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더 지니어스: 그랜드 파이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더 지니어스: 그랜드 파이널》은 이전 시즌에서 활약한 13명의 출연자가 경쟁하는 추리 예능 프로그램으로, 12번의 메인 매치와 데스 매치를 통해 최종 우승자를 가린다. 가넷을 획득하여 상금을 받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각 회차마다 다양한 게임 규칙이 적용된다. 우승자는 장동민이며, 일본 만화 《라이어 게임》 표절 논란이 있었다. 시청률은 최고 3.181%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더 지니어스 - 차유람
    차유람은 뛰어난 실력과 미모로 '당구 얼짱'으로 불리며 대중의 관심을 받은 대한민국의 포켓볼 선수로, 아시안 게임에서 국가대표로 활약하고 금메달을 획득하는 등 국내외 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으며 방송, 광고, 저서 활동을 하다가 2022년 국민의힘에 입당하여 정치 활동을 시작했다.
  • 더 지니어스 - 강용석
    강용석은 서울대 법대 졸업 후 사법시험에 합격했으나 판사 임용이 취소된 변호사로, 제18대 국회의원을 지내고 방송 활동과 가로세로연구소 운영을 거쳐 경기도지사 후보 낙선 후 정계 은퇴, 현재는 유튜버로 활동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게임 쇼 - 무한도전
    《무한도전》은 2005년부터 2018년까지 MBC에서 방영된 리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으로, 유재석을 중심으로 다양한 멤버들이 미션과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높은 인기를 얻었으나 여러 논란과 주요 제작진 및 멤버들의 탈퇴로 종영되었다.
  •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게임 쇼 - 남자의 자격
    《남자의 자격》은 2009년부터 2013년까지 KBS 2TV에서 방영된 예능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미션과 도전을 통해 시청자들의 공감을 얻었으며, 2013년 MBC의 《아빠! 어디가?》에 밀려 종영되었다.
  • 한국어 텔레비전 프로그램 - SNL 코리아
    SNL 코리아는 미국의 심야 코미디 쇼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의 한국판으로, tvN에서 시작해 쿠팡플레이에서 리부트되어 정치, 사회, 문화를 풍자하는 코너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러 크루들의 활약과 정치 풍자로 화제를 모으고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 한국어 텔레비전 프로그램 - 오징어 게임
    《오징어 게임》은 456억 원의 상금을 걸고 빚에 시달리는 사람들이 목숨을 걸고 한국 전통 놀이를 하는 게임을 통해 자본주의 사회의 불평등과 인간의 본성을 비판적으로 조명한 황동혁 감독의 2021년 넷플릭스 한국 드라마이다.
더 지니어스: 그랜드 파이널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프로그램 정보
방송명더 지니어스: 그랜드 파이널
원제The Genius: Grand Final
시청 등급15세 이상 시청가
더 지니어스 그랜드 파이널
더 지니어스 그랜드 파이널
장르게임 쇼
방송 시간토요일 밤 9시 45분
방송 기간2015년 6월 27일 ~ 2015년 9월 12일
방송 횟수12부작
방송 시즌시즌 4
방송 채널tvN
총괄 기획이명한
기획박종훈
제작사A9미디어
총감독정종연, 김무영
책임 프로듀서김종훈
연출김한규, 손한성, 최윤희, 이태경, 박현규, 양상근, 오상민
조연출강선영, 김상아, 진보라, 손지영
각본김정선
조명김종수
종편육성철
구성허정희, 변수경, 정다희, 공연희, 황영아
내레이션배한성, 김정훈
음성2채널 돌비 디지털
고화질 방송 여부HD 제작ㆍ방송
여는 곡이디오테잎 - Melodie
외부 링크더 지니어스: 그랜드 파이널 홈페이지
전편더 지니어스: 블랙가넷
시즌 정보
네트워크tvN
첫 방송2015년 6월 27일
마지막 방송2015년 9월 12일
에피소드 수12
이전 시즌The Genius: Black Garnet
우승자 정보
우승자장동민

2. 출연자

《더 지니어스: 그랜드 파이널》에는 이전 시즌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친 13명의 플레이어가 출연했다.

2. 1. 시즌별 출연자

13명의 지니어스가 참여하여 총 12회전의 게임을 통해 최종 우승자 1인을 가린다. 참가자는 시즌 1, 시즌 2, 시즌 3에서 활약했던 플레이어들로 구성되었다.

'''참가자 명단 (가나다순)'''

2. 1. 1. 시즌 1

wikitext

이름직업시즌 1 성적비고
홍진호프로게이머, 방송인우승시즌 2 7회 탈락
김경란방송인준우승
최정문가수, 대학생5회 탈락
이준석기업인, 정치인1회 탈락
이상민가수시즌 2 참가


2. 1. 2. 시즌 2


  • 이상민 (가수, 연예기획자): 시즌 2 우승
  • 임요환 (前 프로게이머, 프로 겜블러): 시즌 2 준우승
  • 유정현 (前 국회의원, 방송인): 시즌 2 3위
  • 임윤선 (변호사): 시즌 2 5회 탈락
  • 홍진호 (前 프로게이머, 방송인): 시즌 2 참가

