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철은 상(商)나라와 주(周)나라 시대 청동기에 새겨진 문양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춘추좌전에서는 황제 시대의 탐욕스러운 아들을 지칭하며, 탐욕을 암시하는 데 사용되었다. 여씨춘추에서는 사람을 삼키려다 실패한 존재로 묘사되기도 한다. 은대부터 주대에 걸쳐 청동기나 옥기에 사용된 도철문은 왕의 권위를 나타내는 상징으로 여겨졌으며, 명대에는 용의 아들 중 하나로 여겨졌다. 도철 문양의 의미에 대해서는 다양한 해석이 존재하며, 대중문화에서는 영화 《장성》 등에서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화의 동물 - 도올
- 신화의 동물 - 혼돈 (신화)
혼돈은 천지 분리 이전의 우주의 모호한 상태를 뜻하는 단어로, 이후 '이해할 수 없는' 또는 '혼란스러운' 의미로 확장되어 유교 및 도교 문헌에서 다양하게 나타나며, 특히 도교에서는 우주의 근원적 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개념으로 다루어진다. - 전설의 동물 - 오크
오크는 J. R. R. 톨킨의 작품에서 시작되어 다양한 판타지 작품과 게임에 등장하는 흉하고 추악하며 살육과 파괴를 일삼는 가상의 종족이다. - 전설의 동물 - 도올
- 중국 신화 - 제지
중국 신화와 역사 기록에 등장하는 제지는 삼황오제 시대 인물로, 사기에는 고황제의 아들로 폭정을 펼친 것으로, 다른 기록에는 황제의 뒤를 이어 통치한 인물로 기록되어 그 통치 기간과 성격에 대한 기록이 엇갈린다. - 중국 신화 - 하나라
하나라는 중국 최초의 왕조로 전해지며 우에 의해 건국되어 세습 왕조가 되었으나 걸의 폭정으로 상나라에 멸망당했고, 실존 여부에 대한 논쟁 속에서 얼리터우 문화와의 연관성으로 재평가되지만 역사 기록의 신빙성 논란은 여전하다.
도철 | |
---|---|
개요 | |
이름 | |
한국어 | 도철 |
중국어 간체 | 饕餮 |
중국어 번체 | 饕餮 |
병음 | tāotiè |
광둥어 | tou1 tit3 |
민난어 | tho-thiat |
객가어 | tou1 tit3 |
로마자 표기 | tautieh |
특징 | |
외형 | 소나 양의 뿔 호랑이의 이빨 사람의 손톱 |
상징 | 탐욕, 식탐 |
용도 | 청동기 등의 장식 문양 |
기원 및 역사 | |
시기 | 기원전 1600년 ~ 기원전 1050년경 기원전 1046년 |
용도 | 중국 의례용 청동기 장식 |
문화적 의미 | |
해석 | 탐욕스러운 성격에 대한 경고 악귀를 쫓는 벽사의 의미 |
관련 유물 | 벽사 문양이 새겨진 옥기 |
관련 예술 | 청동기에 나타나는 도철 문양 |
2. 명칭의 유래
현대 학자들은 '도철(饕餮)'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지만, 상(商)나라와 주(周)나라 시대에 청동 그릇에 새겨진 문양을 무엇이라고 불렀는지는 실제로 알려져 있지 않다. 미국의 고문자학자 사라 앨런은 '도철'이라는 용어가 상나라 시대에 알려졌을 것이라고 추정할 만한 특별한 이유는 없다고 지적한다.[3] '도철'이라는 용어의 최초 사용례는 기원전 722년에서 468년 사이에 30개의 장으로 기록된 중국의 서사 역사서인 ''춘추좌전''에서 나타난다. 이 용어는 신화 속 황제 시대에 살았던 진운씨족의 탐욕스럽고 식탐 많은 아들, 즉 '세상의 네 가지 사악한 존재' 중 하나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춘추좌전''에서 저자는 '도철'을 탐욕을 암시하는 데 사용했다.[3]
학자들은 이 동물상 디자인의 의미(만약 있다면)에 대해 오랫동안 난해함을 느껴왔으며, 아직까지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단일 해답은 없다.[6] 가설은 로버트 배글리의 디자인이 주조 과정의 결과이며, 도상적 의미를 갖기보다는 청동 주조 기술을 가진 예술가들의 예술적 표현이라는 믿음[7]부터, 주술사나 인류와 죽은 조상 간의 연결고리였던 신성한 왕들이 한때 착용했을 수도 있는 고대 가면을 묘사한다는 이론(조던 페이퍼)까지 다양하다.
