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의 상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마 상업은 로마 제국 시대에 발전했으며, 초기에는 상업 활동이 미미했으나 제정 시대에 번영을 누렸다. 로마 상업의 주체로는 이자를 받고 상품을 거래하는 네고티아토레스, 노천 시장 등에서 식료품과 의복을 판매하고 약탈물을 사들인 메르카토레스, 도시와 농촌을 오가며 상품을 판매하는 행상인 등이 있었다. 로마는 시장, 도로, 항만을 건설하여 상업 기반 시설을 구축했으며, 표준화된 도량형과 안정적인 통화를 사용했다. 로마는 인도, 중국 등과 대외 무역을 활발히 진행했으며, 메르쿠리우스가 상업의 신으로 숭배받았다. 로마 엘리트 계층은 상업에 대해 이중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상업 계층은 사회에서 가난한 계층에 속했다.
로마의 상업은 로마 왕정 시대부터 시작되어 로마 공화정과 제정 시대를 거치며 꾸준히 발전했다. 왕정 시대에 로마는 테베레강을 이용해 정기적인 무역을 했다.[4] 포에니 전쟁 이전에는 카르타고와 중요한 통상 교역을 맺었으며, 로마 공화정 초기에는 주요 경쟁 도시들과 상업 및 정치적 협약을 맺기도 했다.[4]
로마의 상업은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참여하는 복잡한 체계였다. 상업에 종사한 주요 주체로는 네고티아토레스, 아르겐타리, 메르카토레스 등이 있었다.
2. 로마 상업의 발전
제정 시대에는 광대한 영토와 도로, 항만 등 사회 기반 시설 확충, 그리고 '팍스 로마나'로 불리는 평화 시대가 상업 발전을 이끌었다. 1세기에는 로마 제국의 속주들이 해상로를 통해 활발하게 상품을 거래했으며, 각 속주는 제조업, 농업, 광업 등 특정 분야에 전문화되었다.
해양 고고학과 고대 문서는 로마 상업 함대의 규모를 짐작하게 한다. 치비타베키아, 오스티아, 포르투스 등 항구 유적과 몬테 테스타치오는 상업의 흔적을 보여준다. 로마는 둥근 선체를 가진 범선을 사용했고, 로마 해군의 보호 덕분에 해상 무역이 번성할 수 있었다. 곡물, 건축 자재 등 부피가 크고 가치가 낮은 상품은 해상으로 운송되었으며,[6] 빵을 만들기 위한 곡물과 서적 생산을 위한 파피루스 두루마리 등은 프톨레마이오스 이집트에서 이탈리아로 꾸준히 수입되었다.
인도양 무역은 서기 1세기와 2세기에 번성했다. 몬순을 이용해 로마 이집트의 항구에서 말라바르 해안의 항구로 이동했으며, 남부 인도의 타밀족 왕조와 교역했다. 푸두체리의 아리카메두 유적지에서 많은 로마 유물이 발견되었고, ''홍해 항해기''에는 인도양 주변 항구와 무역 품목에 대한 설명이 기록되어 있다.
2. 1. 초기 상업 활동
로마 왕정 시대에 로마는 테베레강을 이용한 정기적인 무역에 종사했었다.[4] 포에니 전쟁이 지중해의 상업적 속성을 완전히 바꿔놓기 전까지, 로마는 카르타고와 중요한 통상 교역을 맺고 있었다.[4] 또한 로마 공화정 초기에는 단순한 소매 무역 외에도 주요 경쟁 도시들과 일부 상업 및 정치적 협약을 맺기도 했다.[4]
2. 2. 제정 시대의 상업 번영
로마 제국은 광대한 영토를 확보하고 도로, 항만 등 사회 기반 시설을 확충하여 상업 발전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팍스 로마나'로 불리는 평화 시대는 상업 활동의 안정성을 보장하고 무역을 더욱 활성화시켰다. 모든 정착지는 경제적으로 합리적인 위치에 자리 잡을 수 있었고, 특히 작은 정착지는 방어를 위해 언덕 꼭대기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았다. 해안 정착지는 해적 행위로 인해 큰 도시를 제외하고는 위험했다.