2. 1. 3. 시즌 3


  • 모든 플레이어가 참여하며, 메인매치를 통해 우승자와 탈락 후보를 결정한다.
  • 최하위 플레이어가 여러 명일 경우, 우승자(들)가 최하위자 중 한 명을 탈락 후보로 지목한다.
  • 우승자(들)에게는 '생명의 징표'가 주어지며, 이를 통해 데스매치에서 면제될 수 있다.
  • 획득한 '생명의 징표'는 해당 회차에서만 유효하다.
  • 탈락 후보는 '생명의 징표'를 가진 플레이어를 제외한 나머지 참가자 중에서 자신과 데스매치를 치를 상대를 지목한다.
  • 총 12회 중 3회의 메인매치는 가넷매치로 진행된다. 가넷매치에서는 게임 종료 시 가장 많은 가넷을 보유한 플레이어가 우승자가 된다. 단, 가넷매치 중에는 다른 플레이어에게 가넷을 양도할 수 없다.
  • 게임 중 폭력이나 절도는 허용되지 않으며, 이를 위반하는 플레이어는 메인매치 결과와 관계없이 최하위자가 된다.

시즌 3 출신 참가자

이름비고
김경훈시즌 3 참가자
김유현시즌 3 참가자
오현민시즌 3 참가자
장동민시즌 3 참가자
최연승시즌 3 참가자


3. 전체 규칙

총 13명의 플레이어가 참가하여 총 12회전의 게임을 통해 최종 우승자 1인을 가린다. 각 회차는 메인 매치와 데스 매치로 구성되며, 데스 매치를 통해 매 라운드마다 1명의 플레이어가 탈락한다.

3. 1. 메인 매치

모든 플레이어가 참여하는 게임이다. 메인 매치의 우승자는 '생명의 징표'를 획득하여 데스 매치에서 면제된다. 반면, 메인 매치의 최하위자 또는 공동 최하위자는 탈락 후보가 되며, 자신과 데스 매치를 치를 상대를 지목해야 한다.

일부 메인 매치는 '가넷 매치'로 진행된다. 가넷은 게임 내 화폐로, 참가비나 우승 상금 등으로 플레이어에게 지급된다. 가넷 매치에서는 게임 종료 시 보유한 가넷 수가 가장 많은 플레이어가 우승한다. 단, 가넷 매치에서는 플레이어 간 가넷 양도가 불가능하다.

게임 중 폭력이나 절도는 엄격히 금지되며, 이를 어길 경우 메인 매치 결과와 관계없이 최하위자가 된다.

3. 2. 데스 매치

메인 매치의 탈락 후보와 그가 지목한 상대 플레이어가 1:1 대결을 벌여 탈락자를 결정하는 방식이다. 데스 매치에서 패배한 플레이어는 최종 탈락하며, 승리한 플레이어는 다음 라운드로 진출한다.

이번 시즌의 데스 매치는 미리 정해져 있었으며, 모두 이전 시즌들에서 진행되었던 게임들로 구성되었다. 데스 매치 진행 시, 두 플레이어는 딜러가 무작위로 게임을 선택하기 전에 정해진 개수만큼의 게임을 제외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제외 가능한 게임의 수는 회차가 진행됨에 따라 줄어들었다.

  • 1, 2화: 3개 게임 제외 가능
  • 3, 4, 5화: 2개 게임 제외 가능
  • 6, 7, 8화: 1개 게임 제외 가능
  • 9화부터: 게임 제외 불가


시즌 4에서 사용된 데스 매치 게임 목록은 다음과 같다.

진행 회차데스 매치 게임
1화흑과 백
2화전략 윷놀이
3화베팅! 가위바위보
4화같은 숫자 찾기
5화인디언 포커
6화모노레일
7화같은 그림 찾기
8화귤! 합!
9화콰트로
10화양면 포커
11화십이장기


3. 3. 가넷

가넷은 더 지니어스: 그랜드 파이널에서 사용되는 게임 내 화폐이다. 가넷 1개는 한화 100만의 가치를 지니며, 최종 우승자는 보유한 가넷을 현금으로 환전하여 상금으로 받게 된다.

플레이어들은 매 메인매치 결과에 따라 가넷을 획득하거나 잃을 수 있으며, 게임 진행 중 다양한 방식으로 가넷을 사용하게 된다. 가넷의 획득, 사용, 양도 규칙은 매 회차 게임마다 다르게 적용되었다.

회차별 가넷 획득 규칙
회차게임가넷 획득 조건
1회신분교환획득 승점 3점당 가넷 1개
2회호러 레이스응원 캐릭터 순위에 따라 차등 지급 (1등: 3개, 2등: 2개, 3등: 1개 / 공동 2등 시 1개, 공동 3등 시 1개)
3회오늘의 메뉴획득 승점 4점당 가넷 1개 (승점 16점부터는 1점당 1개 추가)
4회생선가게최종 수입에 따라 차등 지급 (3만 이상: 1개, 4만 이상: 2개)
5회충신과 역적충신 승리 시 충신 플레이어 1개씩, 역적 승리 시 역적 플레이어 2개씩
6회가넷도둑라운드별 캐릭터 분포 규칙에 따라 분배 (라운드당 총 4개)
7회시드포커라운드 승리 시 베팅된 칩과 함께 가넷 1개 추가 획득
8회마이너스 경매 II우승자 5개, 탈락 후보 제외 나머지 플레이어 2개 / 숫자 큐브 낙찰 시 거부에 사용된 가넷 획득
9회호러 레이스 II획득 승점 1점당 가넷 1개
10회협동홀덤홀덤 라운드 승리 시 베팅된 가넷 획득 / 최종 우승 시 가넷 10개 추가 획득



