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디지털 권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지털 권리는 인터넷 사용과 관련된 표현의 자유, 사생활 보호, 결사의 자유 등 인권을 보호하고 증진하기 위한 개념이다. 인터넷 접근은 교육, 다언어 사용, 소비자 보호, 개발 등 다양한 권리와 연관되어 있으며, 인터넷을 글로벌 공공재로 인식하고 접근성을 보장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국제 사회에서는 인터넷 권리 헌장 제정, 인터넷 접근을 인권으로 선언하는 등의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각국은 인터넷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법률 및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디지털 권리 옹호 단체들은 디지털 환경에서의 인권 보호를 위해 활동하며, 인터넷 거버넌스 및 디지털 권리 보호를 위한 과제와 전망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식 공유 - 지식검색
    지식검색은 지식 관리, 지식 조직, 지식 시장을 통합한 지식 서비스에서 출발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지식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찾도록 돕는 서비스로, 대중성, 익명성, 경험 기반 조언 공유 등의 특징을 가지지만 정보 신뢰성 문제, 특정 포털 종속, 잘못된 정보 교정의 어려움 등 논쟁점도 존재한다.
  • 인권 - 여성의 권리
    여성의 권리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영역에서 여성이 누리는 광범위한 권리와 자유를 의미하며, 역사적으로 변화와 발전을 거듭해왔지만, 성차별과 불평등은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 인권 - 자연법
    자연법은 인간 이성과 자연 질서에 기반하여 보편적인 법의 원리를 추구하는 사상으로,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사상가들에 의해 발전되어 왔으며, 인간의 존엄성과 정의 실현에 기여하고 국제법의 기초가 되었다.
  • 디지털 권리 - 공정 이용
    공정 이용은 저작권법의 예외 조항으로, 저작권자의 허락 없이 저작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1976년 미국 저작권법에서 명문화되었고, 대한민국 저작권법은 2011년 개정을 통해 관련 조항을 신설하였다.
  • 디지털 권리 - 프라이버시
    프라이버시는 사생활 보호 및 자기 정보 통제권으로, 철학적, 역사적 기원을 가지며 기술 발전과 함께 침해 가능성이 커져 법적,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었지만, 여전히 인간 존엄성과 자유를 위한 철학적, 사회적, 기술적 과제로 남아있다.
디지털 권리
디지털 권리
유형인권 및 법적 권리
내용인터넷, 디지털 기술 및 온라인 미디어와 관련된 권리
관련 개념인터넷 접근권
정보 자유
표현의 자유
사생활 보호
데이터 보호
관련 운동디지털 자유 운동
인터넷 자유 운동
문제점감시
검열
네트워크 중립성
추가 정보
기타디지털 권리 관리와는 다름.
디지털 주권과는 다름.

2. 인터넷과 인권

인터넷표현의 자유, 사생활 보호, 결사의 자유 등 다양한 인권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교육받을 권리, 다언어 사용권, 소비자 권리, 그리고 개발의 권리 맥락에서도 인터넷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44]

2001년 2월, 진보적 통신 협회(APC)는 프라하에서 APC 유럽 인터넷 권리 워크숍을 열고 APC 인터넷 권리 헌장을 제정했다. 이 헌장은 모두를 위한 인터넷 접근, 표현의 자유결사의 자유, 지식 공유 학습 및 창작, 개인 정보 보호, 감시암호화, 인터넷 거버넌스, 권리 인식, 보호 및 실현의 7가지 주제를 다룬다.[51][52] APC는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공유하고 자유롭게 소통하는 능력이 세계인권선언 등에 명시된 인권 실현에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53]

2003년 12월, 유엔(UN) 주최로 정보 사회 세계 정상회의(WSIS)가 소집되었고, 인권을 재확인하는 WSIS 원칙 선언이 채택되었다.[54] 이 선언은 정보화 사회에서 표현의 자유가 중요하며, 모든 사람이 국경에 관계없이 정보와 사상을 찾고, 받고, 전달할 자유를 가진다고 명시했다.[56]