1세기에는 로마 제국의 속주들이 해상로를 통해 엄청난 양의 상품을 서로 거래했다. 특히 제조업, 농업 및 광업에서 전문화하는 경향이 증가했다. 일부 속주는 로마 이집트와 북아프리카의 곡물, 이탈리아, 히스파니아, 그리스의 와인과 올리브 오일 등 특정 유형의 상품을 생산하는 것을 전문으로 했다.
해양 고고학과 고대 고전 시대의 고대 문서는 광대한 로마 상업 함대의 증거를 보여준다. 치비타베키아, 오스티아, 포르투스, 렙티스 마그나 및 카이사레아 마리티마와 같은 항구의 항만, 방파제, 창고 및 등대의 기반 시설 유물에서 상업의 흔적을 찾을 수 있다. 로마 자체에서는 몬테 테스타치오가 이 상업의 규모에 대한 증거이다. 로마의 항해 상업 선박은 이전 세기의 그리스 선박에 비해 눈에 띄는 발전이 없었지만, 보호를 위한 선체 납판은 더 흔했던 것으로 보인다. 로마인들은 둥근 선체를 가진 범선을 사용했다. 수 세기에 걸친 지속적인 지중해 "경찰" 보호는 로마 상업 성공의 주요 요인 중 하나였다. 로마 도로가 바퀴보다는 발이나 발굽에 더 적합하게 설계되었고, 대부분의 육상 무역은 짐을 실은 노새로 이동했기 때문에 장거리에 걸쳐 상품의 경제적인 운송을 지원할 수 없었다. 로마 선박은 로마 해군의 리부르나 갤리선과 삼단 노선 함대가 없었다면 해적의 쉬운 먹잇감이 되었을 것이다.
곡물 및 건축 자재와 같은 부피가 크고 가치가 낮은 상품은 육상 운송보다 해상 운송 비용이 60배 낮았기 때문에 해상으로만 거래되었다.[6] 빵을 만들기 위한 곡물과 서적 생산을 위한 파피루스 두루마리와 같은 필수 상품과 상품은 프톨레마이오스 이집트에서 이탈리아로 끊임없이 수입되었다.
인도양을 통한 무역은 서기 1세기와 2세기에 번성했다. 선원들은 몬순을 이용하여 로마 이집트의 홍해 연안에 있는 베레니케, 레우코스 리멘[7] 및 미오스 호르모스 항구에서 말라바르 해안의 무지리스와 넬킨다 항구로 대양을 건너갔다. 남부 인도에서 주요 무역 파트너는 판디아스, 촐라 왕조 및 체라 왕조의 타밀 왕조였다. 푸두체리의 아리카메두 유적지에서 예를 들어 많은 로마 유물이 인도에서 발견되었다. 인도양 주변의 항구와 무역 품목에 대한 세심한 설명은 그리스 저서인 ''홍해 항해기''에서 찾을 수 있다.