명나라 시대 많은 학자들이 건축 및 응용 미술에서 볼 수 있는 전통적인 문양 목록을 편찬했고, 이는 결국 용생구자로 굳어졌다. 루롱은 ''콩 정원의 잡기''에서 도철을 물을 좋아하고 다리에 묘사되는 생물로 설명했다.[10] 그러나 양선은 용생구자의 목록에서 도철이 먹고 마시는 것을 좋아하며 과거 ''정''(鼎)의 표면에 나타났다고 기록했다.[11]
몸은 소나 양과 비슷하며, 굽은 뿔과 호랑이의 어금니, 사람의 손톱과 얼굴을 가지고 있다. 도철의 "도(饕)"는 재산을 탐내고, "철(餮)"은 음식을 탐한다는 의미이다.[15] 무엇이든 먹는 맹수라는 인상에서 전해져, 마(魔)를 먹는다는 생각이 생겨나 후대에는 액막이의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철'이라는 용어는 고대 주나라(및 상나라) 청동기에 나타나는 문양과 동의어로 사용된다. ''여씨춘추''(16/3a, '예언')는 다음과 같이 기술한다.
> 주(周)나라 청동기 [''[정(Ding (vessel)|정)]'']에 새겨진 '도철'은 머리는 있지만 몸은 없다. 사람을 먹을 때 삼키지 않고 해를 입힌다.[4]
그러나 앨런은 이 문장의 두 번째 부분을 다음과 같이 번역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탐욕(''춘추좌전''에서의 의미)과 죽은 자의 '만족할 줄 모르는' 영혼에게 바치는 음식 제사에 ''정''을 사용하는 것 사이의 연관성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 사람을 삼키려 했지만, 삼키기도 전에 자신의 몸이 손상되었다.[5]
중국의 철학 및 지적사학자 리쩌허우는 ''여씨춘추''에 묘사된 '도철'에 훨씬 더 깊은 의미가 있으며, "''도철''의 의미는 '사람을 먹는 것'이 아니라 사람과 하늘(신) 사이의 신비로운 소통을 만드는 것"이라고 생각한다.[4]
> 이에 함축된 의미를 설명하기는 어렵다. ''도철''에 관한 많은 신화가 유실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람을 먹는다는 암시는 그것의 잔혹하고 두려운 모습과 완벽하게 일치한다. 이방 씨족과 부족에게는 두려움과 힘을 상징했고, 자신의 씨족이나 부족에게는 보호의 상징이었다. 이러한 종교적 개념, 즉 이중성은 그 기괴하고 흉측한 특징에 응축되어 있었다. 오늘날 매우 야만적으로 보이는 것은 그 시대에는 역사적이고 합리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바로 이런 이유 때문에 야만적인 옛 신화와 전설, 야만성에 대한 이야기, 고대 씨족의 조잡하고, 사납고, 무시무시한 예술 작품이 놀라운 미적 매력을 지녔다. 호메로스의 서사시와 아프리카 가면이 그랬던 것처럼, ''도철''도 마찬가지였다. 그 흉측한 특징에는 심오하게 뿌리박힌 역사적 힘이 집중되어 있었고, 이 저항할 수 없는 역사적 힘 때문에 ''도철''의 신비와 공포는 아름다움, 즉 숭고함이 되었다.[4]
몸은 소나 양, 굽은 뿔, 호랑이의 어금니, 사람의 손톱, 사람의 얼굴 등을 가지고 있다. 도철의 '도(饕)'는 재산을 탐내고, '철(餮)'은 음식을 탐한다는 의미이다.[15] 무엇이든 먹는 맹수라는 인상에서 전해져, 마(魔)를 먹는다는 생각이 생겨나 후대에는 액막이의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춘추좌씨전에는 혼돈, 궁기, 도올과 함께 '사흉' 중 하나로 여겨진다. 동방삭의 《신이경》에는 다음과 같은 기술이 있다. "서남방에 사람이 있는데, 몸에 털이 많고, 머리에는 돼지를 이고 있다. 탐욕은 이리처럼 악하고, 스스로 재산을 쌓는 것을 좋아하며, 사람의 곡식을 먹지 않는다. 강자는 늙고 약한 자를 빼앗고, 무리를 두려워하여 단독을 친다. 이름을 도철(饕餮)이라 한다. 《춘추》에서 도철이라 말하는 것은, 진운씨의 불초자(不才子)이다. 일명 탐람(貪惏), 일명 강탈(強奪), 일명 능약(凌弱)이다. 이 나라의 사람들은 모두 이와 같다"