가넷 사용 및 소모 규칙
회차게임가넷 사용/소모 조건
6회가넷도둑라운드 결과 가넷 미획득 + 정체 거짓 선언 시 가넷 1개 반납 (보유 가넷 없을 시 면제)
7회시드포커보유 칩 없을 시 가넷을 칩 대용으로 사용 / 가넷 모두 소진 시 최하위자
8회마이너스 경매 II보유 칩 없을 시 가넷 1개로 숫자 큐브 거부 가능 / 히든 큐브 경매 시 가넷으로 베팅
10회협동홀덤홀덤 라운드 베팅 시 가넷 사용 (기본 베팅 1개) / 가장 먼저 가넷 소진 시 탈락 후보



가넷 양도 규칙
회차게임가넷 양도 조건
6회가넷도둑3라운드, 7라운드 종료 시점에 한해 다른 플레이어 1명에게 가넷 1개 양도 가능 (딜러 확인 필요)
7회시드포커라운드 시작 전, 게임에서 제외된 플레이어에게 양도 가능 (게임 복귀용)
8회마이너스 경매 II양도 가능 (구체적 시점 명시 없음, 칩/숫자큐브는 양도 불가)



일부 게임에서는 보유한 가넷의 양이 게임 결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2회 '호러 레이스'와 6회 '가넷도둑'에서는 보유 가넷이 가장 많은 플레이어가 우승하고 가장 적은 플레이어가 탈락 후보가 되었다. 7회 '시드포커'와 10회 '협동홀덤'에서는 게임 중 가넷을 모두 잃으면 탈락 후보가 될 수 있었다.

9회 '호러 레이스 II'에서는 플레이어와 별도로 게스트 중 가장 높은 승점을 얻은 참가자에게 상금 900만이 지급되었는데, 이는 플레이어들의 가넷과는 별개이다.

4. 회차별 게임 규칙

'''가넷 매치'''

가넷 매치는 메인 매치와 유사한 방식으로 진행되지만, 승패가 개인의 가넷 보유량에 따라 결정된다. 게임 종료 시 가장 많은 가넷을 가진 플레이어가 우승하며, 가장 적은 가넷을 가진 플레이어는 탈락 후보가 된다. 최저 가넷 보유자가 여러 명일 경우, 우승자가 그중 한 명을 탈락 후보로 지목하고, 지목된 탈락 후보는 데스 매치 상대를 직접 선택한다. 가넷 매치 도중에는 플레이어 간 가넷 양도가 금지된다. 더 지니어스: 그랜드 파이널에서는 2회, 6회, 10회 메인 매치가 가넷 매치로 진행되었다.

'''데스 매치'''

이번 시즌의 데스 매치는 이전 시즌들에서 사용되었던 게임들로 미리 구성되었다. 데스 매치 진출자 2명은 게임 시작 전, 정해진 개수만큼의 게임을 제외할 수 있는 권한을 가졌다. 제외할 수 있는 게임 수는 회차가 진행됨에 따라 줄어들었다.


  • 1, 2회: 3개 게임 제외 가능
  • 3, 4, 5회: 2개 게임 제외 가능
  • 6, 7, 8회: 1개 게임 제외 가능
  • 9회 이후: 게임 제외 불가


제외된 게임을 제외한 나머지 게임 중에서 무작위로 데스 매치 게임이 선정되었다. 시즌 4에서 사용된 데스 매치 게임 목록은 다음과 같다.

  • 흑과 백 (1회)
  • 전략 윷놀이 (2회)
  • 베팅! 가위바위보 (3회)
  • 같은 숫자 찾기 (4회)
  • 인디언 포커 (5회)
  • 모노레일 (6회)
  • 같은 그림 찾기 (7회)
  • 결! 합! (8회)
  • 콰트로 (9회)
  • 양면 포커 (10회)
  • 십이장기 (11회)

4. 1. 메인 매치

미스터리 사인
(베팅! 흑과 백)김경훈 (준우승)장동민 최종 우승 (세트 스코어 2:0). 3차전 미진행. 최종 상금 1.32억 획득.


4. 1. 1. 1회: 신분교환

1회 메인매치는 '신분교환'으로 진행되었다. 총 13명의 플레이어는 각자 신분이 적힌 ID 카드를 하나씩 받는데, 여기에는 평민 카드 7장, 귀족 카드 5장, 죄수 카드 1장이 포함된다. 모든 카드의 겉모습은 동일하며, 오직 블랙 라이트를 통해서만 자신의 카드 신분을 확인할 수 있다.

게임의 목표는 다른 플레이어들과 카드를 교환하며 가장 높은 점수를 얻는 것이다. 거래 방식은 두 가지로 나뉜다.

점수 획득 규칙은 다음과 같다.

게임이 종료되었을 때 죄수 카드를 최종적으로 보유한 플레이어는 점수와 상관없이 자동으로 탈락 후보가 된다. 플레이어들은 획득한 점수 3점당 가넷 1개를 받는다.

