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돌프 폰 외스터라이히웅가른 황태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돌프 폰 외스터라이히웅가른 황태자는 오스트리아 황제 프란츠 요제프 1세와 황후 엘리자베트의 아들로, 자유주의적 성향과 아버지와의 정치적 갈등, 그리고 마이얼링 사건으로 유명하다. 그는 엄격한 군사 훈련을 받으며 성장했고, 어머니의 영향으로 자유주의 사상을 받아들여 개혁주의자이자 자유주의자로 활동하며, 진보적인 신문에 익명으로 기고 활동을 펼쳤다. 1881년 벨기에 공주 스테파니와 결혼하여 딸 엘리자베트를 낳았으나, 결혼 생활은 불행했고, 여성 편력과 질병으로 고통받았다. 1889년, 그는 마리 폰 베체라와 함께 마이얼링 별장에서 자살한 채 발견되었으며, 이 사건은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그의 죽음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큰 영향을 미쳐, 모친의 비극과 제국의 멸망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황태자 - 페르디난트 1세 (오스트리아)
페르디난트 1세는 1793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태어나 1835년 황위에 올랐으나, 간질 발작으로 인해 국무협의회에 의해 실질적인 통치가 이루어졌고, 1848년 퇴위 후 프라하에서 사망한 오스트리아 제국의 황제이다. - 황태자 - 페드루 2세 (브라질)
페드루 2세는 1825년 브라질에서 태어나 1831년 브라질 황위에 올랐으며, 노예 제도 폐지, 교육, 과학,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나 쿠데타로 폐위되어 망명 생활을 하다 사망했다. - 동반 자살 - 하인리히 폰 클라이스트
하인리히 폰 클라이스트는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 활동한 독일의 극작가, 소설가, 시인으로, 격정적이고 비극적인 분위기의 작품을 남겼으며 사회적 고립 속에서 자살로 생을 마감했지만 20세기 초에 재평가되어 천재적인 극작가로 인정받았다. - 동반 자살 - 노기 마레스케
노기 마레스케는 메이지 시대와 다이쇼 시대에 활약한 일본 제국 육군 대장으로,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에 참전하여 공을 세웠으나 막대한 인명 피해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며, 메이지 천황 서거 후 아내와 함께 자결하여 충절의 상징으로 여겨지지만 군사적 능력과 자결에 대한 평가는 엇갈리는 인물이다. - 자살한 왕족 - 유립
유립은 전한 시대의 제후로, 양왕 유정의 뒤를 이어 양왕이 되었으나, 여러 범죄를 저지르고 봉국을 빼앗긴 뒤 자살했다. - 자살한 왕족 - 알리 레자 팔라비
알리 레자 팔라비는 팔라비 왕조의 왕자로서 이란 혁명 이후 미국으로 망명하여 학업을 이어갔으며, 하버드 대학교에서 고대 이란학 박사 과정을 밟던 중 2011년 보스턴 자택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루돌프 폰 외스터라이히웅가른 황태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루돌프 프란츠 카를 요제프 |
독일어 이름 | Rudolf Franz Karl Josef |
칭호 | 오스트리아 황태자 헝가리와 보헤미아의 왕자 |
출생일 | 1858년 8월 21일 |
출생지 | 오스트리아 제국, 니더외스터라이히주, 락센부르크, 락센부르크 궁전 |
사망일 | 1889년 1월 30일 |
사망지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니더외스터라이히주, 마이어링 |
매장지 | 빈, 카푸치너 납골당 |
가문 | 합스부르크-로트링겐 가문 |
종교 | 로마 가톨릭교회 |
![]() | |
가족 관계 | |
아버지 | 프란츠 요제프 1세 |
어머니 | 엘리자베트 폰 외스터라이히웅가른 |
배우자 | 1881년 5월 10일, 스테파니 드 벨지크 왕녀와 결혼 |
자녀 | 엘리자베트 마리, 빈디슈그레츠 공녀 오토 |
2. 유년기 및 교육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황태자로 태어난 루돌프는 아버지 프란츠 요제프 1세 황제가 국정으로 바쁘고 어머니 엘리자베트 황후가 여행으로 부재한 가운데 성장했다.[2][3] 어린 시절, 그는 할머니 조피 대공비의 감독 아래 어머니와 떨어져 지내며 엄격한 군사식 교육을 받았다. 이 초기 교육은 매우 가혹하여 그의 심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4]
이후 어머니 엘리자베트 황후의 개입으로 교육 담당자와 방식이 바뀌면서, 루돌프는 자유주의 사상에 기반한 교육을 받게 되었다. 이러한 교육 환경의 변화는 그의 지적 성장과 사상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보수적인 아버지와는 다른 정치적 견해를 갖게 되는 배경이 되었다.[6] 또한 그는 자연과학 분야에도 깊은 관심을 보였다.[2] 그의 유년기와 교육 과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문단에서 설명한다.
2. 1. 초기 교육

루돌프는 1858년 8월 21일, 빈 근교의 락센부르크 궁전에서[2] 프란츠 요제프 1세 황제와 엘리자베트 황후의 아들로 태어났다. 이름은 13세기 합스부르크 가문 출신의 첫 독일 국왕인 루돌프 1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3] 루돌프는 누나인 오스트리아의 기젤라 대공녀와 함께 자랐고 매우 가까웠다.
