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람보르기니 시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람보르기니 시안은 람보르기니가 제작한 최초의 하이브리드 자동차로, 번개(섬광)를 의미하는 볼로냐 방언에서 이름을 따왔다. 아벤타도르 SVJ 모델을 기반으로 하며, 슈퍼 커패시터와 전기 모터를 결합하여 819PS의 최고 출력을 낸다. 0km/h에서 100km/h까지 2.8초 만에 가속하며, 최고 속도는 355km/h로 제한된다. 쐐기형 디자인과 텔조 밀레니오 컨셉의 디자인을 혼합했으며, 쿠페 63대와 로드스터 19대 한정 생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람보르기니의 차종 - 람보르기니 우라코
    람보르기니 우라코는 페루치오 람보르기니의 주도로 개발되어 포르쉐 911 등과 경쟁한 2+2 시트 쿠페형 스포츠카로, 마르첼로 간디니가 디자인하고 V8 엔진을 횡치한 지아코사 레이아웃을 채택하여 출시되었으나 상업적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 람보르기니의 차종 - 람보르기니 에스파다
    람보르기니 에스파다는 1968년부터 1978년까지 생산된 4인승 GT 쿠페로, 마르첼로 간디니가 베르토네에서 디자인했으며, V12 엔진을 탑재하고 총 1,217대가 제작되었다.
  • 2020년대 자동차 - 아이오닉 5
    아이오닉 5는 현대자동차가 2021년에 출시한 전기차로, 3m에 달하는 휠베이스를 기반으로 넓은 실내 공간을 제공하며, E-GMP 플랫폼을 기반으로 800V 고속 충전 시스템을 지원하며 V2L 기능을 통해 최대 3.6kW의 전력을 공급한다.
  • 2020년대 자동차 - 포드 머스탱
    포드 머스탱은 포드 모터 컴퍼니가 생산하는 스포츠카로, 1964년 출시 이후 여러 세대에 걸쳐 디자인과 성능 변화를 거듭하며 모터스포츠와 대중문화에서도 큰 영향력을 행사한다.
  • 4륜구동 - 지프 그랜드 체로키
    지프 그랜드 체로키는 크라이슬러에서 생산하는 중형 럭셔리 SUV로, 모노코크 바디 구조와 다양한 엔진 라인업을 특징으로 하며, 오프로드 성능과 고급 편의 사양을 갖춘 다양한 트림을 제공하고 현대 팰리세이드, 기아 텔루라이드 등과 경쟁하며 연료 탱크 및 변속기 관련 문제로 리콜을 실시한 바 있다.
  • 4륜구동 - 기아 스포티지
    기아 스포티지는 기아에서 생산하는 소형 SUV로, 1993년 1세대 출시 이후 현재 5세대 모델까지 판매되며 각 세대별로 디자인과 성능을 개선해왔다.
람보르기니 시안 - [자동차]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람보르기니 시안
람보르기니 시안
제조사람보르기니
다른 이름SIÁN FKP 37 (시안 FKP 37)
생산 기간2020년-2022년
생산 대수쿠페 63대, 로드스터 19대
조립 장소이탈리아 산타가타볼로녜세
디자이너미탸 보커트
차체 형태2도어 쿠페
2도어 로드스터
관련 차종람보르기니 쿤타치 LPI 800-4
람보르기니 아벤타도르
구동 방식미드 엔진, 사륜구동
엔진6.5L L539 V12
전기 모터48볼트 e-모터 (변속기 연결)
최고 출력엔진: 785 PS (577 kW; 774 hp)
전기 모터: 34 PS (25 kW; 34 hp)
합산: 819 PS (602 kW; 807 hp)
변속기7단 ISR 자동 수동
구동 방식풀 하이브리드
휠베이스2,700 mm
전장4,980 mm
전폭미러 제외: 2,101 mm
미러 포함: 2,265 mm
전고1,133 mm
문 개수시저 도어
선행 차종센테나리오
후속 차종람보르기니 쿤타치 LPI 800-4

2. 명칭

이름 '''시안'''(Sián)은 볼로냐 방언으로 번개(섬광)를 뜻하는 단어에서 유래했다.[2] 이 이름은 해당 차량이 람보르기니가 제조한 최초의 하이브리드 자동차임을 강조하기 위해 선택되었다.

