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봉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봉역은 서울특별시 중랑구에 있는 환승역으로, 1996년 서울 지하철 7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 2010년 중앙선과 경춘선이 신설되면서 환승역이 되었으며, 2017년 KTX 강릉선이 정차하면서 KTX 이용도 가능해졌다. 7호선, 경의·중앙선, 경춘선, KTX 강릉선이 지나며, 역 주변에는 상봉1·2동 행정복지센터, 이마트, 코스트코 등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망우선 - 수도권 전철 경춘선
수도권 전철 경춘선은 상봉역에서 춘천역까지 운행하는 광역철도 노선으로, 2010년 복선 전철 준공 이후 급행 및 ITX-청춘 열차 운행, 역 신설 등의 변화를 거쳐 현재는 수도권 전철 전동차가 청량리역까지 연장 운행한다. - 망우선 - 광운대역
광운대역은 서울 노원구 월계동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춘선 환승역으로, 1939년 연촌역으로 개통, 1963년 성북역으로 변경, 2013년 광운대역으로 역명 변경과 함께 경춘선 연장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3면 5선의 지상역이다. - 서울 중랑구의 전철역 - 신내역
신내역은 서울특별시 중랑구에 있는 경춘선과 서울 지하철 6호선 환승역으로, 2013년 경춘선이 먼저 개통하고 2019년 6호선이 개통되었으며, 중랑공영차고지, 서울의료원 등이 주변에 위치한다. - 서울 중랑구의 전철역 - 봉화산역
봉화산역은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동에 있는 서울 지하철 6호선 전철역으로, 2000년 개통하여 2면 3선 혼합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서울교통공사 신내차량사업소, 홈플러스 신내점, 서울의료원 등이 인접해 있다. - 수도권 전철 경춘선의 역 - 춘천역
춘천역은 강원도 춘천시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역으로, 수도권 전철 경춘선과 ITX-청춘이 정차하며, 1939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해 한국 전쟁 후 재건되었고, 2027년 춘천속초선 개통으로 교통 허브로 발전할 예정이다. - 수도권 전철 경춘선의 역 - 회기역
회기역은 서울 동대문구 회기동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2면 4선 쌍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1980년 영업을 시작하여 2005년 확장되었으며, 인근에 대학교와 다양한 시설이 위치해 있다.
상봉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상봉역 |
로마자 표기 | Sangbong-yeok |
한자 표기 | 上鳳驛 |
운영 기관 | 서울교통공사 한국철도공사 |
주소 | 서울특별시 중랑구 상봉동 115 |
개업일 | 1996년 10월 11일 (서울교통공사 7호선) 2010년 12월 21일 (한국철도공사 경춘선, 경의중앙선) |
부역명 |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
시설 정보 | |
승강장 | 5면 |
선로 | 7선 |
노선 정보 | |
수도권 전철 7호선 | 역 번호: 720 이전 역: 중화 다음 역: 면목 |
수도권 전철 경춘선 | 역 번호: K120 일부 열차: 이전 역: 광운대, 다음 역: 망우 대부분 열차: 다음 역: 망우 일부 열차: 이전 역: 중랑, 다음 역: 망우 급행 열차: 이전 역: 회기, 다음 역: 갈매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역 번호: K120 이전 역: 중랑 다음 역: 망우 |
망우선 | 이전 역: 광운대, 다음 역: 망우 |
이미지 | |
![]() | |
![]() | |
![]() | |
![]() |
2. 역사
상봉역은 1996년 10월 11일 서울 지하철 7호선 장암역~건대입구역 구간 개통과 함께 '''상봉(시외버스터미널)역'''으로 처음 영업을 시작했다. 이후 2010년 12월 21일 경의·중앙선(당시 중앙선)과 경춘선 승강장이 신설되면서 환승역이 되었다.[9][3]
2017년 12월 22일에는 강릉선 KTX가 정차하기 시작했으며, 2023년 12월 29일부터는 중앙선과 강릉선 복합열차도 운행하고 있다.[10] 한편, 2023년 11월 30일 인근 상봉시외버스터미널이 폐업함에 따라 2024년 1월 4일부로 7호선 역명의 부역명이었던 '시외버스터미널'이 삭제되었다.[11]