2015년 6월 27일에 방송된 1회에서는 이상민이 총 8점을 획득하여 우승자가 되었고, 오현민은 면제되었다. 게임 결과, 죄수 카드를 최종 보유하게 된 유정현이 탈락 후보로 결정되었다. 유정현은 데스매치 상대로 이준석을 지목했으며, 두 사람은 '흑과 백' 게임으로 데스매치를 치렀다. 데스매치 결과 유정현이 최종 탈락했다.

4. 1. 2. 2회: 호러 레이스

2회전 메인 매치는 호러 레이스로, 가넷 매치였다. 게임 결과, 이상민이 우승하여 생명의 징표를 획득했고, 김경란은 면제자가 되었다. 임요환이 최하위 플레이어가 되어 탈락 후보로 선정되었으며, 데스매치 상대로 최연승을 지목했다. 데스매치 전술 윷놀이 결과 임요환이 최종 탈락했다.

=== 게임 방식 ===

호러 레이스는 5종류의 캐릭터(뱀파이어, 강시, 구미호, 미라, 좀비)가 12칸의 트랙에서 벌이는 경주 게임이다.

# 각 플레이어는 5종류의 캐릭터 중 2명을 비밀리에 선택하여 응원한다.

# 선택되지 않은 3종류 캐릭터의 코인이 '코인 상자'에 담겨 게임에 사용된다.

# 플레이어들은 정해진 순서대로 코인 상자에서 코인 3개를 뽑아, '1칸 이동', '2칸 이동', '4칸 이동' 영역에 원하는 대로 배분하여 내려놓는다.

# 모든 플레이어가 코인 배치를 마치면, 각 이동 영역(1칸, 2칸, 4칸)별로 가장 많은 코인이 놓인 캐릭터가 해당 칸 수만큼 전진한다. 만약 가장 많은 코인이 놓인 캐릭터가 여러 명일 경우, 다음으로 많은 코인이 놓인 캐릭터가 이동한다. 이동은 1칸, 2칸, 4칸 순서로 진행된다.

# 라운드가 끝나면 사용된 코인은 다시 코인 상자에 넣고 새로운 라운드를 시작한다.

# 한 캐릭터가 12칸 트랙을 완주하면 즉시 게임이 종료된다. 결승선에 가장 가까운 순서대로 2위, 3위가 결정된다.

# 게임 종료 후, 자신이 응원한 캐릭터의 순위에 따라 가넷을 차등 지급받는다.

#* 1위 캐릭터 응원: 가넷 3개

#* 2위 캐릭터 응원: 가넷 2개

#* 3위 캐릭터 응원: 가넷 1개

#* 한 플레이어가 응원한 두 캐릭터가 1, 2위를 차지할 경우 최대 5개의 가넷을 얻을 수 있다.

# 최종적으로 가장 많은 가넷을 획득한 플레이어가 우승자가 되고, 가장 적은 가넷을 획득한 플레이어가 탈락 후보가 된다.

'''특수 규칙: 순서 포기'''

=== 숨겨진 요소 ===

코인 상자에서 코인을 뽑는 행위는 무작위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코인에 숨겨진 장치가 있었다. 뱀파이어와 미라 코인은 내부에 강철 코어가 있어 자석에 반응하는 반면, 강시, 구미호, 좀비 코인은 구리 코어로 만들어져 자성이 없었다. 플레이어들은 자신의 이름표 뒤에 붙어 있는 자석을 이용해 코인을 뽑을 때 특정 캐릭터의 코인을 구분하여 뽑을 수 있었다.

하지만 장동민은 이 자석을 사용하지 않고, 오직 손의 촉감만으로 강철 코인과 구리 코인의 미세한 무게 차이(102mg)를 감지하여 원하는 코인을 뽑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는 제작진조차 예상하지 못했던 방법이었다.

4. 1. 3. 3회: 오늘의 메뉴

'오늘의 메뉴'는 모든 플레이어가 각자 식사 메뉴(짜장면, 짬뽕, 볶음밥 중 하나)를 주문한 뒤, 자신이 선택한 메뉴를 다른 플레이어들이 총 몇 명이나 주문했을지 예측하여 점수를 얻는 게임이다.

게임 진행 방식은 다음과 같다.

1. 메뉴 선택 및 제출: 라운드가 시작되면 플레이어들은 20분 동안 짜장면, 짬뽕, 볶음밥 중 원하는 메뉴 카드 하나를 골라 카드 상자 맨 위에 놓고 닫는다. 제출된 상자는 이후 열 수 없다.

2. 주문 수량 예측: 플레이어들은 자신이 선택한 메뉴가 이번 라운드에 총 몇 번 주문되었을지 예측한다. 예측 가능한 범위와 해당 점수는 아래 표와 같다.

3. 예측 변경: 모든 플레이어가 예측을 마치면, 1분 동안 자신의 예측을 변경할 기회가 주어진다. 1분이 지나면 예측을 바꿀 수 없다.

4. 결과 공개 및 점수 계산: 모든 플레이어의 주문이 공개되고, 예측에 성공한 플레이어는 해당 점수를 얻는다. 예측에 실패한 플레이어는 점수를 얻지 못한다.

