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천안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안역은 1905년 영업을 시작하여 1922년 장항선이 개통되었고, 1958년 역사가 준공되었다. 수도권 전철 1호선 연장 및 ITX-새마을, ITX-마음 등 다양한 열차의 운행이 이루어지며, 경부선과 장항선이 교차하는 주요 철도역이다. 4면 8선의 지상역으로, 동부와 서부로 나뉘어 경부선, 장항선, 수도권 전철 1호선 열차를 취급하며, 과거 안성선이 운행되기도 했다. 주변에는 천안시청, 터미널, 학교 등 다양한 시설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천안시의 전철역 - 성환역
    성환역은 충청남도 천안시 성환읍에 위치한 경부선 철도역으로, 1905년 개업 후 청일전쟁 격전지라는 역사적 배경과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 및 KTX 정차를 통해 교통 편의성이 향상되었으나, 시설 노후화 및 부역명 관련 논란이 있다.
  • 천안시의 전철역 - 쌍용역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 쌍용역은 2008년 개업한 지상 고가역으로, 상대식 승강장과 주변에 대형 쇼핑 시설, 교육 기관, 관공서 등이 위치해 있으며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승차 인원 회복세를 보이고 봉명역과 천안아산역 사이에 있다.
  • 충청남도의 철도역 - 웅천역
    충청남도 보령시 웅천읍에 위치한 웅천역은 1931년 영업을 시작해 2021년 장항선 직선화로 고가역이 되었으며, 현재 무궁화호, ITX-새마을이 정차하는 2면 4선의 철도역이다.
  • 충청남도의 철도역 - 논산역
    논산역은 충청남도 논산시에 있는 철도역으로, 1911년 영업을 시작하여 1965년 재건되었으며, 1988년 현재의 역사가 준공되었고, KTX,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열차가 정차한다.
  •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 남영역
    남영역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지상역으로, 1974년 개통되었으며, 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경부선과 경원선을 연결하는 중요한 환승 거점 역할을 한다.
  •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 용산역
    용산역은 대한민민국의 철도역으로, KTX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후 용산역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의 주요 출발역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선, 경원선과 같은 열차를 포함한 다양한 고속 및 일반 열차를 운행하며, 대형 복합쇼핑몰인 아이파크몰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천안역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역 이름천안역
한자 표기天安驛
로마자 표기Cheonannyeok
역 번호P169
주소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대흥로 239 (대흥동 57-1)
좌표36°48′33″N 127°08′40″E
운영 기관한국철도공사
통계
일일 승객 수 (2012년)한국철도공사: 20,395명
수도권 전철 1호선: 19,149명
연간 승차 인원 (2009년)19,471명
연간 승강 인원 (2009년)38,033명
노선 정보
노선경부선
장항선
수도권 전철 1호선 (천안직결선, 장항선)
안성선
역 종류관리역
역 등급1급
플랫폼4면 8선
구조지상역 (교상역)
개업일1905년 1월 1일
수도권 전철 1호선: 2005년 1월 20일
경부선 정보
영업 거리 (서울 기점)96.6 km
이전 역두정역
이전 역 거리3.1 km
다음 역소정리역
다음 역 거리10.8 km
수도권 전철 1호선 정보
영업 거리 (두정역 기점)3.1 km
이전 역두정역
이전 역 거리3.1 km
다음 역봉명역
다음 역 거리1.3 km
장항선 정보
이전 역해당 노선의 종착역
다음 역봉명역
다음 역 거리1.3km
안성선 정보
영업 거리 (천안역 기점)0.0km
다음 역신부
다음 역 거리2.4
기타 정보
버스 노선정보 없음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비치역
이미지
역 동쪽에서 본 역 건물 (2009년 6월 21일)
역 동쪽에서 본 역 건물
서울 방향 서쪽 승강장
서울 방향 서쪽 승강장

2. 역사

1905년 1월 1일 경부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였다. 1922년 6월 1일에는 천안~온양온천 간 사설철도(현재의 장항선)가 조선경남철도에 의해 개통되었다.[13] 1958년 12월 28일 역사가 준공되었고, 1971년 9월 10일 무연탄 도착화물 취급역으로 지정되었다.[12] 1978년 5월 10일 무연탄 도착화물 취급역 지정이 취소되었다.[13] 1986년 11월 15일 역사 증개축이 이루어졌다.

1989년 1월 1일 안성선이 폐선되었다. 2000년 1월 1일 천안지역관리역으로 승격되었으며, 2001년 6월 1일 장항선 통일호 열차 에드몬슨 승차권 발매가 중단되고 전산화되었다. 2003년 10월 24일 현재의 임시역사가 신축되었다.

