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기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는 지역구 당선자 득표율, 득표수, 격전지, 최고령 및 최연소 당선자 등 다양한 기록을 남겼다. 지역구 당선자 중 최고 득표율은 새누리당 김종태 후보가 경북 상주시·군위군·의성군·청송군에서 기록한 77.65%였으며, 최저 득표율은 인천 중구·동구·강화군·옹진군에서 무소속 안상수 후보가 기록한 31.87%였다. 최고 득표수는 김종태 후보가 85,435표, 최소 득표수는 김철민 후보가 24,236표를 얻었다. 인천 부평구 갑 선거는 26표 차이로 당락이 결정되는 초접전 양상을 보였다. 최고령 당선자는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후보(만 75세), 최연소 당선자는 국민의당 김수민 후보(만 29세)였다.
2. 지역구 당선자 득표 현황
2. 1. 지역구 당선자 최고 득표율 순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새누리당이 영남 지역에서 높은 득표율을 기록하며 강세를 보였다. 그러나 더불어민주당 김경수 후보는 경남 김해시 을에서, 김부겸 후보는 대구 수성구 갑에서 각각 60% 이상의 득표율로 당선되어 주목받았다.
순위 | 후보 | 지역구 | 득표율 | |
---|---|---|---|---|
1위 | 새누리당 | 김종태 | 경상북도 상주시·군위군·의성군·청송군 | 77.65% |
2위 | 무소속 | 유승민 | 대구광역시 동구 을 | 75.74% |
3위 | 새누리당 | 박명재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울릉군 | 71.86% |
4위 | 국민의당 | 김경진 | 광주광역시 북구 갑 | 70.80% |
5위 | 새누리당 | 곽대훈 | 대구광역시 달서구 갑 | 69.88% |
6위 | 새누리당 | 최경환 | 경상북도 경산시 | 69.62% |
7위 | 새누리당 | 이완영 | 경상북도 고령군·성주군·칠곡군 | 69.48% |
8위 | 새누리당 | 김광림 | 경상북도 안동시 | 68.66% |
9위 | 새누리당 | 강석호 | 경상북도 영양군·영덕군·봉화군·울진군 | 67.58% |
10위 | 새누리당 | 조원진 | 대구광역시 달서구 병 | 66.24% |
11위 | 새누리당 | 이주영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 65.25% |
12위 | 새누리당 | 윤재옥 | 대구광역시 달서구 을 | 64.41% |
13위 | 새누리당 | 이철우 | 경상북도 김천시 | 64.25% |
14위 | 새누리당 | 정병국 | 경기도 여주시·양평군 | 63.51%[1] |
15위 | 새누리당 | 강석진 | 경상남도 산청군·함양군·거창군·합천군 | 62.67% |
16위 | 더불어민주당 | 김경수 | 경상남도 김해시 을 | 62.38% |
17위 | 더불어민주당 | 김부겸 | 대구광역시 수성구 갑 | 62.30% |
18위 | 새누리당 | 김영우 | 경기도 포천시·가평군 | 62.22% |
19위 | 새누리당 | 백승주 | 경상북도 구미시 갑 | 61.91% |
20위 | 무소속 | 윤종오 | 울산광역시 북구 | 61.49% |
21위 | 더불어민주당 | 정성호 | 경기도 양주시 | 61.39% |
22위 | 새누리당 | 이종배 | 충청북도 충주시 | 61.00% |
23위 | 더불어민주당 | 인재근 | 서울특별시 도봉구 갑 | 60.09% |
2. 2. 지역구 당선자 최저 득표율 순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수도권과 일부 격전지에서 30%대의 낮은 득표율로 당선된 사례가 다수 나타났다.[2] 특히 인천광역시 중구·동구·강화군·옹진군에서는 무소속 안상수 후보가 31.87%의 최저 득표율로 당선되었다.[2]순위 | 후보 | 지역구 | 득표율 |
---|---|---|---|
1위 | bgcolor=# | 안상수 | 인천광역시 중구·동구·강화군·옹진군 | 31.87%[2] |
2위 | bgcolor=# | 김철민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을 | 34.03% |
3위 | bgcolor=# | 정유섭 | 인천광역시 부평구 갑 | 34.21% |
4위 | bgcolor=# | 김병기 | 서울특별시 동작구 갑 | 36.53% |
5위 | bgcolor=# | 강병원 | 서울특별시 은평구 을 | 36.74% |
6위 | bgcolor=# | 오신환 | 서울특별시 관악구 을 | 37.05% |
