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진 (청나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진(戴震)은 청나라 시대의 학자로, 고증학을 발전시키고 기(氣) 철학을 주창하여 청나라 학문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문자, 음운, 훈고 연구를 통해 경서를 해명하고, 실증적인 방법론을 강조했다. 4고전서 찬수관과 한림원 서길사를 역임했으며, 특히 《맹자자의소증》에서 주자학의 이(理) 개념을 비판하고 정과 욕을 긍정하는 독자적인 사상을 펼쳤다. 그의 학문은 량치차오와 후스 등에게 높이 평가받았으며, 단옥재, 왕념손, 왕인지 등 많은 제자를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황산시 출신 - 타오싱즈
타오싱즈는 중국의 교육자이자 사상가로, '생활 교육'을 주창하며 이론과 실천의 통합을 강조하고 농촌 교육과 문맹 퇴치 운동에 헌신했으며, 샤오좡 사범학교와 육재학교를 설립하여 혁신적인 교육을 시도하고 중국 민주 공화국 건설에 필요한 시민 양성을 목표로 평생을 교육에 헌신했다. - 황산시 출신 - 풍연사
풍연사는 오대 십국 시대 남당의 문인이자 정치가로, 두 황제의 신임을 받아 재상을 네 차례 역임했으나 정치적 갈등과 외세의 침략 속에서 불안정한 삶을 살았으며, 시에 능하여 많은 작품을 남겼다. - 청나라의 유학자 - 도광제
도광제는 청나라의 제8대 황제로, 아편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했으나 제1차 아편 전쟁에서 패배하는 등 서구 열강과의 불평등 조약 체제를 심화시키며 청나라의 쇠퇴를 초래했다. - 청나라의 유학자 - 고염무
고염무는 명말청초의 유학자이자 사상가로, 주자학 비판과 경세치용 학풍 주창, 반청복명 운동 참여, 그리고 《일지록》 등의 저술 활동을 통해 청대 고증학의 선구자이자 청초 3대 유학자로 평가받으며 "천하흥망 필부유책"이라는 어록으로도 알려져 있다.
대진 (청나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타이 천, 선슈, 둥위안 |
직업 | 철학자 |
출생지 | 시우닝, 안후이 |
출생일 | 1724년 1월 19일 |
사망일 | 1777년 7월 1일 (53세) |
학문 | |
주요 관심사 | 유학 |
2. 생애
1724년, 휘주부휴녕현 융부(현재의 안후이성황산시툰시구)에서 태어났다.[3]
대진은 고증학의 대가이자 뛰어난 이론가였다. 그는 실증을 통해 진리를 찾는 것을 학문의 주요 태도로 삼았다. 문자, 음운, 훈고 연구에서 시작하여 경서를 해명하고, 옛 성현의 도를 찾는 고증학적 경학방법론을 주창하여 고증학의 체계적인 기초 이론을 수립하였다.[4]
소년 시절, 가난한 환경 속에서도 주변 부유한 이들로부터 책을 빌려 읽으며 고전에 대한 지식을 쌓았다. 20세에 강영(江永)을 스승으로 모시고 수학, 음운학, 예학을 배웠다. 얼마 후, 첫 저술인 〈책산〉(策算)을 펴냈고, 이어서 예(禮) 중에서도 가장 난해한 〈고공기〉(考工記)를 그림으로 해설하고 주석을 단 〈고공기도〉(考工記圖)를 저술하여 후대에 명성을 얻었다.
30세 초반에 북경으로 이주하여 전대흔(錢大昕)과 알게 되었고, 그의 추천으로 진혜전(秦惠田)의 《오례통고》(五禮通考) 편찬에 참여하였다. 그 후, 기균, 주균(朱筠), 왕명성(王鳴盛), 노문초 등 젊고 유능한 학자들과 교류하며 그들의 인정을 받았다. 양회염운사 노견증(盧見曾)의 초빙으로 수년간 양주(揚州)에서 머물렀으며, 이 기간 동안 한학(漢學)의 대가 혜동(惠棟) 등과 교류하였다.
집안이 가난하여 서당을 열어 생계를 유지했다. 30세에는 양식이 부족하여 면포(국숫집)와 계약하여 국수 찌꺼기를 매일 받아 생활을 유지하기도 했다. 과거의 진사 시험에 여러 번 응시했지만 합격하지 못하고, 여러 지역을 돌아다녔다.
정요전(程瑤田)이나 금방(金榜)과 함께 강영(江永)에게 학문을 배웠고, 강소의 학자 혜동(惠棟)에게는 선배로서 예우를 갖췄다. 1757년에 전란을 피해 베이징으로 가서 기윤(紀昀), 왕명성(王鳴盛), 전대흔(錢大昕)에게 인정받아 유명해졌다. 진혜전이 『오례통고』를 편찬할 때 대진을 초빙하여 그의 집에서 밤낮으로 강의를 들었다. 대진은 절서학파에 속하지만, 절동학파에 속하는 금화서원에서 학문을 강의하기도 했다.