3. 로마 상업의 주체
3. 1. 네고티아토레스 (Negotiatores)
네고티아토레스(negotiatores)는 이자를 받고 돈을 빌려주었기에 부분적으로 은행가 역할을 했다. 이들은 또한 대량으로 주요 산물들을 사고 팔거나 상품을 도매로 거래했다.[35] 아르겐타리(argentarii)는 공매나 사매에서 대리인 역할을 하였고, 개인들을 위한 보증금을 보관했으며, 수표(prescriptiones)를 현금으로 바꾸는 환전상 역할을 하였다. 일부 상황에서 아르겐타리는 네고티아토레스의 부분 집합으로 여겨지기도 했지만, 그 외에는 별개의 무리로 여겨졌다.[35] 이 일부 상황에서 아르겐타리는 나라에서 임명한 공인 은행가인 멘사리(mensarii)와 동일한 일을 했다.[35] 이들은 '투불라이'(tabulae)라고 하는 수직판을 들고 다녔는데, 이 필기 자료는 법원에서 법적 자료로 다뤄졌다.[35]
3. 2. 메르카토레스 (Mercatores)
메르카토레스(mercatores)는 주로 플레브스나 해방노예 출신이었다. 이들은 노천 시장, 상가 건물, 상설 가판대, 도로 옆 행상 등 다양한 곳에서 장사를 했다. 또한 군사 작전 시 로마 군영에도 있었다. 메르카토레스는 로마 군인들에게 식료품과 의복을 팔았고, 군사 활동 중 발생하는 약탈물을 사들였다.[35]
서기 3세기경 작성된 유대인 관련 서류를 통해 로마령 팔레스타인의 경제를 엿볼 수 있다. 순회 행상들(''로첼'')은 향신료와 향료 등을 교외 지역 사람들에게 전달하였다.[3] 이는 로마 제국의 경제적 혜택이 상류층 수준의 소작농들에게도 도달했음을 시사한다.
3. 3. 행상인
메르카토레스(mercatores)는 플레브스나 해방노예 출신이 대부분이었다. 이들은 노천 시장, 상가 건물, 상설 가판대, 도로변 등에서 행상을 하거나, 로마 군영에서 군사 작전에 참여하기도 했다. 메르카토레스는 로마 군인들에게 식료품과 의복을 판매하고, 군사 활동 중 발생하는 약탈물을 구매했다.[35]
서기 3세기경 작성된 유대인 관련 문서를 통해 로마령 팔레스타인의 경제 상황을 알 수 있다. 이 문서에 따르면, 순회 행상인(''rochel'')들은 향신료와 향료 등을 교외 지역 주민들에게 판매했다.[35] 이는 로마 제국의 경제적 혜택이 상류층뿐만 아니라 소작농들에게도 미쳤음을 보여준다.
4. 상업 기반 시설
고대 로마는 상업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기반 시설을 구축했다. 1세기에는 로마 제국의 속주들이 해상로를 통해 엄청난 양의 상품을 서로 거래했으며, 제조업, 농업 및 광업에서 전문화하는 경향이 증가했다. 로마 이집트와 북아프리카는 곡물을, 이탈리아, 히스파니아, 그리스는 와인과 올리브 오일 등 특정 유형의 상품을 생산하는 것을 전문으로 했다.
팀가드와 같은 신도시들은 운송과 상업을 용이하게 하는 직교 격자형 계획에 따라 건설되었고, 훌륭한 로마 도로로 연결되었다. 항해 가능한 강과 일부 운하도 사용되었지만, 도로나 건물처럼 명확한 고고학적 흔적을 남기지는 않았다.
로마 경제에 대한 지식은 매우 불완전하다. 농산물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거래 상품은 일반적으로 직접적인 유물을 남기지 않기 때문이다. 매우 예외적으로 베레니케에서는 후추, 아몬드, 개암, 잣, 호두, 코코넛, 살구, 복숭아, 무화과, 건포도, 대추의 장거리 무역 증거가 발견되었다. 와인, 올리브 오일 및 가룸(발효 생선 소스) 무역은 암포라(고대 로마의 항아리)를 남겼다는 점에서 예외적이다. 시리아가 딱딱한 모과 잼 또는 마멀레이드를 로마로 수출했다는 단 하나의 언급이 있다.[4][5]
4. 1. 시장 (Fora)
고대 로마의 포룸 쿠페디니스는 일반적인 상품을 판매하는 시장이었다. 가축, 포도주, 생선, 허브, 채소 등 특정 상품에 특화된 대형 시장도 최소 네 곳 이상 있었지만, 로마 포룸이 상업의 중심지였다.[36][37]4. 2. 도로와 항만
고대 로마는 제국 전역에 도로를 건설하여 육상 교통을 원활하게 연결했다. 팀가드와 같은 신도시들은 직교 구조의 그리드 플랜에 따라 배치되어 수송과 상업을 촉진했다. 항해가 가능한 강과 일부 운하도 중요한 교통로로 활용되었으나, 도로만큼 뚜렷한 고고학적 흔적을 남기지는 않아 그 중요성이 과소평가되기도 한다.[36][37]해양 고고학과 고대 문헌들은 로마의 상업용 함대가 활발하게 활동했음을 보여준다. 키비타베키아, 오스티아, 포르투스, 렙티스 마그나, 카이사리아 마리티마 등 주요 항구에는 방파제, 창고, 등대 등 항만 시설이 잘 갖춰져 있었다. 로마 시의 몬테 테스타치오는 당시 교역 규모를 짐작하게 하는 증거이다.[38]
로마의 상업선은 이전의 그리스 배들과 비교해 큰 기술적 발전은 없었지만, 선체 보호를 위해 납을 씌우는 방식이 보편화되었다. 로마는 원형 선체 항해선을 사용했으며, 수 세기간 지중해의 치안을 유지한 것은 로마 상업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로마 해군의 리부르나 갤리선과 트리레메 함선이 없었다면 상업선은 해적의 공격에 취약했을 것이다.
