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통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통밥은 쌀과 부재료를 대나무 통에 넣어 쪄낸 한국 전통 음식이다. 찹쌀을 주재료로 사용하며, 밤, 대추, 콩 등 다양한 재료를 넣어 맛과 영양을 더한다. 대나무 향이 배어 독특한 풍미를 내는 것이 특징이며, 캄보디아의 끄러안, 태국의 카오 람 등 여러 국가에서 유사한 형태의 음식이 존재한다. 한국에서는 전라남도 담양 지역의 향토 음식으로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쌀 요리 - 바인 짱
    바인 짱은 쌀가루와 타피오카 전분 등을 주재료로 하여 만든 베트남의 얇은 전병으로, 반짱을 기본으로 튀김, 구이, 샐러드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며, 반짱 메, 반짱 몽, 반짱 푀스엉 등 여러 종류가 있다.
  • 쌀 요리 - 당고
    당고는 쌀가루 반죽을 둥글게 빚어 꼬치에 꿰어 먹는 일본의 전통 경단으로,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일본 문화에서 실용성을 중시하는 것을 비유하는 표현에도 사용된다.
  • 한국 요리 - 호박죽
    호박죽은 늙은 호박이나 단호박을 삶아 으깬 후 찹쌀가루 등을 넣어 끓여 만든 한국 전통 음식이다.
  • 한국 요리 - 애호박
    애호박은 한국 요리에서 볶음, 전, 찌개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는 채소이며, 말린 형태인 호박고지는 볶음이나 나물로 조리되고 궁중 요리에도 사용된다.
대통밥
개요
종류
기원대한민국
주재료, 대나무
상세 정보
대통밥대나무 통에 쌀, 찹쌀, 콩, 대추, 밤 등을 넣고 쪄서 만든 한국 요리이다.
특징대나무 향이 밥에 은은하게 스며들어 풍미를 더하며, 영양적으로도 균형 잡힌 식사로 알려져 있다.
유래대통밥의 정확한 유래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전라남도 담양군을 중심으로 발달한 향토 음식으로 추정된다. 담양은 예로부터 대나무가 많이 자생하는 지역으로, 대나무를 이용한 다양한 음식 문화가 발달했다.
조리 과정1. 쌀, 찹쌀, 콩, 대추, 밤 등 재료를 깨끗이 씻어 준비한다.
2. 대나무 통에 준비된 재료를 넣고 물을 적당량 붓는다.
3. 뚜껑을 닫고 찜통이나 솥에 넣어 푹 찐다.
4. 밥이 다 되면 꺼내어 먹는다.
먹는 방법대통밥은 보통 젓가락으로 밥을 떠먹거나, 대나무 통을 반으로 갈라 숟가락으로 퍼먹기도 한다. 밥과 함께 다양한 반찬을 곁들여 먹으면 더욱 맛있다.
종류대통밥은 기본 재료 외에도 다양한 재료를 추가하여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양밥처럼 다양한 견과류나 약재를 넣기도 하고, 해산물을 넣어 해물 대통밥을 만들기도 한다.
지역별 특징담양군: 대통밥의 본고장으로, 다양한 종류의 대통밥을 맛볼 수 있다.
남원시: 지리산에서 자란 재료를 사용하여 만든 대통밥이 유명하다.
순천시: 순천만에서 나는 해산물을 넣어 만든 해물 대통밥이 인기 있다.

2. 명칭

중국, 대만, 일본에서는 "죽통밥"(竹筒饭|주퉁판zho)이라고 불린다. 한국에서는 대통밥 (죽통밥)이라고 불린다.

3. 조리법

대나무 통 안에 이나 찹쌀과 함께 , 대추, 은행, 등 다양한 재료를 넣고 물을 부어 밥을 짓는 요리이다. 대나무를 준비하는 방식이나 사용하는 재료는 지역이나 취향에 따라 다양하다. 재료를 넣은 대나무 통의 입구를 막은 뒤, 찜통에 찌거나 모닥불 등에 직접 구워 익힌다. 조리 과정에서 대나무의 수분과 향이 밥에 스며들어 독특한 풍미를 낸다.

3. 1. 대나무 절단 방식

대나무를 자르는 방식은 크게 4가지로 나눌 수 있다.

