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드래곤 트라이앵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드래곤 트라이앵글은 '마의 바다', '악마의 바다' 등으로 불리는 일본 근해의 해역으로, 1950년대부터 선박 실종 사건이 보고되며 미스터리한 장소로 여겨진다. 정확한 위치는 자료에 따라 다르지만, 이즈 제도에서 오가사와라 제도 동쪽, 또는 이오 섬과 마커스 섬 사이를 포함하는 삼각형 해역으로 묘사된다. 찰스 벌리츠의 저서 '드래곤 트라이앵글'을 통해 널리 알려졌으며, 버뮤다 삼각지대와 유사한 초자연 현상이 일어나는 곳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그러나 래리 쿠셰는 이러한 전설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제시하며, 실종 사건의 대부분이 자연적인 요인에 의한 사고라고 주장했다. 과학적으로는 해저 화산 활동, 메탄 하이드레이트 가스 분출 등이 설명으로 제시되며, 대중문화 작품에서도 미스터리한 장소로 자주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초상현상 - 성모 발현
    성모 발현은 기독교 역사에서 성모 마리아가 나타났다는 주장으로, 개인적 경험에서 시작하여 대규모 발현으로 발전했으며, 가톨릭 교회는 엄격한 평가를 통해 진위 여부를 판단하고, 예술, 문학, 사회 운동 등에 영향을 미치지만 비판적 시각도 존재한다.
  • 초상현상 - 도깨비불
    도깨비불은 습하고 어두운 곳에서 밤에 나타나는 불가사의한 불빛으로, 귀신이나 요괴의 소행으로 여겨졌으며, 과학적으로 설명되지 않지만 방전 현상이나 가연성 가스 발화 등의 원인으로 추정된다.
  • 태평양 - 오스트레일리아 (대륙)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은 오스트레일리아 본토, 태즈메이니아, 뉴기니 섬으로 구성되고 사훌 대륙붕으로 연결되었던 육지이며, 낮고 평평하며 오래된 대륙으로 독특한 생물상과 문화를 지니고 원주민 거주 후 유럽의 탐험과 식민화를 거쳐 현재는 오스트레일리아 연방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와 경제 활동이 공존한다.
  • 태평양 - 무 대륙
    무 대륙은 19세기부터 20세기 초에 제기된 가설로, 태평양에 존재했다가 침몰했다는 전설 속의 대륙이며, 고대 문명의 기원을 설명하는 데 활용되었으나 과학적으로 부정되었다.
드래곤 트라이앵글
위치 정보
개요
이름용의 바다 (마의 바다)
위치일본 주변의 태평양
특징보고된 초자연 현상
과학적 설명 부족
명칭
일본어魔の海 (Ma no Umi)
영어Devil's Sea (데빌스 시)
다른 이름드래곤 트라이앵글
초자연적 현상
주요 내용선박 및 항공기 실종
기상 이변
원인 불명의 사고
과학적 설명 시도메탄 하이드레이트 분출로 인한 밀도 변화
강력한 해류 및 기상 조건
역사적 배경
1950년대일본 정부 조사단 실종 사건 발생
이후지역에 대한 인식 확산 및 연구 진행
대중 문화 속의 용의 바다
등장 매체소설
영화
게임
묘사초자연적 현상의 근원지 또는 미지의 위험 지역으로 묘사
과학적 논쟁
회의론통계적 오류 가능성 제기
자연 현상으로 설명 가능 주장
옹호론기존 과학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현상 존재 주장
추가 연구 필요성 강조

2. 명칭 및 위치

드래곤 트라이앵글은 '마의 바다', '악마의 바다' 등으로도 불리며, 영어로는 'Devil's Sea', 'Dragon's Triangle' 등으로 표기된다. 일본어로는 '魔の海'(마노우미) 등으로 표기된다.[1] 이 해역의 정확한 위치와 범위는 자료마다 다르게 나타나지만, 대체로 일본 근해, 특히 이즈 제도, 오가사와라 제도, , 타이완 등을 잇는 삼각형 해역으로 묘사된다.

