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고양이고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들고양이고래는 1874년 처음 기록된 고래로, 짙은 회색 또는 검은색 몸 색깔과 흰색 입술이 특징이다. 몸길이는 최대 2.7m, 몸무게는 160kg 이상이며,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널리 분포한다. 멜론 머리 고래나 거짓 범고래와 혼동될 수 있으며, 반향 정위를 사용하여 먹이를 찾는다. 어업 과정에서의 혼획, 기생충 감염, 쿠키커터상어의 공격 등이 위협 요인으로 작용하며,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서 관심대상으로 분류되어 보호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세아니아의 포유류 - 긴가락박쥐
긴가락박쥐(*Miniopterus schreibersii*)는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오세아니아에 널리 분포하며 11개의 아종이 있고, 한반도에는 중국긴가락박쥐(*M. s. chinensis*) 아종이 서식하며, 동굴이나 폐광에서 곤충을 먹고, IUCN에 의해 취약종으로 분류되어 서식지 파괴와 농약 사용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 오세아니아의 포유류 - 흑범고래
흑범고래는 바다돌고래과의 해양 포유류로, 범고래와 유사한 두개골 형태를 가지며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서식하는 사회적 동물이나 서식지 파괴 등으로 위협받아 IUCN 준위협 종으로 분류된다. - 1874년 기재된 포유류 - 할라파소나무밭쥐
할라파소나무밭쥐는 멕시코 토착종으로, 시에라 마드레 오리엔탈 산맥의 산악 운무림에 서식하며, 풀, 사초, 허브 등을 먹는 야행성 초식 동물이다. - 1874년 기재된 포유류 - 스윈호줄무늬다람쥐
동남아시아와 중국에 서식하며 코에서 꼬리까지 줄무늬가 있고 견과류 등을 먹는 스윈호줄무늬다람쥐는 씨앗을 퍼뜨려 식물 번성에 기여하는 초식 동물이다. - 인도양의 고래 - 브라이드고래
브라이드고래는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서식하는 중간 크기의 수염고래로, 유전적으로 구별되는 브라이드고래와 에덴고래 두 종이 존재하며, 낫돌고래, 뿔돌고래, 라이스고래를 포함하는 복합체로 분류학적 논쟁이 있으며, 밍크고래와 외형적 유사성을 보이고,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며, 여러 위협에 직면해 있다. - 인도양의 고래 - 남극밍크고래
남극밍크고래는 남극해를 중심으로 남반구에 서식하는 수염고래로, 북방쇠정어리고래와는 다른 종이며, 일반 밍크고래와 형태적 차이를 보이고 크릴을 주식으로 하며, 범고래가 주요 천적이고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다.
들고양이고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 | |
학명 | Feresa attenuata |
명명자 | J. E. Gray, 1874 |
속 | Feresa |
목 | 고래우제목 |
아목 | 이빨고래아목 |
과 | 참돌고래과 |
멸종 위기 등급 | LC (관심 필요) |
CITES | 부록 II |
분포 | |
![]() | |
기타 정보 | |
일본어 이름 | ユメゴンドウ (Yumegondou) |
한국어 이름 | 들고양이고래 |
2. 분류학
존 에드워드 그레이가 1874년에 처음으로 기록하였다. 1950년대까지 들고양이고래는 대영 박물관이 소유한 2개의 두개골 표본으로만 알려져 있었다.
