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안역은 1905년 영업을 시작하여 1922년 장항선이 개통되었고, 1958년 역사가 준공되었다. 수도권 전철 1호선 연장 및 ITX-새마을, ITX-마음 등 다양한 열차의 운행이 이루어지며, 경부선과 장항선이 교차하는 주요 철도역이다. 4면 8선의 지상역으로, 동부와 서부로 나뉘어 경부선, 장항선, 수도권 전철 1호선 열차를 취급하며, 과거 안성선이 운행되기도 했다. 주변에는 천안시청, 터미널, 학교 등 다양한 시설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천안시의 전철역 - 성환역
성환역은 충청남도 천안시 성환읍에 위치한 경부선 철도역으로, 1905년 개업 후 청일전쟁 격전지라는 역사적 배경과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 및 KTX 정차를 통해 교통 편의성이 향상되었으나, 시설 노후화 및 부역명 관련 논란이 있다. - 천안시의 전철역 - 쌍용역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 쌍용역은 2008년 개업한 지상 고가역으로, 상대식 승강장과 주변에 대형 쇼핑 시설, 교육 기관, 관공서 등이 위치해 있으며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승차 인원 회복세를 보이고 봉명역과 천안아산역 사이에 있다. - 충청남도의 철도역 - 웅천역
충청남도 보령시 웅천읍에 위치한 웅천역은 1931년 영업을 시작해 2021년 장항선 직선화로 고가역이 되었으며, 현재 무궁화호, ITX-새마을이 정차하는 2면 4선의 철도역이다. - 충청남도의 철도역 - 논산역
논산역은 충청남도 논산시에 있는 철도역으로, 1911년 영업을 시작하여 1965년 재건되었으며, 1988년 현재의 역사가 준공되었고, KTX,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열차가 정차한다. -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 남영역
남영역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지상역으로, 1974년 개통되었으며, 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경부선과 경원선을 연결하는 중요한 환승 거점 역할을 한다. -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 용산역
용산역은 대한민민국의 철도역으로, KTX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후 용산역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의 주요 출발역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선, 경원선과 같은 열차를 포함한 다양한 고속 및 일반 열차를 운행하며, 대형 복합쇼핑몰인 아이파크몰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천안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천안역 |
한자 표기 | 天安驛 |
로마자 표기 | Cheonannyeok |
역 번호 | P169 |
주소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대흥로 239 (대흥동 57-1) |
좌표 | 36°48′33″N 127°08′40″E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통계 | |
일일 승객 수 (2012년) | 한국철도공사: 20,395명 수도권 전철 1호선: 19,149명 |
연간 승차 인원 (2009년) | 19,471명 |
연간 승강 인원 (2009년) | 38,033명 |
노선 정보 | |
노선 | 경부선 장항선 수도권 전철 1호선 (천안직결선, 장항선) |
역 종류 | 관리역 |
역 등급 | 1급 |
플랫폼 | 4면 8선 |
구조 | 지상역 (교상역) |
개업일 | 1905년 1월 1일 수도권 전철 1호선: 2005년 1월 20일 |
경부선 정보 | |
영업 거리 (서울 기점) | 96.6 km |
이전 역 | 두정역 |
이전 역 거리 | 3.1 km |
다음 역 | 소정리역 |
다음 역 거리 | 10.8 km |
수도권 전철 1호선 정보 | |
영업 거리 (두정역 기점) | 3.1 km |
이전 역 | 두정역 |
이전 역 거리 | 3.1 km |
다음 역 | 봉명역 |
다음 역 거리 | 1.3 km |
장항선 정보 | |
이전 역 | 해당 노선의 종착역 |
다음 역 | 봉명역 |
다음 역 거리 | 1.3km |
기타 정보 | |
버스 노선 | 정보 없음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 비치역 |
이미지 | |
![]() | |
![]() |
2. 역사
1905년 1월 1일 경부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였다. 1922년 6월 1일에는 천안~온양온천 간 사설철도(현재의 장항선)가 조선경남철도에 의해 개통되었다.[13] 1958년 12월 28일 역사가 준공되었고, 1971년 9월 10일 무연탄 도착화물 취급역으로 지정되었다.[12] 1978년 5월 10일 무연탄 도착화물 취급역 지정이 취소되었다.[13] 1986년 11월 15일 역사 증개축이 이루어졌다.
1989년 1월 1일 안성선이 폐선되었다. 2000년 1월 1일 천안지역관리역으로 승격되었으며, 2001년 6월 1일 장항선 통일호 열차 에드몬슨 승차권 발매가 중단되고 전산화되었다. 2003년 10월 24일 현재의 임시역사가 신축되었다.
2005년 1월 20일 수도권 전철 1호선 (병점~천안 간) 연장 개통[14]과 함께 2006년 5월 1일 소화물 취급이 중지되었고, 2006년 7월 1일 조직개편으로 충남지사 관할역이 되었다. 2007년 11월 1일 화물 취급이 중지되었다.[14] 2008년 12월 15일 장항선 수도권 전철 1호선 천안~신창간 연장 개통과 함께 중간역이 되었다.
2009년 6월 1일 (서울~신창 간) 누리로 운행이 개시되었고, 2013년 5월 15일 중부내륙순환열차 운행이 시작되었다. 2014년에는 5월 12일 ITX-새마을 운행, 6월 1일 남도해양열차 운행이 시작되었다. 2014년 8월 18일 중부내륙순환열차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2015년 4월 2일 모든 새마을호가 정차하게 되었고, 6월 1일 중부내륙순환열차 운행이 재개되었다.