찰스 벌리츠는 1989년 자신의 저서 《드래곤의 삼각지대》에서 이 해역이 드래곤 트라이앵글이라고도 불린다고 주장했다.[32] 그는 "도쿄의 북쪽, 서일본에서 동경 약 145도의 태평양을 향해 선을 긋고, 서남서로 꺾어[34] 오가사와라 제도를 지나 과 얍, 서쪽의 타이완으로 내려간 후 북북동으로 꺾여, 도쿄만에 있는 노지마자키 부근을 향해 일본으로 돌아온다"[35]는 삼각형 해역을 "드래곤즈 트라이앵글"이라고 칭했다.

요미우리 신문은 ''마노 우미''의 크기를 이즈 제도에서 오가사와라 제도 동쪽까지, 동서 약 약 321.87km, 남북 약 약 482.80km라고 설명했다.[4] 그러나 미야케지마와 이오지마 근처에서 실종된 2척의 배는 약 약 1207.00km 떨어져 있다.[4]

콜린 윌슨에 따르면, :en:Ivan T. Sanderson의 1970년 저서 『Invisible Residents』에서 버뮤다 삼각지대 외에 "마의 삼각 해역"의 존재가 일본 남쪽에서 확인되었다고 한다.[11] 2005년에 재판된 Sanderson의 『Invisible Residents』에서는, 혼슈에서 약 402.33km 남쪽의 동경 140도 부근의 '''마름모꼴의 해역'''에서 으로 향하는 비행기가 종종 실종된다고 한다.[12]

일본 근해. 지도상의 붉은 부분이, 벌리츠의 주장에 최대한 맞춰 그려진 드래곤즈 트라이앵글.

3. 역사

드래곤 트라이앵글에 대한 이야기는 1950년대부터 나타나기 시작했다. 1955년 1월, 일본 선박 '신요마루 10호'(第十伸洋丸)가 미쿠라지마 근처에서 무선 연락이 끊겼다가 발견되는 사건이 발생했다.[3] 이 사건을 계기로 일본 언론들은 이 해역을 '마의 바다'라고 부르기 시작했다.[3] 요미우리 신문은 이 해역에서 실종된 여러 선박들의 위치를 지도로 표시하며, 요코하마 해안 경비대가 이 구역을 특별 위험 구역으로 지정했다고 보도했다.[4]

미국의 뉴욕 타임스는 이 사건을 '악마의 바다'라는 용어로 소개하며, 맑은 날씨 속에서 9척의 배가 사라졌다고 보도했다.[5] 요미우리 신문은 '마의 바다'의 크기를 이즈 제도에서 오가사와라 제도 동쪽까지 동서 약 200마일, 남북 약 300마일로 설명하며, 지난 5년간 9척의 배가 실종되었다고 밝혔다.[4] 하지만 이 9척 중 2척은 미야케지마와 이오지마 근처에서 실종되었는데, 두 섬 사이의 거리는 약 750마일이나 된다.

1974년, 미국의 초자연 현상 작가 찰스 벌리츠는 저서 《버뮤다 삼각지대》에서 악마의 바다를 언급했다. 벌리츠는 1950년에서 1954년 사이에 9척의 배와 수백 명의 선원이 흔적도 없이 사라졌고, 1955년에는 일본 정부가 선박 실종 사건을 조사하기 위해 제5 해양호를 보냈지만, 이 배마저 사라졌다고 주장했다.[14] 이후 일본 당국이 이 바다를 위험 구역으로 지정했다고 덧붙였다.

1989년, 벌리츠는 저서 《드래곤의 삼각지대》에서 악마의 바다가 드래곤 트라이앵글이라고도 불린다고 주장했다.[35] 벌리츠는 1942년 초 일본 해안 근처에서 훈련 중이던 일본 군함 5척이 사라졌다는 가설을 제시했다.[24]

찰스 벌리츠는 1974년 저서에서 이오 섬과 마커스 섬 사이를 해저 화산이나 쓰나미로 배가 사라지는 위험 해역이며, '데빌스 시(Devils Sea)'라고 불린다고 주장했다. 그는 옛날부터 어부들이 데빌, 데몬, 몬스터에게 배가 끌려 들어간다고 두려워했으며, 1950년부터 1954년 사이에 9척의 배가 흔적도 없이 사라졌고, 조사를 위해 파견된 "제5해양호"마저 1955년에 갑자기 사라져 일본 정부가 위험 구역으로 지정했다고 주장했다.[15]