예측한 주문 수량획득 점수
1개5점
2~3개3점
4~6개2점
7~10개1점
11개4점



플레이어는 누적 4점을 얻을 때마다 가넷 1개를 획득한다. 게임은 총 4라운드로 진행되며, 4라운드 종료 시 가장 높은 점수를 얻은 플레이어가 우승자가 되고, 가장 낮은 점수를 얻은 플레이어가 탈락 후보가 된다.

이 게임에서 사용되는 카드 상자에는 가짜 바닥이라는 숨겨진 기능이 있다. 플레이어는 이를 이용하여 상자 겉면에 다른 플레이어에게 보여줄 가짜 예측을 표시한 뒤, 상자를 닫는 과정에서 가짜 바닥이 위로 올라오게 하여 실제 예측을 숨기는 속임수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기능은 플레이어들에게 미리 공지되지 않는다.

3회전 결과, 오현민이 우승했고, 장동민이 면제자가 되었다. 최하위 플레이어는 이상민이었으며, 그는 김경훈을 데스매치 상대로 지목했다. 데스매치 '베팅 가위바위보' 결과, 이상민이 최종 탈락했다.

4. 1. 4. 4회: 생선가게

메인매치는 생선 가게 게임이었다. 이 게임의 목표는 가장 많은 돈을 버는 것으로, 높은 가격에 판매하거나 경쟁자를 속여 신뢰를 무너뜨리는 방식으로 달성할 수 있다. 판매되는 생선은 갈치, 고등어, 오징어 세 종류이다.

각 플레이어는 총 4라운드 동안 사용할 수 있는 6장의 판매 티켓을 받는다. 이 티켓은 생선을 판매할 권리로 교환되며, 플레이어 간 양도는 불가능하다. 라운드가 시작되기 전, 플레이어는 사용할 판매 티켓 수와 해당 티켓으로 판매할 생선을 비밀리에 선택하여 제출한다. 모든 플레이어가 제출하면 각 생선을 판매하려는 플레이어가 공개된다.

이후 플레이어들은 각자 판매할 생선의 희망 가격을 1000KRW에서 5000KRW 사이의 정수 단위로 결정하여 익명으로 제출한다. 모든 가격이 제출되면 생선별 판매 가격이 공개되는데, 가장 낮은 가격을 제시한 플레이어가 해당 생선을 판매하려는 모든 플레이어의 물량을 판매하게 된다. 예를 들어, 5명의 플레이어가 오징어를 판매하려 할 때, 4명이 4000KRW을 제시하고 1명이 1000KRW을 제시했다면, 1000KRW을 제시한 플레이어가 5명의 오징어를 모두 판매하고 총 5000KRW (5명 x 1000KRW)을 얻는다. 만약 여러 플레이어가 동일한 최저 가격을 제시했다면, 해당 수익을 똑같이 나누어 가진다.

플레이어는 게임 중 단 한 번 '시크릿' 또는 '체크' 아이템을 사용할 수 있다. '시크릿' 아이템은 해당 라운드에서 자신이 판매하는 한 종류 생선의 판매 가격을 다른 플레이어들에게 숨기는 기능이며, '체크' 아이템은 현재까지 자신이 획득한 총 수익을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총 4라운드가 종료된 후, 가장 많은 돈을 번 플레이어가 우승자가 되고, 가장 적은 돈을 번 플레이어가 탈락 후보가 된다. 이 게임은 더 지니어스: 블랙 가넷의 1회전 메인매치였던 과일 장수와 유사한 방식이다.

4회전 메인매치 결과, 최연승이 우승하여 생명의 징표를 획득했고, 이준석이 면제자가 되었다. 최하위자인 오현민은 탈락 후보가 되었으며, 데스매치 상대로 임윤선을 지목했다. 데스매치 게임은 같은 숫자 찾기였으며, 대결 결과 임윤선이 최종 탈락했다.

4. 1. 5. 5회: 충신과 역적

5회 메인 매치는 '''충신과 반역자''' 게임으로 진행되었다. 플레이어 9명은 제비뽑기를 통해 충신 6명과 반역자 3명으로 나뉘었다. 반역자는 서로의 정체를 알지만, 충신은 누가 반역자인지 알 수 없는 상태로 게임을 시작한다.

게임의 목표는 충신과 반역자가 서로 다르다.

  • 충신: 총 30개의 슬롯(A 트랙 15개, B 트랙 15개)에 1부터 1000까지의 숫자를 오름차순으로 채워야 한다. 두 트랙 모두 1000을 넘지 않게 30개 슬롯을 모두 채우면 충신 팀이 승리한다.
  • 반역자: 자신의 정체를 숨기면서 충신들이 숫자를 채우는 것을 방해해야 한다. 트랙에 일부러 높은 숫자를 내거나 잘못된 정보를 흘려 트랙의 숫자 합이 1000을 넘도록 유도하는 것이 목표이다. 단, 숫자를 제출할 때는 현재 트랙의 마지막 숫자보다 한 자릿수 높은 숫자까지만 낼 수 있다. (예: 마지막 숫자가 5이면, 10부터 99까지만 제출 가능)


게임은 라운드 방식으로 진행된다. 각 플레이어는 정해진 순서에 따라 딜러 룸에 들어가 숫자 4개를 받고, 이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트랙에 배치한다. 매 라운드가 끝나면 모든 플레이어는 투표를 통해 '왕'을 선출한다. 왕은 다음 라운드에 참여하지 못하고 투표권도 없는 플레이어 2명을 지목해 감옥에 보낸다.
승리 조건 및 결과

