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물보호시민단체 카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물보호시민단체 카라는 2002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동물 보호 시민 단체이다. 동물실험, 동물 쇼, 개고기 소비, 모피 사용 등 동물 복지 문제에 대한 캠페인을 진행하며, 동물보호법 개정 및 엄격한 시행을 위해 노력한다. 또한, TNR 사업, 유기동물 지원, 동물 복지 교육, 자원봉사 프로젝트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현재 대표는 영화감독 임순례이며, 2019년에는 더봄센터 건립 기금 마련을 위한 책 《다름 아닌 사랑과 자유》를 출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동물복지 단체 - 동물권단체 케어
    동물권단체 케어는 2000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동물권 보호 단체로, 동물 학대 고발, 유기 동물 구조 및 보호, 동물 보호 법률 제정 및 개정 활동, 시민 의식 개선 교육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동물과 인간의 조화로운 공존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동물복지 단체 - 동물자유연대
    동물자유연대는 피학대 동물 구조, 반려동물 문화 캠페인, 농장동물 복지 증진, 돌고래 전시 금지, 동물 관련법 제정 및 개정 등 다양한 활동을 하는 대한민국의 동물 보호 단체이다.
  • 사단법인 (농림축산식품부 소관) - 식생활교육국민네트워크
    식생활교육국민네트워크는 식생활교육지원법에 근거하여 국민의 건강한 식생활 지원과 식생활 교육 활성화를 목표로 설립되었으며, 식생활 영위 능력 향상, 전통 식문화 계승, 농어업 및 농어촌 활성화, 국내외 교류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해왔다.
  • 사단법인 (농림축산식품부 소관) - 한국전통주진흥협회
    한국전통주진흥협회는 전통주 산업 진흥을 목적으로 설립된 사단법인으로, 홍보, 마케팅, 연구 개발 지원, 행사 개최, 회원 지원 및 교류 등의 사업을 추진하며 전통주 산업 발전을 도모한다.
  • 동물권 단체 - PETA
    PETA는 1980년 잉그리드 뉴커크와 알렉스 파체코가 설립한 세계적인 동물 권리 단체로, 종 차별에 반대하며 음식, 의류, 오락, 연구 등 모든 형태의 동물 학대에 반대하는 활동을 펼치지만, 과격한 시위 방식과 높은 안락사 비율 등으로 논란이 되기도 한다.
  • 동물권 단체 - 동물해방전선
    동물해방전선은 동물의 해방과 권리 옹호를 목표로 하는 국제적인 조직으로, 동물 실험 시설 습격, 동물 구출, 재산 파괴 등의 직접 행동을 전개하며 논란과 비판에 직면해 있다.
동물보호시민단체 카라
기본 정보
명칭동물권행동 카라
약칭KARA
유형비영리 단체
형태사단법인
목적동물 복지
설립일2010년 3월 9일
본부 위치서울특별시 마포구 잔다리로 122 (서교동 457-5)
활동 지역대한민국
언어한국어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조직
대표임순례

2. 단체 연혁

2002년 4월, 동물권 보호를 위한 개혁가 그룹에 의해 '아름품'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설립되었다.[2] 2005년 12월 비영리단체로 정식 승인을 받았고, 2006년에는 단체명을 '카라'로 변경하며 비영리 단체로 공식 등록되었다. 이후 2007년 4월 사회복지 봉사활동 인증센터로 지정되었으며, 2010년에는 대한민국 농림수산식품부에 사단법인으로 등록되었다. 2014년 8월에는 자체 보호 시설인 카라 더불어숨 센터를 개관하였다. 현재 카라의 대표는 한국 영화 감독 임순례이다.[3]

2. 1. 설립 초기 (2002-2006)

2002년 4월, 동물권 보호를 위한 개혁가 그룹에 의해 '아름품'이라는 이름으로 단체가 처음 설립되었다.[2] 이후 2005년 12월에 비영리단체로 정식 승인을 받았으며, 2006년에는 단체명을 '카라'로 변경하고 비영리 단체로 공식 등록하였다.