로렌스 D. 쿠슈는 1955년 1월 16일 뉴욕 타임스 기사를 이 전설의 원형으로 보았다.[16] 뉴욕 타임스는 1월 15일 로이터 통신을 인용, "신요마루"가 "데블스 시"에서 실종되었으나 무선 고장으로 무사히 귀환했다는 내용을 보도하며, 악마가 숨어 있다는 어부들의 미신과 특별 위험 구역 지정에 섣불리 나선 해상보안청을 비꼬는 뉘앙스를 풍겼다.[17][18]

수산청의 어업지도선 "제10신요마루"가 1955년 1월 4일 이후 연락이 두절되었다가[20] 15일에 연락이 닿은 것은 사실이지만,[21] 뉴욕 타임스 기사는 신요마루를 해상보안청 소속 관측선으로 표기하는 등 정확성이 부족했다. 또한 '위험 구역'은 메이신 암초 15km 이내 접근 금지 통보였을 뿐이었다.[22] 쿠슈는 "데블스 시"라는 명칭에 대해 문의했지만, 아무도 알지 못했다.[23]

요미우리 신문은 1955년 1월 14일, 동서 200마일, 남북 300마일 해역에서 5년간 제5해양마루를 포함한 9척의 배가 실종되었다고 보도하며, 어부들 사이에서 '마의 바다'로 불린다고 언급했다. 요코하마 해상보안부가 특수 위험 해역으로 지정했다고 보도했지만, 오컬트적인 기사로 만들었다.[26]

아사히 신문도 제5해양마루와 제3구로시오마루의 소실과 관련하여 '마의 바다'라는 표현을 사용했지만,[27] 태평양 전쟁 이전부터 '마의 바다', '마의 해역'이라는 표현은 흔히 사용되었고, 항해상의 어려움을 의미하는 정도였다. 하지만 로이터는 이를 '데블스 시'(악마의 바다)로 번역했고, 뉴욕 타임스는 일본에 악마 미신이 있는 것처럼 기사화했다.

해상보안청 관측선 "제5해양마루"는 1952년에 메이신 암초 분화 관측을 위해 승무원 31명과 함께 행방불명되었고, 구명 부이가 발견되어 침몰이 확정되었다.[29] 유류품 손상 상태로 보아 폭발 압력으로 전복된 것으로 추정되었지만,[30] 벌리츠와 야오이 준이치는 제5해양마루의 목적을 숨긴 채 수수께끼의 실종 사건으로 만들었다.[15][31]

1989년 벌리츠는 이 해역을 주제로 한 책에서 "바다의 악마, 불안한 "이[32] 수세기 전부터 어선을 침몰시키고 있다고 믿어져 왔다고 설명했다.[33]

벌리츠는 도쿄 북쪽에서 동경 약 145도의 태평양을 향해 선을 긋고, 오가사와라 제도를 지나 과 얍, 대만을 거쳐 노지마자키 부근으로 돌아오는 "삼각형 해역"을 "드래곤즈 트라이앵글"이라고 칭하며,[35] 핵전쟁으로 멸망한 초고대 문명이 이 해역과 관련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벌리츠는 드래곤즈 트라이앵글에서의 주요 실종 사건으로 다음 39건을 제시했다.[36][37]