2005년 1월 20일 수도권 전철 1호선 (병점~천안 간) 연장 개통[14]과 함께 2006년 5월 1일 소화물 취급이 중지되었고, 2006년 7월 1일 조직개편으로 충남지사 관할역이 되었다. 2007년 11월 1일 화물 취급이 중지되었다.[14] 2008년 12월 15일 장항선 수도권 전철 1호선 천안~신창간 연장 개통과 함께 중간역이 되었다.

2009년 6월 1일 (서울~신창 간) 누리로 운행이 개시되었고, 2013년 5월 15일 중부내륙순환열차 운행이 시작되었다. 2014년에는 5월 12일 ITX-새마을 운행, 6월 1일 남도해양열차 운행이 시작되었다. 2014년 8월 18일 중부내륙순환열차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2015년 4월 2일 모든 새마을호가 정차하게 되었고, 6월 1일 중부내륙순환열차 운행이 재개되었다.

2016년 12월 9일 수서고속철도 개통에 따른 열차 시간표 개정으로 (서울~신창 간) 누리로 운행이 중지되고 일부 급행열차가 신창역까지 연장 운행되었다. 2017년 2월 28일 누리로 운행이 재개(서울~신창)되었고, 5월 1일 (용산-대전 간) ITX-청춘 운행이 시작되었으나, 2018년 3월 23일 경부선 ITX-청춘 운행은 중지되었다. 2019년 12월 30일 열차 시간표 개정으로 서울~신창간 누리로 운행이 잠정 중지되고 신창 급행 증편 운행이 시작되었다. 2020년 1월 13일 누리로 재운행이 시작(서울~신창)되었으나, 2월 3일 중부내륙순환열차 운행이 중지되었고, 3월 2일 호남선, 충북선 누리로 운행이 중지되었으며, 5월 23일 누리로 운행이 중지(서울~신창)되었다. 2023년 9월 1일 ITX-마음 운행이 시작되었다.

2. 1. 개요

1905년 1월 1일 경부선 천안역이 영업을 시작했다.[12] 1922년 6월 1일에는 조선경남철도 충남선(현재의 장항선) 천안역 - 온양온천역 구간이 개통되었다.[13] 1989년 1월 1일 안성선이 폐선되었다. 2005년 1월 20일 수도권 전철 1호선 병점역 - 천안역 구간이 연장 개통되었고,[14] 2008년 12월 15일 장항선 수도권 전철 1호선 천안역 - 신창역 구간이 연장 개통되었다.

2. 2. 상세

서해금빛열차와 KTX를 제외한 모든 새마을호, 무궁화호, ITX-새마을, 누리로, 남도해양열차,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정차하며, 전철의 경우 일부 열차는 이 역에서 시·종착한다. 동부 역사(경부선)와 서부 역사(장항선[11])로 역사가 나뉘어 있으며, 동부 역사에서는 경부선·호남선·전라선 일반 열차를, 서부 역사에서는 장항선 일반열차와 수도권 전철 1호선을 탑승할 수 있다. 2006년 7월 한국철도공사 지사제 발족 당시 충남지사의 지사 소재역으로 지정되었다. 2009년 9월 업무 효율과 핵심 사업 실행, 현장 중심의 경영 체제 확립을 위한 조직 개편으로 각 지사가 지역 본부로 축소되면서, 충남지사와 대전지사가 합병되어 대전충남본부가 되면서, 대전지사가 소재한 대전역이 지정되면서 지역 본부 대표역의 역할을 위임하였다. 2013년 5월 15일부터 수원역을 출발하는 중부내륙순환열차가 운행을 개시하여 이 역에 정차하였으나 2014년 7월 22일 발생한 태백선 열차 충돌 사고로 같은 해 8월 18일부터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정선아리랑열차 노선 중복 문제로 2015년 6월 2일부터 이 역에 다시 정차하였으나 2020년 2월 3일 운행이 재중지되었다.