  • 충신 승리: 30개 슬롯을 모두 채웠을 때 두 트랙 모두 1000을 넘지 않으면 충신 팀이 승리한다. 충신 6명은 생명의 징표와 가넷 1개씩을 획득한다. 패배한 반역자 3명 중 2명이 탈락 후보가 된다.
  • 반역자 승리: 게임 도중 트랙 중 하나라도 1000을 넘으면 즉시 반역자 팀의 승리로 게임이 종료된다. 이때 충신에게는 마지막 기회가 주어진다. 감옥에 가지 않은 플레이어들이 투표로 최종 왕을 선출하며, 최종 왕은 무조건 생명의 징표를 받는다. 최종 왕은 2명을 감옥에 보내는데, 만약 감옥에 간 2명이 모두 반역자라면 충신 팀의 역전승이 된다. 이 경우 감옥에 간 반역자 2명이 데스매치에 진출한다. 만약 감옥에 간 사람 중 한 명이라도 충신이 있다면 반역자 팀의 최종 승리가 확정된다. 반역자 3명은 생명의 징표와 가넷 2개씩을 획득하고, 최종 왕을 제외한 충신 중에서 탈락 후보 1명을 지목한다.

게임 진행 및 결과딜러 룸에서 주어지는 숫자는 무작위가 아니라 π|파이grc의 소수점 아래 숫자 순서를 따랐다. 공교롭게도 반역자 팀이었던 최정문은 파이 값을 소수점 아래 100자리까지 암기하고 있었고, 이 정보를 충신 팀에게 공유했다. 이로 인해 반역자들은 자신이 받은 숫자에 대해 거짓말을 하기 어려워졌고, 충신 팀에게 매우 유리한 상황이 만들어졌다.

결과적으로 '''충신 팀'''(홍진호, 장동민, 오현민, 이준석, 최연승, 김경훈)이 승리하여 전원 생명의 징표와 가넷 1개씩을 획득했다. 패배한 반역자 팀(김경란, 김유현, 최정문) 중 김경란과 김유현이 탈락 후보로 선정되었다.
데스매치
평가'충신과 반역자' 게임은 이전 시즌들의 숨겨진 역할 게임(시즌 1 좀비 게임, 시즌 3 배심원 게임)과 마찬가지로 배신자 역할이 아닌 플레이어들이 승리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는 숨겨진 역할 게임이 소수의 배신자(반역자) 플레이어의 역량이나 상황에 따라 게임의 균형이 크게 좌우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4. 1. 6. 6회: 가넷도둑

6회 메인 매치는 가넷 매치인 가넷 도둑으로 진행되었다. 홍진호, 장동민, 오현민, 김경란, 김경훈 5명이 공동으로 승리하였다. 메인 매치 패자는 이준석이 되었고, 그는 데스 매치 상대로 최연승을 지목하였다. 데스 매치 게임은 모노레일이었으며, 이 대결에서 최연승이 패배하여 최종 탈락자가 되었다. 이번 회차에는 면제자가 없었다.

4. 1. 7. 7회: 시드포커

7회 메인 매치는 '시드포커'였다. 장동민이 우승하여 생명의 징표를 획득했으며, 오현민은 장동민에게 생명의 징표를 받아 면제되었다. 패자는 김경훈이었고, 김경훈은 데스 매치 상대로 최정문을 지목했다. 데스 매치는 '같은 그림 찾기'로 진행되었으며, 최정문이 패배하여 최종 탈락자가 되었다.

4. 1. 8. 8회: 마이너스 경매 II

8회 메인 매치는 '마이너스 경매 II'로 진행되었다. 홍진호가 우승하여 생명의 징표를 획득했고, 오현민은 게임 중 면제되어 자동으로 생존했다. 패자인 김경란은 데스 매치에 진출하여 장동민을 상대로 지목했다. 데스 매치 게임은 '귈! 합!'이었으며, 이 대결에서 패배한 김경란이 8번째 탈락자가 되었다.

4. 1. 9. 9회: 호러 레이스 II

9회 메인 매치는 '호러 레이스 II'였다. 게스트로 참여한 김풍장동민이 공동 우승했으며, 홍진호가 면제자를 획득했다. 메인 매치 패자는 김경훈이었고, 그는 이준석을 데스 매치 상대로 지목했다. 데스 매치 게임은 '콰트로'였으며, 대결 결과 이준석이 최종 탈락했다.

4. 1. 10. 10회: 협동홀덤

10회 메인 매치는 가넷 매치인 '공동 홀덤'이었다. 메인 매치 승자는 오현민이었으며, 면제자는 없었다. 메인 매치 패자는 홍진호였고, 그는 데스 매치 상대로 김경훈을 지목했다. 데스 매치 게임은 '양면 포커'였으며, 대결 결과 홍진호가 최종 탈락했다.

4. 1. 11. 11회: 하우머치

11회 메인 매치는 '얼마입니까'였다. 김경훈이 우승했으며, 면제자는 없었다. 오현민장동민이 패배하여 데스 매치에 진출했다. 데스 매치 종목은 '12장기'였으며, 오현민이 최종 탈락했다.

