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카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덴카이는 1588년 무사시국 호쿠인(현재 사이타마현 가와고에시 기타인)에 머물면서 활동을 시작한 승려로,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참모로서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활약하고, 이후 조정과의 교섭 등 역할을 담당했다. 1607년 히에이산 단다이에 취임하여 엔랴쿠지 재건에 힘썼으며, 1612년 기타인을 재건하여 간토 천태종의 본산으로 삼았다. 1616년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신고를 '도쇼 다이곤겐'으로 결정하는 데 관여했고, 2대, 3대 쇼군을 섬기며 간에이지 창건, 에도의 도시계획에도 참여했다. 1643년 108세의 나이로 입적했으며, 이후 자안대사라는 시호를 받았다. 덴카이는 장수와 기지로 유명하며, 아케치 미쓰히데와 동일 인물이라는 설 등 다양한 출신 관련 설이 존재한다. 덴카이는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 등장하며, 린노지, 기타인, 오쓰시에 묘소가 있다.
1588년 무사시국(현재의 사이타마현) 무량수사 북원(기타인)에 오면서 덴카이의 행적이 명확하게 드러난다.[11] 에도자키 후도인을 겸임했고, 센소지 기록에 따르면 호조씨 공격 때 센소지 주지 추고와 함께 도쿠가와 이에야스 진영에 있었다. 간토에 온 것이 이에야스를 위해서였는지는 의문스럽지만, 1599년 기타인의 주지가 되었다.[12]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에도를 막부의 본거지로 정할 때, 덴카이는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승리한 이에야스에게 조언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 덴카이는 이즈에서 시모사까지 간토 지역의 지세를 조사하고, 고대 중국의 음양오행설에 있는 "사신상응" 사상을 바탕으로 에도가 막부의 본거지에 적합하다고 판단했다.[1]
덴카이는 장수와 뛰어난 기지로 유명하여 그와 관련된 여러 일화와 이설들이 전해진다.
2. 생애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덴카이는 이에야스의 참모로 조정과의 교섭 등을 담당했다.[11] 1607년 히에이 산 단다이에 취임하여 엔랴쿠지(현재의 시가현 오쓰시) 재건에 힘썼고,[11] 1612년 기타인 재건에 착수, 간토 천태종의 본산으로 삼았다. 1613년 이에야스에게 닛코 산 간주(貫主)로 임명받아 고묘인을 재건했으며,[12] 오사카 전투의 발단이 된 호코지 종명 사건에도 깊숙이 관여했다.
1616년 이에야스가 위독해지자 덴카이는 신호(神號)와 장례 절차에 관한 유언을 맡았다.[13] 이에야스 사후, 신호를 두고 이신 숭전, 혼다 마사즈미 등과 다퉜는데, 덴카이는 산노이치지쓰신토에 따라 권현으로 제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2대 쇼군 히데타다에게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내려진 도요쿠니 다이묘진 신호 이후 도요토미 씨가 멸망한 것을 예로 들며 묘진은 불길하다고 조언하여, 결국 이에야스의 신호는 도쇼 다이곤겐으로 결정되었다.
이후에도 2대 쇼군 도쿠가와 히데타다와 3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미쓰를 섬겼고, 1624년 시노부가오카에 간에이지를 창건했다. 에도 도시계획에도 관여하여 음양도와 풍수에 기초한 설계를 했다.
1643년 108세로 입적했으며,[4] 5년 뒤 조정으로부터 자안대사 호를 추증받았다.