2. 2. 활동 확장기 (2007-2013)

2007년 4월, 카라는 사회복지 봉사활동 인증센터로 지정되어 활동의 공신력을 확보했다. 같은 해 12월에는 동물보호 전문 잡지 <숨>을 창간하여 동물권 문제에 대한 사회적 담론 형성에 기여하기 시작했다.

2010년에는 대한민국 농림수산식품부에 사단법인으로 정식 등록하며 조직의 안정성을 강화했다. 또한 7월에는 서울시정 참여사업의 일환으로 '반려동물 교육자 양성과정과 움직이는 반려동물 학교'를 개설하여 시민 대상 교육 활동을 본격화했다.

2011년 5월에는 아름다운재단의 지원을 받아 'KARA 의료봉사대'를 출범시켜 유기동물 및 학대 피해 동물에 대한 의료 지원 체계를 마련했다.

2012년에는 동물 보호를 위한 구체적인 성과를 거두었다. 4월에는 온라인 쇼핑몰 G마켓에서의 반려동물 인터넷 판매 금지를 이끌어냈으며, 8월에는 '개식용산업 실태조사와 금지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보고서'를 발표하여 개식용 문제의 심각성을 알리고 정책 변화를 촉구했다. 이러한 활동을 인정받아 12월에는 환경재단이 선정하는 '세상을 밝게 만든 사람들' 33인에 포함되었다.

2013년 1월에는 'KARA 서포터즈' 발대식을 개최하여 시민 참여를 확대했으며, 4월에는 청소년을 위한 동물 사랑 교과서 <동물, 아는 만큼 보인다>를 출간하여 미래 세대를 위한 동물권 교육에 힘썼다. 같은 해 10월에는 쥬쥬동물원의 동물 학대 영상을 제보받아 이를 고발하고, 이를 계기로 동물보호법 개정안 발의를 이끌어내는 등 적극적인 동물 학대 방지 활동을 펼쳤다.

2. 3. 더불어숨 센터 개관 및 활동 다각화 (2014-현재)

2014년 8월, 동물보호시민단체 카라는 자체 보호 시설인 카라 더불어숨 센터를 개관하였다.

3. 주요 활동

동물보호시민단체 카라는 동물 보호와 권리 증진을 위해 다방면에 걸쳐 활동하고 있다. 2007년 12월에는 동물보호 전문 잡지 <숨>을 창간하여 동물권 문제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2011년 5월에는 아름다운재단의 지원을 받아 를 출범시켜 동물을 위한 의료 지원 활동의 기반을 마련했다. 시민들의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2013년 1월에는 KARA서포터즈 발대식을 가졌다.

또한, 카라는 동물 보호 현장의 목소리를 담아 2016년 5월에는 동물보호명예감시원 활동사례집을 발간했으며, 같은 해 12월에는 길고양이 구내염 치료지원 시범사업을 시작하는 등 구체적인 동물 복지 개선 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 외에도 동물권 보호를 위한 각종 캠페인, 길고양이 TNR 사업, 동물 복지 교육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3. 1. 동물권 보호 캠페인

카라는 동물실험,[4][5] 동물 쇼,[6] 개고기 소비[7]모피 사용 등 한국 사회의 다양한 동물 복지 문제 해결을 위해 적극적인 캠페인을 전개한다. 특히 개고기 문제에 대해서는 2012년 <개식용산업 실태조사와 금지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보고서>를 발표하고, 2016년에는 개 식용 종식을 위한 국제 컨퍼런스를 개최하는 등 꾸준히 노력하고 있다.

입법 활동을 통해서는 동물보호법의 실효성을 강화하고[8] 시대 변화에 맞는 개정을 촉구하는 데 힘쓰고 있으며, 2013년에는 동물보호법 개정안 발의에 참여하기도 했다.

구체적인 활동으로는 2012년 온라인 쇼핑몰 G마켓에서의 반려동물 판매 금지를 이끌어냈고,[12] 2013년에는 쥬쥬동물원의 동물 학대 사실을 고발하여 사회적 경각심을 일깨웠다. 또한, 2014년부터는 반려동물의 열악한 사육 환경 개선을 위해 불법 번식장 및 경매장 폐쇄 캠페인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활동 외에도, 동물 보호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높이기 위해 사진 전시회 등 예술가들이 참여하는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카라의 이러한 노력은 2012년 환경재단이 선정하는 <세상을 밝게 만든 사람들> 33인에 포함되는 등 사회적으로도 인정받고 있다.

