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생구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용생구자(龍生九子)는 용이 낳았다는 아홉 종류의 상상 속 동물을 의미하며, 각기 다른 특징과 상징성을 지닌다. 비희는 무거운 것을 짊어지는 것을 좋아하여 비석 받침으로, 이문은 불을 끄는 능력이 있어 건물 용마루에, 포뢰는 종의 윗부분에 장식되어 소리를 널리 퍼지게 하는 역할을 한다. 폐안은 정의를 수호하고, 도철은 탐욕을 경계하며, 공복은 물을 다스리는 능력을, 애자는 용맹함과 위엄을, 산예는 부처의 위엄을, 초도는 외부 침입을 막는 역할을 한다. 용생구자에 대한 다양한 관점과 목록이 존재하며, 중국과 한국의 건축, 조형물, 문화 콘텐츠 등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나라의 문화 - 정릉 (명)
만력제와 황후들을 안장한 정릉은 명십삼릉 중 유일하게 발굴된 황릉으로, 발굴 기술 부족과 문화대혁명으로 훼손되어 중국이 황릉 발굴 제한 정책을 시행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 중국의 용 - 진 (지지)
진(辰)은 십이지의 여섯 번째 동물로 용을 상징하며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길조로 여겨지지만, 여성 용띠에 대한 미신이나 특정 띠와의 상충, 용띠 해의 출산율 급증으로 인한 사회적 문제도 존재한다. - 중국의 용 - 흑룡
흑룡은 한국과 일본의 역사 기록 및 신화에 등장하는 검은 비늘을 가진 신성한 용으로, 한국에서는 우물에서 나타났다는 기록이 있고 일본에서는 신앙의 대상으로 숭배받으며, 오행 사상에서는 북방을 수호하는 신으로, 현대 문화 콘텐츠에서는 다양한 상징으로 활용된다. - 명수 9 - 규슈
규슈는 일본 남서부에 위치한 4대 주요 섬 중 하나로, 풍부한 온천 자원과 다양한 문화, 7개의 현으로 구성된 규슈 지방, 그리고 활발한 경제 활동이 특징이다. - 명수 9 - 구주 (중국)
구주는 중국을 아홉 개의 주로 나눈 고대 지리 개념으로, 시대와 문헌에 따라 범위와 명칭이 다르며, 중국 전체를 아우르는 표현으로도 사용되었다.
용생구자 | |
---|---|
용생구자 | |
개요 | 용생구자(龍生九子)는 중국 신화에서 용이 낳았다는 아홉 마리의 신수(神獸)를 가리키는 말이다. |
아홉 아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특징 | |
공통점 | 아홉 마리 모두 모습과 성격이 제각기 다르며, 각자의 재능을 살려 건축물이나 생활용품 등에 장식되어왔다. |
의미 | 용생구자는 권력과 위엄을 상징하는 용의 자손으로 여겨지며, 예로부터 행운과 복을 가져다주는 존재로 사랑받아왔다. |
2. 용생구자의 종류와 상징
용의 아홉 아들을 의미하는 용생구자(龍生九子)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명나라 시대 학자 루 롱(陸容, 1436–1494)의 『두원잡기』()에서 찾을 수 있다. 그러나 루 롱 자신은 이것이 용의 자식 목록이 아니라 여러 골동품에 대한 다른 이름들을 나열한 것이라고 언급했다.[1] 이후 명나라 시대의 여러 문헌에서 용생구자에 대한 다양한 목록이 등장했으며, 이 이야기들은 중국의 민간 설화와 문학 작품에서 널리 퍼지게 되었다. 주요 목록으로는 리 둥양(李東陽, 1447–1516)의 것과 양 선(楊慎, 1488–1559)의 것이 있으며, 이 중 양 선의 목록이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2]
양 선의 『승암외집』에 따른 용생구자는 다음과 같다. 각 아들은 독특한 성격과 형상을 가지며, 그 특징에 따라 건축물이나 기물의 특정 부분에 장식되었다.