도철문을 치우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는 문헌이 있다는 점과, 같은 염제의 자손으로 여겨진다는 점에서, 본래 도철은 치우와 동일한 존재가 아니었을까 생각된다.[16] 또한, 《산해경》에 등장하는 '''포효'''라는 짐승도 도철과 동일하다고 여겨진다.[17]
3. 상징과 의미
현대 학자들은 "도철(饕餮)"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지만, 상나라와 주나라 시대 청동 그릇에 새겨진 문양이 실제로 무엇이라 불렸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미국의 고문자학자 사라 앨런은 "도철"이라는 용어가 상나라 시대에 알려졌을 것이라고 추정할 만한 특별한 이유는 없다고 지적한다.[3] "도철"이라는 용어는 기원전 722년에서 468년 사이에 기록된 중국의 역사서인 ''춘추좌전''에서 처음 나타난다. ''춘추좌전''에서 도철은 신화 속 황제 시대 진운씨족의 탐욕스러운 아들이자, '세상의 네 가지 사악한 존재' 중 하나로 언급되며, 탐욕을 상징하는 데 사용되었다.[3]
"도철"은 고대 주나라(및 상나라) 청동기에 나타나는 문양과 동의어로 사용된다. ''여씨춘추''(16/3a, "예언")는 다음과 같이 기술한다.
> 주나라 청동기 ''정''에 새겨진 "도철"은 머리는 있지만 몸은 없다. 사람을 먹을 때 삼키지 않고 해를 입힌다.[4]
그러나 앨런은 위 문장의 두 번째 부분을 "사람을 삼키려 했지만, 삼키기도 전에 자신의 몸이 손상되었다"로 번역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춘추좌전''에서 도철이 탐욕을 의미하고, ''정''이 죽은 자의 영혼에게 바치는 음식 제사에 사용되었기 때문이다.[5]
중국의 철학자 리쩌허우는 ''여씨춘추''에 묘사된 "도철"에 대해 "'사람을 먹는 것'이 아니라 사람과 하늘(신) 사이의 신비로운 소통을 만드는 것"이라는 더 깊은 의미가 있다고 보았다.[4]
> 도철에 관한 많은 신화가 유실되어 그 의미를 설명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사람을 먹는다는 암시는 잔혹하고 두려운 도철의 모습과 일치한다. 이방 씨족과 부족에게는 두려움과 힘을, 자신의 씨족이나 부족에게는 보호를 상징했다. 이러한 이중적 종교 개념은 기괴하고 흉측한 도철의 특징에 응축되어 있었다. 오늘날 야만적으로 보이는 것이 그 시대에는 역사적이고 합리적인 특성을 지녔다. 야만적인 옛 신화와 전설, 고대 씨족의 조잡하고 사나운 예술 작품이 놀라운 미적 매력을 지닌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호메로스의 서사시와 아프리카 가면처럼, ''도철''의 흉측한 특징에는 심오한 역사적 힘이 집중되어 있었고, 이 힘 때문에 ''도철''의 신비와 공포는 숭고한 아름다움이 되었다.[4]
학자들은 이 동물상 디자인의 의미에 대해 오랫동안 난해함을 느껴왔으며,[6] 아직까지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단일 해답은 없다. 로버트 배글리는 디자인이 주조 과정의 결과이며, 도상적 의미보다는 청동 주조 기술을 가진 예술가들의 예술적 표현이라고 보았다.[7] 반면 조던 페이퍼는 주술사나 신성한 왕들이 착용했을 고대 가면을 묘사한다는 이론을 제시했다.