3. 2. 길고양이 TNR 사업

TNR은 길고양이 개체수 증가를 억제하고 궁극적으로 길고양이의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이다. 고양이를 인도적으로 포획하여 중성화 수술을 실시한 후 회복 기간을 거쳐 다시 원래 서식지로 돌려보낸다. 동물보호시민단체 카라는 2016년 4월 케어테이커 TNR 지원사업을 개시하며 이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3. 3. 유기동물 지원 및 입양 프로젝트

카라의 입양센터는 유기동물을 구조하고 보호하며, 새로운 가정을 찾아 입양될 때까지 돌보는 역할을 수행한다.

3. 4. 동물 복지 교육

카라는 동물 복지 문제 개선을 위한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관련 활동을 꾸준히 진행해 왔다. 2010년 7월, 서울시정 참여사업의 일환으로 '반려동물 교육자양성과정'과 '움직이는 반려동물 학교'를 개설하며 교육 활동을 시작했다. 2013년 4월에는 동물 사랑 교육을 위한 교재인 <동물, 아는 만큼 보인다>를 출간하여 교육 자료를 개발했다.

2014년에는 동물보호교육센터를 설립하여 교육 활동을 확장하고 체계화했다. 이 센터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동물 복지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동물 복지 개선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센터는 카라의 본부로서 전화 응대, 활동 관리, 제반 업무 처리 등 단체 운영의 주요 업무를 담당한다.

3. 5. 자원봉사 프로젝트

카라 봉사 프로젝트는 정부 지원 없이 개인적으로 운영되는 한국의 민간 안락사 없는 보호소를 지원한다. 이들은 열악한 환경의 보호소를 매달 방문하여 사료와 중성화 수술, 견사 수리, 의료 지원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4. 관련 도서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상위 섹션에는 내용을 작성하지 않음)

4. 1. 《다름 아닌 사랑과 자유》

《다름 아닌 사랑과 자유》는 동물보호시민단체 카라가 다양한 후원 방식 중 '일대일 결연' 방식을 알리고, 결연 대상 동물들이 지내게 될 카라 더봄센터 건립 및 운영 기금 마련을 위해 기획한 책이다. 이 책에는 김하나, 이슬아, 김금희, 최은영, 백수린, 백세희, 이석원, 임진아, 김동영 작가가 참여하였다. 2019년 10월 문학동네에서 출간되었다. (ISBN 978-89546581-2-6)

참조

[1] 서적 Animals and Sociology https://books.google[...] Springer
[2]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KARA http://animalrightsk[...] 2020-06-27
[3] 뉴스 "[손동우가 만난 사람]동물보호시민단체 ‘카라’ 대표 맡은 영화감독 임순례" http://news.khan.co.[...] 2011-05-12
[4] 뉴스 Cosmetics makers going cruelty-free https://www.koreatim[...] 2013-04-22
[5] 웹사이트 HSI's Be Cruelty-Free Campaign Makes Progress in Korea http://www.hsi.org/n[...] 2020-06-27
[6] 뉴스 "They looked like zombies," says campaigner http://www.jejuweekl[...] 2013-06-03
[7] 뉴스 Korea to Turn Dog-slaughtered Sites into a Public Park http://koreabizwire.[...] 2014-07-17
[8] 뉴스 Pet shops dupe customers https://www.koreatim[...] 2014-03-06
[9] 뉴스 동물보호를 위해 뛰는 사람들…동물자유연대·카라·케어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6-05-17
[10] 뉴스 “거기 동물들은 잘 있나요?” 케어 사태 이후 동물단체 문의 ‘봇물’ http://www.hani.co.k[...] 2019-01-18
[11] 뉴스 동물권행동 카라, 선진국형 동물복지센터 '더봄센터' 첫삽 http://news1.kr/arti[...] 뉴스1 2018-11-07
[12] 웹인용 G마켓도 반려동물 판매 철회 결정 https://www.ekara.or[...] 2012-04-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