2. 1. 서울 지하철 7호선
1996년 10월 11일 서울 지하철 7호선 장암역~건대입구역 구간 개통과 함께 '''상봉(시외버스터미널)역'''으로 영업을 시작했다. 역 번호는 720이다. 개통 당시에는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소속이었으나, 2017년 5월 31일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와 서울메트로가 통합되면서 서울교통공사 소속으로 변경되었다.2023년 11월 30일 인근의 상봉시외버스터미널이 운영을 종료함에 따라, 2024년 1월 4일부로 7호선 역명의 부역명인 '시외버스터미널'이 삭제되었다.[11]
2. 2.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및 경춘선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는 수도권 전철 노선들이 정차한다. 경의·중앙선과 경춘선은 같은 승강장을 사용하며 역 번호도 '''K120'''으로 동일하다. 또한 중앙선을 경유하는 강릉선 KTX 열차가 정차한다.날짜 | 내용 |
---|---|
2010년 12월 21일 | 경의·중앙선 및 경춘선 승강장 신설 개통 및 환승역이 됨.[9][3] |
2012년 2월 28일 | ITX-청춘 운행 개시와 함께 경춘선 급행열차 폐지. |
2013년 11월 4일 | 망우선 경유 광운대역행 경춘선 열차 운행 개시 (1일 2회). |
2015년 | 경의·중앙선 및 경춘선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 완료. |
2016년 9월 26일 | 경춘선 일부 열차 청량리역으로 연장 운행 개시. |
2017년 12월 22일 | 강릉선 KTX 정차 개시. KTX 전용 승강장은 망우역과 연결됨. |
2023년 12월 29일 | 중앙선 및 강릉선 복합열차 운행 개시.[10] |
2. 3. KTX 강릉선
2017년 12월 22일부터 경강선 직통 노선의 KTX가 상봉역에 정차하기 시작했다. 이때 강릉선 KTX 전용 승강장이 개설되었으며, 이 승강장은 망우역과 연결된다. 2023년 12월 29일부터는 중앙선과 강릉선 KTX 복합열차가 운행을 시작했다.[10]상봉역에 정차하는 KTX는 한국철도공사 소속이며, 중앙선 노선 중 경강선으로 직통하는 계통만 해당된다.
2. 4. 기타
- 1996년 10월 11일 : 서울 지하철 7호선 장암역~건대입구역 구간 개통과 함께 '''상봉(시외버스터미널)역'''으로 영업을 시작함.
- 2010년 12월 21일 : 경의·중앙선 (당시 중앙선) 및 경춘선 (당시 망우선) 승강장이 신설되어 환승역이 됨.[9]
- 2012년 2월 28일 : ITX-청춘 운행 시작과 함께 경춘선 급행열차 운행이 폐지됨.
- 2013년 11월 4일 : 광운대역행 경춘선 열차 운행을 시작함 (1일 2회).
- 2015년 : 경의·중앙선 및 경춘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를 설치함.
- 2016년 9월 26일 : 경춘선 일부 열차가 청량리역까지 연장 운행을 시작함.
- 2017년 12월 22일 : 강릉선 KTX 정차를 시작함. KTX 전용 승강장은 망우역과 연결됨.
- 2023년 12월 29일 : 중앙선과 강릉선 복합열차 운행을 시작함.[10]
- 2024년 1월 4일 : 상봉시외버스터미널이 2023년 11월 30일 폐업함에 따라 서울 지하철 7호선 부역명 '시외버스터미널'이 삭제됨.[11]
3. 역 구조
서울 지하철 7호선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및 수도권 전철 경춘선 승강장은 섬식 2면 4선과 단식 1면 1선을 합친 3면 5선 구조의 고가역이다. 모든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서울 지하철 7호선 승강장은 열차와 승강장 사이의 간격이 넓으므로 승하차 시 발이 빠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3. 1. 7호선 승강장
서울 지하철 7호선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 구조를 가진 지하역이다. 스크린도어는 풀스크린 타입으로 설치되어 있다. 열차와 승강장 사이의 간격이 넓어 승하차 시 발 빠짐에 주의해야 한다.개찰구는 북쪽(중화역 방면)과 남쪽(면목역 방면)에 각각 위치하며, 화장실은 북쪽 개찰구 바깥에 있다. 출입구는 1번부터 6번까지 총 6개가 있다. 안내방송 등에서는 별도의 승강장 번호를 사용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