차량 이름 뒤에 붙는 '''FKP 37'''이라는 명칭은 2019년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서 추가로 발표되었다. 이는 2019년 8월 25일에 사망한 폭스바겐 그룹의 전(前) 회장 페르디난트 피에히(Ferdinand Karl Piëch)의 이니셜(FKP)과 그의 출생 연도인 1937년을 의미한다.[3] 여기에는 경영 위기에 빠졌던 람보르기니를 1999년 아우디가 인수하여 회생시킨 것에 대한 감사의 의미가 담겨 있다. 약 1년 후에 로드스터 모델이 추가되었으므로, FKP 37은 쿠페 모델을 특정하는 명칭이라고도 볼 수 있다.

3. 사양 및 성능

람보르기니 시안 FKP 37은 람보르기니 아벤타도르를 기반으로 개발된 하이브리드 슈퍼카이다. 미드십에 탑재된 V12 엔진은 아벤타도르 SVJ의 것을 기반으로 개량되었으며, 기어박스에 통합된 전기 모터가 추가로 34PS(25kW)의 출력을 제공한다.[32][33] 전기 모터의 동력원으로는 리튬 이온 배터리 대신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와 공동 개발한 슈퍼 커패시터 기술이 적용되었다.[14] 슈퍼 커패시터는 기존 배터리보다 가볍고 동일 무게 대비 3배 더 강력한 출력을 낼 수 있으며, 무게 배분을 개선하기 위해 전기 모터와 함께 기어박스 내부에 통합되었다.

엔진 자체도 티타늄 흡기 밸브 추가, ECU 재구성, 새로운 배기 시스템 적용 등으로 개량되어 785PS의 출력을 낸다. 전기 모터의 출력이 더해진 총 시스템 출력은 819PS(602kW)에 달하여, 시안은 출시 당시 가장 강력한 양산형 람보르기니 모델이 되었다.[33] 엔진은 7단 ISR(독립 시프팅 로드) 변속기와 결합되며,[32][15] 구동 방식은 핸들링 성능을 높이기 위해 후방 기계식 자동 잠금 차동 장치를 갖춘 전자 제어식 4륜구동 시스템을 사용한다.[33]

이러한 강력한 하이브리드 시스템과 개선된 설계를 통해 시안 FKP 37은 정지 상태에서 100km/h까지 2.8초 만에 가속하며, 최고 속도는 355km/h에서 전자적으로 제한된다.[16]

3. 1. 엔진 및 변속기

람보르기니 아벤타도르를 기반으로 제작된 시안 FKP 37은 미드십에 아벤타도르 SVJ와 동일한 엔진을 탑재한다.[33] 하지만 엔진 자체에 티타늄 흡기 밸브 추가, 재구성된 ECU, 새로운 배기 시스템 채용 등의 개량이 이루어져 엔진 출력은 785PS으로 향상되었다.[33]

여기에 기어박스에 통합된 전기 모터가 34PS(25kW)의 출력을 더하여,[32] 총 시스템 출력은 819PS에 달한다. 이는 시안을 역대 가장 강력한 양산형 람보르기니 모델로 만들었다.[33]

전기 모터의 동력원으로는 일반적인 리튬 이온 배터리 대신 슈퍼 커패시터 유닛이 사용된다. 이 슈퍼 커패시터는 2017년 발표된 콘셉트카 텔조 밀레니오(TerzoMillennio)에서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와 함께 개발한 기술에 기반한다.[14] 슈퍼 커패시터는 무게 배분을 개선하기 위해 전기 모터와 함께 기어박스 내부에 통합되어 있으며, 동일한 무게의 리튬 이온 배터리보다 3배 더 강력한 출력을 내고 10배 더 많은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회생 제동 시스템을 통해 주행 중 슈퍼 커패시터를 충전할 수 있다.

전기 모터는 감속 시의 충격을 완화하고, 최대 130km/h까지의 속도 영역에서 가속을 보조하는 파워 부스트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주차 및 후진과 같은 저속 기동 시에도 사용된다.