2007년 9월에는 인터넷 권리장전을 위한 동적 연합이 로마에서 포럼을 개최하고, 2007년 11월 리우에서 열린 인터넷 거버넌스 포럼(IGF)에서 인터넷 권리에 대한 공동 선언을 발표했다.[59] 2008년 하이데라바드 IGF에서 두 연합이 합병하여 인터넷 권리 및 원칙에 관한 동적 연합이 결성되었고, 2010년 빌뉴스 IGF에서 인터넷 인권 및 원칙 헌장을 발표했다.

2008년 10월 29일에는 글로벌 네트워크 이니셔티브(GNI)가 세계인권선언(UDHR) 60주년을 기념하여 "표현의 자유와 프라이버시에 관한 원칙"을 바탕으로 설립되었다.[12] 전자프런티어재단(EFF), 휴먼라이츠워치(HRW), 구글(Google),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야후(Yahoo) 등이 참여했다.[13][14]

유엔 자유로운 의견 및 표현의 권리 증진 및 보호 특별 보고관은 2011년 5월 유엔총회 인권이사회에 제출한 보고서에서 인터넷 접근이 기본적인 인권이 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88가지 권고를 제시했다.[16][17][18] 특별보고관은 모든 국가가 정치적 불안 시기를 포함하여 모든 경우에 인터넷 접속을 유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유엔 인권이사회는 2012년 인터넷 자유를 인권으로 선포했다.[19]

''La Civilta Cattolica''는 인터넷이 모든 사람이 접근할 수 있고 타인의 권리를 존중해야 하는 글로벌 공공재라고 언급했다.[44] 또한, 억압적인 정권이 정보 접근을 제한하기 때문에 민주 정부는 인터넷 접근을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자프런티어재단(EFF)은 메가업로드(MEGAUPLOAD) 압류 과정에서 미국 연방 정부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에 데이터를 저장한 사람들의 재산권을 침해한다고 비판했다.[45]

2. 1. 표현의 자유

인터넷표현의 자유를 실현할 수 있는 중요한 공간으로, 개인은 국경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의견을 표현하고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56] 세계 인권 선언 제19조는 모든 사람이 의견과 표현의 자유를 누릴 권리가 있으며, 여기에는 간섭 없이 의견을 가질 자유와 모든 매체를 통해 정보를 찾고, 받고, 전달할 자유가 포함된다고 명시하고 있다.[56]

그러나 표현의 자유를 남용하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가짜 뉴스 유포, 혐오 표현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라 시빌리타 카톨리카(La Civilta Cattolica)''는 개인이 표현의 자유를 남용하는 경우를 지적하며, "인터넷 인권 헌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44]

2009년 BBC World Service가 실시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조사 대상 인터넷 사용자 중 78%가 인터넷이 더 큰 자유를 가져다주었다고 응답했다.[65] 그러나 인터넷 상에서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는 것이 안전한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48% 대 49%로 팽팽하게 나뉘었다.[65]

정보 사회 세계 정상회의(WSIS) 선언은 인권을 존중하면서 범죄 및 테러 목적으로 정보 자원 및 기술을 사용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고 인정했다.[57]

2. 2. 프라이버시

인터넷 사용자의 개인 정보 보호는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데이터 수집, 감시, 해킹 등 프라이버시 침해 위협이 존재한다.[44]

2009년 11월 30일부터 2010년 2월 7일까지 BBC World Service를 위해 국제 여론 조사 회사인 GlobeScan이 인터넷 사용자 14,306명을 포함하여 26개국 27,973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전화 및 대면 인터뷰를 통해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63] 설문 조사 결과, 가장 우려되는 인터넷 측면은 사기 (32%), 폭력적이고 노골적인 콘텐츠 (27%), 개인 정보 보호 위협 (20%), 국가 콘텐츠 검열 (6%), 기업 존재의 정도 (3%)였다.[65]

