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미즈노오 천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미즈노오 천황(1596년 ~ 1680년)은 일본의 108대 천황으로, 1611년에 즉위하여 1629년 자신의 딸인 메이쇼 천황에게 양위했다. 재위 기간 동안 막부의 통제를 받는 상황에서 자의 사건과 가스가노 쓰보네의 천황 배알 등으로 천황의 권위가 실추되는 것을 겪었다. 그는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딸인 도후쿠몬인(도쿠가와 마사코)과 결혼하여 33명의 자녀를 두었으며, 학문을 좋아하여 저서를 남기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미즈노오 천황 - 자의 사건
자의 사건은 1627년 도쿠가와 막부가 천황의 권위를 약화시키고 종교계를 통제하려다 고미즈노 천황이 자색 법복을 수여한 것을 문제 삼아 칙허를 무효화하고 관련 승려들을 처벌한 사건이다. - 고미즈노오 천황 - 소노 구니코
소노 구니코는 고미즈노오인의 후궁으로 입궁하여 레이겐 천황을 낳았으며, 준삼궁으로 추증되고 신코기몬인이라는 원호를 받았다. - 일본의 불교 군주 - 쇼토쿠 태자
쇼토쿠 태자는 일본 아스카 시대의 인물로, 불교 장려, 17조 헌법 제정, 수나라 외교 등 고대 일본 국가 형성에 기여했으며, 여러 일화와 지폐 도안으로 유명하지만, 업적에 대한 논란도 존재한다. - 일본의 불교 군주 - 간무 천황
간무 천황은 781년부터 806년까지 재위하며 수도를 두 번 옮기고 에미시 정벌을 단행했으며, 적극적인 정치 개혁과 불교 발전을 도왔고, 백제 무령왕의 후손인 어머니를 두었으며, 3명의 천황을 배출했다. - 17세기 일본의 군주 - 히가시야마 천황
히가시야마 천황은 레이겐 천황의 아들로 1687년부터 1709년까지 재위하며 겐로쿠 문화의 전성기와 조정과 막부의 원만한 관계, 황실 재정 안정 등 안정적인 시기를 보낸 후 천연두로 사망했다. - 17세기 일본의 군주 - 메이쇼 천황
메이쇼 천황은 1629년 즉위하여 1643년 퇴위한 일본의 109대 천황으로, 도쿠가와 막부의 지원을 받았으며, 지진, 조선 사절 방문, 시마바라의 난 등의 사건을 겪었고, 1696년 사망했다.
고미즈노오 천황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고미즈노오 천황 |
로마자 표기 | Go-Mizunoo Tennō |
휘 | 고토히토 (政仁) |
유년칭호 | 산노미야 (三宮) |
법명 | 엔조 (円浄) |
추존 칭호 | 고미즈노오인 (後水尾院) |
재위 기간 | 1611년 5월 9일 ~ 1629년 12월 22일 |
재위 기간 (일본식) | 게이초(慶長) 16년 3월 27일 ~ 간에이(寛永) 6년 11월 8일 |
즉위례 | 1611년 5월 23일 |
시대 | 에도 시대 |
연호 | 게이초 겐나 간에이 |
정부 수뇌 관직 | 정이대장군 |
정부 수뇌 인물 | 도쿠가와 히데타다 도쿠가와 이에미쓰 |
수도 | 교토 |
황궁 | 헤이안 궁 (교토 고쇼) |
출생일 | 1596년 6월 29일 |
사망일 | 1680년 9월 11일 |
묘소 | 쓰키노와 능 |
![]() | |
계보 | |
선대 천황 | 고요제이 천황 |
후대 천황 | 메이쇼 천황 |
아버지 | 고요제이 천황 |
어머니 | 고노에 사키코 |
중궁 | 도쿠가와 마사코 |
자녀 | 메이쇼 천황 고코묘 천황 테루코 내친왕 고사이 천황 레이겐 천황 |
통치 | |
쇼군 | 도쿠가와 히데타다 도쿠가와 이에미쓰 |
기타 | |
출생지 | 교토, 교토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사망지 | 도쿠가와 막부(현재 일본) |
2. 약력
1596년 고요제이 천황의 삼남으로 태어났다.[6] 1611년 아버지에게 양위 받아 즉위하였으며,[6][2] 재위 기간 중 공가중제법도(1613년 제정), 금중병공가제법도(1615년 제정) 등이 제정되어 조정의 행동 전반이 교토에 설치된 쇼시다이(所司代)를 통해서 막부의 관리를 받게 되었다.