2. 1. 출신 및 초기 생애
덴카이의 출신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동예산 개산 자안대사 연기』에는 "무쓰국 아이즈군 타카다의 고향에서 태어나 아시나 수리 대부 타이라 모리타카의 일족"이라고 기록되어 있어, 미우라 씨의 일족인 아시나 씨 출신으로 무쓰국에서 태어났다고 여겨진다.[1] 그러나 이 연기에는 "속씨의 일에 대해 사람들이 물었지만, 씨와 성도 나이와 함께 잊어버려 알 수 없다"고 하여, 덴카이는 자신의 출신을 제자들에게 말하지 않았다고 한다. 또한, "장군 요스미의 마지막 아들이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고 하여 아시카가 쇼군가의 사생아 설도 함께 실려 있다.[1] 심지어는 모습을 바꾸어 살아남은 아케치 미쓰히데라는 설까지 있다.(덴카이=아케치 미쓰히데 설)[1]
스도 미쓰테루는 여러 문헌을 비교 검토하여 아시나 씨의 사위인 후나키 효부쇼유 케이코의 아들이라고 결론지었다.[2]
덴카이의 출생 연도는 확실하지 않지만, 100세 이상 장수를 누렸다고 전해진다. 오즈키 타카스케의 일기 『타카스케 숙녜 일차기』에는 덴카이가 간에이 9년 4월 17일(1632년 6월 4일)에 닛코 도쇼궁 야쿠시도 호케경 만부 공양의 도사를 맡았다는 기사가 있는데, 이때 덴카이는 97세(만 나이)였다고 한다. 이를 따르면 출생 연도는 덴분 5년(1536년)으로 추정되며, 사망 연도는 107세(만 나이 108세)가 된다. 이 외에 『우에스기 장사 서상』에 따른 에이쇼 7년(1510년) 외에, 교로쿠 3년(1530년), 덴분 11년(1542년), 덴분 23년(1554년)이라는 설이 있다. 하지만 이들은 비교적 신뢰도가 낮은 사료에 근거하고 있다고 여겨진다.[3] 스도 미쓰테루는 12가지 출생 연도 설을 비교 검토한 후, 덴분 5년 설을 타당하다고 보고 있다.[2]
앞서 언급했듯이 무쓰국 아이즈 출신으로 전해지지만, 전반생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4] 류코지에서 '''즈이후'''라는 법명으로 출가한 후, 14세에 시모츠케국 우쓰노미야의 고카쿠지의 고슌에게 사사하여 텐다이종을 배우고 오미국의 히에이 산엔랴쿠지나 온조지, 야마토국의 고후쿠지 등에서 학문을 깊이 했다고 한다. 겐키 2년(1571년), 오다 노부나가에 의한 히에이 산 소토를 당하자 다케다 신겐의 초빙을 받아 가이국으로 이주한다. 그 후, 아시나 모리우지의 초빙을 받아 구로카와 성(와카마츠 성)의 이나리도에 살았으며, 더욱이 고즈케국의 초라쿠지를 거쳐 덴쇼 16년(1588년)에 무사시국의 무량수사 북원(현재의 사이타마현가와고에시. 훗날의 기타인)으로 옮겨, '''텐카이'''를 칭했다고 한다.
2. 2. 무사시 국에서의 활동
덴카이의 행적이 명확하게 드러나는 것은 1588년(덴쇼 16년) 무사시국(현재의 사이타마현)의 무량수사 북원(기타인)에 오면서부터이다.[11] 이때, 에도자키 후도인을 겸임했다. 센소지에 남아있는 기록에 의하면, 호조씨의 공격 때 덴카이는 센소지의 주지 추고와 함께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진영에 있었다고 한다. 이 시점에서 덴카이가 간토에 온 것은 애초부터 이에야스를 위해서였는지 의문스럽다. 덴카이가 기타인의 주지가 된 것은 1599년(게이초 4년)의 일이다.[12]
2. 3.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측근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덴카이는 참모로서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보좌하였다. 그 후, 이에야스의 측근으로 조정과의 교섭 등의 역할을 담당했다.[11] 1607년 히에이 산 단다이에 취임하여, 엔랴쿠지(현재의 시가현 오쓰시) 재건에 힘썼다.[11] 1612년에는 기타인 재건에 착수하고 간토 천태종의 본산으로 삼았다. 1613년에는 이에야스로부터 닛코 산 간주(貫主)로 임명받아 고묘인을 재건했다.[12] 오사카 전투 발단이 된 호코지 종명 사건에도 깊숙이 관여하였다.