# '''비희'''(贔屭): 거북과 비슷하며 무거운 것을 짊어지기 좋아함. 비석 받침돌 장식.
# '''이문'''(螭吻): 물고기나 고래와 비슷하며 먼 곳 바라보기를 좋아함. 지붕 용마루 장식 (화재 방지).
# '''포뢰'''(蒲牢): 용과 비슷하며 울부짖기를 좋아함. 종의 고리(종뉴) 장식 (소리 확산).
# '''폐안'''(狴犴): 호랑이와 비슷하며 힘과 정의를 좋아함. 감옥이나 법정 문 장식 (위엄 상징).
# '''도철'''(饕餮): 짐승과 비슷하며 먹고 마시기를 좋아함. 제기(祭器)나 종 장식 (탐욕 경계).
# '''공복'''(蚣蝮) 또는 파하(趴蝮): 물고기와 비슷하며 물을 좋아함. 다리 기둥 등 물가 건축물 장식 (수해 방지).
# '''애자'''(睚眦): 용이나 승냥이와 비슷하며 죽이기를 좋아함. 칼자루 등 무기 장식.
# '''산예'''(狻猊): 사자와 비슷하며 연기와 불을 좋아하고 앉아 있기를 좋아함. 향로나 불상 좌대 장식.
# '''초도'''(椒圖): 조개나 개구리와 비슷하며 닫기를 좋아함. 문고리 장식 (침입 방지).
한편, 이동양의 『회록당집』에는 약간 다른 목록이 전해지는데, 여기에는 수우(囚牛, 음악 좋아함), 초풍(嘲風, 험한 곳 좋아함), 부희(負屓, 글 좋아함) 등이 포함되고 일부 이름과 순서가 다르다. 그 외에도 기린, 이수, 조천후, 피휴 등을 용의 아들로 보는 설도 존재한다.
2. 1. 비희(贔屭)
거북을 닮은 용의 아들로, 무거운 것을 짊어지는 것을 좋아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성격 때문에 주로 비석 아래의 받침돌 부분에 장식되어 비석을 등이나 목으로 짊어지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비석 아래의 거북 모양 받침돌 자체를 귀부(龜趺)라고 부르기도 한다.
명나라 시대의 문헌에 따라 여러 이름으로 불리는데, 리 둥양은 패하(霸下중국어), 양 선은 비희(贔屭중국어)라고 기록했다. 이 외에도 屭贔중국어, 𧈢𧏡중국어 등의 다른 이름 표기가 있다.
한국에서는 예로부터 거북이 장수를 상징하는 동물로 여겨졌기 때문에, 거북과 닮은 비희 역시 장수의 의미를 지닌다고 생각되었다. 또한 무거운 비석을 굳건하게 받치고 있는 모습에서 안정과 힘을 상징하기도 한다.
2. 2. 이문(螭吻)
이문(螭吻)은 높은 곳에서 먼 곳을 바라보는 것(주시)을 좋아한다고 알려져 있다.[1][2] 그 형상은 문헌에 따라 물고기나 고래와 비슷하게 묘사되거나[2], 용[2] 또는 물고기[2] 자체의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무언가를 바라보며 삼키는 듯한 모습을 하고 있으며[1], 주로 건물의 용마루 끝이나 지붕 모서리에 장식된다.[2] 불을 삼키거나[2] 끄는 능력이 뛰어나다고 여겨져, 화재를 막고 재앙을 예방하는 상징물로 사용되었다.[1][2] 치미(鴟尾) 등 다른 이름으로도 불리며[2], 현대에는 지붕 위에 설치되는 물고기나 용 모양의 다양한 장식을 통칭하는 용어로 쓰이기도 한다.2. 3. 포뢰(蒲牢)
포뢰(蒲牢)는 용생구자 중 하나로, 용과 비슷한 형상을 하고 있다. 바다에 사는 용으로, 소리 지르는 것을 좋아한다고 알려져 있다.이러한 특징 때문에 종의 가장 윗부분, 즉 종을 매다는 고리 부분(종뉴)에 포뢰의 모습을 새겨 넣는 경우가 많다. 포뢰를 종에 장식하면 종소리가 멀리 울려 퍼진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리 둥양의 『회록당집』이나 양 선의 『승암외집』 등 여러 기록에서 용의 아홉 자식 중 하나로 언급된다.