4. 1. 12. 12회: 결승전

12회는 장동민과 김경훈의 결승전으로 진행되었다. 결승전은 총 3개의 게임으로 구성되었으며, 진행된 게임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게임승자최종 결과
1라운드: 숫자 장기장동민장동민 1 : 0 김경훈
2라운드: 미스터리 사인장동민장동민 2 : 0 김경훈
3라운드: 베팅 흑과 백--



첫 번째 게임 숫자 장기와 두 번째 게임 미스터리 사인에서 모두 장동민이 승리하여 최종 스코어 2:0으로 더 지니어스: 그랜드 파이널의 최종 우승자가 되었다. 이에 따라 세 번째 게임으로 예정되었던 베팅 흑과 백은 진행되지 않았다. 김경훈은 준우승을 차지했다.

4. 2. 데스 매치

이번 시즌의 데스 매치는 미리 정해져 있었으며, 모두 이전 시즌들에서 진행되었던 게임들로 구성되었다. 각 데스 매치마다 두 플레이어는 딜러가 무작위로 게임을 선택하기 전에 특정 개수의 게임을 제외할 수 있었다. 1, 2화에서는 3개의 게임을, 3, 4, 5화에서는 2개의 게임, 6, 7, 8화에서는 1개의 게임을 제외할 수 있었다. 9화부터는 게임을 제외할 수 없었다.

시즌 4에서 사용된 데스 매치는 다음과 같다.

  • 흑과 백
  • 전략 윷놀이
  • 베팅! 가위바위보
  • 같은 숫자 찾기
  • 인디언 포커
  • 모노레일
  • 같은 그림 찾기
  • 결! 합!
  • 콰트로
  • 양면 포커
  • 십이장기

4. 2. 1. 1회: 흑과 백

1회 메인 매치는 'ID 교환'으로 진행되었다. 이상민이 우승하여 생명의 징표를 획득했고, 오현민은 면제자가 되었다. 메인 매치 패자는 유정현이었으며, 그는 데스 매치 상대로 이준석을 지목했다. 데스 매치 게임은 '흑과 백'으로 진행되었고, 대결 결과 유정현이 최종 탈락하였다.

4. 2. 2. 2회: 전략 윷놀이

2회 메인 매치는 가넷 매치인 '공포 레이스'였다. 이상민이 우승했고 김경란은 면제자가 되었다. 메인 매치 패자 임요환은 탈락 후보로 최연승을 지목했다. 이어진 데스 매치 '전술 윷놀이'에서 임요환이 패배해 최종 탈락했다.

4. 2. 3. 3회: 베팅 가위바위보

3회 메인 매치는 오늘의 메뉴로 진행되었다. 오현민이 우승하였고, 장동민은 면제자가 되었다. 메인 매치에서 패배한 이상민은 데스 매치 상대로 김경훈을 지목했다. 데스 매치 게임은 베팅 가위바위보였으며, 이 대결에서 이상민이 패배하여 최종 탈락하였다.

4. 2. 4. 4회: 같은 숫자 찾기

4회 메인 매치 '생선 가게'의 패자는 오현민이었다. 메인 매치 우승자는 최연승, 면제자는 이준석이었다. 패자인 오현민은 탈락 후보로 임윤선을 지목하였고, 두 사람은 데스 매치에서 '같은 숫자 찾기' 게임을 진행했다. 대결 결과, 임윤선이 최종 탈락자로 결정되었다.

4. 2. 5. 5회: 인디언 포커

5회 메인 매치는 '충신과 반역자'로 진행되었다. 메인 매치 결과, 홍진호, 장동민, 오현민, 이준석, 최연승, 김경훈이 승리하였다. 메인 매치 패자는 김경란과 김유현이었으며, 이 두 사람이 데스 매치에 진출하게 되었다. 데스 매치는 '인디언 포커'로 진행되었고, 대결 결과 김유현이 최종 탈락하였다.

4. 2. 6. 6회: 모노레일

메인 매치 '가넷 도둑'의 패자는 이준석이었으며, 그는 데스 매치 상대로 최연승을 지목했다. 데스 매치 게임은 모노레일이었고, 대결 결과 최연승이 최종 탈락했다.

4. 2. 7. 7회: 같은 그림 찾기

7회 메인 매치는 '씨앗 포커'로 진행되었다. 장동민이 우승하였고, 오현민은 면제자를 받았다. 메인 매치 패자는 김경훈이었으며, 그는 데스 매치 상대로 최정문을 지목하였다. 데스 매치 게임은 '같은 그림 찾기'였고, 이 대결에서 최정문이 패배하여 최종 탈락하였다.

4. 2. 8. 8회: 결! 합!

8회 메인 매치는 마이너스 경매 II로 진행되었다. 홍진호가 우승하였으며, 오현민은 면제자가 되었다. 패자는 김경란이었고, 그녀는 장동민을 데스 매치 상대로 지목했다. 데스 매치는 결! 합!으로 진행되었으며, 최종 결과 김경란이 탈락하였다.

4. 2. 9. 9회: 콰트로

9회 메인 매치는 '공포 레이스 II'로 진행되었다. 게스트 김풍장동민이 우승하였으며, 홍진호는 면제자가 되었다. 메인 매치에서 패배한 김경훈은 탈락 후보로 이준석을 지목하였다. 데스 매치 게임은 '콰트로'였으며, 김경훈과의 대결에서 이준석이 패배하여 9회 최종 탈락자가 되었다.