한때 유행했던, 얼굴이 희생 의식에 사용된 동물을 묘사한다는 믿음은 이제 거의 거부되었다. 현대 학자들은 얼굴이 종교적 또는 의례적 맥락에서 의미를 갖는다는 해석을 선호한다. 그들이 나타나는 물체는 거의 항상 그러한 행사나 역할과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한 학자는 "예술 양식은 항상 어떤 사회적 언급을 담고 있다"고 썼다.[8] 상나라 점복 비문은 ''도철''의 의미에 대해 아무런 빛도 비추지 않는다.[9]
도철은 소나 양의 몸, 굽은 뿔, 호랑이의 어금니, 사람의 손톱과 얼굴 등을 가지고 있다. 도철의 "도(饕)"는 재산을, "철(餮)"은 음식을 탐한다는 의미이다.[15] 무엇이든 먹는 맹수라는 인상에서 마(魔)를 먹는다는 생각이 생겨나, 후대에는 액막이의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춘추좌씨전에는 혼돈, 궁기, 도올과 함께 "사흉" 중 하나로 여겨진다. 동방삭의 《신이경》에는 도철에 대해 "서남방에 사는, 몸에 털이 많고 머리에 돼지를 인 탐욕스러운 사람"으로 묘사하며, "진운씨의 불초자(不才子)로, 탐람(貪惏), 강탈(強奪), 능약(凌弱)이라고도 불린다"고 기록되어 있다.
도철문을 치우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는 문헌이 있고, 염제의 자손으로 여겨진다는 점에서, 본래 도철은 치우와 동일한 존재였을 가능성이 제기된다.[16] 또한, 《산해경》에 등장하는 '''포효'''라는 짐승도 도철과 동일하다고 여겨진다.[17]
4. 도철문
한때 유행했던, 얼굴이 희생 의식에 사용된 동물을 묘사한다는 믿음은 이제 거의 거부되었다(소, 호랑이, 용 등의 얼굴이 실제 동물을 묘사하기 위한 것이 아닐 수도 있다). 현대 학자들은 얼굴이 종교적 또는 의례적 맥락에서 의미를 갖는다는 생각을 뒷받침하는 해석을 선호하는데, 그들이 나타나는 물체는 거의 항상 그러한 행사나 역할과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한 학자는 "예술 양식은 항상 어떤 사회적 언급을 담고 있다"고 썼다.[8] 상나라 점복 비문은 ''도철''의 의미에 대해 아무런 빛도 비추지 않는다.[9]
은대부터 주대에 걸쳐 도철문|とうてつもん중국어이라고 불리는 무늬가 청동기나 옥기의 장식에 부분적으로 사용된다. 이 무렵의 왕은 신의 뜻을 인간에게 전하는 자로서 군림했다. 그 지위를 널리 알리고, 신을 두려워하게 함으로써 백성을 따르게 하기 위해, 제사의 도구인 이러한 기구에 도철문을 넣은 것으로 여겨진다. 량주 문화의 옥총에는, 도철문 바로 아래에 왕의 얼굴이 조각된 것도 출토되고 있다. 다만, 이러한 장식이 처음부터 도철이라고 불리는 존재의 묘사였다는 증거는 전혀 없고, 후세에 도철문이라고 불리고 있을 뿐이다. 그 때문에, 중국 고고학의 전문가인 하야시 미나오는 이것을 "수면문(獣面紋)"이라고 부르고 있다.[18]
명대에는, 용의 아들인 용생구자의 하나로, 그 다섯 번째에 해당한다고 여겨졌다. 음식을 좋아한다고 한다.
5. 후대의 해석
일부 학자들은 도철 문양이 치우를 지칭하며, 권력과 부를 탐하는 사람들에게 경고의 역할을 한다고 믿었다.[12]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는 그의 저서 ''상상의 동물들''에서 도철을 탐욕과 폭식을 나타내는 개 머리에 몸이 둘인 괴물로 해석했다. 도철의 "도(饕)"는 재산을 탐내고, "철(餮)"은 음식을 탐한다는 의미이다.[15] 무엇이든 먹는 맹수라는 인상에서 마(魔)를 먹는다는 생각이 생겨나 후대에는 액막이의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춘추좌씨전에는 도철이 혼돈, 궁기, 도올과 함께 "사흉" 중 하나로 여겨진다. 동방삭의 《신이경》에는 도철에 대한 자세한 묘사가 있다.