2. 4. 이에야스 사후
겐나 2년(1616년)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위독해지자, 덴카이는 그해 4월 대승정이 된 덴카이 등에게 신호(神號)와 장례 절차에 관한 유언을 맡겼다.[13] 이에야스 사후, 덴카이는 신호를 두고 이신 숭전, 혼다 마사즈미 등과 다퉜다. 덴카이는 "권현"으로, 자신의 종교인 산노 이치지쓰 신도로 제사 지낼 것을 주장했고, 숭전은 이에야스의 신호를 "묘진"으로 하여 요시다 신도로 제사 지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덴카이는 2대 쇼군 도쿠가와 히데타다에게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도요쿠니 다이묘진이라는 신호가 내려진 후 도요토미 씨가 멸망한 것을 예로 들며 묘진은 불길하다고 조언했다. 결국 이에야스의 신호는 "도쇼 다이곤겐"으로 결정되었고, 이에야스의 유해는 구노산에서 닛코산으로 옮겨졌다.
2. 5. 만년
그 후에도 2대 쇼군 도쿠가와 히데타다와 3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미쓰를 섬겼고, 간에 원년(1624년) 시노부가오카에 간에이지를 창건했다. 에도의 도시계획에도 관여하여, 음양도와 풍수에 기초한 설계를 했다. 전설에 따르면 에도의 진호(鎮護)를 위해 오색부동을 세웠다고 하나, 오색부동이라는 말 자체가 후대에 지어진 말로 사실이 아니다.
자의 사건 등으로 죄를 받은 사람들의 특사를 자주 청원하여, 오쿠보 타다치카, 후쿠시마 마사노리, 도쿠가와 타다나가 등의 사면을 청원했다. 이는 린노지노미야가 특사를 청원하는 관례의 기초가 되었다고 한다.[3] 호리 나오요리, 야규 무네노리와 함께 다쿠앙 소호의 사면에도 힘썼다.
간에 20년(1643년) 108세로 입적했다.[4] 그 후 5년 뒤 조정으로부터 자안대사 호를 추증받았다.
덴카이는 생전에 일본에서의 일체경(대장경)의 인쇄와 출판을 기획했다.[4] 게이안 원년(1648년)에는 덴카이가 착수한 『간에이지 판(덴카이 판) 대장경』이 막부의 지원으로 완성되었다. 덴카이에 의한 이러한 경전의 출판은 일본의 인쇄 문화사상 가장 중요한 업적 중 하나로 꼽힌다.[4] 덴카이가 제작한 방대한 목제 활자(덴카이 판 목활자)는 26만 개 이상이 현존하고 있다.[4]
3. 덴카이의 에도 설계
"사신상응"이란 동쪽에 강, 서쪽에 낮은 산이나 길, 남쪽에 호수나 바다, 북쪽에 높은 산이 있는 땅이 번성한다는 믿음이다. 덴카이는 동쪽에 스미다강, 서쪽에 도카이도, 북쪽에 후지산, 남쪽에 에도 만이 있어 에도가 사신상응에 적합하다고 생각했다.[1] 후지산은 실제로는 "북"(진북)에서 112도 벗어나 있지만, 덴카이를 비롯한 당시 에도 사람들은 후지산을 북쪽으로 간주하여 에도를 사신상응에 적합하다고 여겼다.[1] 에도 성의 오테몬 방향이 "북"에서 벗어난 것도 이 때문이라고 한다.[1]
덴카이는 또한 에도에 있는 우에노, 혼고, 고이시카와, 우시고메, 고지마치, 아자부, 시로카네의 7개 대지의 끝이 연장되는 지점에 에도 성의 혼마루를 두도록 조언했다.[1] 음양도 지식으로 지형 중심에 주변 기운이 모이는 것을 노린 것이다.[1]
에도 성 위치 결정 후, 도도 다카토라 등이 중심이 되어 에도 성과 해자 설계를 진행했지만, 덴카이는 사상·종교적인 면에서 설계에 관여했다.[1] 에도 성 공사는 간에이 17년(1640년)에 완료되었는데, 덴카이는 에도 도시 계획 초기부터 완성까지 50년 가까이 관여했다.[1]