변속기로는 7단 ISR(독립 시프팅 로드)이 탑재되었다.[32][15] 이 변속기는 드라이브 모드 선택에 따라 변속 특성이 달라지며, 변속 시 전기 모터가 개입하여 슈퍼 커패시터의 빠른 방전 능력을 활용한 부스트를 제공한다.[15] 구동 방식은 전자 제어식 4륜구동 시스템이며, 핸들링 향상을 위해 후방에는 기계식 자동 잠금 차동 장치가 적용되었다.[33]

이러한 개선을 통해 시안 FKP 37은 정지 상태에서 100km/h까지 2.8초 만에 가속하며, 최고 속도는 전자적으로 355km/h에서 제한된다.[16]

3. 2. 슈퍼 커패시터

전기 모터의 전원은 일반적인 리튬 이온 배터리 대신 슈퍼 커패시터 유닛에 저장된다.[14] 이는 2017년에 발표된 컨셉트카 텔조 밀레니오에서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와 공동 개발한 기술이다.[14] 슈퍼 커패시터는 동일한 무게의 기존 리튬 이온 배터리보다 3배의 전력을 제공하며, 아벤타도르의 스타터 모터를 기반으로 진화한 유닛은 기존보다 10배 더 많은 전력을 저장할 수 있어 채택되었다.

무게 배분을 개선하기 위해 슈퍼 커패시터 유닛은 전기 모터와 함께 기어박스 내부에 통합되어 있다. 차량의 회생 제동 시스템은 슈퍼 커패시터를 재충전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생성한다.

이렇게 저장된 전력은 전기 모터를 통해 여러 방식으로 활용된다. 전기 모터는 감속 효과를 상쇄하고, 최대 130km/h의 속도까지 운전자에게 파워 부스트를 제공한다.[15] 또한 주차 및 후진과 같은 저속 기동 시에도 모터가 작동하여 차량 운행을 돕는다. 특히, 7단 ISR(Independent Shifting Rod) 변속기의 변속 시 발생하는 충격을 줄이기 위한 부스트로도 작동하는데, 이는 대전류를 빠르게 방출할 수 있는 슈퍼 커패시터의 특성을 활용한 설정이다.[15] 이러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시안 FKP 37이 정지 상태에서 100km/h까지 2.8초 만에 가속하는 데 기여한다.

3. 3. 성능

시안 로드스터


람보르기니 아벤타도르를 기반으로 제작된 시안 FKP 37은 아벤타도르 SVJ 모델과 동일한 미드십 엔진을 공유한다.[33] 하지만 엔진에 티타늄 흡기 밸브를 추가하고, ECU를 재구성했으며, 새로운 배기 시스템을 적용하는 등 개선을 통해 엔진 자체의 최고 출력은 785PS으로 향상되었다.[32]

여기에 기어박스에 통합된 전기 모터가 34PS의 출력을 더해, 시스템 총 출력은 819PS에 달한다. 이는 시안을 역대 가장 강력한 양산형 람보르기니 모델로 만들었다.[32][15] 엔진은 7단 ISR(독립 변속 로드) 자동 수동 변속기와 결합되며,[32][15] 구동 방식은 핸들링 성능을 높이기 위해 후방 기계식 자동 잠금 차동 장치를 갖춘 전자 제어식 사륜구동 시스템을 사용한다.[33]

전기 모터의 동력원은 일반적인 리튬 이온 배터리 대신 슈퍼 커패시터 유닛에 저장된다. 이 슈퍼 커패시터는 2017년 콘셉트카 텔조 밀레니오(TerzoMillennio)를 통해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와 함께 개발한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14] 슈퍼 커패시터는 무게 배분을 개선하기 위해 전기 모터와 함께 기어박스 내부에 통합되어 있으며, 동일한 무게의 리튬 이온 배터리보다 3배 더 많은 전력을 공급하고 10배 더 많은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어 채택되었다. 또한, 차량의 회생 제동 시스템은 슈퍼 커패시터를 충전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생성한다.

이렇게 저장된 전력으로 작동하는 전기 모터는 감속 효과를 상쇄하고, 최대 130km/h의 속도까지 주행 시 운전자에게 추가적인 파워 부스트를 제공한다.[15] 또한 주차 및 후진과 같은 저속 기동을 지원하며, 변속 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는 부스트 역할도 수행한다. 이는 전류를 빠르게 방출할 수 있는 슈퍼 커패시터의 특성을 활용한 설정이다.[15]

이러한 성능 개선을 통해 시안 FKP 37은 정지 상태에서 100km/h까지 2.8초 만에 가속할 수 있으며, 최고 속도는 전자적으로 제한된 355km/h에 달한다.[16]

4. 디자인

람보르기니 시안의 디자인은 람보르기니 스타일 센터 디렉터 미티야 보르케르트가 주도하였다. 전설적인 디자이너 마르첼로 간디니의 영향을 받은 쐐기 모양 실루엣과 람보르기니 테르조 밀레니오 컨셉트카의 디자인 요소를 결합하여 미래지향적인 스타일을 구현했다. 특히 람보르기니 쿤타치에서 영감을 받은 디자인 요소들이 차량 곳곳에 적용되었다.