2. 4. 폐안(狴犴)
폐안(狴犴)狴犴|비간중국어은 용생구자 중 하나로, 호랑이와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다.정의를 수호하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것을 좋아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성격 때문에 주로 감옥이나 법정으로 들어가는 문에 폐안의 모습을 새겨 넣었다. 이는 죄를 지은 이들에게 위엄과 경외심을 느끼게 하여 함부로 행동하지 못하게 하고, 동시에 정의가 바로 서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은 상징으로 여겨진다.

양 선(楊慎)의 『승암외집』에서는 폐안이 힘을 좋아한다고 설명하기도 했으나, 여러 기록에서 공통적으로 정의와 관련된 상징으로 묘사된다.
2. 5. 도철(饕餮)
도철(饕餮)은 용생구자 중 하나로, 먹고 마시는 것을 탐하는 성격을 지녔다. 그 모습은 늑대를 닮았으며, 성질이 사나워 악수(惡獸), 즉 악한 짐승으로도 불린다. 주로 정(鼎)이나 종(鐘)과 같은 청동기에 새겨졌는데, 이는 도철의 탐욕스러운 모습을 통해 역설적으로 지나친 식탐과 재물 욕심을 경계하고자 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2. 6. 공복(蚣蝮)
공복(蚣蝮|궁푸중국어)은 용생구자 중 하나로, 물을 좋아하는 성격을 가졌다.[2] 물을 가로지르는 다리의 기둥이나 아치 부분에 주로 조각되어 강을 따라 들어오는 악귀를 막아준다고 여겨진다.명나라 시대의 학자 양 선(楊慎, 1488–1559)은 그의 목록에서 공복을 𧈢𧏡|바샤중국어라는 이름으로 기록했다.[2] 이 이름은 희귀한 한자를 포함하며, 霸下|바샤중국어(패하)의 음차로 여겨진다. 중국 표준어로는 '바샤'(bàxià)로 발음된다.[2] 양신의 다른 저서인 『승암외집』에서는 '파하'(趴蝮|파푸중국어)라는 이름으로 등장하며 물고기와 비슷한 형상이라고 설명한다.
다른 기록에서는 다른 이름과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루 롱(陸容, 1436–1494)은 이 존재를 饕餮|타오톄중국어(도철)라고 불렀으며,[2] 팡 이즈(方以智, 1611-1671)는 蜥蜴|시이중국어, 즉 도마뱀으로 기록했다.[2] 이처럼 공복은 물고기나 도마뱀과 비슷한 모습으로 다양하게 묘사된다.
물을 다스리는 능력이 있다고 여겨져, 주로 물과 관련된 건축물, 예를 들어 다리 기둥이나 배수구 등에 장식되었다. 이를 통해 홍수를 막고 물길을 다스리는 역할을 한다고 믿었다.
2. 7. 애자(睚眦)
성격은 죽이는 것을 좋아한다. 험상궂은 인상을 하고 있으며, 주로 칼의 코등이나 자루, 창날 부분에 새겨진다. 삼국지연의 등에서 관우가 사용했다고 알려진 청룡언월도에 새겨진 용이 바로 애자라고 한다.명나라 시대의 문헌에 따라 용생구자의 목록이 조금씩 다른데, 양신(楊慎)의 『승암외집』에서는 애자를 일곱 번째 아들로 보며, 용 또는 산개(山犬)와 비슷한 형상을 하고 죽이는 것을 좋아한다고 설명한다. 반면 이동양(李東陽)의 『회록당집』에서는 두 번째 아들로 언급하고 있다.