덴카이는 에도 성 내부를 와권식 "の"자 형태 구조로 하고, 성을 둘러싼 해자를 나선형 "の"자 형태로 만들 것을 조언했다.[1] "の"자 형태 구조는 성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마을이 확대되는 것을 의도했지만, 그 외에도 적을 성에 접근하기 어렵게 하고, 화재 시 연소 확산을 방지하며, 물자를 배로 운반하기 쉽게 하고, 해자 공사로 얻은 토사를 해안 매립에 이용하는 등의 이점도 있었다.[1]
덴카이는 에도 성의 북동쪽과 남서쪽 방위에 있는 "귀문"·"뒤 귀문"을 중시하여, 귀신을 막기 위한 장치를 고안했다.[1] 에도 성 북동쪽에 간에이사를 짓고 주지를 맡았다. 간에이 사 사호 "도에이산"은 동쪽의 히에이 산을 의미하며, 헤이안 시대 귀문을 지킨 히에이 산 엔랴쿠지를 본떠 시노바즈 연못을 만들고, 연못 안 나카노시마에 벤자이텐을 모시는 등 간에이 사가 히에이 산과 같은 역할을 하도록 했다.[1]
덴카이는 간에이 4년(1627년) 간에이 사 옆에 우에노 도쇼구를 건립,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모시고, 간다 묘진을 현재 유시마로 옮기고, 아사쿠사 사에서 이에야스를 도쇼 다이곤겐으로 모시는 등[8] 에도 성 귀문 진호를 강화했다.[1]
에도 성 남서(뒤 귀문)에는 조조지에 2대 쇼군 도쿠가와 히데타다를 장사지내고 도쿠가와 가문 보제 사찰로 삼았으며, 히에 신사를 옮기는 등 진호를 의도했다.[1]
간다 신사 간다 마쓰리, 아사쿠사 신사 산자 마쓰리, 히에 신사 산노 마쓰리는 에도 3대 축제로, 덴카이는 축제에 에도 성 귀문과 뒤 귀문을 정화하는 의미를 부여했다.[1] 에도 성 위치는 간에이 사·간다 신사와 조조지를 잇는 직선, 아사쿠사 사와 히에 신사를 잇는 직선이 교차하는 지점에 있었다.[1]
덴카이는 에도를 진호하기 위해 음양도 외 방법도 사용하여, 주요 간선 도로와 "の"자 형태 해자가 교차하는 지점, 성문과 망루가 있는 요지에 다이라노 마사카도를 모신 신사나 묘를 설치했다.[1] 마사카도의 목 무덤은 오슈 가도로 통하는 오테몬, 간다 신사는 조슈 가도로 통하는 간다바시몬, 토리고에 신사는 오슈 가도로 통하는 아사쿠사바시몬, 쓰쿠도 하치만 신사는 나카센도로 통하는 우시고메몬, 아부미 신사는 고슈 가도로 통하는 요쓰야몬, 가부토 신사는 도카이도로 통하는 도라노몬에 배치하여, 가도에서 사기가 들어오는 것을 막으려 했다.[1]
4. 덴카이에 관한 일화 및 이설
덴카이의 출신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동예산 개산 자안대사 연기』에 따르면, 덴카이는 무쓰국 아이즈군 다카다에서 태어나 아시나 수리 대부 타이라 모리타카의 일족인 미우라 씨 출신이라고 한다.[1] 그러나 이 책에는 덴카이가 자신의 출신에 대해 제자들에게 말하지 않았다는 내용도 함께 기록되어 있다.[1] 또한, 아시카가 요시즈미의 사생아라는 설도 있다.[1] 심지어 아케치 미쓰히데와 동일 인물이라는 설도 존재한다 (덴카이=아케치 미쓰히데 설).[1]
스도 미쓰테루는 여러 문헌을 비교 검토하여 덴카이가 아시나 씨의 사위인 후나키 효부쇼유 케이코의 아들이라고 결론지었다.[2]
덴카이의 출생 연도는 확실하지 않지만, 100세 이상 장수했다고 전해진다. 오즈키 타카스케의 일기 『타카스케 숙녜 일차기』에 따르면, 덴카이는 1632년 닛코 도쇼궁에서 97세(만 나이)였다고 한다. 이를 바탕으로 덴카이의 출생 연도를 1536년으로 추정하기도 한다.[3]
덴카이와 관련된 일화는 다음과 같다.