; 양쪽 마디 있음・한쪽 구멍 뚫기

: 대나무 통 물통과 비슷한 형태지만, 마디에 구멍을 뚫을 때는 지름이 작으면 쌀이나 재료를 넣기 어려우므로 직경 약 3cm 정도의 구멍을 뚫어야 한다. 마개로는 잎채소, 고구마, , 당근 등을 사용하며, 구멍 뚫린 쪽에 알루미늄 포일을 덮기도 한다. 중국 룽성현의 룽지 계단식 논 지역에서는 밥을 지을 때 방향이나 각도를 바꾸기 쉽도록, 두 마디 길이의 대나무를 잘라 손잡이 부분을 만들어 붙이기도 한다.

; 양쪽 마디 있음・뚜껑 닫기 (대나무 냄비형, 대포형 대나무 통 밥[5])

: 양쪽 마디에 구멍을 뚫지 않고, 재료를 넣을 수 있도록 이나 등으로 뚜껑 부분을 만든다. 주로 굵은 대나무를 사용하며, 단순히 로 반을 가르는 방법도 있다. 이 방식은 대나무 통을 수평으로 놓고 밥을 지을 수 있다. 뚜껑을 잡기 편하도록 뚜껑에 구멍을 뚫고 깎은 대꼬치 등을 박기도 한다. 대나무 통이 굴러가지 않도록 콘크리트 블록 등으로 만든 화덕에 올릴 때는 양쪽에 홈을 파면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 한쪽 마디

: 한쪽 끝이 열려 있는 형태로, 채소나 알루미늄 포일 등으로 마개를 하지 않으면 대나무를 비스듬히 세워 밥을 지어야 한다. 동남아시아의 대나무 통 밥인 르망에서 주로 사용되는 방식이다. 대나무를 자르기 쉽고 큰 재료도 넣기 편해 많이 사용된다. 마디 근처에 칼집을 낸 후 칼로 쪼개어 뚜껑처럼 덮는 경우도 있다.

; 마디 없음

: 마디가 없는 대나무 통은 양쪽 끝을 알루미늄 포일 등으로 감싸 주로 찜 요리에 이용한다. 칼 등으로 대나무를 반으로 쪼개면 재료를 밥 위에 보기 좋게 올릴 수 있다.

3. 2. 재료

동남아시아에서는 찹쌀을 주로 사용하며, 일본에서는 자포니카 쌀에 찹쌀을 섞어 사용하기도 한다.

고명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며, 죽순, 당근, 표고버섯, 새우, , 민물고기(은어) 등 취향에 따라 다양한 재료를 넣는다.

4. 국가별 변종

대통밥은 을 주식으로 하는 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찾아볼 수 있는 요리 방식으로, 각 지역의 문화와 식재료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다. 대나무 통에 쌀과 다른 재료들을 넣고 익혀 대나무 향이 배는 것이 특징이다.

동남아시아에서는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싱가포르 등에서 찹쌀코코넛 밀크를 주재료로 하는 Lemang|레망eng을 즐겨 먹는다. 캄보디아에서는 ក្រឡាន|끄러안khm이라고 불리며, 미얀마에서는 ''파웅 딘'', 태국에서는 카오 람이라는 대통밥 요리가 있다.

동아시아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대통밥을 찾아볼 수 있다. 중국에서는 龙脊竹筒饭|룽지주퉁판zho과 같이 찹쌀밥이나 닭고기를 이용한 요리가 있으며, 대만에서는 야시장 음식이나 대만 원주민의 전통 요리로 다양한 종류의 대통밥이 존재한다. 일본에서는 야외 요리나 가정식으로 즐기기도 한다.

남아시아인도에서는 bamboo Biryani|밤부 비리야니영어라는 이름으로 인디카 쌀과 닭고기 또는 채소를 넣어 만든다.

한국에서는 특히 전라남도 담양의 향토 음식으로 알려져 있으며, 찹쌀 외에 , 견과류, 버섯 등 다양한 재료를 넣어 영양과 풍미를 더한다.

4. 1. 인도네시아

Lemang|레망eng인도네시아 요리로, 특히 찹쌀, 코코넛 밀크, 소금으로 만든 미낭카바우의 전통적인 음식이다. 쌀이 대나무에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나나 잎을 대나무 통 안쪽에 두른 후, 그 안에 재료를 넣고 익힌다. Lemang|레망eng인도네시아뿐만 아니라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싱가포르동남아시아 지역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다.