쇼군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딸 가즈코와의 약혼기간 중 궁녀 요쓰쓰지 요쓰코를 총애하여 남매를 두었던 일이 발각되어, 한때 가즈코의 입궁 취소가 고려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요쓰코 모자의 출궁 및 관련자 처벌 등으로 사과가 받아들여져 1620년에 도쿠가와 가즈코가 입궁, 마사코로 개명하고 후궁이 된다.[2][3]
1627년 자의 사건 및 아무런 품계도 없던 가스가노 쓰보네의 천황 배알 등으로 천황의 권위를 실추시킨 막부의 행동을 참지 못한 천황은[2] 1629년 11월 8일 딸인 오키코 내친왕(메이쇼 천황)에게 양위하고 상황이 되었다.[6][2][3]
2. 1. 출생과 즉위
1596년 고요제이 천황의 삼남으로 태어났다.[6] 1611년(게이초 16년) 아버지 고요제이 천황이 퇴위하면서 16세의 나이로 즉위하였다.[6][2] 고미즈노오 천황의 재위 기간은 도쿠가와 히데타다와 도쿠가와 이에미쓰가 도쿠가와 막부의 정점에 있던 시대와 일치한다.고요제이 천황은 첫째 황자 요리히토 친왕(각심뉴도친왕)을 폐하고 동생인 팔조궁치인친왕을 세우고자 하였으나, 세키가하라 전투를 통해 권력을 잡은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황위 계승에 개입하여 요리히토 친왕의 출가는 인정하되, 셋째 황자 마사히토 친왕을 다음 천황으로 세울 것을 요구했다. 고요제이 천황은 이를 받아들였으나, 마사히토 친왕에게도 냉담한 태도를 보였다.
1611년 3월 27일 고요제이 천황의 양위를 받아 즉위했고, 4월 12일에 즉위의례를 거행했다. 하지만 아버지 고요제이 상황과의 불화는 텐카이와 이타쿠라 카츠시게의 중재에도 불구하고 고요제이 상황이 붕어할 때까지 계속되었다.
에도 막부는 조정을 통제하기 위해 1613년 8월 2일(게이초 18년 6월 16일) 「공가중법도」와 「칙허자의법도」를 제정하고, 1615년 9월 9일(게이초 20년 7월 17일)에는 「금중병공가제법도」를 공포했다. 이로써 조정은 교토소시다이를 통해 막부의 관리를 받게 되었고, 섭정·관백이 조의를 주재하고 무가전주를 통해 막부의 승낙을 얻어야만 정책을 시행할 수 있게 되었다.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손녀 와코의 입궁을 요청했고, 1614년 4월 입궁 선지가 내려졌으나, 오사카 전투와 1616년 이에야스의 사망, 고요제이 상황의 붕어 등으로 연기되었다. 1618년에는 와코를 위한 어소 조영이 시작되었지만, 고미즈노오 천황이 총애하던 궁녀 요츠지 요츠코와의 사이에서 황자와 황녀를 둔 사실이 도쿠가와 히데타다에게 발각되어 입궁이 문제시되기도 하였다. 1619년 히데타다는 직접 교토로 올라와 요츠코의 행실을 문제 삼아 무가전주 히로하시 카네카츠와 함께 이를 추궁했다. 만리소지 미츠후사에게 궁중 풍기 문란의 책임을 물어 단바국 시노야마번에 유배 보내고, 요츠코의 친형인 요츠지 스에쓰구·타카쿠라 쓰구요시를 분고국에 유배 보내는 등, 천황 측근들을 처벌하였다. 분노한 천황은 양위하려 했으나, 막부의 사자였던 후지도우 타카토라가 천황을 협박하여 요츠코의 추방과 출가를 강요했다(오요쓰 료닌 사건). 1620년 6월 18일, 와코가 뇨고로서 입궁하자 히데타다는 처벌했던 6명의 사면과 복직을 천황에게 강요했다.