덴카이의 출신이 불분명하여 소설 등에서는 아시카가 요시하루의 아들이라는 설이나 아케치 미쓰히데와 동일 인물이라는 설도 제기되었다.
5. 대중문화 속의 덴카이
- 사쿠라 대전 게임에서 주요 악당으로 등장한다.[14]
- 비디오 게임 ''용과 같이 유신!''에서 전반적인 2차 악당이자 최종 보스로 등장한다.[14]
- 게임 ''전국 바사라 3''와 애니메이션 전국 바사라 The Last Party에서 덴카이는 수수께끼 같은 말을 하며 쌍날을 휘두르는 승려로 묘사된다. 덴카이는 게임과 애니메이션 전작의 아케치 미쓰히데의 모델을 재활용한 것이다. 세 번째 게임의 ''UTAGE'' 업그레이드 이후, 이 시리즈는 덴카이와 미쓰히데를 동일 인물로 설정했다.[14]
- ''오니무샤 시리즈''에서 아케치 사마노스케는 ''오니무샤 새벽의 꿈''에서 덴카이의 정체를 드러낸다.[14]
- 비디오 게임 ''진 여신전생 4''에서 덴카이는 주인공 일행이 도쿄의 후반부에 도달하면 국가 방위 신으로 등장한다.[14]
- 애니메이션과 라이트 노벨 ''염의 미라주''에서 덴카이의 이름은 이야기의 중요한 부분에서 언급되며, 수세기 전에 그가 외웠던 오래된 주문이 우에스기 카게토라 경과 그의 팀이 봉건 지하 세계와 살아있는 세계를 장악하려는 적들을 막는 열쇠가 된다.[14]
- 모바일 게임 페이트/그랜드 오더에서 GUDAGUDA 제국 성배 이벤트의 적대자로 등장한다. 그는 진짜 아케치 미쓰히데이며, 곧 자신의 정체를 드러낸다.[14]
- 게임 ''Nioh''와 ''Nioh 2''에 등장하며, 두 게임 모두에서 불교 승려이자 강력한 음양사로 등장하여 두 게임의 주인공을 돕는다. 덴카이가 등장하는 대부분의 허구 작품과 마찬가지로 그의 진짜 정체는 아케치 미쓰히데이다. 게임에서 오다 노부나가에 대한 그의 배신은 후속작의 적대자인 카신 코지의 조작으로 인한 것이며, 그는 자신의 죄를 뉘우치기 위해 "덴카이"라는 승려가 되었다.[14]
6. 묘소
린노지와 키타인에는 국가 중요문화재로 지정된 덴카이의 묘소인 자안당이 있다. 오쓰시 사카모토에도 덴카이의 묘소인 자안당이 있으며, 시가현 지정 문화재이다.
참조
[1]
뉴스
江戸を大都市にした天海は、何を仕掛けたのか
http://shuchi.php.co[...]
PHPビジネスオンライン衆知
2013-03-28
[2]
서적
大僧正天海
冨山房
大正5年
[3]
서적
日本の歴史 江戸開府
中公文庫
[4]
웹사이트
東叡山寛永寺
https://www.tnm.jp/c[...]
東京国立博物館
2019-10-28
[5]
문서
[6]
웹사이트
【戦国こぼれ話】現在は学者受難の時代?戦国時代は重要だった知識人たち!(渡邊大門)
https://news.yahoo.c[...]
Yahoo!ニュース
2020-10-05
[7]
웹사이트
日光ウォーキングガイド
http://www.nikko-kan[...]
日光旅ナビ
2021-12-04
[8]
문서
[9]
웹사이트
絵画に描かれた関ヶ原合戦
http://www.sengoku-e[...]
関ヶ原合戦400年記念「戦国博」-情報・デザインミュージアム-
[10]
문서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