2. 8. 산예(狻猊)
사자를 닮은 용으로, 불과 연기를 좋아하며 앉아 있는 것을 즐기는 성격으로 알려져 있다.[2] 이러한 특징 때문에 주로 향로에 새겨지며, 절에서는 부처가 앉는 자리인 불좌(佛座)를 장식하는 사자 동상의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한다.명나라 시대의 여러 문헌에서 용의 아홉 자식 중 하나로 언급된다. 리 둥양(李東陽)은 산예가 불좌에 앉아 있는 것을 좋아한다고 기록했으며[2], 양 선(楊慎)은 금猊(金猊)라는 이름으로 향로에 새겨지며 연기를 좋아한다고 설명했다.[2]
2. 9. 초도(椒圖)
개구리와 소라를 닮은 기이한 형상을 한 용이다. 닫기를 좋아하고 숨는 것을 좋아하는 성격 때문에 주로 문고리에 장식된다.[1][2] 양 선(楊慎, 1488–1559)이 저술한 『승암외집』에서는 초도를 조개나 개구리와 비슷하며 닫는 것을 좋아한다고 설명한다.루 롱(陸容, 1436–1494)의 『두원잡기』()를 비롯한 여러 명나라 시대 문헌 목록에서도 초도는 소라 껍데기(또는 조개) 모양으로 문고리에 쓰이며, 입을 다물고 있는 것을 선호하는 존재로 묘사된다.[1][2] 현대 대중적인 용법에서는 소라 껍데기 모양의 문고리 대신 사자 모양의 문고리에 초도라는 이름이 자주 사용되기도 한다.
3. 용생구자에 대한 다양한 관점
용생구자 목록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루 롱(陸容, 1436–1494)의 『두원잡기』(菽園雜記중국어)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루 롱 자신은 이 목록이 용의 자식이 아니라 다양한 골동품의 동의어를 열거한 것이라고 언급했다.[1]
몇몇 명나라 시대의 문헌에는 '용생구자'(龍生九子중국어)로 주장되는 내용이 실려 있으며, 이후 이들은 중국의 대중적인 이야기와 글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용생구자 목록에는 크게 네 가지 주요 버전이 있다:[2]
- 루 롱(陸容, 1436–1494)의 목록: 14마리의 생물을 포함한다.
- 리 둥양(李東陽, 1447–1516)의 목록: 9마리의 생물을 포함한다.
- 양 선(楊慎, 1488–1559)의 목록: 9마리의 생물을 포함하며, 이 버전이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
- 팡 이즈(方以智, 1611-1671)의 목록: 이전 목록의 요소를 결합했다.
다음은 이 목록들에 언급된 모든 생물이다.
그림 | 위치 | 형태 | 이름 | 선호하는 것 | |||
---|---|---|---|---|---|---|---|
루 롱 | 리 둥양 | 양 선 | 팡 이즈 | ||||
비석 아래 | 거북 | 屭贔중국어 | 霸下중국어 | 贔屭중국어 | 𧈢𧏡중국어 | 무거운 무게 | |
![]() | 비석 꼭대기 | 용 | 螭虎중국어 | 贔屭중국어 | 문학적 재능 | ||
다리 아래 | 도마뱀 | 饕餮중국어 | 𧈢𧏡중국어 | 蜥蜴중국어 | 물 | ||
![]() | 청동 용기 | 짐승 | 饕餮중국어 | 饕餮중국어 | 음식 | ||
![]() | 칼자루 | 악마 | 蟋蜴중국어 | 睚眦중국어 | 睚眦중국어 | 睚眦중국어 | 살인 |
지붕 모서리 | 용 | 螭𧉚중국어 | 螭吻중국어 | 鴟吻중국어 | 주시 | ||
![]() | 지붕 마루 | 물고기 | 鰲魚중국어 | 蚩吻중국어 | 불 삼키기 | ||
![]() | 지붕 마루 | 용 | 𧖣𧊲중국어 | 바람과 비 | |||
문고리 | 사자 | 獸𧉚중국어 | 악을 흡수함 | ||||
-- | 문고리 | 소라 껍데기 | 椒圖중국어 | 椒圖중국어 | 椒圖중국어 | 입을 다물고 있음 | |
-- | 탑 꼭대기 | 작은 용 | 虭蛥중국어 | 虭蛥중국어 | 위험 | ||