1627년 자의 사건과 가스가노 쓰보네의 천황 배알 등으로 천황의 권위가 실추되자, 1629년 11월 8일 막부에 알리지 않고 둘째 딸 오키코 내친왕(메이쇼 천황)에게 양위했다.[8]
2. 2. 막부와의 갈등
1596년 고요제이 천황의 삼남으로 태어났다.[6] 1611년 아버지에게 양위 받아 즉위하였으며,[6][2] 재위 기간 중 공가중제법도(1613년 제정), 금중병공가제법도(1615년 제정) 등이 제정되어 조정의 행동 전반이 교토에 설치된 쇼시다이(所司代)를 통해서 막부의 관리를 받게 되었다.쇼군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딸 가즈코와의 약혼기간 중 궁녀 요쓰쓰지 요쓰코를 총애하여 남매를 두었던 일이 발각되어, 한때 가즈코의 입궁 취소가 고려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요쓰코 모자의 출궁 및 관련자 처벌 등으로 사과가 받아들여져 1620년에 도쿠가와 가즈코가 입궁, 마사코로 개명하고 후궁이 된다.[2][3]
1627년 자의 사건 및 아무런 품계도 없던 가스가노 쓰보네의 천황 배알 등으로 천황의 권위를 실추시킨 막부의 행동을 참지 못한 천황은[2] 1629년 11월 8일 딸인 오키코 내친왕(메이쇼 천황)에게 양위하고 상황이 되었다.[6][2][3]
2. 3. 양위와 상황
고미즈노오 천황은 1629년 막부에 사전 통보 없이 딸인 오키코 내친왕(메이쇼 천황)에게 양위했다.[6][2][3] 이는 자의 사건 등으로 천황의 권위를 실추시킨 막부의 행동에 대한 반발이었다.[2] 양위는 병든 천황이 뜸 치료를 받기 위함이라는 설도 있지만,[8] 뜸 치료를 받았던 천황의 전례가 존재하므로 양위를 위한 구실이었다고 여겨진다.[9]양위 이후 고미즈노오 상황은 메이쇼 천황, 고코묘 천황, 고사이 천황, 레이겐 천황의 4대에 걸쳐 원정을 행하며 실권을 행사했다. 막부는 처음에는 원정을 인정하지 않았으나, 도후쿠몬인이 상황을 옹호했기 때문에 이를 묵인할 수밖에 없었다.[2] 1634년 쇼군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상락을 계기로 막부도 원정을 인정하게 되었다.[10] 이후에도 상황(법황)과 막부 간의 갈등은 계속되었으나,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조정과의 협조 자세와 도쿠가와 마사코(도후쿠몬인)의 협조로 원정은 계속 유지되었다.
thumb'' (센뉴지 내), 교토시 히가시야마구]]
2. 4. 말년과 사망
고미즈노오 천황은 1680년 8월 19일 85세로 붕어[3][6]하였으며, 센뉴지(泉涌寺) 내 월륜릉(月輪陵, 교토부 교토시 히가시야마구 이마쿠마노이즈미야마초)에 안장되었다.[2] 쇼와 천황 이전 역대 천황 중 최고령이었다.[3]닛코 도쇼구에는 요메이몬을 비롯한 각처에 고미즈노오 천황의 친필이라고 하는 현판이 걸려 있다. 12대 오하시 소킨은 장기 말 「고미즈노오 천황 친필의 사본」(신필금기)를 후세에 제작하고 있다.
고미즈노오 천황의 릉(みささぎ)은, 궁내청에 의해 교토부교토시히가시야마구 이마쿠마노이즈미야마초의 센류지 내에 있는 '''월륜릉'''(つきのわのみささぎ)으로 지정되어 있다. 궁내청 상의 형식은 석조 9층탑이다.
고미즈노오 천황 이후 고메이 천황에 이르기까지 역대 천황은 모두 센류지 내에 묻혀 있다(센류지 내에는 고미즈노오 이전 가마쿠라 시대의 고호리카와 천황・시조 천황 두 천황의 릉이 있다).