곡물이나 건설 자재와 같이 부피가 크고 가격이 낮은 상품은 해상 교역로를 통해 운송되었는데, 이는 육상 운송보다 비용이 훨씬 저렴했기 때문이다.[38] 빵을 만드는 곡물이나 문서 제작을 위한 파피루스 같은 주요 상품들은 프톨레마이오스 이집트에서 이탈리아로 지속적으로 수출되었다.
인도양 무역은 서기 1세기와 2세기에 번성했다. 로마령 이집트의 베레니케, 레우코스 리멘,[39] 미오스 호르모스 등의 항구에서 출발한 선원들은 계절풍을 이용하여 말라바르 해안의 무지리스, 넬킨다 등의 항구로 향했다. 판디아, 촐라, 체라 등 타밀 왕조들이 남인도의 주요 교역 상대였다. 푸두체리의 아리카메두 유적지 등 인도 각지에서 로마 유물이 발견되고 있으며, 에리트라해 안내기에는 인도양 일대 항구와 교역품에 대한 상세한 기록이 남아있다.
4. 3. 표준 단위와 화폐
로마는 상업 거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표준화된 도량형 시스템을 구축했다. 표준 암포라인 '암포라 카피톨리나'는 카피톨리노 언덕의 유피테르 신전에 보관되어 다른 암포라들과 비교할 수 있었다. 고대 로마의 단위 체계는 이집트의 영향과 함께 고대 그리스 단위 체계를 토대로 형성되었으며, 무게를 기반으로 했다. 로마의 단위는 정확했고 기록에도 잘 남아있었으며, 거리는 정부 관료들을 통해 돌과 같은 곳에 체계적으로 표시되었다.[4][5]로마의 통화는 꽤나 표준적이고 안정적이며 풍부하여 최소한 서기 200년경까지는 무역을 상당히 촉진시켰다. 다만, 이 시기에도 이집트는 자체적인 통화를 사용했고 일부 속주 도시들도 자신들만의 화폐를 발행하였다.
5. 대외 무역
고대 로마는 지중해 세계뿐만 아니라 인도, 중국 등과도 교역했다. 1세기에는 로마 제국의 속주들이 해상로를 통해 엄청난 양의 상품을 서로 거래했다. 로마 이집트와 북아프리카의 곡물, 이탈리아, 히스파니아, 그리스의 와인과 올리브 오일 등 특정 지역에서 특정 상품의 생산을 전문으로 하는 경향이 있었다.