날짜선명/기체명비고
1949년 4월 19일제1 흑조환(第一黒潮丸)18일 이후 불명[38][26]
1949년 4월 22일제2 흑조환(第二黒潮丸)21일 미사키 어항 출항 후 불명[26]
1952년 6월 8일제5 장복환(第五長福丸)시모다 앞바다에서 강풍과 폭우로 침수되었다는 연락[39][40][26]
1952년 9월 24일해상보안청 제5 해왕환(第五海王丸)제5 해양환. 유류품 파손으로 보아 해저 화산에 휘말린 것으로 추정[41][26]
1953년 6월 6일신성환(神成丸)신생환. 1월 6일 스미스 섬 부근에서 불명[26]
1953년 12월제16 고치환(第十六高知丸)12월 19일 미나미이오 섬 앞바다에서 태풍 23호로부터 피난 중 통신 후 불명[42][26]
1954년 1월 20일제3 흑조환(第三黒潮丸)29일부터 토리시마 앞바다에서 불명[43][26], 3월 26일 부이 발견[44]
1954년 9월 25일제2 후요환(第二芙蓉丸)미야케 섬 부근에서 불명[26]
1954년 10월 20일제1 정승환(第一正勝丸)제1 청승환. 미쿠라지마 앞바다에서 강풍으로 침수, SOS 발신, 빈 구슬 발견[45][46][26]
1954년 12월 6일제15 천대환(第十五千代丸)
1955년 6월 26일미 공군 F-3B 항공기도쿄 남해상 추락 해병대기?[48]
1957년 3월 12일미 공군 KB-50 항공기요코타 기지에서 웨이크 섬 항로에서 불명[49][50]
1957년 3월 16일미 해군 JD-1 정찰기가고시마 상공 불명, 18일 7명 구조된 미군기?[51]
1957년 3월 22일미 공군 C-97 항공기웨이크 섬에서 하네다 공항 항로에서 불명[52]
1963년 6월 7일도난환(道南丸)도난환. 필리핀에서 나고야 항로, 6일 이후 불명, 목재 표류[53]
1964년 10월 10일주노 호(ジュノ号)SS Juno. 대만에서 브루나이 항로에서 불명[54]
1967년 9월 13일데니 로즈 호(デニー・ローズ号)MV Denny Rose. 필리핀에서 지바 항 항로에서 불명[55][56]
1967년 10월 25일톤・홍 호(トン・ホン号)MV Tong Hong. 가와사키 항에서 싱가포르 항로에서 불명[57]
1970년 1월 8일아기오스 기오르기스 호(アギオス・ギオルギス号)1980년 1월 11일 이누보자키 앞바다 침몰 "아기오스 조지"?[58]
1970년 2월 10일JAL-341편 항공기기체 번호 JA3414 경비행기. 캘리포니아 마루 사고 촬영 중, 연료 부족 통신 후 불명[59]
1971년 7월 16일P2V 잠수반 탐사기(ママ)해상자위대시모후사 항공기지 대잠 초계기P-2V. 활주로 부근 나무 접촉, 해상 대처 중 조시 앞바다 추락[60], 유해와 기체 발견[61][62]
1971년 11월 12일바나루나 호(バナルナ号)필리핀 앞바다에서 태풍 35호 조우 후 불명[63]
1971년 10월 5일주니어 KL 호(ジュニアKL号)MV Junior K. L.. 태풍 조우[64]
1971년 10월 6일씨 파인 2호(シー・パイ2号)MV Sea Pine. 23일 대만 앞바다에서 소식 끊김[65]
1974년 11월 24일제라늄 호(ゼラニウム号)MV Geranium. 알류샨 열도 앞바다에서 폭풍우 후 불명[66]
1975년 2월 16일트랜스오션 시퍼 호(トランスオーシャン・シッパー号)
1975년 10월 22일밍 송 호(ミン・ソン号)
1975년 12월 29일베르그 이스트라 호(ベルグ・イストラ号)버지 이스트라. 민다나오 섬 앞바다 불명, 승무원 2명 구조[67], 선체 폭발 증언[68]
1976년 1월 9일돈 아우렐리오 호(ドン・アウレリオ号)
1976년 6월 30일뉴 벤처 호(ニュー・ベンチャー号)MV New Venture. 시모노세키에서 두바이 항해 중, 바탄 섬 앞바다 불명[69]
1977년 2월 13일로즈 S 호(ローズ・S号)
1977년 2월 22일제1 트라이엄프 호(第一トライアンフ号)9월 27일 좌초 MV Triumph Ace?[70]
1980년 7월 28일해 당 와 호(ハエ・ダン・ワ号)호주에서 한국 항해 중, 태풍 킴(:en:Typhoon Kim (1980)) 조우 후 불명[71]
1980년 9월더비셔 호(ダービーシャ号):en:MV Derbyshire. 캐나다에서 가와사키 항 항해 중, 태풍 조우, 오키나와 근해 불명[72], 1994년 발견, 해치 침수로 침몰[73]
1980년 12월 28일도나우 호(ドナウ号)노지마자키 동쪽 1220km에서 악천후 침수 무선 연락 후 불명[74]
1981년 1월 2일안티파로스 호(アンチパロス号)노지마자키 동쪽 1300km에서 악천후 난항 무선 연락 후 불명[74]
1983년 10월글로머 자바 호(グロマー・シャワ号)MV Glomer Java Sea. 10월 25일 통킹 만 침몰[75]
1987년 3월 14일마스구사르 호(マスグサール号)
1987년 10월 23일퀸 제인 호(クイーン・ジェーン号)MV Queen Jane. 필리핀에서 중국 다롄 항해 중, 타이완 해협 불명[76]


