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창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창역은 1922년 오목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여러 차례 역명 변경과 기능 변화를 거쳐온 역이다. 장항선과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운행하며, 2008년 수도권 전철 1호선 운행과 함께 전철역으로 전환되었다. 현재는 ITX-마음 열차도 운행하며, 쌍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다. 역 주변에는 순천향대학교, 한국폴리텍IV대학 아산캠퍼스, 경찰대학 등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산시의 전철역 - 온양온천역
온양온천역은 충청남도 아산시 온천동에 위치한 장항선과 수도권 전철 1호선의 환승역으로, 1922년 개업 후 2008년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으로 지역 교통의 중심지 역할을 하며 온양온천 등 주변 관광지와 인접해 많은 이용객이 있다. - 아산시의 전철역 - 배방역
배방역은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 장항선 역으로, 1922년 모산역으로 개업하여 역의 격과 명칭이 변경된 후 2007년 배방역으로 개칭되었으며,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 장항선 소속 역 중 유일하게 대피선을 갖추고 있다. - 장항선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은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자 수도권 전철의 핵심 노선으로, 1974년 개통 이후 경원선, 경부선, 경인선, 장항선 등 여러 노선을 경유하며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하고 완행 및 급행 열차를 운행한다. - 장항선 - 대야역
대야역은 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에 위치한 장항선의 철도역으로, 무궁화호가 정차하며 2면 3선의 지상역 형태를 갖추고 있고, 과거 화물도 취급했으나 현재는 여객 운송만 담당한다. - 충청남도의 철도역 - 웅천역
충청남도 보령시 웅천읍에 위치한 웅천역은 1931년 영업을 시작해 2021년 장항선 직선화로 고가역이 되었으며, 현재 무궁화호, ITX-새마을이 정차하는 2면 4선의 철도역이다. - 충청남도의 철도역 - 논산역
논산역은 충청남도 논산시에 있는 철도역으로, 1911년 영업을 시작하여 1965년 재건되었으며, 1988년 현재의 역사가 준공되었고, KTX,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열차가 정차한다.
신창역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신창 (순천향대)역 |
한자 표기 | 新昌(順天鄕大)驛 |
로마자 표기 | Sinchang(Suncheonhyangdae)-yeok |
역 번호 | P177 |
주소 |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 행목리 346-7 |
개업일 | 1922년 6월 15일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노선 | 장항선 |
승강장 | 2면 4선 |
구조 | 지상역 |
일일 승객수 (KR) | 705명 (2012년 1월-12월 기준) |
일일 승객수 (수도권 전철 1호선) | 4,463명 (2012년 1월-12월 기준) |
서비스 | |
수도권 전철 1호선 | 상행: 온양온천 방면 하행: (일반) 광운대 방면 하행: (급행) 온양온천 방면 (일부 운행) |
역 정보 | |
역 등급 | 3급 |
기점으로부터 거리 | 19.4km (천안 기점) |
승차 인원 | 2,059명 (2009년 기준) |
승강 인원 | 4,087명 (2009년 기준) |
노선 정보 | 장항전철선 장항선 |
비고 | 수도권 전철 1호선 종착역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
이미지 | |
![]() | |
추가 이미지 | |
![]() |
2. 역사
신창역은 삼국사기에 기록된 신창현(新昌縣)에서 유래한다.
날짜 | 내용 |
---|---|
1922년 6월 15일 | 오목역(五木駅)으로 개업[3] |
1926년 8월 8일 | 충남신창역(忠南新昌駅)으로 개칭 |
1955년 7월 1일 | 신창역(新昌駅)으로 개칭[4] |
2004년 7월 15일 | 여객 취급 중지[5] |
2005년 9월 30일 | 화물 취급 중지 |
2007년 12월 21일 | 장항선 복선화 및 선형개량 사업에 따라 아산시 신창면 행목리 346-7번지로 역사 이전 |
2008년 12월 15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천안~신창간 개통과 함께 전철역으로 여객 취급 개시, 보통역으로 승격[6] |
2008년 12월 24일 | 역명 한자 오기 수정(新昌(順天響大)→新昌(順天鄕大))[18] |
2009년 6월 1일 | 누리로 개통 |
2013년 8월 30일 | 2번 출구 신설 |
2016년 12월 9일 | 누리로 운행 중지 및 천안역까지 운행하는 일부 급행열차가 이 역까지 연장 운행 |
2017년 2월 28일 | 누리로 운행 재개 |
2019년 12월 30일 | 열차 시간표 개정으로 서울~신창간 누리로 다시 운행 잠정중지와 함께 신창 급행 증편 운행 |
2020년 1월 13일 | 누리로 운행 재개(서울~신창) |
2020년 5월 23일 | 누리로 폐지 |
2024년 11월 2일 | ITX-마음 운행 개시 |
2. 1. 일제강점기 및 해방 초기
이 역은 본디 충청남도 신창군 소동면 오목리에 있다가 학성면 오목리를 거쳐 현재의 아산시 신창면 오목리에서 소재지 지명인 '오목리'에서 유래한 '''오목역'''이라는 이름으로 1922년 6월 15일 영업을 시작했다.[11] 1926년 8월 8일 역명을 '''충남신창역'''으로 변경하였고, 1926년 11월 19일에는 보통역으로 승격되었다. 1955년 7월 1일이 되어서야 지금의 '''신창역'''이라는 이름으로 변경되었다.[12] 1961년 7월 31일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가 1962년 5월 10일 다시 보통역으로 승격되었다. 1971년 3월 23일 신창역 구 역사 신축에 착공하여 1972년 5월 25일 준공하였다. 1983년 2월 1일 수소화물 취급이 중지되었고,[13] 1997년 10월 15일 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14]장항선 일반열차가 정차하는 역이었지만 2004년 7월 16일 여객 취급이 중지되어[15] 모든 여객열차가 통과하게 되었고, 2004년 12월 10일에는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16] 2005년 9월 30일에는 화물 취급도 중지되었다.
