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의 고용노동부 장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고용노동부 장관은 국무위원으로서, 국무총리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며 고용노동부의 소관 사무를 통할하고 소속 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 고용정책의 총괄, 고용보험, 직업능력개발훈련, 근로조건의 기준, 근로자의 복지후생, 노사관계의 조정, 산업안전보건, 산업재해보상보험 등 고용과 노동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다. 1945년 미군정 시기부터 현재까지 여러 명의 장관이 역임했으며, 역대 장관의 명단과 임기가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고용노동부 장관 - 이재갑 (공무원)
    이재갑은 행정고시 합격 후 노동부에서 공직 생활을 시작하여 고용노동부 장관을 역임하고 최저임금 인상 등 노동 정책을 추진한 대한민국의 공무원이다.
  • 대한민국의 고용노동부 장관 - 박재완 (1955년)
    박재완은 대한민국의 경제학자이자 정무직공무원으로, 행정고시 합격 후 공직과 국회의원을 거쳐 이명박 정부에서 장관을 역임하고 퇴임 후에는 삼성전자 이사회 의장, 학교법인 성균관대학 이사장 등을 맡고 있다.
  • 각료 목록 - 대한민국의 기획재정부 장관
    대한민국의 기획재정부 장관은 국무총리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며 경제 및 재정 정책 수립과 예산 관리 등 기획재정부의 주요 업무를 관장하는 국무위원이다.
  • 각료 목록 - 제1해군경
    제1해군경은 영국 해군의 최고위 장교로서, 1771년부터 현재까지 이어져 왔으며, 1868년부터는 해군의 운영과 전략을 책임지고 있으며, 국방참모총장을 보좌한다.
  • 대한민국의 장관급 공직자 - 대한민국의 대법관
    대한민국의 대법관은 대법원장의 제청으로 임명되며, 13명의 대법관과 대법원장 1명으로 구성되고, 임기는 6년이며, 헌법과 법률에 따라 중요한 사법적 결정을 내린다.
  • 대한민국의 장관급 공직자 - 대한민국의 검찰총장
    대한민국의 검찰총장은 검찰총장후보추천위원회의 추천을 거쳐 법무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며, 검찰총장에 관한 사무를 총괄하고 대검찰청을 지휘·감독한다.
대한민국의 고용노동부 장관
대한민국 고용노동부 장관

2. 임명

대한민국의 고용노동부 장관은 국무위원 중에서 국무총리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며, 국무총리는 해임을 건의할 수 있다. 국회는 임명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실시한다.

3. 역할

정부조직법 제7조제1항에 따라 고용노동부장관은 소관 사무를 통할하고 소속 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 같은 법 제40조에 따라 고용노동부장관은 고용정책의 총괄, 고용보험, 직업능력개발훈련, 근로조건의 기준, 근로자의 복지후생, 노사관계의 조정, 산업안전보건, 산업재해보상보험과 그 밖에 고용과 노동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다.

4. 역대 장관

4. 1. 미군정 상공부 노동국장 (1945년 9월 ~ 1946년 7월)

1945년 9월 12일 워크가 미군정 상공부 노동국장에 임명되었다. 1946년 6월 13일에는 이대위(李大偉)가 임명되었다.

4. 2. 미군정 노동부장 (1946년 7월 ~ 1948년 7월)

이대위(李大偉)는 1946년 7월 30일부터 1948년 7월 17일까지 미군정 노동부장을 역임하였다.

4. 3. 사회부 노동국장 (1948년 7월 ~ 1955년 2월)

1948년 7월 17일 신의식이 사회부 노동국장으로 임명되었으나, 1948년 11월 물러났다. 이후 홍영표가 1948년 11월부터 1948년 12월 6일까지 국장서리로 직무를 대행했다. 1948년 12월 7일에는 김경식이 노동국장으로 임명되어 1949년까지 재직했다. 1949년부터 1951년 9월 2일까지는 전호엽이 노동국장을 역임했다. 1951년 9월 2일부터 1953년까지는 한몽연이 노동국장으로 재직했다. 1953년 신의식이 다시 노동국장으로 임명되어 잠시 재직하였고, 이후 1953년부터 1955년 2월 16일까지 한몽연이 다시 노동국장을 역임했다.