4. 비판적 시각

1975년, 미국의 작가 래리 쿠셰는 『버뮤다 삼각지대의 수수께끼 해결』이라는 책을 통해 드래곤 트라이앵글에 대한 주장을 반박했다.[6] 쿠셰는 일본 해상 보안청이 위험 구역으로 지정한 곳은 묘진쇼에서 불과 약 16.09km 떨어진 곳이라고 지적했다.[6] 또한, 찰스 벌리츠가 주장한 군함 실종 사건은 실제로는 어선이었으며, 벌리츠가 언급한 일부 선박은 드래곤 트라이앵글 밖에서 침몰했다고 주장했다.[6]

쿠셰는 제5 해양호가 해저 화산 활동을 조사하기 위해 묘진쇼로 보내졌다가 1952년에 사라졌으며, 해저 화산 폭발로 인해 침몰한 것으로 설명된다고 밝혔다.[6] 다른 8척의 실종된 선박 대부분은 라디오가 없거나 성능이 좋지 않은 소형 어선이었고, 좋지 않은 날씨도 사고의 주요 원인 중 하나였다고 덧붙였다.[6]

다니엘 코헨은 1974년 저서에서 드래곤 트라이앵글의 위험에 대한 전설이 수세기 동안 일본에 존재했다고 언급했지만,[7] 스켑토이드의 저자 브라이언 더닝은 드래곤 트라이앵글에 대한 책, 신문, 잡지 기사를 검색한 결과, 제5 해양호가 손실된 지 20년이 되어서야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고 지적하며, 이 이야기와 전설적인 명칭 자체가 최근에 만들어진 것이라고 주장했다.[7]

연구자들은 드래곤 트라이앵글에서 발생하는 이상 현상의 원인으로 자연 환경 변화를 지목하기도 한다. 해저에 존재하는 광대한 메탄 하이드레이트 층에서 발생하는 가스 분출이 부력을 방해하여 배를 침몰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8] 또한, 이 지역에서 흔한 해저 화산 활동과 지진 활동으로 인해 작은 섬들이 사라지거나 새로운 섬들이 나타나는 현상이 자주 발생한다.[9]

로렌스 D. 쿠슈는 1975년 저서에서 이 전설의 원형으로 보이는 기사가 1955년 1월 16일 뉴욕 타임스에 실렸다고 밝혔다.[16] 이 기사는 "신요마루"가 행방불명되었다가 무선 고장으로 무사히 귀환했다는 내용을 보도하면서, 어부들의 미신과 해상보안청의 성급한 특별 위험 구역 지정을 조롱하는 뉘앙스를 담고 있었다.[17][18]

요미우리 신문은 1955년 1월 14일 기사에서 동서 약 321.87km, 남북 약 482.80km 해역에서 5년간 제5해양마루를 포함한 9척의 배가 실종되었고, 어부들 사이에서 "마의 바다"로 불린다고 보도했다.[24] 요미우리 신문은 해상보안청이 특수 위험 해역으로 지정했다고 보도했지만, 실제로는 메이신 암초 15km 이내에 접근하지 말라는 1953년 통보가 있었을 뿐이었다.[22]

아사히 신문도 제5해양마루와 제3구로시오마루의 소실과 관련하여 "이 해역을 '마의 바다'라고 부르는 사람조차 생겨나고 있다"고 보도했지만,[27] "마의 바다"라는 표현은 태평양 전쟁 이전부터 항해상의 어려움을 나타내는 의미로 사용되어 왔다.[28]

벌리츠가 "수수께끼의 실종"으로 꼽은 사건 중 상당수는 원인이 밝혀져 있다. 이 해역은 태풍이나 온대 저기압에 의한 폭풍우가 자주 발생하며, 이에 따른 삼각파에 의해 조난되는 선박은 드문 일이 아니다. 또한 북태평양 항로는 북미와 아시아를 잇는 국제 항로이며, 왕래하는 선박이 많아 사고율이 특별히 높은 것도 아니다. 벌리츠 자신이 설정한 해역에서 벗어난 오키나와 앞바다뿐만 아니라, 3000km 이상 떨어진 알류샨 열도나 통킹 만까지 드래곤 트라이앵글에서의 사건으로 꼽히고 있다.