'''연혁'''

날짜내용
1905년 1월 1일영업 개시
1922년 6월 1일조선경남철도 충남선(현 장항선)이 당역에서 온양온천역까지 개통
1925년 11월 1일조선경남철도 경기선(후일 안성선)이 당역에서 안성역까지 개통
1986년 11월 15일역사 개축
1989년 1월 1일안성선 전선 폐지
2004년 3월 31일통일호 운행 중지
2005년 1월 20일수도권 전철 1호선 당역까지 연장 개통
2006년 5월 1일소화물 취급 중지
2007년 11월 1일화물 취급 중지
2008년 12월 15일장항선 전철 신창역까지 개통
2012년 6월 3일오후 4시 50분경, 회송 객차 2량 탈선. 천안-신창 간 약 9시간 불통
2013년 5월 15일중부내륙순환열차 (O-Train) 운행 시작


3. 역 구조

천안역은 4면 8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15] 경부선 열차를 취급하는 동쪽과 장항선, 수도권 전철 1호선 열차를 취급하는 서쪽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통로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장항선 운임 구역과 수도권 전철 1호선 운임 구역이 중첩되어 있다. 1호선 개통 당시에는 운임 구역이 분리(5·8번 승강장)되어 있었으나, 한쪽 승강장으로만 열차가 진입하여 생기는 회차 문제로 인하여 양쪽 승강장 어느 쪽으로도 열차가 도착하여 회차할 수 있도록 운임구역을 합쳤다.

역 서쪽에는 천안기관차승무사업소가 있다. 5·8번 승강장에 스크린도어 공사가 진행 중이었으나, 천안역사 신축이 추진되면서 중단되었다. 출입구는 2개로, 1번 출입구는 대흥동에 있고, 2번 출입구는 와촌동에 있다.

3. 1. 승강장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1경부선하행 대피선2경부선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부산, 진주, 신해운대, 제천 방면호남선, 전라선목포, 광주, 순천, 여수엑스포 방면3경부선상행 대피선4경부선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평택, 수원, 안양, 영등포, 용산, 서울 방면서부
(장항선)51호선급행, 일반열차봉명, 아산, 배방, 온양온천, 신창 방면6장항선새마을호, 무궁화호홍성, 대천, 장항, 군산, 익산 방면7평택, 수원, 안양, 영등포, 용산 방면81호선급행, 일반열차두정, 수원, 구로, 광운대 방면



3. 2. 배선도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1경부선하행 대피선2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부산 · 진주 · 신해운대 · 제천 방면호남선·전라선목포 · 광주 · 순천 · 여수엑스포 방면3경부선상행 대피선4경부선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평택 · 수원 · 안양 · 영등포 · 용산 · 서울 방면서부
(장항선)5일반열차봉명 · 아산 · 배방 · 온양온천 · 신창 방면6장항선새마을호
무궁화호홍성 · 대천 · 장항 · 군산 · 익산 방면7평택 · 수원 · 안양 · 영등포 · 용산 방면8일반열차두정 · 수원 · 구로 · 광운대 방면


4. 운행 노선

경부선장항선에는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누리로가 운행하며, 장항선에는 새마을호도 운행한다. 수도권 전철 1호선의 모든 열차와 일부 서해금빛열차, 남도해양열차가 정차하고, 일부 전철은 이 역에서 시·종착한다.[11] 동부 역사(경부선)와 서부 역사(장항선)로 나뉘어 있으며, 동부 역사에서는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 일반 열차를, 서부 역사에서는 장항선 일반 열차와 수도권 전철 1호선을 이용할 수 있다.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번호는 '''P169'''이다.

과거에는 안성선도 운행했지만, 1989년 1월 1일에 폐지되었다.

5. 역 주변


서쪽 출구와 동쪽 출구에 각각 역 앞 로터리가 있으며, 동쪽 출구가 시가지로서 더 번화하다.

6. 사건·사고

7. 인접한 역

노선열차 종류이전 역천안역다음 역
경부선한국어ITX-청춘평택역천안역조치원역
ITX-새마을평택역천안역조치원역 / 서대전역
누리로평택역천안역조치원역
무궁화호평택역 / 성환역천안역전의역 / 조치원역
경부선한국어O-Train수원역천안역오송역
장항선한국어새마을호, 무궁화호, 누리로평택역 (경부선한국어 직통)천안역아산역
-- 경부전철선한국어
장항전철선한국어
A급행, B급행, 완행한국어두정역 (P168)천안역 (P169)봉명역 (P170)


8. 승차량 변동

천안역의 승차량 변동은 다음과 같다.

천안역의 연도별 승차량 변동[7][8]
구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
새마을호 상행128,993명130,069명125,457명287,628명229,843명
새마을호 하행113,658명113,382명117,045명174,581명192,248명
무궁화호 상행1,936,331명1,978,195명2,059,092명2,343,771명1,131,516명
무궁화호 하행1,099,925명1,022,725명1,026,876명1,012,835명1,263,657명
통일호 상행28,680명27,649명25,394명6,510명폐지
통일호 하행15,873명15,207명16,856명4,149명폐지
경부선 상행 합계2,094,004명2,135,913명2,209,943명2,637,909명1,361,359명
경부선 하행 합계1,229,456명1,151,314명1,160,777명1,191,565명1,455,905명
장항선 상/하행 합계745,078명701,383명670,230명765,586명1,058,174명
수도권 전철[8]----11,209명
수도권 전철[8]----11,231명
수도권 전철[8]----11,811명
수도권 전철[8]----12,161명
수도권 전철[8]----10,429명
수도권 전철[8]----10,164명
수도권 전철[8]----10,243명
수도권 전철[8]----10,035명



2006년 이후의 통계는 하위 섹션을 참고.