4. 4. 보건사회부 노동국장 (1955년 4월 ~ 1963년 9월)

1955년 4월 19일부터 1957년 2월 22일까지 한몽연이, 1957년 2월 23일부터 1960년 6월 12일까지 이종수가 보건사회부 노동국장 직을 맡았다. 1960년 6월 13일부터 1961년 5월 19일까지는 김○○이, 1961년 5월 20일부터 1963년 9월 1일까지는 김문영이 보건사회부 노동국장을 역임하였다.

4. 5. 노동청장 (1963년 9월 ~ 1981년 4월)

대리한진희1980년 7월 10일~1980년 7월 18일10대권중동1980년 7월 19일~1981년 4월 7일


4. 5. 1. 제3공화국 (1963년 ~ 1972년)

wikitable

정부대수이름임기비고
제3공화국초대정희섭1963년 9월 2일~1964년 1월 17일
2대이찬우1964년 1월 18일~1965년 12월 13일
3대이승택1965년 12월 13일~1967년 6월 11일
4대조의창1971년 6월 11일~1973년 12월 19일


4. 5. 2. 제4공화국 (1972년 ~ 1981년)

대리한진희(韓眞熙)1980년 7월 10일 ~ 1980년 7월 18일10대권중동(權重東)1980년 7월 19일 ~ 1981년 4월 7일


4. 6. 노동부 장관 (1981년 4월 ~ 2010년 7월)

정부대수이름임기비고
제5공화국초대권중동1981년 4월 8일~1982년 5월 21일
2대정한주1982년 5월 21일~1985년 2월 19일
3대조철권1985년 2월 19일~1986년 8월 27일
4대이헌기1986년 8월 27일~1988년 2월 24일
노태우 정부5대최명헌1988년 2월 25일~1988년 12월 5일
6대장영철1988년 12월 5일~1989년 7월 19일
7대최영철1989년 7월 19일~1990년 12월 27일
8대최병렬1990년 12월 27일~1992년 6월 25일
9대이연택1992년 6월 25일~1993년 2월 25일
김영삼 정부10대이인제1993년 2월 26일~1993년 12월 21일
11대남재희1993년 12월 22일~1994년 12월 23일
12대이형구1994년 12월 24일~1995년 5월 24일
13대진념1995년 5월 24일~1997년 8월 5일
14대이기호1997년 8월 6일~1999년 5월 25일rowspan=2 |
김대중 정부
15대이상룡1999년 5월 25일~2000년 2월 12일
16대최선정2000년 2월 12일~2000년 8월 7일
17대김호진2000년 8월 7일~2001년 9월 7일
18대유용태2001년 9월 7일~2002년 1월 29일
19대방용석2002년 1월 29일~2003년 2월 26일
노무현 정부20대권기홍2003년 2월 27일~2004년 2월 10일
21대김대환2004년 2월 10일~2006년 1월 2일
22대이상수2006년 1월 2일~2008년 2월 29일
이명박 정부23대이영희2008년 3월 1일~2009년 9월 30일
24대임태희2009년 10월 1일~2010년 7월 5일


4. 6. 1. 제5공화국 (1981년 ~ 1988년)

정부대수이름임기비고
초대권중동(權重東)1981년 4월 8일 ~ 1982년 5월 21일
2대정한주(鄭漢株)1982년 5월 21일 ~ 1985년 2월 19일
3대조철권(趙澈權)1985년 2월 19일 ~ 1986년 8월 27일
4대이헌기(李憲琦)1986년 8월 27일 ~ 1988년 2월 24일


4. 6. 2. 노태우 정부 (1988년 ~ 1993년)

최명헌(崔明憲)은 1988년 2월 25일부터 1988년 12월 5일까지 재임하였다.

장영철(張永喆)은 1988년 12월 5일부터 1989년 7월 19일까지 재임하였다.

최영철(崔永喆)은 1989년 7월 19일부터 1990년 12월 27일까지 재임하였다.

최병렬(崔秉烈)은 1990년 12월 27일부터 1992년 6월 25일까지 재임하였다.

이연택(李衍澤)은 1992년 6월 25일부터 1993년 2월 25일까지 재임하였다.