시안은 2019년 9월 3일에 온라인으로 처음 공개되었으며, 같은 해 9월 10일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서 실물이 정식으로 전시되었다. 외장 및 내장은 완전 주문 제작 방식으로, 생산된 63대 차량 모두 각기 다른 사양을 가진다[25]. 디자인의 세부적인 특징은 하위 문단에서 설명한다.

4. 1. 외부 디자인

람보르기니 시안 후면


액티브 냉각 베인과 리어 윙 (닫힌 상태)


센터 록 휠 방식의 코핀 스포크 휠과 피렐리 타이어


외부 디자인은 유명 자동차 디자이너 마르첼로 간디니의 특징인 쐐기 모양 실루엣을 기반으로, 람보르기니 테르조 밀레니오 컨셉트카의 디자인 요소를 결합했다. 전체적인 디자인은 람보르기니 우라칸, 람보르기니 아벤타도르, 람보르기니 우루스, 람보르기니 테르조 밀레니오 등을 디자인한 람보르기니 스타일 센터 디렉터 미티야 보르케르트가 담당했다.

전면부는 람보르기니 테르조 밀레니오에서 영감을 받은 Y자형 주간 주행등이 12기통 모델 최초로 LED 방식으로 적용되었고[17], 대형 탄소 섬유 프론트 스플리터가 장착되었다. 프론트 트렁크 용량은 헬멧 하나 정도[18]를 수납할 수 있을 정도로 작으며, 프론트 윈도우 형태 등 일부 요소는 아벤타도르와 공유한다[19].

측면에는 다운포스를 극대화하기 위한 대형 공기 흡입구가 자리 잡고 있다.

후면부 디자인은 람보르기니 쿤타치에서 영감을 받은 6개의 육각형 테일라이트가 특징이다. 다운포스를 생성하는 액티브 고정형 리어 윙은 차내에서 임의로 펼칠 수 있으며, 윙 끝단 카본 윙렛에는 람보르기니 설립 연도(1963년)를 기념하는 숫자 "63"이 엠보싱 처리되어 있다. 또한, 리어 카울에는 배기 시스템의 열에 반응하는 특수 형상 기억 소재(람보르기니 스마트 머티리얼 시스템, Lamborghini Smart Material System・LSMS)[22]로 제작된 4개의 액티브 냉각 베인이 장착되어 있다. 배기 시스템이 특정 온도에 도달하면 이 베인들이 자동으로 회전하여[23][24] 열리면서 추가적인 냉각 공기 흐름을 만들어 출력 손실을 최소화한다. 이 형상 기억 소재는 전기적 연결 없이 작동하여 경량화에도 기여한다.

루프는 쿤타치 LP400의 '페리스코피오(Periscopio)' 디자인에서 영감을 받아 중앙이 움푹 들어간 형태이며, 투명 유리 패널이 엔진 커버까지 이어진다. 이는 람보르기니 쿠페 최초의 유리 루프[20]로, 광변색 소재로 제작되어 스위치 조작으로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21]. 리어 엔진 후드는 탈착식이며, 탈착 시 4명의 인원이 필요하다[21].

휠은 베르토네가 디자인한 란치아 스트라토스의 '코핀 스포크 휠(coffin spoke wheels)' 디자인을 연상시킨다. 아벤타도르 이후 모델들과 같이 전륜 20인치, 후륜 21인치의 다른 직경을 가지며 센터 록 휠 방식이 적용되었다.

차체 크기는 람보르기니 아벤타도르 S보다 전장이 183mm, 전폭이 71mm 더 크다.

외장 및 내장은 완전 주문 제작 방식으로, 한정 생산된 63대 차량 모두 각기 다른 사양을 가진다[25].