해저에 드래곤이 산다는 전승도 확인되지 않았으며, 하라다 미노루는 오토도 섬(영화 『고질라』의 무대가 되는 가공의 섬)의 전설이 아니냐는 질문을 받았다고 한다.[79]

5. 과학적 설명

드래곤 트라이앵글에서 발생하는 현상에 대한 과학적 설명으로는 해저 화산 활동, 메탄 하이드레이트 가스 분출, 삼각파 등이 제시된다.[9] 특히, 이 지역 해저에는 메탄 하이드레이트 층이 넓게 분포하고 있어, 지진 등의 외부 충격으로 인해 메탄 가스가 대량으로 분출될 경우 선박의 부력을 잃게 만들어 침몰시킬 수 있다는 주장이 있다.[8] 또한, 이 지역은 태풍이나 온대 저기압의 영향으로 거대한 파도가 자주 발생하여 선박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여겨진다.

1975년, 미국의 작가 래리 쿠셰는 저서 『버뮤다 삼각지대의 수수께끼 해결』에서 마의 바다 전설을 반박했다. 쿠셰는 일본 해상 보안청이 경고한 실제 위험 구역은 묘진쇼에서 불과 약 16.09km 떨어진 곳이라고 밝혔다.[6] 1952년 ''제5 해양호''의 침몰은 해저 화산 폭발로 설명되었다.[6]

찰스 벌리츠가 "수수께끼의 실종"으로 꼽은 사건 중 상당수는 원인이 밝혀져 있다. 이 해역은 종종 태풍이나 온대 저기압에 의한 폭풍우가 발생하며, 이에 따른 삼각파에 의해 조난되는 선박은 특별히 드문 일이 아니다. 또한 북태평양 항로는 북미와 아시아를 잇는 국제 항로이며, 왕래하는 선박도 많아 사고율이 특별히 높은 것도 아니다.

6. 대중문화 속 드래곤 트라이앵글


  • 2013년 비디오 게임 ''툼 레이더''는 "드래곤 트라이앵글" 내 섬을 배경으로 하며, 이곳에는 수많은 난파선과 비행기가 존재한다.[10] 주인공 라라 크로프트를 포함한 탐험대 일행은 전설의 야마타이국을 찾기 위해 "드래곤 트라이앵글"로 항해하며, 게임의 무대가 되는 남해의 고독한 섬이 바로 '야마타이국'이라는 설정이다.
  • 리사 맥맨이 쓴 판타지 소설 ''언원티드''의 마지막 권에서 시리즈 전체에 걸쳐 등장하는 일곱 개의 섬이 드래곤 트라이앵글 안에 위치해 있다는 사실이 밝혀진다.
  • 후지 TV 심야 애니메이션 (노이타미나) ''모노노케'' 제3, 4화에서 주인공들이 탄 배가 길을 잃고 들어간, 요괴가 지배하는 해역이 "드래곤 트라이앵글"이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등장인물 중 한 명에 따르면 니이지마, 노지마자키, 미지의 "남만의 섬"에 둘러싸인 해역이라고 한다.[95]
  • 토미 워커사의 PBW 『실버 레인』에 지바현 노지마자키, 오가사와라 제도, 을 잇는 해역으로 등장하며, 그곳에 다수의 고스트가 모여 있었고, 해저에는 세 마리의 드래곤형 고스트가 잠복해 있었다.
  • 요시자키 미네의 만화 ''개구리 중사 케로로'' 「제164화 장편・심해의 미아들」(제20권 수록)의 첫 부분에 "남태평양 상 에리어 MU-22 포인트 통칭 'Devil's Sea'(데빌즈・시)"라는 해역이 등장한다.
  • 2006년 9월 4일, 미국의 케이블 TV 방송국 더 히스토리 채널의 미확인 비행 물체 정보 프로그램 "UFO Files"에서 드래곤즈 트라이앵글 특집 프로그램 'Pacific Bermuda Triangle'(번역: "태평양의 버뮤다 삼각지대". 제목 화면에는 일본어로 "태평양, 버뮤다, 삼각형"이라고도 표시)이 방영되었다.