꼬마범고래는 등쪽이 짙은 회색에서 검은색을 띠며 옆구리로 갈수록 밝은 회색으로 급격하게 변한다. 입술 주변과 주둥이 끝 부분은 흰색이며, 생식기 주변은 분홍빛 흰색 피부로 덮여 있다.[7] 성체의 몸길이는 2.5m~2.7m 정도, 체중은 160kg을 넘으며, 다른 많은 전형적인 돌고래와 비슷한 크기이다. 갓 태어난 새끼의 몸길이는 80cm 정도이다. 몸은 탄탄하며, 특히 등지느러미 아래쪽의 색이 짙다. 주둥이는 없고, 머리는 둥글다. 몸의 옆면은 밝은 색이며, 특히 배 부분은 흰색인 경우도 있다. 입 주위나 턱에 흰 무늬를 가진 개체도 있다. 등지느러미는 길고, 약간 갈고리 모양으로 굽어 있다. 평균 48개의 이빨을 가지고 있으며, 위턱에 22개, 아래턱에 26개가 있다.[7]
1950년대 이전에는 들고양이고래에 대한 유일한 기록은 1827년과 1874년에 확인된 두 개의 두개골뿐이었다. 1952년, 일본 와카야마현 다이지에서 표본 한 마리가 잡혀 죽었는데, 이곳은 매년 돌고래 사냥으로 유명하다.[6] 1958년, 세네갈 해안에서 개체 한 마리가 죽었다.[6] 1963년에는 들고양이고래와 관련된 두 건의 기록이 있었다.[6] 첫 번째는 일본에서 발생했는데, 14마리가 잡혀 포획되었지만, 14마리 모두 22일 안에 죽었다.[6] 두 번째는 하와이 해안에서 발생했는데, 개체 한 마리가 잡혀 성공적으로 포획되었다.[6] 1967년에는 코스타리카 해안에서 들고양이고래 한 마리가 지갑형 그물에 걸려 죽었다.[6] 1969년에는 세인트빈센트 해안에서 한 마리가 죽었고, 인도양에서 여러 개체가 기록되었다.[6]
다른 해양 돌고래와 마찬가지로 쇠돌고래는 반향 정위를 사용한다. 반향 정위 주파수의 중심값은 70–85kHz 사이이며 32~100kHz 범위에 걸쳐 있다. 이는 큰돌고래와 같은 다른 이빨고래류와 유사하지만, 거짓범고래보다는 약간 더 높다. 반향 정위 시에는 초당 8~20회의 클릭음을 생성하며, 음원에서의 음압 레벨은 197~223dB이다. 쇠돌고래의 음파 생성에 대한 선형 방향성은 쇠돌고래보다 우수하지만, 큰돌고래보다 낮다. 방향성이 높을수록 배경 소음에서 더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소리가 발생한다. 다른 이빨고래류의 음향 매개변수와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쇠돌고래도 반향 정위 클릭음을 생성하기 위해 유사한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1]
들고양이고래는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널리 분포한다.[14] 하와이와 일본 연안에서 정기적으로 관찰되며, 스리랑카 인근 인도양과 소앤틸리스 제도에서는 연중 서식한다.[14] 유럽 섬 앞 프랑스 남방 및 남극 지역, 모잠비크[10] 및 남아프리카 공화국[15]의 남서부 인도양에서도 발견되었다. 대서양에서는 서쪽으로 사우스캐롤라이나, 동쪽으로 세네갈까지 개체가 관찰되었으며,[16] 2023년 5월에는 포르투갈 해안에서 훨씬 북쪽에서 무리가 발견되기도 했다.[17] 남아메리카 해안을 따라 관찰되었으며, 멕시코만 북부에서 번식이 알려져 있다.[5]
들고양이고래는 어업 과정에서 우연히 혼획되는 경우가 있다. 스리랑카 상업 어업에서 사용되는 안강망에서 잡히는 고래류 중 최대 4%가 들고양이고래이다.[20]
[1]
간행물
Feresa attenuata
2018
1954년, 일본의 고래류 학자 야마다 무네사토는 1952년에 혼슈 출신의 고래 어부가 잡은 들고양이고래를 '희귀한 돌고래'로 보고했다. 야마다는 그 보고에서 두개골은 대영 박물관에 있는 것과 특징이 일치하지만, 신체적인 특징은 범고래와 유사하며, "작은 범고래"(Lesser or Pygmy Killer Whale)라고 부를 것을 제안했다.
학명인 ''attenuata''는 라틴어로 가늘어짐을 의미하며, 들고양이고래의 체형이 머리에서 꼬리 지느러미까지 점차 작아지는 모습을 나타낸다. 일본어 이름인 유메(夢, 꿈)는 그레이의 1874년 보고 이후, 거의 1세기 동안 다시 발견되지 않아 그 희귀함을 표현한 것이다.