8. 1. 수도권 전철

2005~2018년 수도권 전철 승차 인원[16]
연도1일 평균 승차 인원
2005년11,209명
2006년11,231명
2007년11,811명
2008년12,161명
2009년10,429명
2010년10,164명
2011년10,272명
2012년9,813명
2013년9,994명
2014년11,311명
2015년9,664명
2016년9,127명
2017년8,466명
2018년7,918명


8. 2. 일반열차

연도경부선 이용 인원[17]장항선 이용 인원[17]
새마을호무궁화호통일호누리로청춘합계
승차승차승차승차승차승차
2001년113658109992515873미개통미개통1229456402198
774972041059307112149267경부선 합산
1289931936331286802094004경부선 합산
1434171047456238451214718342880
2002년1133821022725152071151314370871
773672046440426742166481경부선 합산
1300691978195276492135913경부선 합산
14882198322547781136824330512
2003년1170451026876168561160777349758
769902091202346222202814경부선 합산
1254572059092253942209943경부선 합산
157491984603225871164681320472
2004년174581101283541491191565392027
215002240061390812624696경부선 합산
287628234377165102637909경부선 합산
19816298181863941186374373559
2005년1922481263657폐지1455905528879
19819612090191407215경부선 합산
22984311315161361359경부선 합산
20200512489831450988529295
2013년미정차620516폐지29664242210683811428
미정차621687폐지30466022001283871837


참조

[1] 웹사이트 Monthly Number of Passengers between General Railroad Stations http://www.ktdb.go.k[...] 2013-10-15
[2] 웹사이트 Monthly Number of Passengers between Subway Stations http://www.ktdb.go.k[...] 2013-10-15
[3] 웹사이트 천안역 http://terms.naver.c[...] Doosan Encyclopedia 2015-12-22
[4] 웹사이트 천안역 http://terms.naver.c[...] KRIC 2015-12-22
[5] 뉴스 2003年10月24日以来一時的な駅舎を使用している http://chnews.iprone[...]
[6] 문서 (湖南線・全羅線・慶全線・東海線直通列車も含む)
[7] 웹사이트 원자료는 철도통계연보 http://www.korail.go[...]
[8] 웹사이트 정보공개 공개자료실 http://info.korail.c[...] 코레일
[9] 문서 東部広場側(1番出口)のバス停を「天安東部駅」または単に「天安駅」と呼ばれ、西部広場側(2番出口)のバス停は「天安西部駅」と呼ばれている。
[10] 문서 연천 기점 164.6 km
[11] 문서 수도권 전철 1호선 포함
[12] 문서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 제37호, 1971년 9월 9일, 1975년 12월 29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 제43호에서 무연탄 취급 승계
[13] 문서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 제9호, 1978년 4월 25일
[14] 문서 대한민국관보 건설교통부 고시 제2007-392호, 2007년 9월 28일
[15] 문서 경부선 쌍섬식 승강장, 장항선 쌍섬식 승강장으로 장항선 내에서도 일반열차만 따지면 상대식 승강장, 전철만 따지면 섬식 승강장이라 볼 수 있다.
[16] 웹인용 통계자료 - 한국철도공사 https://info.korail.[...] 2022-01-07
[17] 웹인용 월별 일반철도 역간 이용인원 http://www.korail.go[...] 2007-07-07
[18] 웹인용 (오래 전 ‘이날’)1월 31일 천안역 참사, 그 날의 신호등 http://h2.khan.co.kr[...] khanh.co.kr 2020-04-03
[19] 웹인용 KTX탈선, 코레일, 일반선으로 우회운행 http://www.etoday.co[...] 2012-04-13
[20] 뉴스 천안역 전동차 탈선… 장항선·수도권 운행 차질 https://news.naver.c[...]
[21] 웹사이트 https://mnews.joins.[...]
[22] 웹사이트 https://n.news.naver[...]
[23] 웹사이트 https://n.news.naver[...]
[24] 웹인용 천안역에서 20대 남성, 열차 올라가 감전돼 숨져 https://n.news.naver[...] 2020-04-03
[25] 문서 이 역부터 신창역까지 전역 정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