로마 왕국은 테베레강을 이용하여 포에니 전쟁 이전부터 카르타고와 상업적 교류를 했다. 해양 고고학과 고대 문서는 로마 상업 함대의 증거를 보여준다. 치비타베키아, 오스티아, 포르투스, 렙티스 마그나 및 카이사레아 마리티마와 같은 항구의 항만, 방파제, 창고 및 등대의 기반 시설 유물이 남아있다. 로마 자체에서는 몬테 테스타치오가 이 상업의 규모에 대한 증거이다. 로마 선박은 해군의 보호가 없었다면 해적의 쉬운 먹잇감이 되었을 것이다. 곡물 및 건축 자재와 같은 부피가 크고 가치가 낮은 상품은 해상으로만 거래되었는데, 이는 육상 운송보다 해상 운송 비용이 60배 낮았기 때문이다.[6]
인도양을 통한 무역은 서기 1, 2세기에 번성했고, 실크로드를 통한 중국과의 교역도 이루어졌다.
5. 1. 인도와의 교역
인도양 무역은 서기 1세기와 2세기에 번성하였다. 선원들은 계절풍을 이용하여 로마령 이집트의 홍해 해안에 있는 베레니케, 레우코스 리멘,[40] 미오스 호르모스 등의 항구에서 말라바르 해안[41],[42] 무지리스, 넬킨다 등 항구를 향해 인도양을 건넜다.[43] 남인도의 주요 교역 상대들은 판디아, 촐라, 체라 등의 타밀 왕조들이었다.인도에서 수출되는 주요 물품들은 후추, 카다멈, 정향, 계피, 백단유 등의 향신료와 진주, 루비, 다이아몬드, 에메랄드, 상아 등의 보석류였다. 교역 시에 로마인들은 은과 금을 교환하였다. 로마-인도 교역의 역사 기간 로마 주화 뭉텅이가 남인도에서 발견되고 있다.

푸두체리의 아리카메두 유적지에서 로마 유물이 발견되었는데, 이곳은 로마와 인도 간 교역의 중심지 중 한 곳이었다.[44] 그리스어로 쓰인 '에리트라해 안내기'에서 인도양 일대의 항구들과 교역품들에 대한 세심한 묘사들을 찾아볼 수 있다.
5. 2. 중국과의 교역
로마 제국은 실크 로드를 통해, 파르티아 등 중개국들을 거쳐 중국과 교역을 하였다.[45]
프톨레마이오스는 저서 지리학에서 동남아시아의 존재를 대략적으로 배치시켰으며 그는 마그누스 시누스 (걸프만과 남중국해)와 접하고 있는 이 지역을 '시나이'라 명명했다.[46] 알렉산드로스라는 이름의 그리스 선원이 방문했다고 하는 황금반도 (말레이반도)에 위치한 도시 '카티가라'는 베트남의 고대 취락 옥에오일 가능성이 높은데, 옥에오에서 안토니누스 피우스 (재위:138년-161년)와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집권기 (재위:161년-180년) 당시의 메달 같은 안토니누스 왕조의 시대 유물들이 발견되고 있다.[47] 중국의 정사들인 위략, 후한서 등에 기록된 166년의 사건은 이 활동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는데, 해당 역사서들에서 안돈(중국어: 安敦/안토니누스 피우스 또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이 보낸 대진 (로마 제국)에서 온 사절단이 남쪽의 교지군 (베트남 북부)에 발을 내딛었고 후한 환제에게 조공을 바쳤다고 한다.[48] 레이프 드 크레스피그니와 워릭 볼 등은 로마 사료에서 이 사건에 대해 언급이 없었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이 사절단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가 보낸 공식 외교관들이 아닌, 상인들일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보았다.[49][50]