4. 6. 3. 김영삼 정부 (1993년 ~ 1998년)

10대이인제(李仁濟)1993년 2월 26일~1993년 12월 21일
11대남재희(南載熙)1993년 12월 22일~1994년 12월 23일
12대이형구(李炯九)1994년 12월 24일~1995년 5월 24일
13대진념(陳稔)1995년 5월 24일~1997년 8월 5일
14대이기호(李起浩)1997년 8월 6일~1999년 5월 25일rowspan=2 |


4. 6. 4. 김대중 정부 (1998년 ~ 2003년)

정부대수이름임기비고
15대이상룡(李相龍)1999년 5월 25일~2000년 2월 12일
16대최선정(崔善政)2000년 2월 12일~2000년 8월 7일
17대김호진(金浩鎭)2000년 8월 7일~2001년 9월 7일
18대유용태(劉容泰)2001년 9월 7일~2002년 1월 29일
19대방용석(方鏞錫)2002년 1월 29일~2003년 2월 26일


4. 6. 5. 노무현 정부 (2003년 ~ 2008년)

정부대수이름임기비고
노무현 정부20대권기홍(權奇洪)2003년 2월 27일~2004년 2월 10일
21대김대환(金大煥)2004년 2월 10일~2006년 1월 2일
22대이상수(李相洙)2006년 1월 2일~2008년 2월 29일


4. 6. 6. 이명박 정부 (2008년 ~ 2013년)

wikitext

이명박 정부23대이영희(李永熙)2008년 3월 1일~2009년 9월 30일
24대임태희(任太熙)2009년 10월 1일~2010년 7월 5일


4. 7. 고용노동부 장관 (2010년 7월 ~ 현재)

정부대수이름임기비고
이명박 정부1대임태희2010년 7월 5일 ~ 2010년 8월 30일
2대박재완2010년 8월 30일 ~ 2011년 6월 1일
3대이채필2011년 6월 2일 ~ 2013년 3월 11일
박근혜 정부4대방하남2013년 3월 11일 ~ 2014년 7월 15일
5대이기권2014년 7월 16일 ~ 2017년 7월 25일
문재인 정부-이성기2017년 7월 26일 ~ 2017년 8월 13일직무대리
6대김영주2017년 8월 14일 ~ 2018년 9월 21일국회의원 겸직
7대이재갑2018년 9월 21일 ~ 2021년 5월 6일
8대안경덕2021년 5월 7일 ~ 2022년 5월 9일
윤석열 정부9대이정식2022년 5월 10일 ~ 2024년 8월 29일
10대김문수2024년 8월 30일 ~


4. 7. 1. 이명박 정부 (2008년 ~ 2013년)

이명박 정부고용노동부 장관은 다음과 같다.

대수이름임기
1대임태희2010년 7월 5일 ~ 2010년 8월 30일
2대박재완2010년 8월 30일 ~ 2011년 6월 1일
3대이채필2011년 6월 2일 ~ 2013년 3월 11일


4. 7. 2. 박근혜 정부 (2013년 ~ 2017년)

방하남(房河男)은 2013년 3월 11일부터 2014년 7월 15일까지 재임하였다. 이기권(李基權)은 2014년 7월 16일부터 2017년 7월 25일까지 재임하였다.

4. 7. 3. 문재인 정부 (2017년 ~ 2022년)

문재인 정부 시기에는 4명의 고용노동부 장관이 임명되었다. 이성기(李性基)는 2017년 7월 26일부터 2017년 8월 13일까지 직무대리로 고용노동부 장관직을 수행했다. 김영주(金榮珠)는 2017년 8월 14일부터 2018년 9월 21일까지 고용노동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국회의원직을 겸직했다. 이재갑(李載甲)은 2018년 9월 21일부터 2021년 5월 6일까지 고용노동부 장관을 역임했다. 안경덕(安庚德)은 2021년 5월 7일부터 2022년 5월 9일까지 고용노동부 장관직을 수행했다.

대수이름임기비고
-이성기(李性基)2017년 7월 26일 ~ 2017년 8월 13일직무대리
6대김영주(金榮珠)2017년 8월 14일 ~ 2018년 9월 21일국회의원 겸직
7대이재갑(李載甲)2018년 9월 21일 ~ 2021년 5월 6일
8대안경덕(安庚德)2021년 5월 7일 ~ 2022년 5월 9일


4. 7. 4. 윤석열 정부 (2022년 ~ 현재)

이정식(李正植)은 2022년 5월 10일부터 2024년 8월 29일까지 윤석열 정부의 고용노동부 장관을 역임했다. 김문수(金文洙)는 2024년 8월 30일부터 현재까지 고용노동부 장관직을 수행하고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