진보적 통신 협회(Association for Progressive Communications, APC)는 2001년 2월 프라하에서 열린 APC 유럽 인터넷 권리 워크숍에서 APC 인터넷 권리 선언문(APC Internet Rights Charter)을 제정했다. 이 선언문은 개인 정보 보호, 감시암호화를 다룬다.[5][6] APC는 "인터넷을 사용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자유롭게 소통하는 능력은 세계인권선언, 경제적, 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그리고 여성에 대한 모든 형태의 차별 철폐 협약에 명시된 인권 실현에 매우 중요하다"고 밝혔다.[7]

많은 인권이 인터넷과 관련하여 밀접하게 연관되어 왔으며, 여기에는 데이터 보호와 프라이버시가 포함된다.[36]

2. 3. 결사의 자유

인터넷은 온라인 커뮤니티, 소셜 미디어 등을 통해 자유로운 결사를 가능하게 한다. 진보적 통신 협회(Association for Progressive Communications, APC)는 "인터넷을 사용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자유롭게 소통하는 능력은 세계인권선언, 경제적, 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그리고 여성에 대한 모든 형태의 차별 철폐 협약에 명시된 인권 실현에 매우 중요하다"고 밝혔다.[7] 하지만 온라인에서의 결사가 현실 세계의 차별이나 혐오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3. 인터넷 접근권

인터넷 접근권은 정보 접근, 표현의 자유, 사회 참여 등을 위한 필수적인 권리로 인식되고 있다. 여러 국가에서는 인터넷 접근을 보장하거나 제한을 금지하는 법률을 채택하고 있다.

프랑스 헌법평의회는 2009년 6월, 인터넷 접근을 기본 인권이라고 선언했다.[48] 그리스 헌법 제5A조에는 모든 사람이 정보 사회에 참여할 권리가 있으며 국가는 전자적으로 전송된 정보의 생산, 교환, 확산 및 접근을 촉진할 의무가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49] 스페인은 2011년부터 국가의 '''보편 서비스''' 계약을 보유한 전 국가 독점 업체인 텔레포니카를 통해 스페인 전역에 걸쳐 초당 1MB 이상의 합리적인 가격의 광대역 인터넷을 제공해야 한다.[50]

2010년 7월 30일 코스타리카 대법원은 다음과 같이 판결했다.[20]

'''"정보 기술 및 통신은 인간의 의사소통 방식에 영향을 미쳐 사람과 기관 간의 연결을 촉진하고, 전 세계적으로 공간과 시간의 장벽을 제거한다. 현재 이러한 기술에 대한 접근은 기본권 행사와 민주적 참여(전자민주주의), 시민 통제, 교육, 사상과 표현의 자유, 온라인 정보 및 공공 서비스에 대한 접근, 정부와의 전자적 소통 및 행정적 투명성을 위해 필수적이다. 여기에는 이러한 기술에 대한 기본적인 액세스 권한, 특히 인터넷 또는 월드 와이드 웹 액세스 권한이 포함된다."'''

에스토니아는 2000년에 인터넷 접근을 시골 지역으로 확대하기 위한 대규모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에스토니아 정부는 인터넷이 21세기 삶에 필수적이라고 주장한다.[21] 핀란드 교통통신부는 2010년 7월부터 핀란드에 사는 대부분의 사람이 초당 1메가비트의 광대역 연결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고, 2015년부터 100Mbit/s 연결에 접근할 수 있다고 밝혔다.[47]

유엔 특별 보고관은 2011년 5월 보고서에서 인터넷이 다른 인권의 "권한 부여자"로서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발전을 촉진하고 인류의 진보에 기여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특별보고관은 모든 국가가 정치적 혼란을 포함한 모든 상황에서 인터넷 접근을 유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39]