또한 황거에서는 황령전(궁중삼전 중 하나)에서 다른 역대 천황・황족과 함께 천황의 영이 봉안되어 있다.
3. 연호
고미즈노오 천황의 재위 기간은 여러 일본 연호(年号, ''nengō'')로 더 구체적으로 표시된다.[3] 게이초(慶長) (1611년 3월 27일 - 1615년 7월 13일), 겐나 (1615년 7월 13일 - 1624년 2월 30일), 간에이(寛永) (1624년 2월 30일 - 1629년 11월 8일)이 그것이다.[3]
4. 가계
고미즈노오 천황(1596년~1680년)이 황위에 오르기 전의 이름은 고토히토였다.[2] 그는 고요제이 천황과 그의 황후 고노에 사키코 사이에서 태어난 세 번째 아들이었다.
그는 헤이안궁의 대리(大里)에서 황후와 측실들과 함께 거주했다. 그는 황후와 6명의 측실 사이에서 33명의 자녀를 두었다.[2]
- 황후(중궁(中宮)): 도쿠가와 마사코(1607년~1678년) - 도쿠가와 히데타다와 오에요의 딸, 도후쿠몬인(東福門院)[4]
- * 둘째 딸: 메이쇼 천황이 된 오키코 내친왕(1624년~1696년)
- * 셋째 딸: 온나니노미야(女二宮)(1625년~1651년) - 고노에 히사쓰구의 정실
- * 둘째 아들: 스케히토 친왕(1626년~1628년)
- * 셋째 아들: 와카노미야(若宮)(1628년 출생)
- * 넷째 딸: 아키코 내친왕(1629년~1675년)
- * 여섯째 딸: 요시코 내친왕(1632년~1696년) - 니조 미쓰히라와 결혼
- * 일곱째 딸: 기쿠노미야(菊宮)(1633년~1634년)
- 시녀(내시의 스케(内侍の資)): 요쓰쓰지 요쓰코(~1639년) - 요쓰쓰지 긴토의 딸, 메이쿄인(明鏡院)
- * 첫째 아들: 가모노미야(賀茂宮)(1618년~1622년)
- * 첫째 딸: 분치 여왕(1619년~1697년) - 다카쓰카사 노리히라의 아내
- 시녀(내시의 스케(内侍の資)): 소노 미쓰코(1602년~1656년) - 소노 모토타다의 딸, 미부인(壬生院)
- * 넷째 아들: 고묘 천황이 된 쓰구히토 친왕(1633년~1654년)
- * 여섯째 아들: 슈초 법친왕(1634년~1680년) - 간에이지 방장
- * 열 번째 딸: 겐쇼 여왕(1637년~1662년)
- * 열한 번째 딸: 소초 여왕(1639년~1678년)
- * 열세 번째 딸: 가쓰라노미야(桂宮)(1641년~1644년)
- 시녀(내시의 스케(内侍の資)): 구시게 다카코(1604년~1685년) - 구시게 다카치카의 딸, 호슌몬인(逢春門院)
- * 다섯째 딸: 리쇼 여왕(1631년~1656년)
- * 다섯째 아들: 이름 없는 왕자(1633년 출생)
- * 여덟 번째 딸: 아케노미야 데루코 내친왕(1634년~1727년)
- * 여덟 번째 아들: 고사이 천황이 된 나가히토 친왕(1638년~1685년)
- * 아홉 번째 아들: 쇼신 법친왕(1639년~1696년)
- * 열두 번째 딸: 마사노미야(摩佐宮)(1640년~1641년)
- * 열네 번째 딸: 리추 여왕(1641년~1689년)
- * 열한 번째 아들: 야스히토 친왕(1643년~1665년)
- * 열세 번째 아들: 도칸 법친왕(1647년~1676년)
- 시녀(내시의 스케(内侍の資)): 소노 구니코(1624년~1677년) - 소노 모토나리의 딸, 신코기몬인(新広義門院)
- * 열 번째 아들: 교조 법친왕(1640년~1695년)
- * 열다섯 번째 딸: 쓰네코 내친왕(1642년~1702년)
- * 열네 번째 아들: 신케이 법친왕(1649년~1706년)
- * 열여섯 번째 아들: 손쇼 법친왕(1651년~1694년)
- * 열아홉 번째 아들: 레이겐 천황이 된 사토히토 친왕(1654년~1732년)
