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국무위원 중 한 명으로, 국무총리의 제청을 받아 대통령이 임명하며, 과학기술, 정보통신, 방송, 우편 등의 업무를 관장한다. 미군정 시기 체신국장과 체신부장을 거쳐,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체신부 장관, 정보통신부 장관, 과학기술처 장관, 과학기술부 장관 등을 역임하며 현재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으로 이어져 왔다. 역대 장관으로는 윤석구, 장기영, 유영민, 이종호 등이 있으며, 현재는 유상임이 5대 장관으로 재임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 유영민 (1951년)
유영민은 정보통신 분야 기업인 출신으로, 문재인 정부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과 대통령비서실장을 역임한 정치인이다. - 대한민국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 유상임
유상임은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재료공학부 교수로, 제5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을 역임하며, 여러 학회와 정부 위원회에서 활동하고 있다. - 각료 목록 - 대한민국의 기획재정부 장관
대한민국의 기획재정부 장관은 국무총리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며 경제 및 재정 정책 수립과 예산 관리 등 기획재정부의 주요 업무를 관장하는 국무위원이다. - 각료 목록 - 제1해군경
제1해군경은 영국 해군의 최고위 장교로서, 1771년부터 현재까지 이어져 왔으며, 1868년부터는 해군의 운영과 전략을 책임지고 있으며, 국방참모총장을 보좌한다. - 대한민국의 장관급 공직자 - 대한민국의 대법관
대한민국의 대법관은 대법원장의 제청으로 임명되며, 13명의 대법관과 대법원장 1명으로 구성되고, 임기는 6년이며, 헌법과 법률에 따라 중요한 사법적 결정을 내린다. - 대한민국의 장관급 공직자 - 대한민국의 검찰총장
대한민국의 검찰총장은 검찰총장후보추천위원회의 추천을 거쳐 법무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며, 검찰총장에 관한 사무를 총괄하고 대검찰청을 지휘·감독한다.
대한민국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 |
![]() | |
현직 | 유상임 |
![]() | |
취임일 | 2024년 8월 16일 |
초대 | 유영민 |
성립 | 2017년 |
웹사이트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웹사이트 |
2. 임명 및 역할
국무총리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며, 국무총리는 해임을 건의할 수 있다. 국회는 임명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실시한다.[1]
정부조직법 제7조제1항에 따르면, 각 행정기관의 장은 소관사무를 통할하고 소속 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2]
정부조직법 제29조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다음 사무를 관장한다.
- 과학기술정책의 수립·총괄·조정·평가
- 과학기술의 연구개발·협력·진흥
- 과학기술인력 양성
- 원자력 연구·개발·생산·이용
- 국가정보화 기획·정보보호·정보문화
- 방송·통신의 융합·진흥 및 전파관리
- 정보통신산업
- 우편·우편환 및 우편대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