4. 2. 내부 디자인

실내는 아벤타도르의 인테리어를 기반으로 하지만, 센터 콘솔이 더 정돈되었고 우라칸 에보에서 처음 선보인 세로형 터치 스크린이 적용된 점이 주요 차이점이다. 이 터치스크린은 주문 제작 차량의 고유한 설정을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3]

실내 소재로는 이탈리아 가구 회사 폴트로나 프라우(Poltrona Frau)에서 제공하는 가죽 실내 장식이 사용되었으며, 탄소 섬유와 알칸타라[26] 스웨이드도 많이 사용되었다. 람보르기니의 개인화 프로그램을 통해 모든 부분에 알칸타라를 적용할 수도 있다.[27] 외장 색상이 일렉트릭 골드 #00/63인 차량의 경우, 천장까지 이어지는 회색 알칸타라 스웨이드와 산타가타 볼로네제의 앰버색 아닐린 가죽[28]으로 실내를 조합했다.

특히, 새로운 디자인의 에어 벤트(송풍구)는 3D 프린터로 제작된 부품이 실내에 처음으로 사용된 사례이며, 소유주의 이니셜을 새기는 것도 가능하다.[3]

5. 생산

람보르기니 시안 FKP 37의 생산은 쿠페 63대와 로드스터 19대로 제한되어 총 82대가 제작되었다.[34] 이는 람보르기니 설립 연도인 1963년을 기념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모든 차량은 생산 전에 이미 판매가 완료되었다. 생산은 람보르기니의 개인 맞춤 제작 부서인 아드 페르소남(Ad Personam)에서 담당했다.

시안은 2019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서 독특한 "전기 골드" 색상으로 대중에게 처음 공개되었다. 이후 이 차의 이름은 폭스바겐 그룹의 전 회장인 페르디난트 피에히를 기리기 위해 시안 FKP 37로 변경되었다. 'FKP'는 그의 이름의 머리글자이며, '37'은 그의 출생 연도인 1937년의 마지막 두 숫자를 의미한다.

6. 람보르기니 시안 로드스터



2020년 7월, 람보르기니는 시안 FKP 37의 컨버터블 버전인 '''시안 로드스터'''를 공개했다.[10][35] 이 차량은 '우라누스 블루'(Uranus Blue영어)라는 새로운 색상으로 선보였으며, 이탈리아의 람보르기니 박물관에서 첫 번째 생산 차량(#00/19)이 발표되었다. 총 19대만 한정 생산되었고, 공개 시점에 이미 모두 판매된 상태였다.[11][35] 기계적으로 로드스터는 쿠페 모델과 동일하며, 같은 V12 엔진과 슈퍼커패시터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유지한다.[11][35] 차량 후면에는 3D 프린터로 제작된 탄소 섬유 통풍구가 있으며, 구매자는 여기에 자신의 이니셜을 추가하여 각 차량을 고유하게 만들 수 있었다.[12][36]