- * 열일곱 번째 딸: 에이쿄 여왕(1657년~1686년)
- 시녀(내시의 스케(内侍の資)): 요쓰쓰지 쓰구코(~1657년) - 요쓰쓰지 스에쓰구의 딸
- * 열두 번째 아들: 손코 법친왕(1645년~1680년)
- * 열여덟 번째 아들: 세이인 법친왕(1651년~1680년)
- * 열여섯 번째 딸: 분사쓰 여왕(1654년~1683년)
- 궁녀(미야히토(宮人)): 미나세 우지코(1607년~1672년) - 미나세 우지노리의 딸
- * 아홉 번째 딸: 신노미야(新宮)(1635년~1637년)
- * 일곱 번째 아들: 쇼조 법친왕(1637년~1678년)
4. 1. 부모
고미즈노오 천황의 아버지는 고요제이 천황(1571–1617)이고, 어머니는 고노에 사키코(1575–1630)이다.4. 2. 배우자 및 자녀
고미즈노오 천황은 대리(大里)에서 황후와 6명의 측실과 함께 거주했으며, 슬하에 33명의 자녀를 두었다.[2]- 황후(중궁) : '''도후쿠몬인(東福門院) 도쿠가와 마사코(德川和子)'''(1607년 ~ 1678년)[4] -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딸
- * 차녀 : '''오키코 내친왕(興子內親王)'''(1623-1696)
- * 3녀 : 온나니노미야(女二宮, 1625 ~ 1651)
- * 차남 : 타카히토 친왕(高仁親王)(1626 ~ 1628)
- * 3남 : 와카노미야(若宮, 1628)
- * 4녀 : 온나산노미야(女三宮) 아키코 내친왕(顯子(昭子)內親王, 1629 ~ 1675)
- * 6녀 : 온나고노미야(女五宮) 나츠코 내친왕(賀子內親王, 1632 ~ 1696)
- * 7녀 : 키쿠노미야(菊宮, 1633 ~ 1634)
- 후궁 : '''메이쿄인(明鏡院) 요츠츠지 요츠코(四辻 與津子)'''(? ~ 1638)
- * 장남 : 가모노미야(賀茂宮, 1618 ~ 1622)
- * 장녀 : 분치 여왕(文智女王)(1619 ~ 1697)
- 텐지(典侍) : '''미부인(壬生院) 소노 미츠코(園 光子)'''(1602년 ~ 1656년)
- * 4남 : '''스가노미야(素鵞宮) 츠구히토 친왕(紹仁親王)'''(1633-1654)
- * 6남 : 슈쵸 법친왕(守澄法親王)(1634 ~ 1680)
- * 10녀 : 겐쇼 여왕(元昌女王)(1637 ~ 1662)
- * 11녀 : 소쵸 여왕(宗澄女王)(1639 ~ 1678)
- * 13녀 : 카츠라노미야(桂宮, 1641 ~ 1644)
- 텐지(典侍) : '''호슌몬인(逢春門院) 쿠시게 타카코(櫛笥隆子)'''(1604년 ~ 1685년)
- * 5녀 : 리쇼 여왕(理昌女王)(1631 ~ 1656)
- * 5남 : ? (1633)
- * 8녀 : 아케노미야(明宮) 테루코 내친왕(1634년 ~ 1727년)
- * 8남 : '''히데노미야(秀宮) 나가히토 친왕(良仁親王)'''(1637-1685)
- * 9남 : 쇼신 법친왕(性眞法親王)(1639 ~ 1696)
- * 12녀 : 스루타카노미야(摩佐宮, 1640 ~ 1641)
- * 14녀 : 리츄 여왕(理忠女王)(1641 ~ 1689)
- * 11남 : 하치죠노미야(八條宮) 야스히토 친왕(穩仁親王)(1643 ~ 1665)
- * 13남 : 토칸 법친왕(道寬法親王)(1647 ~ 1676)
- 텐지(典侍) : '''신코우기몬인(新廣義門院) 소노 쿠니코(園 國子)'''(1624 ~ 1677)
- * 10남 : 테루노미야(照宮) 교죠법친왕(堯恕法親王)(1640-1695)
- * 15녀 : 시나노미야(品宮) 츠네코 내친왕(常子內親王)(1642-1702)