2012년 7월과 8월 Internet Society는 20개국에서 10,000명 이상의 인터넷 사용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인터뷰를 실시했다. 다음은 디지털 권한 및 인터넷 액세스와 관련된 몇 가지 결과이다.[31]

질문응답 수응답
인터넷 접속은 기본적인 인권으로 간주되어야 한다.10,78983% 다소 또는 매우 동의, 14% 다소 또는 전혀 동의하지 않음, 3% 모름
각 국가는 자신이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방식으로 인터넷을 관리할 권리가 있다.10,78967% 다소 또는 매우 동의, 29% 다소 또는 전혀 동의하지 않음, 4% 모름/해당 없음
인터넷은 사회를 해치는 것보다 사회를 돕는 데 더 많은 일을 한다.10,78983% 다소 또는 매우 동의, 13% 다소 또는 전혀 동의하지 않음, 4% 모름/해당 없음
인터넷에 대한 정부의 통제가 증가하면 인터넷 사용이 줄어들 것이다.9,71757% 다소 또는 매우 동의, 39% 다소 또는 전혀 동의하지 않음, 5% 모름/해당 없음
인터넷에 대한 정부의 통제가 증가하면 사용자 수가 늘어날 것이다.9,71740% 다소 또는 매우 동의, 52% 다소 또는 전혀 동의하지 않음, 8% 모름/해당 없음
정부는 우리나라에서 인터넷과 그 혜택을 확대하는 데 더 높은 우선순위를 두어야 한다.10,78983% 다소 또는 매우 동의, 11% 다소 또는 전혀 동의하지 않음, 5% 모름/해당 없음
우리나라에서 인터넷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려면 사람들이 데이터 및 콘텐츠 제한 없이 인터넷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10,78979% 다소 또는 매우 동의, 17% 다소 또는 전혀 동의하지 않음, 4% 모름/해당 없음


3. 1. 국제사회의 논의

디지털 권리 환경


글로벌 네트워크 이니셔티브(Global Network Initiative, GNI)는 2008년 10월 29일 "표현 및 프라이버시의 자유에 관한 원칙"을 기반으로 설립되었다.[60] 이 이니셔티브는 세계 인권 선언(UDHR) 60주년 기념일에 시작되었으며, UDHR,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ICCPR), 경제적, 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ICESCR)에 명시된 표현의 자유프라이버시에 대한 인권에 관한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법률 및 기준을 기반으로 한다.[60] 이 이니셔티브에는 전자 프런티어 재단, 휴먼 라이츠 워치,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야후!를 포함한 주요 기업, 인권 NGO, 투자자 및 학계가 참여했다.[60][61]

2003년 12월 유엔(UN)의 후원으로 정보 사회 세계 정상회의(WSIS)가 소집되었다. 정부, 기업 및 시민 사회 대표 간의 긴 협상 끝에 채택된 WSIS 원칙 선언은 인권을 재확인하며 다음과 같이 명시했다.[54]

> "우리는 비엔나 선언에 명시된 대로 개발권을 포함한 모든 인권과 기본적 자유의 보편성, 불가분성, 상호 의존성 및 상호 관계를 재확인한다. 우리는 또한 민주주의, 지속 가능한 개발, 인권 및 기본적 자유에 대한 존중과 모든 수준의 훌륭한 거버넌스가 상호 의존적이며 상호 강화된다는 점을 재확인한다. 우리는 국정과 마찬가지로 국제적인 법치주의를 강화하기로 결심한다."[55]

WSIS 선언은 또한 정보화 사회에서 표현의 자유에 대한 권리의 중요성을 다음과 같이 구체적으로 언급했다.[56]

> "우리는 정보 사회의 필수 기반으로서 세계 인권 선언 19 조에 명시된 바와 같이 모든 사람이 의견과 표현의 자유에 대한 권리를 가지고 있으며, 이 권리에는 간섭없이 의견을 보유할 수 있는 자유가 포함된다는 것을 재확인 한다. 국경에 관계없이 모든 미디어를 통해 정보와 아이디어를 찾고, 받고, 전달한다. 의사 소통은 기본적인 사회 과정이며 인간의 기본적인 필요이며 모든 사회 조직의 기초이다. 정보 사회의 중심이다. 모든 사람이 참여할 기회를 가져야하며 정보 사회가 제공하는 혜택에서 배제되어서는 안된다."

