 차례로 위치한다. 타화자재천과 범천(梵天, 범가이천) 사이에는 마천(魔天)의 궁전(가로세로 6천 유순)이 있다. 범천 위로는 다시 거리의 곱절씩 높아지며 광음천(光音天), 변정천(遍淨天), 광과천(果實天, 과실천), 무상천(無想天), 무번천(無造天, 무조천), 무열천(無熱天), 선견천(善見天), 선현천(大善見天, 대선견천), 색구경천(色究竟天) 등의 색계 천상들이 존재한다. 그 위로는 공무변처(空處智天), 식무변처(識處智天), 무소유처(無所有處智天), 비상비비상처(有想無想處智天)의 무색계 천상이 있다. 이 모든 세계를 합쳐 중생이 사는 경계(衆生邊際) 또는 중생 세계라고 부른다.
2. 2. 대루탄경
《대루탄경(大樓炭經)》은 불교의 우주관을 설명하는 경전으로, 특히 3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와 그 중심인 수미산(須彌山)의 구조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고 있다. 이는 《장아함경》의 내용과 유사한 점이 많다.경전의 제1권 〈1. 염부리품(閻浮利品)〉에서 고타마 붓다는 비구들에게 우주의 구조를 설명한다. 먼저 하나의 해와 달이 비추는 세계를 사천하(四天下)라 하고, 이러한 세계가 천 개 모인 것을 소천세계(小千世界)라 한다. 소천세계가 다시 천 개 모이면 중천세계(中千世界)가 되고, 중천세계가 천 개 모이면 3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가 된다. 이 삼천대천세계 전체가 하나의 불찰(佛刹), 즉 부처의 교화가 미치는 영역이며, 생성과 소멸을 반복한다고 설한다.
이어서 붓다는 우리가 발 딛고 있는 세계, 즉 1수미세계(一須彌世界)의 구체적인 모습을 설명한다. 세계의 가장 아래에는 풍륜(風輪, 바람의 층)이 있으며, 그 깊이는 230만 유순이고 둘레는 끝이 없다. 풍륜 위에는 수륜(水輪, 물의 층)이 있는데, 깊이는 460만 유순이고 둘레는 역시 한계가 없다. 수륜 위에는 금륜(金輪, 땅의 층)이 있으며, 깊이는 680만 유순이고 둘레는 한없다. 이 금륜이 바로 우리가 대지(大地)라고 부르는 것이다.
금륜 위에는 대해(大海), 즉 8해(八海)가 펼쳐져 있으며, 그 깊이는 840만 유순이고 끝없이 넓다. 대해의 한가운데에는 수미산(須彌山)이 우뚝 솟아 있다. 수미산은 대해 속으로 8만 4천 유순 깊이로 들어가 있고, 바다 위로 솟은 높이도 8만 4천 유순이다. 산의 아래는 좁고 위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며, 정상은 평평하다. 수미산에는 온갖 생명체들(네 가지 생류)과 다양한 신들이 가득 살고 있다.
수미산 정상에는 욕계 제2천인 도리천(忉利天)의 궁전이 있다. 도리천 위로는 차례대로 야마천(焰天, 염천), 도솔천(兜率天), 화락천(尼摩羅天, 니마라천), 타화자재천(波羅尼蜜和耶越致天, 바라니밀화야월치천) 등 욕계의 하늘들이 펼쳐진다. 타화자재천 위로는 색계의 하늘들이 시작되는데, 가장 먼저 초선천의 범중천, 범보천, 대범천을 통칭하는 범가이천(梵迦夷天)이 있다.
범가이천 위에는 마천(魔天)이 있는데, 그 궁전은 너비와 길이가 24만 리에 달하며, 일곱 겹의 벽, 난간, 보배나무 등이 칠보(七寶: 금, 은, 유리, 수정, 마노, 붉은 진주, 자거)로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다. 금 벽에는 은 문, 은 벽에는 금 문이 있는 등 서로 다른 보석으로 꾸며져 있으며, 나무들 또한 금 나무에 은 가지, 은 나무에 금 가지가 달린 형태로 묘사된다. 궁전 주변에는 아름다운 동산과 연못, 누각 등이 있으며 온갖 향기로운 꽃과 열매, 아름다운 새들이 있다.
마천 위로는 범가이천(梵迦夷天, 초선천), 아위화천(阿衛貨天, 제2선천 광음천?), 수피근천(首皮斤天, 제2선천 소광천?), 비호파천(比呼破天, 제2선천 무량광천?), 무인상천(無人想天, 제3선천 변정천?), 아화천(阿和天, 제3선천 소정천?), 답화천(答和天, 제3선천 무량정천?), 수달칭천(須達稱天, 제4선천 광과천?), 수타시천(須陀尸天, 제4선천 무번천?), 아가니타천(阿迦尼吒天, 색구경천) 등 색계의 여러 하늘들이 이어진다. 그 위로는 무색계의 하늘들인 공무변처천(阿竭禪天, 아갈선천), 식무변처천(識知天, 식지천), 무소유처천(阿因天, 아인천), 비상비비상처천(無有思想亦不無想天, 무유사상역부무상천)이 있다. 붓다는 이 비상비비상처천이 중생이 윤회하며 태어날 수 있는 가장 높은 곳이라고 설명하며, 그 이상의 영역은 없다고 말한다.