도철문을 치우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는 문헌이 있고, 염제의 자손으로 여겨진다는 점에서, 본래 도철은 치우와 동일한 존재였을 가능성이 제기된다.[16] 또한, 《산해경》에 등장하는 '''포효'''라는 짐승도 도철과 동일하다고 여겨진다.[17]
은대부터 주대에 걸쳐 도철문이라고 불리는 무늬가 청동기나 옥기의 장식에 부분적으로 사용되었다. 이 무렵의 왕은 신의 뜻을 인간에게 전하는 자로서 군림했다. 그 지위를 널리 알리고, 신을 두려워하게 함으로써 백성을 따르게 하기 위해, 제사의 도구인 이러한 기구에 도철문을 넣은 것으로 여겨진다. 량주 문화의 옥총에는 도철문 바로 아래에 왕의 얼굴이 조각된 것도 출토되고 있다. 다만, 이러한 장식이 처음부터 도철이라고 불리는 존재의 묘사였다는 증거는 전혀 없고, 후세에 도철문이라고 불리고 있을 뿐이다. 중국 고고학 전문가인 하야시 미나오는 이것을 "수면문(獣面紋)"이라고 불렀다.[18]
명대에는 용의 아들인 "용생구자"의 하나로, 그 다섯 번째에 해당한다고 여겨졌으며, 음식을 좋아한다고 한다.
6. 다른 괴수와의 관계
춘추좌씨전에는 혼돈, 궁기, 도올과 함께 "사흉" 중 하나로 여겨진다. 동방삭의 《신이경》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서남방에 사람이 있는데, 몸에 털이 많고, 머리에는 돼지를 이고 있다. 탐욕은 이리처럼 악하고, 스스로 재산을 쌓는 것을 좋아하며, 사람의 곡식을 먹지 않는다. 강자는 늙고 약한 자를 빼앗고, 무리를 두려워하여 단독을 친다. 이름을 도철(饕餮)이라 한다. 《춘추》에서 도철이라 말하는 것은, 진운씨의 불초자(不才子)이다. 일명 탐람(貪惏), 일명 강탈(強奪), 일명 능약(凌弱)이다. 이 나라의 사람들은 모두 이와 같다"
도철문을 치우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는 문헌이 있다는 점과, 염제의 자손으로 여겨진다는 점에서, 본래 도철은 치우와 동일한 존재였을 가능성이 제기된다.[16] 또한, 《산해경》에 등장하는 '''포효'''라는 짐승도 도철과 동일시된다.[17]
7. 대중문화 속 도철
도철(Tao Tei)은 2016년 역사 판타지 대작 영화 ''The Great Wall''의 주요 적대자이다.[13] 영화에서 도철은 녹색 피부를 가진 네 발 달린 외계 생명체로 묘사되며, 상어와 같은 이빨, 어깨에 위치한 눈, 그리고 머리에 도철 문양이 보인다. 도철은 개미와 유사한 사회적 곤충의 군집에서 생활하며, 여왕에게 먹이를 주기 위해 60년마다 중국의 수도를 공격한다.[14]
참조
[1]
서적
The Chinese Classics
http://www.sacred-te[...]
Trubner
[2]
서적
Ancient civilizations: the illustrated guide to belief, mythology, and art
https://books.google[...]
Barnes & Noble
[3]
간행물
[4]
간행물
Lüshi Chunqiu
[5]
간행물
[6]
간행물
[7]
서적
Shang Ritual Bronzes
The Arthur M. Sackler Foundation
[8]
서적
The Taotie Reconsidered: Meaning and Functions of the Shang Theriomorphic Imagery
Artibus Asiae
[9]
서적
Sources of Shang History: The Oracle-Bone Inscriptions of Bronze Age Chin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0]
문서
Lu Rong's Shuyuan zaji
http://xxgblog.tcip.[...]
[11]
문서
Yang Shen's Sheng'an Ji
[12]
서적
Chinese Brozes: Ferocious Beauty
https://books.google[...]
Asiapac
[13]
웹사이트
What Are The Tao Tei In 'The Great Wall'? These Mythical Monsters Are Hungry
https://www.bustle.c[...]
2017-02-16
[14]
웹사이트
'The Great Wall' Stands As A Monument To Absurd CGI Clutter
https://fm.kuac.org/[...]
2017-02-17
[15]
서적
新版 漢語林
大修館書店
1999-4-1
[16]
문서
袁珂『中国神話・伝説大事典』
大修館書店
[17]
문서
『中国神話・伝説大事典』
[18]
서적
神と獣の紋様学 ― 中国古代の神がみ
吉川弘文館
2004-07-01
[19]
문서
走出疑古時代
遼寧大學出版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