7위 | bgcolor=# | 금태섭 | 서울특별시 강서구 갑 | 37.24% |
8위 | bgcolor=# | 장제원 | 부산광역시 사상구 | 37.50% |
9위 | bgcolor=# | 정운천 | 전라북도 전주시 을 | 37.53% |
10위 | bgcolor=# | 지상욱 | 서울특별시 중구·성동구 을 | 38.03% |
11위 | bgcolor=# | 이훈 | 서울특별시 금천구 | 38.05% |
12위 | bgcolor=# | 박순자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을 | 38.08% |
13위 | bgcolor=# | 김성식 | 서울특별시 관악구 갑 | 38.43% |
14위 | bgcolor=# | 김정우 | 경기도 군포시 갑 | 38.51% |
15위 | bgcolor=# | 김한정 | 경기도 남양주시 을 | 38.63% |
16위 | bgcolor=# | 전해철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갑 | 38.80% |
17위 | bgcolor=# | 성일종 | 충청남도 서산시·태안군 | 39.05% |
18위 | bgcolor=# | 이용호 | 전라북도 남원시·임실군·순창군 | 39.12% |
19위 | bgcolor=# | 김명연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갑 | 39.29% |
20위 | bgcolor=# | 기동민 | 서울특별시 성북구 을 | 39.34% |
21위 | bgcolor=# | 백재현 | 경기도 광명시 갑 | 39.40% |
22위 | bgcolor=# | 정양석 | 서울특별시 강북구 갑 | 39.52% |
23위 | bgcolor=# | 김병욱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을 | 39.85% |
2. 3. 지역구 당선자 최다 득표수 순
순위 | 후보 | 지역구 | 득표수 | |
---|---|---|---|---|
1위 | 새누리당 | 김종태 | 경상북도 상주시·군위군·의성군·청송군 | 85,435표 |
2위 | 더불어민주당 | 김부겸 | 대구광역시 수성구 갑 | 84,911표 |
3위 | 새누리당 | 박명재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울릉군 | 75,569표 |
4위 | 새누리당 | 최경환 | 경상북도 경산시 | 73,646표 |
5위 | 더불어민주당 | 김경수 | 경상남도 김해시 을 | 70,600표 |
6위 | 새누리당 | 최교일 | 경상북도 영주시·문경시·예천군 | 70,131표 |
7위 | 국민의당 | 최경환 | 광주광역시 북구 을 | 68,641표 |
8위 | 더불어민주당 | 표창원 | 경기도 용인시 정 | 68,273표 |
9위 | 더불어민주당 | 민홍철 | 경상남도 김해시 갑 | 67,866표 |
10위 | 새누리당 | 이정현 | 전라남도 순천시 | 66,981표 |
11위 | 더불어민주당 | 김현미 | 경기도 고양시 정 | 66,959표 |
12위 | 더불어민주당 | 황희 | 서울특별시 양천구 갑 | 66,945표 |
13위 | 새누리당 | 윤재옥 | 대구광역시 달서구 을 | 66,784표 |
14위 | 새누리당 | 김진태 | 강원도 춘천시 | 66,374표 |
15위 | 더불어민주당 | 윤관석 | 인천광역시 남동구 을 | 66,136표 |
16위 | 국민의당 | 김경진 | 광주광역시 북구 갑 | 65,721표 |
17위 | 새누리당 | 김세연 | 부산광역시 금정구 | 65,038표 |
18위 | 새누리당 | 박완수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 64,845표 |
19위 | 더불어민주당 | 이인영 | 서울특별시 구로구 갑 | 64,063표 |
20위 | 더불어민주당 | 김병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갑 | 63,698표 |
2. 4. 지역구 당선자 최소 득표수 순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의 지역구 당선자 중 최소 득표수는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을에서 당선된 더불어민주당 김철민 후보가 기록한 24,236표이다. 수도권 지역에서 접전 끝에 당락이 결정되면서 최소 득표 당선자가 다수 발생했다.순위 | 정당 | 후보 | 지역구 | 득표수 |
---|---|---|---|---|
1위 | 더불어민주당 | 김철민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을 | 24,236표 |