대량으로 만들 때 사용하는 레망용 대나무(Buluh lemang|불루 레망msa)는 아래쪽 마디 부분을 포함하여 80cm 길이가 권장되지만, 너무 길면 위쪽 부분이 제대로 익지 않을 수 있다. 대나무의 굵기는 일정하지 않으며, 굵기에 따라 레망의 가격이 달라진다.

4. 2. 캄보디아

캄보디아에서는 ក្រឡាន|끄러안khm이라고 불린다. 찹쌀코코넛 밀크과 함께 대나무 통에 넣어 찌는 음식으로[6], 춘절이나 크메르 설날에 먹는다. 크라체 주의 Thma Krae 마을은 끄러안에 사용되는 찹쌀의 산지로 알려져 있다[7].

4. 3. 미얀마 (버마)

4. 4. 태국

카오 람
과 카야 잼

4. 5. 베트남

(내용 없음)

4. 6. 중국

용척죽통밥(龙脊竹筒饭|룽지주퉁판zho)은 중국의 대통밥 요리 중 하나이다. 조리 시 대나무 통 안에 재료를 3/4 정도 채우고, 잎채소고구마로 덮는다. 전용 밥솥을 사용하여 비스듬하게, 약간 비스듬하게, 수평의 3단계로 조리하는 특징이 있다. 주된 메뉴는 찹쌀밥이지만, 닭고기를 채워 만든 죽통계(竹筒鷄)도 있다. 용척죽통밥은 특히 일본인의 입맛에 잘 맞는다는 평가를 받는다.

4. 7. 인도

대통밥(bamboo Biryani영어)은 인디카 쌀에 닭고기를 사용하거나 채소를 사용한 것이 있다.

4. 8. 대만

우라이의 명물: 대통밥


대만야시장 포장마차 등에서 판매하는 대통밥은 점주의 출신 지역 등에 따라 사용하는 재료와 조리법이 달라 맛에 차이가 있다.

원주민 요리로는 사오족 대통밥, 아미 대통밥 등이 있으며, 각 민족 마을 등에서 판매된다. 온천으로 유명한 우라이에서는 타이야 향고 대통밥을 맛볼 수 있다. 여러 칸으로 나뉜 대나무 통 하나에 향고계탕, 꽁완, 육경, 마파두부 등 4가지 요리와 2가지 밥을 한 번에 조리하는 '대포형 대통밥'도 있다. 이 방식은 태우지 않도록 불 조절에 주의해야 하며, 불이 너무 세면 대나무에 물을 뿌려 조절한다.

통자미고는 대통밥을 쪄낸 것으로, 쪄낸 후 대나무 통에서 꺼내 위에 다진 고기나 샹차이(고수) 등을 올려 먹는다.

화롄현의 칭수이산(2408m) 등산 시에는 칼로리가 높은 찹쌀로 만든 민박집 대통밥이 인기가 있다.

4. 9. 한국

한국 남서부의 담양 향토 음식으로, 강낭콩, 완두콩, 호두, 버섯 등을 넣고 대나무 통에 찐 밥이다.

담양에는 대나무 숲이 많으며, 한국대나무박물관이 있다.

4. 10. 일본

보이스카우트 활동 중 야외 요리(서바이벌 요리)의 하나로 백미를 이용한 대통밥을 체험해 본 사람도 있다.

가정에서는 여러 가지 재료를 활용하여 요리하는데, 시판되는 간편한 솥밥이나 비빔밥 재료를 이용하여 대통밥을 만들기도 한다.

5.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Bamboo steamed rice (daetongbap) (대통밥) https://english.visi[...] 2024-01-22
[2] 웹사이트 How and where to eat your way around South Korea https://www.cnn.com/[...] 2024-01-22
[3] 뉴스 대통밥 https://terms.naver.[...] 2018-05-11
[4] 웹사이트 한국을 대표하는 글로벌 방송! The World On Arirang! https://web.archive.[...] 2018-05-11
[5] 문서 台湾では複数の節がある長い竹を用いる場合、大砲型と言われる。
[6] 웹사이트 Hard work put into roadside snack favourite kralan https://www.phnompen[...] The Phnom Penh Post 2018-02-21
[7] 웹사이트 Let Them Eat Cake https://english.camb[...] The Cambodia Daily 2004-05-22
[8] 뉴스 대통밥 https://terms.naver.[...] 2018-05-11
[9] 웹인용 한국을 대표하는 글로벌 방송! The World On Arirang! http://www.arirang.c[...] 2018-05-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