2011년 5월, 유엔 특별 보고관은 유엔 총회인권이사회에 제출한 보고서에서 인터넷 접속 문제를 다루는 몇 가지 권고를 제시했다.[67] 그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 :67. 다른 매체와 달리 인터넷은 개인이 국경을 넘어 모든 종류의 정보와 아이디어를 즉각적이고 저렴하게 찾고, 받고,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인터넷은 다른 인권의 "활성화"인 의견과 표현의 자유를 누릴 수 있는 개인의 능력을 대폭 확대함으로써 경제, 사회 및 정치 발전을 촉진하고 인류 전체의 발전에 기여한다.

>

> :79. 특별 보고관은 모든 국가에 정치적 불안 시기를 포함하여 인터넷 접속이 항상 유지되도록 촉구한다.

이러한 권고는 인터넷 액세스 자체가 기본적인 인권이거나 기본적인 인권이 되어야 한다는 제안으로 이어졌다.[68][69]

3. 2. 각국의 법률 및 정책

코스타리카 대법원은 2010년 7월 30일 판결을 통해 정보 기술 및 통신 기술이 인간의 의사소통 방식에 영향을 미쳐 전 세계적으로 공간과 시간의 장벽을 제거하고, 이러한 기술에 대한 접근이 기본권 행사와 민주적 참여, 시민 통제, 교육, 사상과 표현의 자유, 온라인 정보 및 공공 서비스 접근, 정부와의 전자적 소통 및 행정적 투명성을 위해 필수적이라고 판시했다. 따라서 인터넷 접근을 기본권으로 인정했다.[20]

에스토니아는 2000년에 인터넷 접근을 시골 지역으로 확대하기 위한 대규모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에스토니아 정부는 인터넷이 21세기 삶에 필수적이라고 주장한다.[46],[21]

핀란드 교통통신부는 2010년 7월부터 핀란드에 사는 대부분의 사람이 초당 1메가비트 광대역 연결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고, 2015년부터는 100Mbit/s 연결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고 밝혔다.[47],[23]

프랑스 헌법평의회는 2009년 6월, 인터넷 접근을 기본 인권으로 선언했다. 이는 HADOPI 법의 일부 조항을 철폐하는 결정에서 나온 것으로, HADOPI 법은 불법 자료를 다운로드한 사용자에게 두 번 경고 후 네트워크 접근을 차단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48],[24]

그리스 헌법 제5A조는 모든 사람이 정보 사회에 참여할 권리가 있으며, 국가는 전자적으로 전송된 정보의 생산, 교환, 확산 및 접근을 촉진할 의무가 있다고 명시한다.[49],[25]

스페인에서는 2011년부터 텔레포니카가 스페인 전역에 초당 1MB 이상의 광대역 인터넷을 합리적인 가격에 제공해야 한다.[50],[26]

유엔총회 인권이사회는 2011년 5월 보고서에서 특별보고관이 인터넷 접근 문제를 포함하여 의견 및 표현의 자유 권리 증진과 보호에 관한 88개의 권고를 제시했다. 특별보고관은 인터넷이 다른 인권의 "권한 부여자"로서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발전을 촉진하고 인류의 진보에 기여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특별보고관은 모든 국가가 정치적 혼란을 포함한 모든 상황에서 인터넷 접근을 유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국가법률 및 정책 내용
코스타리카2010년 대법원 판결, 인터넷 접근을 기본권으로 인정.[20]
에스토니아2000년 인터넷 접근 확대 프로그램 시작, 인터넷을 21세기 삶에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21]
핀란드2010년부터 1Mbps 광대역 접근 보장, 2015년부터 100Mbps 접근 보장.[23]
프랑스2009년 헌법평의회, 인터넷 접근을 기본 인권으로 선언.[24]
그리스헌법 제5A조, 정보 사회 참여 권리 및 국가의 정보 접근 촉진 의무 명시.[25]
스페인2011년부터 텔레포니카가 1Mbps 이상 광대역 인터넷을 합리적인 가격에 제공.[26]