빨강: 내레이터의 설명을 바탕으로 한 드래곤즈 트라이앵글 (일본 중심부, 괌, 마리아나 제도). 파랑: 그 내레이션과 함께 표시된 삼각형

7. 한국의 관점

드래곤 트라이앵글은 한국에서 MBC '신비한TV 서프라이즈'를 통해 소개되면서 대중에게 알려졌다.[1] 이 지역은 버뮤다 삼각지대와 비슷한 현상이 나타나는 곳으로, 수많은 비행기선박들이 순식간에 사라지는 장소로 언급되기도 한다.[1]

참조

[1] 뉴스 Asahi Shimbun Asahi Shimbun
[2] 서적 Seriously weird true stories https://www.worldcat[...] Hippo 1997
[3] 뉴스 Asahi Shimbun Asahi Shimbun 1955-01-12
[4] 뉴스 Yomiuri Shimbun Yomiuri Shimbun 1955-01-14
[5] 뉴스 TOKYO GETS NEWS FROM MISSING SHIP; Faint Signal Ends Japanese Fears for Vessel's Fate -- All Aboard Are Safe - The New York Time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6] 웹사이트 Dragon's Triangle (Devil's Sea) http://www.paranorma[...] 2014-12-28
[7] 간행물 The Bermuda Triangle and the Devil's Sea 2017-06-15
[8] 웹사이트 What is the Dragon's Triangle? http://www.wisegeek.[...] 2014-12-28
[9] 웹사이트 What is the Dragon's Triangle? http://www.wisegeek.[...] 2014-12-28
[10] 웹사이트 5 things you didn't know about the next 'Tomb Raider' https://eu.usatoday.[...]
[11] 서적 世界不思議百科 青土社 2007
[12] 서적 Invisible Residents: The Reality of Underwater UFOs - Ivan T. Sanderson - Google Books https://books.google[...]
[13] 서적 The Bermuda Triangle Avon Books 1974
[14] 문서
[15] 서적 The Bermuda Triangle Avon Books 1974
[16] 서적 魔の三角海域-その伝説の謎を解く- 角川書店 1975
[17] 서적 魔の三角海域-その伝説の謎を解く- 角川書店 1975
[18] 뉴스 TOKYO GETS NEWS FROM MISSING SHIP; Faint Signal Ends Japanese Fears for Vessel's Fate -- All Aboard Are Safe - The New York Time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 문서
[20] 뉴스 朝日新聞 朝日新聞 1955-01-08
[21] 뉴스 朝日新聞 朝日新聞 1955-01-15
[22] 서적 魔の三角海域-その伝説の謎を解く- 角川書店 1975
[23] 서적 魔の三角海域-その伝説の謎を解く- 角川書店 1975
[24] 문서
[25] 문서
[26] 뉴스 伸洋丸をのんだ?“魔の海” 五年の間に九隻 ナゾのまゝ姿を消す 読売新聞 1955-01-14
[27] 뉴스 朝日新聞 朝日新聞 1955-01-12
[28] 뉴스 Asahi Shimbun Asahi Shimbun
[29] 뉴스 朝日新聞 朝日新聞 1952-09-28
[30] 뉴스 朝日新聞 朝日新聞 1952-10-15
[31] 서적 世界の超常現象ファイル 失われた世界への旅 同朋舎 1996
[32] 문서
[33] 문서 The Dragon's Triangle
[34] 문서
[35] 문서
[36] 서적 魔海のミステリー
[37] 서적 The Dragon's Triangle
[38] 뉴스 読売新聞 1949-06-14
[39] 뉴스 読売新聞 1952-06-09
[40] 뉴스 朝日新聞 1952-06-09
[41] 뉴스 朝日新聞 1952-10-15
[42] 뉴스 読売新聞 1953-12-29
[43] 뉴스 読売新聞 1954-03-04
[44] 뉴스 朝日新聞 1954-04-04
[45] 뉴스 朝日新聞 1954-10-21
[46] 뉴스 読売新聞 1954-10-20
[47] 문서
[48] 뉴스 朝日新聞 1955-07-01
[49] 뉴스 朝日新聞 1957-03-13
[50] 뉴스 読売新聞 1957-03-13