40세에 거인(擧人)이 되었고, 이후 〈직례하거수리서〉(直隷河渠水利書), 〈분주부지〉(汾州符志), 〈분양현지〉(汾陽縣志) 편찬과 《수경주(水經註)》 교정에 참여하였다. 50세에 《사고전서(四庫全書)》 찬수관(纂修官) 및 한림원 서길사에 임명되어 경서부(經書部)를 담당하였다. 이듬해 《수경주》 교정을 완료하고, 이후 수년간 사고관(四庫館)에 재직 중 사망하였다.
1774년에 사고전서관이 개설되었을 때, 거인(擧人) 신분으로 편찬관에 발탁되는 이례적인 대우를 받았으며, 진사(進士)를 제수받고 서길사(庶吉士)가 되었다.
1777년, 과로로 인해 재직 중 사망했다.
3. 학문적 업적
대진이 다룬 학문은 유교경전에 대한 경학과 소학(훈고학·음운학)뿐만 아니라, 천문학·수학 등의 자연학(천산·역산), 지리학·지지학(수지) 등 여러 학문에 걸쳐 있다. 『사고전서』에 실린 『구장산술』을 비롯한 천산·역산 관련 서적의 제요는 모두 대진이 작성하였다. 『수경주』의 복원 교정에도 참여하였다.
대진은 청나라 고증학을 집대성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청말민초의 량치차오와 후스는 대진을 높이 평가하여, 중국에 르네상스를 가져온 인문주의자, 근대적인 실증주의자, 혹은 "철학"을 설파한 철학자로 널리 선전하였다.
3. 1. 맹자자의소증(孟子字義疏證)
주자의 이(理)를 중히 하는 이기철학(理氣哲學)에 반대하여 기(氣)의 철학을 주장하고 《맹자자의소증》(孟子字義疏證)을 저작하여 객관적·실증적 방법론에 입각한 기의 철학의 이론 체계를 세웠다.[4] 상·중·하 3권으로 되어 있다. 대진은 주자가 완성한 이기철학이 본질적으로 기보다도 이를 중하게 여기는 이의 철학이며, 사람의 성(性)에 대하여서도 의리(義理)의 성(性)을 말하고 기질(氣質)에 뿌리박은 정(情)이나 욕(欲)을 악(惡)의 근원으로 삼아 부정적으로 생각한 데 대하여 기의 철학을 주장, 기질의 성만을 성으로 생각하고 정이나 욕을 정당한 방향으로 적극적으로 긍정하였다. 그의 기의 철학에 관한 대표적 저작이 이 책이다. 이 책은 주자의 문하 진순(陳淳:호는 북계(北溪))의 저작인 《성리자의》(性理字義) 또는 《북계자의》(北溪字義)의 형식을 따라 맹자의 글에 대하여 많은 고전의 용례를 근거로 그 의미를 탐색하여 송대의 정주학자(程朱學者)의 오류를 명확히 밝히고 있다.
따라서 이 책은 객관적·실증적 방법론에 의거한 정주학(程朱學)의 비판이며 그 위에 구성된 철학 이론이다. 이러한 점은 명대 심학(心學)의 주관적·직관적 사유와는 전연 대조적인 청조 고증학의 입장을 반영하고 있어, 참으로 고증학의 대가 대진의 저작이라 할 만하다. 이 책은 이와 같이 고증학적 방법론에 의하여 송학(宋學)·정주학파의 이론적 근거를 전복시킴으로써 그들의 학설에 큰 타격을 주었을 뿐 아니라 정통관학(正統官學)인 주자학을 비판하고, 기(氣)의 철학을 확립함으로써 상층의 권력자에게 억압된 하층 사대부나 국민의 입장을 주장하는 역할도 하였다.
특히 그 정수는, 만년의 주저 孟子字義疏証|맹자자이소증중국어에 있다.[4] 이 책에서는, 사서의 『맹자』에 대한 훈고라는 형식을 빌려, 송명리학(주자학)이 설하는 "리"의 개념을 비판하며, "정", "욕"을 긍정하는 독자적인 사상을 보였다. 그 사상은, 이 책 속의 "성인의 도는 천하의 정의 모든 것을 실현시키고, 그 욕망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며, 이와 같이 하여 천하는 비로소 다스려진다"라는 한 구절로 요약된다. 리란 정에서 생기는 것이므로, 그것을 엄격한 법률과 같은 것, 억압의 도구로 이해한 것은 후세의 유학자들의 오해이다. 주자학이 "리"를 물체처럼 존재하며 하늘로부터 받아 마음에 갖춰지는 것으로 한 것은, 사람들이 자신의 억측을 "리"로 굳게 믿는다는 화를 초래했다. 주자학은 "무욕"(금욕)을 지상으로 하는 불교의 교리를 유학에 가져와, 평범한 사람의 "욕"을 부정하고 성인만이 도달할 수 있는 "리"를 강요했다. 대진은, 그러한 주자학의 폐해를 없애야 한다고 주장했다. 량치차오는 이러한 대진의 철학을, 유럽의 르네상스에 비교할 수 있는 윤리상의 일대 혁명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한편, 이 책은 『대씨유서』에도 수록되어 있지만, 당시에는 그다지 읽히지 않았고, 긍정적으로 읽은 것은 제자인 홍방뿐이었으며, 반론을 제기한 것도 방동수뿐이었다고 한다.