-- | 지붕 모서리 | 불사조 | 嘲風중국어 | 嘲風중국어 | 위험 | ||
향로 | 사자 | 金猊중국어 | 金猊중국어 | 狻猊중국어 | 연기 | ||
![]() | 부처님 옥좌 | 사자 | 狻猊중국어 | 앉아 있음 | |||
종 꼭대기 | 작은 용 | 徙牢중국어 | 蒲牢중국어 | 蒲牢중국어 | 蒲牢중국어 | 울부짖음 | |
감옥 문 | 호랑이 | 憲章중국어 | 狴犴중국어 | 狴犴중국어 | 狴犴중국어 | 맞섬 | |
-- | 순찰 경로 | 인어 | 金吾중국어 | 金吾중국어 | 깨어 있음 | ||
-- | 비파 | 황룡 | 囚牛중국어 | 囚牛중국어 | 음악 |
표에서 볼 수 있듯이, 일부 이름은 저자에 따라 다른 생물에 할당되기도 한다. 이 이름 외에도, 비석 꼭대기에 묘사된 용에 대한 負屭중국어(부희) 또는 비석 아래에서 발견되는 거북에 대한 龜趺중국어(귀부)와 같은 다른 변형된 이름이 사용되기도 한다. "용 머리"라는 뜻의 螭首중국어(이수)라는 단어는 언급된 일부 구조물 장식에 적용될 수 있다.
이 생물 중 일부는 포뢰 또는 비희와 같은 이전 신화 속 동물에 기반을 두고 있지만, 대부분은 다른 신화적 배경이 없으며 주로 장식 구조물의 이름으로만 사용된다.
기린, 용마, 비휴, 등롱을 포함하여 용의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용생구자" 목록에는 포함되지 않는 다른 신화 속 생물들도 있다.
4. 현대적 의의
2012년 용띠 해에 상하이 조폐창은 용의 아홉 아들을 주제로 한 기념 주화 세트를 발행했다. 은화 세트[3]와 황동화 세트[4]가 각각 제작되었으며, 각 세트는 아홉 아들을 하나씩 묘사한 9개의 주화로 구성되었다. 여기에 아버지 용을 묘사한 주화가 은화[5]와 황동화[6]로 추가 발행되었는데, 뒷면에는 아홉 아들의 모습이 모두 담겨 총 20개의 주화 시리즈를 이루었다.[7]
용생구자 설화는 현대의 여러 대중문화 작품에서 소재로 활용되기도 한다.
- 탐정학원Q: 연재판 마지막 에피소드 '서룡관 살인사건'은 승암외집 설에 따른 용생구자를 주제로 한다. 사건의 무대가 되는 아홉 개의 관은 각각 아홉 아들의 이름이 붙어 있으며, 그에 맞는 장식과 장치가 있다. 작중 등장하는 DDS의 옛 학교 건물도 이 중 하나이다.
- RE-INCARNATION: 니시다 다이스케가 각본과 연출을 맡은 연극 시리즈로, 스스로를 용생구자라고 칭하는 인물들이 등장한다.
- 너는 명도님。: 여자 주인공 유키가 과거 몸담았던 암살 조직의 이름으로 '용생구자'가 언급된다.
참조
[1]
서적
菽園雜記
[2]
서적
中國文化背景八千詞
https://books.google[...]
商務印書館
[3]
웹사이트
2012 7.5 oz silver lunar dragon 9 sons of the dragon 9 coin set
https://www.coincomp[...]
CCT3564
[4]
웹사이트
2012 brass lunar dragon 9 sons of the dragon 9 coin set
https://www.coincomp[...]
CCT4055
[5]
웹사이트
2012 600 g silver lunar dragon 9 sons of the dragon father dragon
https://www.coincomp[...]
CCT3563
[6]
웹사이트
2012 brass lunar dragon 9 sons of the dragon father dragon
https://www.coincomp[...]
CCT3610
[7]
웹사이트
2012 lunar dragon 9 sons of the dragon 20 coin set
https://www.coincomp[...]
CCT424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