2016년 12월 9일 수서고속철도 개통에 따른 열차 시간표 개정으로 (서울~신창 간) 누리로 운행이 중지되고 일부 급행열차가 신창역까지 연장 운행되었다. 2017년 2월 28일 누리로 운행이 재개(서울~신창)되었고, 5월 1일 (용산-대전 간) ITX-청춘 운행이 시작되었으나, 2018년 3월 23일 경부선 ITX-청춘 운행은 중지되었다. 2019년 12월 30일 열차 시간표 개정으로 서울~신창간 누리로 운행이 잠정 중지되고 신창 급행 증편 운행이 시작되었다. 2020년 1월 13일 누리로 재운행이 시작(서울~신창)되었으나, 2월 3일 중부내륙순환열차 운행이 중지되었고, 3월 2일 호남선, 충북선 누리로 운행이 중지되었으며, 5월 23일 누리로 운행이 중지(서울~신창)되었다. 2023년 9월 1일 ITX-마음 운행이 시작되었다.
2. 1. 개요
1905년 1월 1일 경부선 천안역이 영업을 시작했다.[12] 1922년 6월 1일에는 조선경남철도 충남선(현재의 장항선) 천안역 - 온양온천역 구간이 개통되었다.[13] 1989년 1월 1일 안성선이 폐선되었다. 2005년 1월 20일 수도권 전철 1호선 병점역 - 천안역 구간이 연장 개통되었고,[14] 2008년 12월 15일 장항선 수도권 전철 1호선 천안역 - 신창역 구간이 연장 개통되었다.2. 2. 상세
서해금빛열차와 KTX를 제외한 모든 새마을호, 무궁화호, ITX-새마을, 누리로, 남도해양열차,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정차하며, 전철의 경우 일부 열차는 이 역에서 시·종착한다. 동부 역사(경부선)와 서부 역사(장항선[11])로 역사가 나뉘어 있으며, 동부 역사에서는 경부선·호남선·전라선 일반 열차를, 서부 역사에서는 장항선 일반열차와 수도권 전철 1호선을 탑승할 수 있다. 2006년 7월 한국철도공사 지사제 발족 당시 충남지사의 지사 소재역으로 지정되었다. 2009년 9월 업무 효율과 핵심 사업 실행, 현장 중심의 경영 체제 확립을 위한 조직 개편으로 각 지사가 지역 본부로 축소되면서, 충남지사와 대전지사가 합병되어 대전충남본부가 되면서, 대전지사가 소재한 대전역이 지정되면서 지역 본부 대표역의 역할을 위임하였다. 2013년 5월 15일부터 수원역을 출발하는 중부내륙순환열차가 운행을 개시하여 이 역에 정차하였으나 2014년 7월 22일 발생한 태백선 열차 충돌 사고로 같은 해 8월 18일부터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정선아리랑열차 노선 중복 문제로 2015년 6월 2일부터 이 역에 다시 정차하였으나 2020년 2월 3일 운행이 재중지되었다.'''연혁'''
날짜 | 내용 |
---|---|
1905년 1월 1일 | 영업 개시 |
1922년 6월 1일 | 조선경남철도 충남선(현 장항선)이 당역에서 온양온천역까지 개통 |
1925년 11월 1일 | 조선경남철도 경기선(후일 안성선)이 당역에서 안성역까지 개통 |
1986년 11월 15일 | 역사 개축 |
1989년 1월 1일 | 안성선 전선 폐지 |
2004년 3월 31일 | 통일호 운행 중지 |
2005년 1월 20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당역까지 연장 개통 |
2006년 5월 1일 | 소화물 취급 중지 |
2007년 11월 1일 | 화물 취급 중지 |
2008년 12월 15일 | 장항선 전철 신창역까지 개통 |
2012년 6월 3일 | 오후 4시 50분경, 회송 객차 2량 탈선. 천안-신창 간 약 9시간 불통 |
2013년 5월 15일 | 중부내륙순환열차 (O-Train) 운행 시작 |
천안역은 4면 8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15] 경부선 열차를 취급하는 동쪽과 장항선, 수도권 전철 1호선 열차를 취급하는 서쪽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통로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장항선 운임 구역과 수도권 전철 1호선 운임 구역이 중첩되어 있다. 1호선 개통 당시에는 운임 구역이 분리(5·8번 승강장)되어 있었으나, 한쪽 승강장으로만 열차가 진입하여 생기는 회차 문제로 인하여 양쪽 승강장 어느 쪽으로도 열차가 도착하여 회차할 수 있도록 운임구역을 합쳤다.
3. 역 구조
역 서쪽에는 천안기관차승무사업소가 있다. 5·8번 승강장에 스크린도어 공사가 진행 중이었으나, 천안역사 신축이 추진되면서 중단되었다. 출입구는 2개로, 1번 출입구는 대흥동에 있고, 2번 출입구는 와촌동에 있다.
3. 1. 승강장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1 경부선 하행 대피선 2 경부선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부산, 진주, 신해운대, 제천 방면 호남선, 전라선 목포, 광주, 순천, 여수엑스포 방면 3 경부선 상행 대피선 4 경부선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평택, 수원, 안양, 영등포, 용산, 서울 방면 서부
(장항선)5 1호선 급행, 일반열차 봉명, 아산, 배방, 온양온천, 신창 방면 6 장항선 새마을호, 무궁화호 홍성, 대천, 장항, 군산, 익산 방면 7 평택, 수원, 안양, 영등포, 용산 방면 8 1호선 급행, 일반열차 두정, 수원, 구로, 광운대 방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