7. 비디오 게임에서의 등장

참조

[1] 웹사이트 Why Lamborghini's new hybrid is bad for the environment https://www.business[...] 2019-10-24
[2] 서적 Dizionario bolognese-italiano, italiano bolognese https://books.google[...] Edizioni Pendragon 2007
[3] 뉴스 New Lamborghini, Sian: Sant'Agata's first-ever hybrid revealed https://www.carmagaz[...] 2019-09-03
[4] 웹사이트 Lamborghini Sián Kicks Off Lambo's Hybrid Era with 807 HP and a 218-MPH Top Speed https://www.caranddr[...] Car and Driver 2019-09-03
[5] 뉴스 New 808bhp Lamborghini Sian is brand's first hybrid https://www.autoexpr[...] Auto Express 2019-09-03
[6] 뉴스 Lamborghini uncovers 808bhp Sian as first hybrid model https://www.autocar.[...] Autocar (magazine) 2019-09-03
[7] 뉴스 The Lamborghini Sián FKP 37 starts Lamborghini's hybridisation with 602 kW and 350 km/h https://www.caranddr[...] Car & Driver 2019-09-03
[8] 웹사이트 Lamborghini Sian Debuts As Brand's First Electrified Production Car https://www.motor1.c[...] Motor1 2019-09-03
[9] 웹사이트 Lamborghini Sian adopts FKP 37 surname in honor of the late VW Group chairman https://www.cnet.com[...] CNET 2019-09-10
[10] 웹사이트 Lamborghini Sián Roadster https://www.lamborgh[...] 2023-03-29
[11] 웹사이트 807-HP Lamborghini Sián Roadster Revealed, but It's Already Sold Out https://www.caranddr[...] Car and Driver 2020-07-08
[12] 웹사이트 Lamborghini Sian Roadster drops the top, adds custom 3D printed vents https://www.engadget[...] En Gadget 2020-07-09
[13] 웹사이트 Le stand Lego et sa Lamborghini Sian au Mondial de Paris 2022 https://www.largus.f[...] 2022-10-20
[14] 웹사이트 LAMBORGHINI SIÁN : COUNTACH CAPOLAVORO DELL’ACCENTO BOLOGNESE LIGHTNING [6.5L V12 À 60° HYBRID 48V NEW TECH.] 1KG/HP #IAA19 https://timedm.com/2[...] 2019-09-04
[15] 웹사이트 "シアン・ロードスター"日本上陸! ランボルギーニの伝統に則った定番仕様とは https://kuruma-news.[...] 2021-09-09
[16] 웹사이트 モデル/限定シリーズ/sian-fkp-37 https://www.lamborgh[...] null
[17] 웹사이트 【ランボルギーニシアン納車式】激レア!じっくり車両説明 https://www.youtube.[...] 2021-06-02
[18] 웹사이트 【ランボルギーニシアン納車式】激レア!じっくり車両説明 https://www.youtube.[...] 2021-06-02
[19] 웹사이트 開発部門トップが語る「シアン FKP37」に込めたランボルギーニの決意 https://www.gqjapan.[...] 2019-09-22
[20] 웹사이트 【ランボルギーニシアン納車式】激レア!じっくり車両説明 https://www.youtube.[...] 2021-06-02
[21] 웹사이트 【ランボルギーニシアン納車式】激レア!じっくり車両説明 https://www.youtube.[...] 2021-06-02
[22] 웹사이트 【ランボルギーニシアン納車式】激レア!じっくり車両説明 https://www.youtube.[...] 2021-06-02
[23] 웹사이트 車両価格3億9千万円! 史上最強のランボルギーニ「シアン」の驚くべき正体とは https://kuruma-news.[...] 2019-09-12
[24] 웹사이트 オープンで味わえるランボルギーニの新世代HVスーパースポーツ「シアン・ロードスター」が登場! https://car.motor-fa[...] 2020-07-10
[25] 웹사이트 【ランボルギーニシアン納車式】激レア!じっくり車両説明 https://www.youtube.[...] 2021-06-02
[26] 웹사이트 アルカンターラとは何?どこがそんなにすごいの? https://matome.respo[...] 2019-12-04
[27] 웹사이트 ランボルギーニの限定モデル 「シアン FKP37」はアルカンターラを採用!よりラグジュアリーな空間に https://car.motor-fa[...] 2019-09-23
[28] 웹사이트 LAMBORGHINI SIÁN : COUNTACH CAPOLAVORO DELL’ACCENTO BOLOGNESE LIGHTNING [6.5L V12 À 60° HYBRID 48V NEW TECH.] 1KG/HP #IAA19 https://timedm.com/2[...] 2019-09-04
[29] 웹인용 Lamborghini Sian Debuts As Brand's First Electrified Production Car https://www.motor1.c[...] Motor1 2019-09-03
[30] 서적 Dizionario bolognese-italiano, italiano bolognese https://books.google[...] Edizioni Pendragon 2007
[31] 웹인용 807-HP Lamborghini Sián Roadster Revealed, but It's Already Sold Out https://www.caranddr[...] Car and Driver 2020-07-08
[32] 웹인용 Lamborghini Sián Kicks Off Lambo's Hybrid Era with 807 HP and a 218-MPH Top Speed https://www.caranddr[...] Car and Driver 2019-09-03
[33] 뉴스 New 808bhp Lamborghini Sian is brand's first hybrid https://www.autoexpr[...] Auto Express 2019-09-03
[34] 웹인용 Lamborghini Sian adopts FKP 37 surname in honor of the late VW Group chairman https://www.cnet.com[...] CNET 2019-09-10
[35] 웹인용 807-HP Lamborghini Sián Roadster Revealed, but It's Already Sold Out https://www.caranddr[...] Car and Driver 2020-07-08
[36] 웹인용 Lamborghini Sian Roadster drops the top, adds custom 3D printed vents https://www.engadget[...] En Gadget 2020-07-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