2위 | 새누리당 | 박순자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을 | 24,891표 |
3위 | 더불어민주당 | 김정우 | 경기도 군포시 갑 | 25,687표 |
4위 | 새누리당 | 윤상직 | 부산광역시 기장군 | 26,371표 |
5위 | 더불어민주당 | 서형수 | 경상남도 양산시 을 | 26,829표 |
6위 | 새누리당 | 김명연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갑 | 27,313표 |
7위 | 더불어민주당 | 강훈식 | 충청남도 아산시 을 | 28,472표 |
8위 | 더불어민주당 | 어기구 | 충청남도 당진시 | 28,530표 |
9위 | 더불어민주당 | 백재현 | 경기도 광명시 갑 | 29,312표 |
10위 | 새누리당 | 박맹우 | 울산광역시 남구 을 | 29,838표 |
11위 | 더불어민주당 | 박찬대 | 인천광역시 연수구 갑 | 30,047표 |
12위 | 새누리당 | 정양석 | 서울특별시 강북구 갑 | 30,098표 |
13위 | 더불어민주당 | 유동수 | 인천광역시 계양구 갑 | 31,080표 |
14위 | 새누리당 | 윤영석 | 경상남도 양산시 갑 | 31,132표 |
15위 | 국민의당 | 이용주 | 전라남도 여수시 갑 | 31,241표 |
16위 | 국민의당 | 이용호 | 전라북도 남원시·임실군·순창군 | 31,821표 |
17위 | 새누리당 | 김기선 | 강원도 원주시 갑 | 31,845표 |
18위 | 새누리당 | 김성원 | 경기도 동두천시·연천군 | 31,846표 |
19위 | 더불어민주당 | 조응천 | 경기도 남양주시 갑 | 32,785표 |
20위 | 새누리당 | 민경욱 | 인천광역시 연수구 을 | 32,963표 |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전국 곳곳에서 초접전 양상이 벌어졌다. 특히 수도권과 전라북도 일부 지역에서 1%p 미만의 격차로 승부가 갈린 경우가 많았다.
3. 격전지
순위 지역구 1위 후보 2위 후보 득표수 차 득표율 차 1위 인천광역시 부평구 갑 정유섭(34.21%) 문병호(34.19%) 26표 0.02%p 2위 전라북도 전주시 을 정운천(37.53%) 최형재(37.43%) 111표 0.10%p 3위 강원도 원주시 갑 김기선(44.04%) 권성중(43.86%) 134표 0.18%p 4위 인천광역시 연수구 갑 박찬대(40.57%) 정승연(40.28%) 214표 0.29%p 5위 경기도 남양주시 갑 조응천(40.07%) 심장수(39.77%) 249표 0.30%p 6위 강원도 원주시 을 송기헌(44.27%) 이강후(43.82%) 350표 0.45%p 7위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을 김철민(34.03%) 김영환(33.47%) 399표 0.56%p 8위 경기도 군포시 갑 김정우(38.51%) 심규철(37.42%) 726표 1.09%p 9위 경상남도 거제시 김한표(44.19%) 변광용(43.47%) 730표 0.72%p 10위 전라북도 전주시 갑 김광수(43.30%) 김윤덕(42.42%) 795표 1.08%p 11위 서울특별시 관악구 을 오신환(37.05%) 정태호(36.35%) 861표 0.70%p 12위 경기도 고양시 을 정재호(42.25%) 김태원(41.31%) 900표 0.94%p 13위 전라북도 전주시 병 정동영(47.72%) 김성주(46.96%) 989표 0.76%p
인천 부평구 갑에서는 새누리당 정유섭 후보와 국민의당 문병호 후보가 26표 차이로 당락이 결정되었다.
4. 최고령 및 최연소 당선자
4. 1. 최고령 당선자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의 최고령 당선자는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후보(비례대표)로, 만 75세였다. 국민의당 박지원 후보와 무소속 강길부 후보는 만 73세로 그 뒤를 이었다.
4. 2. 최연소 당선자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최연소 당선자는 국민의당 김수민 후보(비례대표)로 만 29세였다. 새누리당 신보라 후보(비례대표)는 만 33세, 더불어민주당 김해영 후보는 만 39세로 그 뒤를 이었다.
참조
[1]
문서
20대 총선 수도권 지역구 당선자 최다 득표율
[2]
문서
전체 지역구 당선자 최저 득표율과 동시에 20대 총선 수도권 지역구 당선자 최저득표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