3세기 시기 중국 사료에 기록된 두 번의 다른 로마 사절단과 후대 비잔티움 제국 (중국어: 拂菻; 한어병음: ''Fú lǐn'')이 몇 차례 더 파견한 사절단이 있었음에도,[48][50] 4세기 이후의 동로마 제국 (비잔티움) 주화가 대량으로 발견된 중국 시안에서 티베리우스 (재위: 서기 14년–37년)에서 아우렐리아누스 (재위: 서기 270년–275년) 시기의 주화 16개만이 겨우 발견되었을 뿐이었다.[51][52] 게다가 이는 인도에서 발견된 로마의 주화의 양에 비해서는 또한 미약했는데, 이 점은 인도가 중국의 비단을 가장 많이 사들이는 곳임을 시사할 것이다.[51]
6. 상업과 종교
메르쿠리우스는 원래 곡물 무역의 신이었으나, 점차 상업 활동 전반을 관장하는 신이 되었다. 매년 5월 14일에 열리는 메르쿠랄리아 축제에서 로마 상인들은 메르쿠리우스에게 기도를 올리고, 고객과 공급업체에 했던 모든 속임수로 인한 죄를 자신과 재산으로부터 없애 달라고 빌었다.[1]
7. 엘리트 계층과 상업
리비우스는 원로원 의원과 그 후손들이 암포라 300병 (대략 7톤) 이상을 소유하는 것을 제한하는 클라우디우스 법에 대해 언급하면서도, 원로원 의원들이 키케로가 베레스를 공격했을 때 이 법률을 언급했듯이 실제로는 무역에 종사하고 있었다고 기록했다.[55]
원로원 의원들은 일정 규모 제한 하에 배를 소유하고 사용하는 것이 허용되었으며, 카토는 농장을 지어야 할 곳에 대해 조언할 때 상품들을 수송할 수 있도록 접근 가능한 강, 도로, 또는 항구 근처에 지으라고 상세하게 언급했다.[56] 이는 원로원 의원이 교역을 통해 얻은 모든 수익이 부도덕하다고 한 리비우스의 주장과 직접적으로 상충된다.[57] 원로원 의원들은 보통 자유인이나 노예 대리인들을 법적 제한의 허점으로 사용하였으며, 따라서 이들의 수입원을 다양화했다.[58]
부의 획득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한 바는 없으나, 플리니우스는 로마인은 명예로운 수단을 통해 큰 재산을 얻어야 한다고 언급했고,[59] 폴리비우스는 무역에서 비롯한 수익에 대해 카르타고와 로마의 입장을 비교했다.[60] 테렌스는 대규모 무역에 관해서는 문제가 없다고 하였다. 그는 전 세계의 생산품을 대량으로 수입하는 것이 사실 완전히 영예롭고 합법적이라 하였는데, 이렇게 될 경우 토지를 구입하고 로마 농업에 투자하는 성공적인 무역가로 이어지기 때문이며 불명예스러운 것은 소규모 무역이라 하였다.[61] 타키투스는 셈프로니우스 그라쿠스의 소규모 무역 관여를 저속한 것으로 묘사했다.[62]
카토는 직접 무역에 관여했었으나 무역이 위험한 직업이라며 경고를 했는데,[63] 아마 이 부분은 원로원 의원들이 무역을 하다 위험에 빠지게 되면 원로원 의원으로서 재정적 한계점에 빠질 수 있었고 상대적으로 토지를 보유하는 것이 훨씬 안전한 투자였기에 원로원 의원을 무역 사업에서 배제하는 것을 유지하려는 이유의 일부였을 것이다. 플루타르코스는 카토의 무역 관여에 대하여 상세히 묘사하며, 대리인 (퀸티오라는 이름의 해방 노예)을 이용해 50명으로 이뤄진 별개 조직을 통하여 사업을 운영하는 방법을 보여주었다.[64]
원로원 의원들의 무역 제한은 초창기에는 이 제한이 적용되지 않던 플레브스 계층인 호민관을 통해 통과된 것이었다. 이 개혁은 기사 계급 및 그 외 부유한 상인들이 급속도로 커지던 무역 산업에서 원로원 의원들을 몰아내기 위해 이뤄진 것이라는 의혹도 있다.