4. 인터넷 거버넌스

인터넷 거버넌스는 인터넷과 관련된 정책을 결정하고 운영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4. 1. 다자간 협력

인터넷 거버넌스 포럼(IGF)은 인터넷 관련 정책 논의를 위한 대표적인 다자간 협력 플랫폼이다.[11] 인터넷 거버넌스는 정부, 기업, 시민사회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참여를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2007년 11월 리우에서 열린 IGF에서 인터넷 권리에 대한 공동 선언이 발표되었다.[11] 2008년 하이데라바드에서 열린 IGF에서는 인터넷 인권에 대한 동적 연합과 인터넷 원칙에 대한 동적 연합이 합병하여 인터넷 권리 및 원칙에 대한 동적 연합(Dynamic Coalition on Internet Rights and Principles)을 구성하였다. 이 연합은 진보적 통신 협회(Association for Progressive Communications, APC)의 APC 인터넷 권리 헌장(APC Internet Rights Charter)과 세계인권선언을 바탕으로 인터넷 인권 및 원칙 헌장(Charter of Human Rights and Principles for the Internet)을 작성하여 2010년 빌뉴스 IGF에서 발표하였고, 이후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다.

5. 디지털 권리 옹호 단체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디지털 권리 옹호 단체들이 활동하고 있다. 이러한 단체들은 인터넷 환경에서의 인권 침해 감시, 정책 제안, 캠페인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디지털 권리 보호에 기여하고 있다. 주요 단체는 다음과 같다.


  • 액세스나우
  • 보편적 디지털 권리 연합(AUDRi)
  • 민주주의 및 기술 센터
  • 글로벌 디지털 인권 (Global Shapers 모스크바)[32]
  • 디지털 권리 아일랜드
  • 디지털 권리 감시
  • 전자 프런티어 재단
  • 엔터테인먼트 소비자 협회
  • 유럽 디지털 권리
  •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
  • 프리덤박스
  • 덴마크 IT-정치 협회
  • 오픈 라이트 그룹
  • 오픈 웹 옹호
  • 패러다임 이니셔티브(Paradigm Initiative), 팬 아프리카 디지털 권리 단체
  • 퍼블릭 노레ッジ
  • SMEX
  • 테스트팩
  • 월드 와이드 웹 재단
  • 엑스넷

6. 과제 및 전망

인터넷은 표현의 자유, 데이터 보호와 프라이버시, 결사의 자유 등 여러 인권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36] 교육받을 권리, 다언어주의, 소비자 보호 등도 인터넷과 관련하여 중요한 권리로 여겨진다.[36]

예수회 잡지 ''La Civilta Cattolica''는 인터넷이 세계적인 공공재이며, 모든 사람이 접근할 수 있어야 하고, 다른 권리들을 존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억압적인 정권이 정보 접근을 제한하기 때문에 민주주의 정부는 인터넷 접근을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37]

인권이사회 특별보고관은 2011년 5월 보고서에서 인터넷이 개인에게 국경을 초월하여 정보와 사상을 주고받을 수 있게 하는 중요한 매체라고 강조했다. 또한, 인터넷 접근 차단은 국제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 규약 위반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모든 국가가 정치적 혼란 상황에서도 인터넷 접근을 보장해야 한다고 촉구했다.[39]

이러한 배경에서 인터넷 접근성 확대, 디지털 격차 해소, 개인 정보 보호, 사이버 폭력 대응 등은 디지털 권리 분야에서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이다. 또한,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새로운 기술 발전에 따른 윤리적, 법적 문제에 대한 논의도 필요하다. 대한민국은 디지털 포용 사회 실현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특히 취약 계층의 디지털 역량 강화 및 정보 접근성 향상을 위한 정책 마련이 중요하다.