3. 신체적 특징 및 행동
꼬마범고래는 시속 약 3km로 이동하며[8] 수심 500m에서 2000m 깊이의 더 깊은 해역에서 주로 발견된다.[3] 멜론 머리 고래, 거짓 범고래와 혼동하기 쉽다. 세 종은 신체적 차이로 구별할 수 있는데, 꼬마범고래는 입 주변의 흰색이 얼굴 뒤쪽까지 뻗어 있다는 점, 둥근 팁의 등지느러미를 가졌다는 점, 그리고 짙은 등색이 더 밝은 옆면 색으로 변하는 경계선이 더 뚜렷하다는 점 등이다.[9]
행동의 차이점도 꼬마범고래와 거짓 범고래를 구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꼬마범고래는 수면에서 일반적으로 천천히 움직이는 반면, 거짓 범고래는 매우 활발하다. 꼬마범고래는 좀처럼 선수에서 헤엄치지 않지만, 거짓 범고래에서는 흔하다.[9] 멜론 머리 고래와 달리 꼬마범고래는 숨을 쉬기 위해 수면으로 올라올 때 일반적으로 얼굴 전체를 물 위로 들어 올리지 않으므로 병 모양의 머리(bottle)가 없는지 확인하기가 쉽지 않다.
꼬마범고래는 인간이 접근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고, 사람을 잘 따르는 동물이라고는 할 수 없다. 스파이 홉(수면 위로 머리를 내밀어 주변을 둘러보는 행동), 브리칭(수면에 수직으로 점프하여, 수면 위에서 몸을 뒤집어 옆면으로 착수하여 물보라를 일으키는 행동)과 같은 행동을 하기도 하지만, 활발한 동물도 아니다. 보통 10마리에서 30마리로 무리를 지어 행동하지만, 그 이상의 큰 무리를 이루는 경우도 있다. 참돌고래 등 다른 돌고래 등을 습격하여 잡아먹는 모습도 관찰되고 있다.
4. 초기 기록
5. 반향정위 및 청각
청각 수용을 위한 해부학적 구조는 다른 이빨고래류와 유사하며, 속이 빈 아래턱과 밀도가 낮은 외부 층과 밀도가 높은 내부 코어로 구성된 하악 지방체를 가지고 있다. 내부 코어는 고실주위 복합체(다른 종의 청각포와 기능적으로 유사함 - Cetacea 참조)와 직접 접촉한다. 재활을 위해 데려온 두 마리의 살아있는 개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청력 검사에서 다른 반향 정위 돌고래와 유사한 주파수 응답 범위와 시간 분해능을 보였다. 해당 검사 중 한 개체는 항생제 아미카신으로 치료받은 것과 관련이 있을 수 있는 저주파 청력 손실을 보였지만, 연구자들은 그 원인이 검사 설정의 약간의 차이일 가능성이 더 높다고 생각했다.[12]
6. 서식 분포 및 개체 수
하와이 주변 해역에는 들고양이고래의 고정 개체군이 서식하며, 이들은 최대 15년까지 지속될 수 있는 긴밀한 유대 관계를 가진 사회 구조를 가지고 있다.[3] 태국에서는 일반적으로 발견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2024년 8월 푸껫에서 세 마리가 좌초되었다가 구조된 사례가 있다.[18][19]
동부 열대 태평양에는 38,900마리의 들고양이고래가 서식한다는 추정치가 있지만,[13]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분포하므로 전체 개체 수는 불명확하다.