8. 상업 계층과 사회
로마 제국 인구 대다수는 농촌 지역에 거주하였고, 상업에 종사하는 소수 인구는 엘리트 계층보다 훨씬 가난했다. 가난한 대다수가 제품을 구매할 여력이 없었기 때문에 산업 생산량은 상당히 낮았으며, 이는 기술 발전의 저해 요인이 되었다. 제국 서부 지역의 도시화 역시 제한적이었다. 노예는 기술보다는 산업 생산 수단의 대부분을 차지했다.[32]
9. 추가 참고 문헌
- Bowman, Alan K., and Andrew Wilson. ''Quantifying the Roman Economy: Methods and Problem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 Callataÿ, François de. ''Quantifying the Greco-Roman Economy and Beyond''. Bari: Edipuglia, 2014.
- Duncan-Jones, Richard. ''Structure and Scale In the Roman Econom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 Garnsey, Peter, and Richard P. Saller. ''The Roman Empire: Economy, Society and Culture''. 2nd edition. Oakland,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5.
- Greene, Kevin. ''The Archaeology of the Roman Economy''.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6.
- Jones, A. H. M. ''The Roman Economy: Studies In Ancient Economic and Administrative History''. Oxford: Blackwell, 1974.
- Lewit, Tamara. ''Agricultural Production In the Roman Economy, A.D. 200-400''. Oxford: Tempus Reparatum, 1991.
- Peacock, D. P. S., and D. F. Williams. ''Amphorae and the Roman Economy: An Introductory Guide''. London: Longman, 1986.
- Russell, Ben. ''The Economics of the Roman Stone Trade''. 1st edi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 Scheidel, Walter. ''The Cambridge Companion to the Roman Econom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 Scheidel, Walter, Richard P. Saller, and Ian Morris. ''The Cambridge Economic History of the Greco-Roman World''.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 Temin, Peter. ''The Roman Market Econom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3.
- Tomber, R. ''Indo-Roman Trade: From Pots to Pepper''. London: Duckworth, 2008.
- Vrba, Eric Michael. ''Ancient German Identity In the Shadow of the Roman Empire: The Impact of Roman Trade and Contact Along the Middle Danube Frontier, 10 BC - AD 166''. Oxford: Archaeopress, 2008.
참조
[1]
간행물
"When Glass Was Treasured in China"
Brepols Publishers
[2]
서적
The History of Rome
http://etext.virgini[...]
[3]
서적
The Economy of Roman Palestine
https://archive.org/[...]
Routledge
[4]
서적
Galen on Food and Diet
https://archive.org/[...]
Routledge
[5]
서적
Foodprints at Berenike: Archaeobotanical evidence of subsistence and trade in the Eastern desert of Egypt
Cotsen Institute of Archaeology UCLA
[6]
서적
Sociological Studies in Roman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서적
"Rome's Eastern Trade: International Commerce and Imperial Policy 31 BC - AD 305"
Routledge
[8]
웹사이트
Radio 4 - Unearthing Mysteries
http://www.bbc.co.uk[...]
BBC
2012-11-07
[9]
웹사이트
South Asia | Search for India's ancient city
http://news.bbc.co.u[...]
BBC News
2012-11-07
[10]
서적
Historical atlas of the classical world, 500 BC–AD 600
Barnes & Noble Books
[11]
웹사이트
Book III, Chapter 5
http://ourworld-top.[...]
Pliny the Elder
[12]
간행물
"When Glass Was Treasured in China"
Brepols Publishers
[13]
서적
"Rome and the Distant East: Trade Routes to the Ancient Lands of Arabia, India, and China"
Continuum
[14]
서적
"Rome's Eastern Trade: International Commerce and Imperial Policy, 31 BC - AD 305"
Routledge
[15]
웹사이트
East Asian History Sourcebook: Chinese Accounts of Rome, Byzantium and the Middle East, c. 91 B.C.E. - 1643 C.E.
http://www.fordham.e[...]
Fordham University
2016-09-19
[16]
서적
A Biographical Dictionary of Later Han to the Three Kingdoms (23-220 AD)
Koninklijke Brill
[17]
서적
Rome in the East: Transformation of an Empire
Routledge
[18]
서적
Rome in the East: Transformation of an Empire
Routledge
[19]
서적
The Silk Road: A New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20]
서적
Rome in the East: Transformation of an Empire
Routledge
[21]
웹사이트
Weilue: The Peoples of the West
http://depts.washing[...]