참조

[1] 뉴스 Digital freedom: the case for civil liberties on the Net http://news.bbc.co.u[...] 1999-03-04
[2] 논문 Access to Network Services and Protection of Constitutional Rights: Recognizing the Essential Role of Internet Access for the Freedom of Expression https://papers.ssrn.[...] 2011-02-06
[3] 서적 Benedek 2011-11-17
[4] 논문 Development of Youth Digital Citizenship Scale and Implication for Educational Setting https://www.jstor.or[...] 2018
[5] 웹사이트 Towards a charter for Internet rights http://www.internetr[...] Internet Rights UK
[6] 서적 Internet Governance and the Information Society https://books.google[...] Eleven International Publishing
[7] 웹사이트 ICT Policy and Internet Rights http://rights.apc.or[...] Association for Progressive Communications
[8] 서적 Human Rights in the Digital Age https://books.google[...] Routledge
[9] 서적 Human Rights in the Digital Age https://books.google[...] Routledge
[10] 서적 Internet Governance and the Information Society https://books.google[...] Eleven International Publishing
[11] 서적 Internet Governance and the Information Society https://books.google[...] Eleven International Publishing
[12] 웹사이트 Global Network Initiative, FAQ http://www.globalnet[...]
[13] 웹사이트 News https://www.hrw.org/[...]
[14] 웹사이트 Participants http://globalnetwork[...]
[15] 뉴스 Opinion: The big business of net censorship https://www.theguard[...] 2008-11-17
[16] 간행물 VI.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http://www2.ohchr.or[...] Human Rights Council 2011-05-16
[17] 간행물 Can the Internet be a Human Right? https://www.du.edu/k[...]
[18] 잡지 U.N. Report Declares Internet Access a Human Right https://www.wired.co[...] 2011-06-03
[19] 논문 Internet freedom, human rights and power http://www.tandfonli[...] 2013-11
[20] 판례 Judgement 12790 of the Supreme Court http://200.91.68.20/[...] 2010-07-30
[21] 뉴스 Estonia, where being wired is a human right http://www.csmonitor[...] 2003-07-01
[22] 웹사이트 European Declaration on Digital Rights and Principles Shaping Europe's digital future https://digital-stra[...] 2023-02-07
[23] 뉴스 Finland makes 1 Mb broadband access a legal right http://news.cnet.com[...] 2009-10-14
[24] 뉴스 Top French Court Declares Internet Access 'Basic Human Right' http://www.foxnews.c[...] Fox News 2009-06-12
[25] 간행물 Constitution of Greece As revised by the parliamentary resolution of May 27th 2008 of the VIIIth Revisionary Parliament http://www.hellenicp[...] Hellenic Parliament
[26] 뉴스 Spain govt to guarantee legal right to broadband https://www.reuters.[...] Reuters 2009-11-17
[27] 웹사이트 Megaupload and the Government's Attack on Cloud Computing https://www.eff.org/[...] 2012-10-31
[28] 기타
[29] 간행물 BBC Internet Poll: Detailed Findings http://news.bbc.co.u[...] BBC World Service 2010-03-08
[30] 뉴스 Internet access is 'a fundamental right' http://news.bbc.co.u[...] 2010-03-08
[31] 간행물 Global Internet User Survey 2012 https://www.internet[...] Internet Society 2012-11-20
[32] 웹사이트 Digital Rights Global Shapers http://maxlaw.tilda.[...]
[33] 뉴스 UK digital rights group sets up http://news.bbc.co.u[...] 2005-09-09
[34] 뉴스 Digital freedom: the case for civil liberties on the Net http://news.bbc.co.u[...] 1999-03-04
[35] 논문 Access to Network Services and Protection of Constitutional Rights: Recognizing the Essential Role of Internet Access for the Freedom of Expression http://www.cjicl.com[...]
