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고온천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고온천역은 충청남도 아산시에 있는 장항선의 철도역이다. 1922년 선장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1972년 현재의 역명으로 변경되었다.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이며, 인근의 도고온천과 가까운 곳으로 이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산시의 건축물 - 이순신종합운동장
이순신종합운동장은 위키백과 문서의 구조, 목차 작성 지침, 좋은 목차 예시, 추가 설명을 다루며, 제목, 개요, 본문으로 구성되고 목차는 항목 구성, 단계 표시, 한국의 관점을 반영한다. - 아산시의 건축물 - 아산고속버스터미널
충청남도 아산시에 위치한 아산고속버스터미널은 동양고속이 서울경부 및 인천 방면 고속버스 노선을 운행하며, 서울 노선은 아산테크노밸리와 둔포를, 각 행선지는 서부휴게소, 배방정류소, 천안아산역 또는 천안을 경유한다. - 을종위탁발매소 - 신길역
신길역은 서울 영등포구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5호선의 환승역으로, 각 노선은 지상/지하에, 쌍상대식/상대식 승강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역 주변에는 여러 교육기관과 공공시설이 자리 잡고 있다. - 을종위탁발매소 - 도원역
도원역은 인천광역시 동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 지상역으로, 1994년 개통되었으며, 주변에 교육, 체육 시설과 편의시설이 위치해 있고, 완행 열차는 모든 승강장에, 급행 및 특급 열차는 일부 승강장에 정차한다. - 장항선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은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자 수도권 전철의 핵심 노선으로, 1974년 개통 이후 경원선, 경부선, 경인선, 장항선 등 여러 노선을 경유하며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하고 완행 및 급행 열차를 운행한다. - 장항선 - 대야역
대야역은 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에 위치한 장항선의 철도역으로, 무궁화호가 정차하며 2면 3선의 지상역 형태를 갖추고 있고, 과거 화물도 취급했으나 현재는 여객 운송만 담당한다.
도고온천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도고온천역 |
모국어 표기 | 도고온천 |
한자 표기 | 道高溫泉驛 |
읽기 | トゴオンチョン |
로마자 표기 | Dogo oncheon |
소속 노선 | 장항선 |
이전 역 | 신창* |
다음 역 | 신례원 |
역간 거리 (이전 역) | 5.5 |
역간 거리 (다음 역) | 4.5 |
소재지 | 충청남도아산시 도고면 柿田里 364번지 |
소속 사업자 | 한국철도공사 |
역 종류 | 보통역 |
역 등급 | 3급 |
기점으로부터의 거리 | 25.2km |
기점역 | 천안 |
역 구조 | 고가역 |
승강장 | 섬식 승강장 2면 4선 |
승차 인원 (2009년) | 113 |
승강 인원 (2009년) | 229 |
개업일 | 1922년 6월 15일 |
기타 정보 | |
관할 | 한국철도공사 대전충청본부 홍성관리역 |
종별 | 무배치간이역(을종위탁발매소) |
위탁 | 코레일네트웍스 역무 위탁 |
단말기 | 077 |
영업 거리 | 천안 기점 25.2km |
전역 거리 | 5.8 |
후역 거리 | 4.5 |
이미지 | |
![]() | |
![]() | |
![]() |
2. 역사
1922년 6월 15일: 선장역이라는 이름으로 도고면 신언리에서 간이역 영업 시작[4]
1950년 4월 1일: 배치간이역으로 격하
1951년 8월 1일: 보통역으로 승격[5]
1967년 9월 6일: 구 역사 준공
1972년 7월 1일: 현재 역명(도고온천역)으로 변경
1994년 1월 20일: 학성역 원격제어 운전취급역 지정
1997년 7월 1일: 학성역 관리역으로 지정
2001년 6월 1일: 장항선 특정통일호 에드몬슨 승차권 발매 중단 및 장항선 전 통일호 열차 전산화 시행
2006년 11월 15일: 화물취급 중지[6]
2007년 12월 21일: 장항선 직선화 개통과 함께 도고면 시전리로 이전
2008년 1월 15일: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 및 을종위탁발매소로 전환
2. 1. 개요
1922년 6월 15일 선장역이라는 이름으로 도고면 신언리에서 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4] 1950년 4월 1일 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가, 1951년 8월 1일 보통역으로 승격되었다.[5] 1967년 9월 6일 구 역사가 준공되었고, 1972년 7월 1일 현재 역명으로 변경되었다.1994년 1월 20일 학성역 원격제어 운전취급역으로, 1997년 7월 1일에는 학성역 관리역으로 지정되었다. 2001년 6월 1일 장항선 특정통일호 에드몬슨 승차권 발매가 중단되고 장항선 전 통일호 열차 전산화가 시행되었다. 2006년 11월 15일 화물취급이 중지되었으며,[6] 2007년 12월 21일 장항선 직선화 개통과 함께 도고면 시전리로 이전하였다. 2008년 1월 15일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 및 을종위탁발매소로 전환되었다.
2. 2. 이전 역사
- 1922년 6월 15일 : 선장역이라는 이름으로 도고면 신언리에서 간이역으로 영업 개시[4]
- 1950년 4월 1일 : 배치간이역으로 격하
- 1951년 8월 1일 : 보통역으로 승격[5]
- 1967년 9월 6일 : 구 역사 준공
- 1972년 7월 1일 : 현재 역명(도고온천역)으로 변경
- 1994년 1월 20일 : 학성역 원격제어 운전취급역 지정
- 1997년 7월 1일 : 학성역 관리역으로 지정
- 2001년 6월 1일 : 장항선 특정통일호 에드몬슨 승차권 발매 중단 및 장항선 전 통일호 열차 전산화 시행
- 2006년 11월 15일 : 화물취급 중지[6]
- 2007년 12월 21일 : 장항선 직선화 개통과 함께 도고면 시전리로 이전
- 2008년 1월 15일 :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 및 을종위탁발매소로 전환
옛 도고온천역(선장역, 주소: 충남 아산시 선장면 신성리 264-2)은 아산 레일바이크의 반환 지점이다. 왕복 4.8km 구간의 낭만적인 시골 풍경들을 감상할 수 있다.
3. 역 구조
도고온천역은 2면 4선의 고가역이다.
3. 1. 승강장
승강장은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으로 운용된다.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고가역이다.
4. 역 주변
이전 역사에서 볼 수 있었던 상점이나 음식점은 거의 없다. 약간 떨어진 곳에 아침 식사 시간부터 영업하는 식당이 한 곳 있다. 역 안에는 과자나 음료 등을 판매하는 코너가 있으며, 판매는 역무원이 겸임하고 있다.
역 앞에는 버스 정류장과 택시 승강장이 있다. 버스는 대략 1시간에 1~2대 운행된다. 이전 후에는 역전에 택시가 상주하지 않는 것 같아 전화로 택시를 불러야 한다. 차량 정류소 앞에 전화번호가 적힌 표지판이 있다.
도고온천까지의 거리는 역이 온천 거리에 가까운 곳으로 이전했기 때문에, 이전에 비해 훨씬 가까워졌다(택시로 10~15분 정도).
5. 인접한 역
참조
[1]
문헌
전차 운행에 따른 무궁화호 등의 열차 무정차
[2]
문헌
코레일네트웍스 역무 위탁
[3]
문헌
무궁화 1555 열차 및 일부 특별 편성 열차 도고온천역 무정차 통과
[4]
간행물
사설철도운수영업개시
조선총독부관보
1922-06-21
[5]
간행물
철도청고시 제38호
대한민국관보
1987-12-29
[6]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6-400호
대한민국관보
2006-09-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