[51] 뉴스 読売新聞 1957-03-18
[52] 뉴스 朝日新聞 1957-03-22
[53] 웹사이트 衆議院会議録情報 第043回国会 運輸委員会 第32号 https://kokkai.ndl.g[...]
[54] 웹사이트 WRECKSITE - JUNO CARGO SHIP 1927-1964 https://www.wrecksit[...]
[55] 웹사이트 WRECKSITE - DENNY ROSE CARGO SHIP 1946-1967 https://www.wrecksit[...]
[56] 뉴스 朝日新聞 1967-09-23
[57] 웹사이트 WRECKSITE - TONG HONG CARGO SHIP 1945-1967 https://www.wrecksit[...]
[58] 뉴스 朝日新聞 1980-01-12
[59] 뉴스 読売新聞 1970-02-10
[60] 뉴스 朝日新聞 1971-07-16
[61] 뉴스 読売新聞 1971-07-18
[62] 뉴스 読売新聞 1971-07-22
[63] 뉴스 朝日新聞 1971-11-18
[64] 웹사이트 WRECKSITE - JUNIOR K. L. CARGO SHIP 1951-1971 https://www.wrecksit[...]
[65] 웹사이트 WRECKSITE - SEA PINE CARGO SHIP 1978-1978 https://www.wrecksit[...]
[66] 웹사이트 WRECKSITE - GERANIUM CARGO - BULK CARRIER 1968-1974 https://www.wrecksit[...]
[67] 문서
[68] 뉴스 朝日新聞 1976-01-19
[69] 웹사이트 WRECKSITE - NEW VENTURE CARGO SHIP 1961-1976 https://www.wrecksit[...]
[70] 웹사이트 WRECKSITE - TRIUMPH ACE CARGO SHIP 1957-1977 https://www.wrecksit[...]
[71] 간행물 schip en werf http://www.swzonline[...]
[72] 웹사이트 The final voyage of MV Derbyshire - Merseyside Maritime Museum, Liverpool museums http://www.liverpool[...]
[73] 뉴스 BBC News | UK | Prescott remembers Derbyshire victims http://news.bbc.co.u[...]
[74] 뉴스 読売新聞 1981-01-27
[75] 웹사이트 WRECKSITE - GLOMAR JAVA SEA 1975-1983 https://www.wrecksit[...]
[76] 웹사이트 WRECKSITE - QUEEN JANE CARGO - BULK CARRIER 1968-1987 https://www.wrecksit[...]
[77] 서적 明治・大正・昭和・平成 事件・犯罪大事典 東京法経学院出版 2002
[78] 뉴스 海難が多発する「魔の海域」がなくなった理由(饒村曜) - 個人 - Yahoo!ニュース https://news.yahoo.c[...]
[79] 서적 トンデモ本の世界U
[80] 서적 魔海のミステリー
[81] 서적 魔海のミステリー
[82] 웹사이트 'The Dragon''s Triangle' http://www.waterufo.[...]
[83] 서적 魔海のミステリー
[84] 서적 魔界のミステリー
[85] 서적 The Japan Expedition, 1852-1854: The Personal Journal of Commodore Matthew C. Perry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1968
[86] 뉴스 毎日新聞 1965-03-20
[87] 뉴스 読売新聞 1965-03-19
[88] 웹사이트 1984年 開洋丸がUFOと遭遇/戦後日本オカルト事件 | ムー PLUS http://gakkenmu.jp/a[...]
[89] 문서
[90] 서적 トンデモ本の世界U
[91] 서적 トンデモ本の世界U
[92] 문서
[93] 서적 Dialog dengan jin Islam : pengalaman rohaniyah Muhammad Isa Dawud https://www.worldcat[...] 1996
[94] 웹사이트 MUHAMMAD ISA DAWUD'S INTERVIEW WITH A MUSLIM JINNI | Jinn | Religious Belief And Doctrine https://www.scribd.c[...]
[95] 서적 魔海のミステリ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