7. 위협 요인 및 보존
다른 고래류와 마찬가지로 들고양이고래는 촌충과 선충과 같은 기생충의 숙주이다. 촌충 종인 ''Trigonocotyle sexitesticulae''는 들고양이고래의 사체에서 처음 발견되었다.[21] 뉴칼레도니아 해안에서 좌초된 들고양이고래는 선충에 의한 기생 뇌염으로 사망했다. 또한 기회주의적인 쿠키커터상어의 희생자이기도 하다.[7]
들고양이고래는 가끔 고래류 좌초에 연루된다. 다른 고래류에서 볼 수 있듯이 이러한 좌초는 종종 아프거나 부상당한 개체를 포함한다. 구조대에 의해 다시 바다로 보내져도 건강한 개체는 종종 다시 좌초되어 건강이 악화된 개체가 죽을 때까지 떠나기를 거부한다.[7]
들고양이고래는 IUCN에 의해 관심대상으로 분류된다.[1] 들고양이고래는 발트해, 북동 대서양, 아일랜드해 및 북해 소형 고래류 보존 협정(ASCOBANS)과 흑해, 지중해 및 인접 대서양 지역 고래류 보존 협정(ACCOBAMS)의 적용을 받는다. 이 종은 또한 서아프리카 및 마카로네시아 매너티 및 소형 고래류 보존에 관한 양해각서([http://www.cms.int/species/waam/index.htm 서아프리카 수생 포유류 MoU])와 태평양 제도 지역 고래류 및 서식지 보존에 관한 양해각서(태평양 고래류 MoU)에 포함된다.[22]
참조
[2]
웹사이트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3]
학술지
Site fidelity and association patterns of a rare species: Pygmy killer whales (Feresa attenuata) in the main Hawaiian Islands
2009-07-01
[4]
문서
Pygmy Killer Whale
http://coolwaterphot[...]
Cool Water Photo
2015-03-11
[5]
학술지
Encounter with a school of pygmy killer whales (Feresa attenuata) in Ecuador, southeast tropical Pacific
[6]
웹사이트
Cascadia Research Collective pygmy killer whales in Hawai'i
http://www.cascadiar[...]
2016-03-21
[7]
학술지
Biological Data of Pygmy Killer Whale (Feresa attenuata) from a Mass Stranding in New Caledonia (South Pacific) Associated with Hurricane Jim in 2006
[8]
학술지
Movements of two satellite-tagged pygmy killer whales (Feresa attenuata) off the island of Hawai'i
http://digitalcommon[...]
2011-10-01
[9]
학술지
Pygmy Killer Whales (''Feresa attenuata'') or False Killer Whales (''Pseudorca crassidens'')? Identification of a Group of Small Cetaceans Seen off Ecuador in 2003
[10]
학술지
The first authenticated record of Pygmy Killer Whale (Feresa attenuata Gray 1874) in Mozambique; has it been previously overlooked?
2017-06-08
[11]
학술지
Source parameter estimates of echolocation clicks from wild pygmy killer whales (Feresa attenuata) (L)
2004
[12]
학술지
Live CT imaging of sound reception anatomy and hearing measurements in the pygmy killer whale, Feresa attenuata
2011-03-15
[13]
학술지
Estimates of cetacean abundance and distribution in the eastern tropical Pacific
1993
[14]
문서
Pygmy Killer Whale
http://eol.org/pages[...]
EOL, Encyclopedia of Life
2015-03-13
[15]
학술지
The distribution of small odontocete cetaceans off the coasts of South Africa and Namibia
1992-06-01
[16]
문서
""
http://www.slideshar[...]
Grzimek Mammals IVAnimal Life Encyclopedia
2015-03-13
[17]
웹사이트
Check out Bryant Irawan's sighting on Happywhale!
https://happywhale.c[...]
2024-05-14
[18]
뉴스
ช่วยโลมาเกยตื้นอ่าวกุ้งภูเก็ต
2024-08-04
[19]
뉴스
Pygmy killer whales rescued from stranding in Phuket mangrove forest
https://www.thephuke[...]
2024-08-03
[20]
학술지
A Preliminary Report of the Incidental Trapping of Odontocetes by Sri Lanka's Coastal Driftnet Fishery
1998
[21]
학술지
Trigonocotyle sexitesticulae sp.nov. (Eucestoda: Tetrabothriidae): a parasite of pygmy killer whales (Feresa attenuata)
1989-07-11
[22]
웹사이트
Species
http://www.ascobans.[...]
2016-03-21
[23]
웹인용
Feresa attenuata (Pygmy Killer Whale, Slender Blackfish)
http://www.iucnredli[...]
2016-04-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