2. 2.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이 역은 과거 충청남도 신창군 소동면 오목리에 있다가 학성면 오목리를 거쳐 현재의 아산시 신창면 오목리 소재지 지명인 '오목리'에서 유래한 '''오목역'''이라는 이름으로 개업했다.[11] 1926년 역명을 '''충남신창역'''으로 개칭했다가[12] 1955년이 되어서야 지금의 '''신창역'''이라는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장항선 일반열차가 정차하는 역이었지만 2004년 7월 16일 여객취급 중지로 모든 여객열차가 통과하게 되었다.[15] 그러다가 2007년에는 천안 ~ 신례원 구간이 복선 전철화로 개량되면서 기존 신창역에서 약 4.2km 정도 떨어진 행목리로 이전하였고, 2008년 12월 15일 수도권 전철 1호선 연장 개통과 함께 새로 이전한 역에서 여객 취급을 재개했다.[17] 지금의 신창역은 '''순천향대'''라는 병기역명을 표기하고 있으며[8], 개통 당시 부기역명은 '''한국폴리텍Ⅳ대학'''이었으나 현재는 부기역명은 없어진 채 병기역명만 있다. 인근에 순천향대학교, 한국폴리텍Ⅳ대학 아산캠퍼스가 위치하고 있다.2009년 6월 1일부터 서울 - 신창간 누리로가 운행되기 시작하면서 이 역에서 시·종착하고 있다. 2016년 12월 9일 누리로 운행이 잠시 중단되었다가 2017년 2월 28일 운행이 재개되었다.[9] 그러나 2019년 12월 30일부터 2020년 1월 12일까지 열차 시간표 개정으로 누리로가 임시로 다시 운행 중지되고 급행열차가 증편 운행되었다.
현재는 코로나19로 인하여 순천향대가 열차 내 강의프로그램을 중단하면서 임시 운행중단 상태이다.[10]
- 1955년 7월 1일 : '''충남신창역'''에서 '''신창역'''(新昌驛)으로 역명 변경[12]
- 1961년 7월 31일 :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
- 1962년 5월 10일 : 보통역으로 승격
- 1971년 3월 23일 : 신창역 구 역사 신축 착공
- 1972년 5월 25일 : 신창역 구 역사 신축 준공
- 1983년 2월 1일 : 수소화물 취급중지[13]
- 1997년 10월 15일 : 배치간이역으로 격하[14]
- 2004년 7월 16일 : 여객 취급 중지[15]
- 2004년 12월 10일 :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16]
- 2005년 9월 30일 : 화물 취급 중지
- 2007년 12월 21일 : 장항선 복선화 및 선형개량 사업에 따라 신창면 행목리 346-7번지로 역사 이전
- 2008년 12월 15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천안~신창간 개통과 함께 전철역으로 여객 취급 개시, 보통역으로 승격[17]
- 2008년 12월 24일 : 역명 한자 오기 수정(新昌(順天響大)→新昌(順天鄕大))[18]
- 2009년 6월 1일 : 누리로 개통
- 2013년 8월 30일 : 2번 출구 신설
- 2016년 12월 9일 : 누리로 운행 중지 및 천안역까지 운행하는 일부 급행열차가 이 역까지 연장 운행
- 2017년 2월 28일 : 누리로 운행 재개
- 2019년 12월 30일 : 열차 시간표 개정으로 서울~신창간 누리로 다시 운행 잠정중지와 함께 신창 급행 증편 운행
- 2020년 1월 13일 : 누리로 운행재개(서울~신창)
- 2020년 5월 23일 : 누리로 폐지
- 2024년 11월 2일 : ITX-마음 운행 개시
3. 역 구조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수도권 전철 1호선은 주로 2번 승강장을 이용한다. 2013년 8월 30일부로 2번 출구가 신설되었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신창역은 장항선의 중간역이지만, 하행 방향으로 가는 열차는 ITX-마음이 하루 1편뿐이다. 이 때문에 도고온천역·익산역 방면으로 갈 경우, 대부분 앞 역인 온양온천역에서 환승해야 한다.
3. 1. 승강장
신창역은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수도권 전철 1호선은 주로 2번 승강장을 이용한다. 2, 3번 승강장에서 전철 취급을 하며, 대부분 2번 승강장에서 취급한다. 3번 승강장은 출퇴근 시간 외에는 잘 사용하지 않는다. 1~4번 승강장 중 2번 승강장에만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1]
4. 역 주변
높은 산들 사이에 있는 골짜기에 위치하며, 주변에는 큰 마을이 없다.
- 순천향대학교 - 서쪽으로 약 1.6km 떨어져 있으며, 걸어서 30분 정도 걸린다.
- 한국폴리텍IV대학 아산캠퍼스
- 경찰대학
5. 승차량 변동
데이터는 한국철도공사(Korail)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바탕으로 한다.[19]
노선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장항선 | 1,078 | 1,948 | 2,059 | 2,327 | 9,4150 | 2,290 | 2,493 | 2,295 | 2,207 | 2,185 | 2,157 | 2,118 | 1,082 | 1,361 | 1,928 |
6. 인접한 역
용산 방면
장항선
홍성 방면
광운대/청량리/서울 방면
경부선 급행 (일부 열차 이 역 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