- * 14남 : 신쿄 법친왕(眞敬法親王)(1649 ~ 1706)
- * 16남 : 손쇼 법친왕(尊證法親王)(1651 ~ 1694)
- * 19남 : '''아테노미야(高貴宮) 사토히토 친왕(識仁親王)'''(1654-1732)
- * 18녀 : 에이쿄 여왕(永享女王)(1657 ~ 1686)
- 텐지(典侍) : '''겐츄나곤노 쓰보네(權中納言局) 요츠츠지 쓰구코(四辻繼子)'''(? ~ 1657년)
- * 12남 : 손코 법친왕(尊光法親王)(1645 ~ 1680)
- * 18남 : 죠인 법친왕(盛胤法親王)(1651 ~ 1680)
- * 16녀 : 분사츠 여왕(文察女王)(1654 ~ 1683)
- 궁인(宮人) : '''소치노 쓰보네(帥局) 미즈나시 세시코(水無瀨氏子)'''(1607 ~ 1672)
- * 9녀 : 아타라시노미야(新宮, 1635 ~ 1637)
- * 7남 : 세이쇼 법친왕(性承法親王)(1637 ~ 1678)
5. 일화
고미즈노오 천황은 학문을 좋아하여 『이세 이야기 어초(伊勢物語御抄)』 등의 저서를 남겼다.[12] 신하들에게 『유제화가집(類題和歌集)』 편찬을 명령하기도 했다. 여성 관계가 화려했는데, 금중법도(禁中法度)를 무시하고 궁중에 유녀를 불러들이거나 유곽에 몰래 다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양위 후에도 중궁 이외의 여성에게 30명이 넘는 아이를 낳게 했고, 56세에 출가한 후에도 58세에 훗날의 영원 천황(霊元天皇)을 낳았다.[12]
1985년 7월 12일, 쇼와 천황(昭和天皇)이 고미즈노오 천황의 사망 당시 나이 기록을 넘었을 때, 쇼와 천황의 의향에 따라 축하 행사 등은 거행되지 않았지만, 측근들과 장어덮밥을 먹었다고 한다.[12]
6. 평가
7. 대중 매체에서
- 오바 타이세이(大場泰正) (대하드라마 『아오이 도쿠가와 삼대(葵 徳川三代)』・2000년, NHK)
- 시바타 요시유키(柴田善行) (『오오쿠(大奥)』・2005년 4월 8일, 후지텔레비(フジテレビジョン))
참조
[1]
웹사이트
後水尾天皇 (108)
https://www.kunaicho[...]
Imperial Household Agency
2022-08-03
[2]
서적
The Imperial House of Japan
https://books.google[...]
[3]
서적
Nipon o daï itsi ran; ou,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https://books.google[...]
[4]
서적
[5]
서적
A Chronicle of Gods and Sovereigns: Jinnō Shōtōki of Kitabatake Chikafusa
https://books.google[...]
[6]
서적
Japans Kaiserhof in der Edo-Zeit
https://books.google[...]
[7]
웹사이트
近衛(近衞)家(摂家)
https://web.archive.[...]
Reichs Archive
2022-08-04
[8]
서적
近世日本政治史と朝廷
吉川弘文館
[9]
서적
中世の国家と天皇・儀礼
校倉書房
[10]
간행물
道房公記
1637-12-03
[11]
웹사이트
天皇のお名前の秘密 裕仁、明仁、徳仁…なぜ「○仁」が多い?
https://biz-journal.[...]
サイゾー
2019-03-21
[12]
웹사이트
上皇さま 歴代天皇の中で最高齢に
https://web.archive.[...]
2021-09-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