3. 2. 방법론과 학통
대진은 고증학의 대가임과 동시에 우수한 이론가였다. 그는 실증을 통해 진리를 구하는 것을 학문의 주요 태도로 삼았다. 문자, 음운, 훈고 연구에서 출발하여 경서를 해명하고, 옛 성현의 도를 찾는 고증학적 경학방법론을 주창하여 고증학의 체계적인 기초 이론을 수립하였다.[4]
또한 주자의 이(理)를 중시하는 이기철학(理氣哲學)에 반대하여 기(氣)의 철학을 주장하고 《맹자자의소증》(孟子字義疏證)을 저술하여 객관적·실증적 방법론에 입각한 기 철학의 이론 체계를 세웠다.[4] 이 외에 주요 저서로는 《굴원부주》, 《성류표》 등이 있다.
그의 학문 분야는 매우 광범위하여 많은 저술을 남겼으며, 그의 문하에서는 단옥재, 왕념손, 왕인지 등 우수한 고증학자가 배출되었다. 강영에서 시작되고 대진에 의해 체계화되어 단옥재 등에게 계승된 학문의 계통을 완파(晥派:安徽學派)라 한다.[4]
대진은 학문 연구에 있어 "타인의 견해"와 "자신의 견해"에 얽매이지 않고, 믿을 수 있는 근거가 없으면 성인의 말이라도 믿지 않는 태도를 견지했다. 그는 "충분한 견해"와 "불충분한 견해", 즉 논리적으로 일관되고 의문의 여지가 없는 정리와 전해 들은 이야기나 추론에만 근거하는 가설을 구별했는데, 이는 근대 실증학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대진의 학통을 잇는 인물로는 단옥재, 왕념손, 왕인지가 있으며, 이들은 고증학 절서학파 중 안파(安派)를 대표하는 네 명의 학자, "대단이왕(戴段二王)"으로 통칭된다. 이 외에도 기윤, 왕창, 필원, 완원과 같이 학자이자 관료로도 알려진 인물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그의 학문은 청말의 유약과 장병린, 그리고 량치차오에게도 계승되었다.
4. 저서
대진의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제목 | 내용 및 설명 |
---|---|
《상법론(象法論)》 | |
《독역계사론성(讀易繫辭論性)》 | 《주역》의 〈계사전(繫辭傳)〉의 성(性)에 대한 내용 |
《독맹자론성(讀孟子論性)》 | 《맹자》의 성(性)에 대한 내용 |
《원선(原善)》 3편 | |
《맹자사십록(孟子私淑錄)》 | |
《서언(敍言)》 | |
《대학보주(大學補注)》 | |
《중용보주(中庸補注)》 | |
《맹자자의소증》 | 객관적·실증적 방법론에 입각한 기(氣)의 철학의 이론 체계를 세운 저서. 주자의 이(理)를 중히 하는 이기철학(理氣哲學)에 반대하여 기(氣)의 철학을 주장함. |
《어모서(與某書)》 | |
《어팽근사운초서(與彭进士允初書)》 | |
《정축정월여단옥재서(丁丑正蘥與段玉裁書)》 | 정축년 정월(1777년 2월) 단옥재에게 보낸 편지[2] |
《책산(策算)》 | |
《모시고정(毛鄭詩考正)》 | |
《원상(原象)》 | |
《구고할원기(勾股割圓記)》 | |
《속천문략(続天文略)》 | 일본어 번역본 존재[4] |
《상서의고(尚書義考)》 | |
《경고(経考)》 | |
《굴원부주(賦注)》 | |
《고공기도주(図注)》 | |
《중용보주(補註)》 | |
《수지기(水地記)》 | |
《성운고(声韻考)》 | |
《성류표(声類表)》 | |
《방언소증(疏証)》 | |
《직례하거서(河渠書)》 | |
《분양현지(汾陽県志)》 | |
《분주부지(汾州府志)》 |
참조
[1]
웹사이트
Dai Zhen
https://www.iep.utm.[...]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2020-05-04
[2]
서적
International Communication of Chinese Culture
https://link-springe[...]
2016-11-30
[3]
웹사이트
戴震
http://www.legalinfo[...]
中国普法网
2018-09-04
[4]
서적
戴震集 中国文明選8
https://dl.ndl.go.jp[...]
朝日新聞社
197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