Depts.washington.edu
2012-11-07
[22]
문서
II Verr.V18
[23]
문서
Cato De.Agr 1.3
[24]
문서
21.63.3-4
[25]
문서
Commerce and Social Standing in Ancient Rome
Harvard University Press
[26]
문서
Pliny NH 7.140
[27]
문서
6.56.1-3
[28]
문서
Terrence 151
[29]
문서
Tacitus annas 4.13.2
[30]
문서
de.Agr. Praefatio
[31]
문서
Plutarch Cato the Elder 21.5ff
[32]
서적
Historical atlas of the classical world, 500 BC–AD 600
Barnes & Noble Books
[33]
간행물
"When Glass Was Treasured in China"
Brepols Publishers
[34]
서적
The History of Rome
http://etext.virgini[...]
[35]
서적
The Economy of Roman Palestine
https://archive.org/[...]
Routledge
[36]
서적
Galen on Food and Diet
https://archive.org/[...]
Routledge
[37]
서적
Foodprints at Berenike: Archaeobotanical evidence of subsistence and trade in the Eastern desert of Egypt
Cotsen Institute of Archaeology UCLA
[38]
서적
Sociological Studies in Roman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9]
서적
Rome's Eastern Trade: International Commerce and Imperial Policy 31 BC - AD 305
Routledge
[40]
서적
Rome's Eastern Trade: International Commerce and Imperial Policy 31 BC - AD 305
Routledge
[41]
웹인용
Radio 4 - Unearthing Mysteries
http://www.bbc.co.uk[...]
BBC
2012-11-07
[42]
웹인용
South Asia | Search for India's ancient city
http://news.bbc.co.u[...]
BBC News
2012-11-07
[43]
웹인용
South Asia | Search for India's ancient city
http://news.bbc.co.u[...]
BBC News
2012-11-07
[44]
서적
Historical atlas of the classical world, 500 BC–AD 600
Barnes & Noble Books
[45]
간행물
"When Glass Was Treasured in China," in Annette L. Juliano and Judith A. Lerner (eds), ''Silk Road Studies VII: Nomads, Traders, and Holy Men Along China's Silk Road''
Brepols Publishers
[46]
서적
Rome and the Distant East: Trade Routes to the Ancient Lands of Arabia, India, and China
Continuum
[47]
서적
Rome's Eastern Trade: International Commerce and Imperial Policy, 31 BC - AD 305
Routledge
[48]
웹인용
East Asian History Sourcebook: Chinese Accounts of Rome, Byzantium and the Middle East, c. 91 B.C.E. - 1643 C.E.
http://www.fordham.e[...]
Fordham University
2016-09-19
[49]
서적
A Biographical Dictionary of Later Han to the Three Kingdoms (23-220 AD)
Koninklijke Brill
[50]
서적
Rome in the East: Transformation of an Empire
Routledge
[51]
서적
Rome in the East: Transformation of an Empire
Routledge
[52]
서적
The Silk Road: A New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53]
서적
Rome in the East: Transformation of an Empire
Routledge
[54]
웹인용
Weilue: The Peoples of the West
http://depts.washing[...]
Depts.washington.edu
2012-11-07
[55]
문서
II Verr.V18
[56]
문서
Cato De.Agr 1.3
[57]
문서
21.63.3-4
[58]
서적
Commerce and Social Standing in Ancient Rome
Harvard University Press
[59]
문서
Pliny NH 7.140
[60]
문서
6.56.1-3)
[61]
문서
Terrence 151
[62]
문서
Tacitus annas 4.13.2
[63]
문서
de.Agr. Praefatio
[64]
문서
Plutarch Cato the Elder 21.5ff
[65]
서적
Historical atlas of the classical world, 500 BC–AD 600
Barnes & Noble Book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