2. 3. 기세경
《기세경》 제1권 〈1. 염부주품(閻浮洲品)〉의 시작 부분에서 고타마 붓다는 비구들에게 우주 즉 3천대천세계의 전체적인 구조와 함께, 1수미세계를 구성하는 4륜(四輪)과 수미산에 대해 설명한다.이 세계의 가장 아래에는 아무것도 없는 공륜(空輪)이 있고, 그 위에 거대한 풍륜(風輪, 바람의 층)이 존재한다. 풍륜의 두께는 36만 유순이고 넓이는 한량이 없다. 풍륜 위에는 수륜(水輪, 물의 층)이 있으며, 그 두께는 60만 유순이고 넓이 또한 끝이 없다. 수륜 위에는 단단한 금륜(金輪, 금의 층) 즉 대지(大地)가 펼쳐져 있으며, 그 두께는 48만 유순이고 둘레와 넓이는 가늠할 수 없다.
수미산은 대해의 한가운데에 위치하며, 그 뿌리는 금륜 위에 굳건히 자리 잡고 있다. 수미산은 바닷물 아래로 8만 4천 유순, 바닷물 위로도 8만 4천 유순만큼 솟아 있다. 산의 모습은 아래는 좁고 위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는 형태이며, 금, 은, 유리, 파리의 네 가지 보석으로 이루어져 매우 견고하고 아름답다. 수미산 위에는 온갖 나무가 울창하게 자라나 다채로운 향기를 내뿜으며, 많은 성현과 위대한 덕을 지닌 천신들이 머무는 곳이다. 산 정상 부근의 사면에는 각각 높이 7백 유순의 봉우리가 솟아 있으며, 일곱 가지의 보석(금, 은, 유리, 파리, 진주, 차거, 마노)으로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다.
수미산의 아래 부분에는 신들이 거주하는 세 개의 층급이 있다.
수미세계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네 가지 요소를 4륜(四輪)이라고 한다. 아래에서부터 공륜(空輪), 풍륜(風輪), 수륜(水輪), 금륜(金輪)의 순서로 이루어져 있다.
각 층급은 일곱 겹의 담장, 난간, 방울 달린 그물, 그리고 줄지어 선 다라(多羅) 나무 등으로 매우 정교하고 아름답게 꾸며져 있다.
수미산 중턱, 높이 4만 2천 유순 지점에는 사대천왕이 머무는 궁전이 있다. 이곳은 욕계 6욕천 가운데 첫 번째 하늘인 4천왕천에 해당한다. 수미산 정상에는 제석이 다스리는 도리천(또는 삼십삼천) 궁전이 있으며, 이곳은 6욕천의 두 번째 하늘이다.
도리천 위로는 차례대로 야마천(제3천), 도솔타천(제4천), 화락천(제5천), 타화자재천(제6천)이 펼쳐져 6욕천을 완성한다. 각 천상계는 바로 아래 천상계보다 갑절씩 더 높은 곳에 위치한다. 6욕천의 가장 높은 하늘인 타화자재천 위에는 색계 초선천의 여러 하늘들을 통칭하는 범신천이 존재한다.
3. 4륜
3. 1. 공륜
공륜(空輪)은 허공, 즉 비어 있는 공간을 의미한다. 이는 모든 존재의 바탕이 되며, 무한한 가능성을 상징한다.
3. 2. 풍륜
풍륜(風輪)은 바람을 상징하며, 이는 움직임과 변화를 의미한다. 세상의 끊임없는 변화와 역동성을 나타내는 요소이다.
3. 3. 수륜
수륜(水輪)은 물을 상징하며, 이는 유연함과 적응력을 의미한다.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지혜를 나타낸다.
3. 4. 금륜
금륜(金輪)은 땅을 상징하며, 이는 견고함과 안정성을 의미한다. 또한 깨달음에 이르는 굳건한 기반을 상징하기도 한다.
4. 수미산의 구조와 상징
불교 우주관에서 세계의 중심에 있다고 여겨지는 수미산은 9산8해라고 불리는 아홉 개의 산과 여덟 개의 바다에 둘러싸여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 수미산의 꼭대기에는 제석천이 머무는 도리천이 있으며, 그 위로는 더 높은 천상계가 존재한다고 여겨진다. 수미산 자체는 여러 층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복잡한 구조는 단순히 물리적인 세계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불교의 심오한 세계관과 깨달음에 이르는 과정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4. 1. 수미산의 층급
수미산에는 4개의 층급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각 층급에는 야차, 사천왕 등 서로 다른 존재들이 거주한다고 전해진다. 이러한 층급 구조는 불교에서 깨달음에 이르는 과정에서 수행자가 마주하게 되는 다양한 유혹과 시련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