4. 2. 10. 10회: 양면포커

10회 메인 매치는 가넷 매치인 '공동 홀덤'으로 진행되었으며, 오현민이 우승하였다. 패자는 홍진호였고, 그는 데스 매치 상대로 김경훈을 지목하였다. 데스 매치 게임은 '양면 포커'였으며, 김경훈이 승리하여 홍진호가 최종 탈락하였다.

4. 2. 11. 11회: 십이장기

11회 메인 매치는 '얼마입니까'였다. 김경훈이 우승하였고, 오현민장동민이 공동 패자가 되었다. 면제자가 없어 패자인 오현민과 장동민이 자동으로 데스 매치에 진출했다. 데스 매치는 '십이장기'로 진행되었으며, 이 대결에서 오현민이 패배하여 최종 탈락하였다.

5. 에피소드 목록

wikitext

회차메인/가넷 매치메인/가넷 매치 승자면제자메인/가넷 매치 패자지목 대상데스 매치탈락자
1ID 교환이상민오현민유정현이준석흑과 백유정현
2공포 레이스 (가넷 매치)이상민김경란임요환최연승전술 윷놀이임요환
3오늘의 메뉴오현민장동민이상민김경훈베팅 가위바위보이상민
4생선 가게최연승이준석오현민임윤선같은 숫자 찾기임윤선
5충신과 반역자홍진호
장동민
오현민
이준석
최연승
김경훈
-김경란
김유현
-인디언 포커김유현
6가넷 도둑 (가넷 매치)홍진호
장동민
오현민
김경란
김경훈
-이준석최연승모노레일최연승
7씨앗 포커장동민오현민김경훈최정문같은 그림 찾기최정문
8마이너스 경매 II홍진호오현민김경란장동민귈! 합!김경란
9공포 레이스 II김풍 (게스트)
장동민
홍진호김경훈이준석콰트로이준석
10공동 홀덤 (가넷 매치)오현민-홍진호김경훈양면 포커홍진호
11얼마입니까김경훈-오현민
장동민
-12장기오현민
12결승전숫자 장기장동민김경훈
미스터리 사인
베팅 흑과 백*colspan="6" |



'''주석'''


  • 결승전 베팅 흑과 백: 이 게임은 장동민이 이미 다른 2개의 게임, 즉 숫자 장기와 미스터리 사인을 이겨 2:0으로 앞서고 있었기 때문에 최종 3번째 게임은 플레이되지 않았다. 이는 장동민의 최종 우승이 확정되었음을 의미한다.

6. 회차별 우승자 및 탈락자

승리데스매치
면제데스매치
승리1234567891011121장동민ININIMMINWINWINWINDMWININDM우승 (2:0)4122김경훈ININDMINWINWINDMINDMDMWIN준우승 (0:2)3043오현민IMMINWINDMWINWINIMMIMMINWIN탈락
(vs. 김경훈)김경훈4314홍진호ININININWINWININWINIMM탈락
(vs. 김경훈)장동민3105이준석DMININIMMWINDMININ탈락
(vs. 김경훈)김경훈1126김경란INIMMININDMWININ탈락
(vs. 장동민)장동민1117최정문ININININININ탈락
(vs. 김경훈)장동민0008최연승INDMINWINWIN탈락
(vs. 이준석)장동민2019김유현ININININ탈락
(vs. 김경란)김경훈00010임윤선INININ탈락
(vs. 오현민)김경훈00011이상민WINWIN탈락
(vs. 김경훈)김경훈20012임요환IN탈락
(vs. 최연승)김경훈00013유정현탈락
(vs. 이준석)장동민000총 가넷234549494769767590100132132
(1.32억)colspan="3" |



'''범례'''

style="background:limegreen; width:20px;" |메인 매치 우승 (WIN)style="background:khaki; width:20px;" |메인 매치 면제 (IMM)style="background:red; color:white; width:20px; text-align:center;" |데스 매치 진출 (DM)
style="background:crimson; color:white; width:20px; text-align:center;" |데스 매치 탈락style="background:#ffffff; border:1px solid #aaa; width:20px;" |생존 (IN)style="background:#FFFFCC; width:20px;" |탈락자가 아이템을 양도한 플레이어


7. 시청률

케이블 프로그램의 시청률이 통상적으로 1%를 넘기기 어렵다는 점을 감안할 때, 《더 지니어스: 그랜드 파이널》의 시청률은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평가받는다.

아래 시청률 표에서, 해당 프로그램의 최고 시청률은 '''빨간색''', 최저 시청률은 '''파란색'''으로 표기한다. (원본 소스 표기 방식이며, 위키텍스트에서는 '''굵은 글씨'''로 표시됨)

회차 #방영 날짜AGB 시청률온라인 시청률
12015년 6월 27일1.802%36.5%
22015년 7월 4일1.453%39.4%
32015년 7월 11일2.340%40.1%
42015년 7월 18일1.762%35.9%
52015년 7월 25일1.987%39.0%
62015년 8월 1일1.953%40.1%
72015년 8월 8일2.314%43.0%
82015년 8월 15일1.913%39.9%
92015년 8월 22일2.513%45.1%
102015년 8월 29일2.251%46.0%
112015년 9월 5일2.286%45.9%
122015년 9월 12일3.181%48.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