[36] 논문 Benedek 2008 2011-11-17
[37] 웹사이트 Code: Version 2.0 https://en.wikipedia[...]
[38] 웹사이트 Megaupload and the Government's Attack on Cloud Computing https://www.eff.org/[...] 2012-10-31
[39] 간행물 Report of the Special Rapporteur on the promotion and protection of the right to freedom of opinion and expression http://www2.ohchr.or[...] 2011-05-16
[40] 간행물 Can the Internet be a Human Right? http://www.du.edu/gs[...]
[41] 뉴스 U.N. Report Declares Internet Access a Human Right https://www.wired.co[...] 2011-06-03
[42] 뉴스인용 Digital freedom: the case for civil liberties on the Net http://news.bbc.co.u[...] 2010-05-01
[43] 논문 Access to Network Services and Protection of Constitutional Rights: Recognizing the Essential Role of Internet Access for the Freedom of Expression http://www.cjicl.com[...]
[44] 논문 Benedek 2008 2011-11-17
[45] 웹사이트 Megaupload and the Government's Attack on Cloud Computing https://www.eff.org/[...] 2012-10-31
[46] 뉴스 Estonia, where being wired is a human right http://www.csmonitor[...] 2003-07-01
[47] 뉴스 Finland makes 1Mb broadband access a legal right http://news.cnet.com[...] 2009-10-14
[48] 뉴스인용 Top French Court Declares Internet Access 'Basic Human Right' http://www.foxnews.c[...] Fox News 2009-06-12
[49] 간행물 Constitution of Greece As revised by the parliamentary resolution of May 27th 2008 of the VIIIth Revisionary Parliament http://www.hellenicp[...] Hellenic Parliament
[50] 뉴스인용 Spain govt to guarantee legal right to broadband https://www.reuters.[...] Reuters 2009-11-17
[51] 웹인용 Towards a charter for Internet rights http://www.internetr[...] Internet Rights UK 2008-12-02
[52] 서적인용 Internet Governance and the Information Society https://books.google[...] Eleven International Publishing
[53] 웹인용 ICT Policy and Internet Rights http://rights.apc.or[...] Association for Progressive Communications 2008-12-02
[54] 서적인용 Human Rights in the Digital Age https://books.google[...] Routledge
[55] 서적인용 Human Rights in the Digital Age https://books.google[...] Routledge
[56] 서적인용 Human Rights in the Digital Age https://books.google[...] Routledge
[57] 서적인용 Human Rights in the Digital Age https://books.google[...] Routledge
[58] 서적인용 Internet Governance and the Information Society https://books.google[...] Eleven International Publishing
[59] 서적인용 Internet Governance and the Information Society https://books.google[...] Eleven International Publishing
[60] 웹인용 News https://www.hrw.org/[...] 2019-06-19
[61] 웹인용 Participants http://globalnetwork[...] 2019-06-19
[62] 뉴스인용 The big business of net censorship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8-11-17
[63] 기타
[64] 뉴스 BBC Internet Poll: Detailed Findings http://news.bbc.co.u[...] BBC World Service 2010-03-08
[65] 뉴스 BBC Internet Poll: Detailed Findings http://news.bbc.co.u[...] BBC World Service 2010-03-08
[66] 뉴스 Internet access is 'a fundamental right' http://news.bbc.co.u[...] 2010-03-08
[67] 간행물 VI.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http://www2.ohchr.or[...] 2011-05-16
[68] 간행물 Can the Internet be a Human Right? http://www.du.edu/gs[...]
[69] 뉴스인용 U.N. Report Declares Internet Access a Human Right https://www.wired.co[...] 2011-06-03
[70] 웹사이트 http://maxlaw.tilda.[...]
[71] 웹사이트 http://maxlaw.tild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