그가 어릴 때, 아버지 프란츠 요제프 1세는 새벽부터 공무 처리로 바빴고 어머니 엘리자베트 황후는 일 년 중 대부분 여행을 떠나 있어 부모의 관심을 받지 못했다. 조모인 조피 대공비는 황태자인 그를 어머니와 누이들로부터 떨어트려놓고 군인으로서 엄격하게 교육시켰다. 조피 대공비가 황태자의 교육을 위임한 첫 담당자는 Leopold Gondrecourt|레오폴트 곤드레쿠르de 백작으로, 프로이센 식의 노련한 검사였으며 매우 엄격하였다. 그는 7살의 어린 황태자를 단련시키기 위해 잠자는 황태자 옆에서 권총을 발사하고 그의 몸에 찬물을 부었으며 숲 속에 홀로 내버려두기도 하였다.[4] 이러한 매질, 냉수 샤워, 혹독한 운동 등의 스파르타식 교육은 루돌프의 정신과 육체를 괴롭혔고, 그 결과 폭력적이고 신경질적이며 허약한 체질에 공포심이 강한 아이가 되었다. 또한 내성적이고 고집이 세서, 때때로 자신의 껍질에 틀어박혔다.
1865년, 곤드레쿠르의 교육 방식의 영향을 걱정한 어머니 엘리자베트는 이를 가엾이 여겨 황태자의 교육에 관한 권한을 대공비에게서 가져오고 교관을 교체하도록 강력히 요구했다. 이로써 7세 이후의 루돌프의 교육 방침은 180도 바뀌어, 더 유한 성품을 지닌 Josef Latour von Thurnberg|요제프 라투르 폰 투른베르크de 대령이 새로운 교육 담당자가 되었다. 그러나 황후는 여행을 떠나기 바빠 궁을 자주 비웠고, 그 때문에 아들의 교육에 대한 책임은 물론 어머니로서의 역할 또한 제대로 다하지 못하였다.
6살 때, 루돌프는 미래의 오스트리아 황제가 되기 위한 교육을 시작하면서 누나 기젤라와 떨어져 지내게 되었다. 이로 인해 둘의 관계가 변하지는 않았고, 기젤라는 바이에른의 레오폴트 공자와 결혼하여 빈을 떠날 때까지 그와 가까운 관계를 유지했다.
1867년에 성립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사상적 기반이 된 것은 자유주의 사상이었는데, 그 사상을 지지했던 정치인과 교육 관계자들과 친교가 깊었던 엘리자베트가 임명한 라투르 대령과 그가 선발한 교사의 대부분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자유주의와 어떤 형태로든 관련을 맺고 있었다. 이 때문에 성인이 된 후에도 루돌프는 자유주의를 신봉했고, 자신의 출신에도 불구하고 귀족에 대해 비판적인 태도를 취하게 되었다. 또한 라투르는 루돌프가 평생 동안 연락을 계속했던, 일종의 정신적인 '대부'였다고 할 수 있다.
나중에 제국 자연사 박물관의 초대 관장이 된 가정교사 페르디난트 폰 호흐슈테터의 영향을 받아, 루돌프는 자연과학에 큰 관심을 갖게 되었고, 어린 나이에 광물 수집을 시작했다.[2] 그의 사후, 그의 광물 수집품의 많은 부분이 빈 농업 대학교(현재 빈 자연자원 및 생명과학 대학교)로 넘어갔다.[2]
1877년, 카를 알베르트 폰 봄벨레스 백작이 젊은 황태자의 시종장이 되었다. 봄벨레스는 루돌프의 고모인 멕시코의 샤를로테 여제의 보호자였다.[5]
보수적인 아버지와는 대조적으로, 루돌프는 어머니의 견해와 더 가까운 자유주의적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6] 그 때문에 아버지 황제에게 강하게 반발하며, 그의 절대 군주적 행태를 격렬하게 비난했다. 한편, 공무를 등한시하고 가족과의 접촉이 적었던 어머니 엘리자베트는 각지를 여행하며 시간을 보냈기 때문에, 그녀는 아들 루돌프의 이해자가 될 수 없었다.[6] 성인이 된 루돌프가, 오늘날에도 오스트리아에서 발행되는 진보적 신문 『Die Presse|프레세영어』지의 전신인 『신 빈 일보』 편집장이었던 Moritz Szeps|모리츠 쩨프스영어를 통해, 후에 프랑스 총리가 된 조르주 클레망소와 교분을 쌓게 된 것도 라투르 등 자유주의자들의 안내에 의한 것이다.
2. 2. 자유주의 교육
루돌프는 어린 시절 부모의 충분한 관심을 받지 못했다. 아버지 프란츠 요제프 1세 황제는 국정 운영으로 매우 바빴고, 어머니 엘리자베트 황후는 여행으로 궁을 자주 비웠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할머니인 조피 대공비가 루돌프를 어머니와 누이들로부터 떨어뜨려 놓고 엄격한 군인식 교육을 시켰다.
조피 대공비가 처음 황태자의 교육을 맡긴 인물은 레오폴트 곤드레쿠르 백작이었다. 그는 프로이센식 군사 훈련을 중시하는 매우 엄격한 교육자였다. 곤드레쿠르 백작은 7살의 어린 황태자를 단련시킨다는 명목 아래, 잠자는 루돌프 옆에서 권총을 발사하거나 몸에 찬물을 끼얹고 숲 속에 홀로 내버려두는 등 신체적, 정서적으로 학대에 가까운 교육을 시행했다.[4] 이러한 스파르타식 교육은 루돌프를 폭력적이고 신경질적이며 허약한 아이로 만들었고, 공포심이 강하고 내성적이며 고집 센 성격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어머니 엘리자베트 황후는 이러한 가혹한 교육 방식에 반발하여 아들의 교육권을 조피 대공비로부터 가져오고 교육 담당자를 교체할 것을 강력히 요구했다. 그 결과, 곤드레쿠르 백작 대신 좀 더 온화한 성품의 요제프 라투르 폰 투른베르크 백작이 새로운 교육 담당자가 되었다. 그러나 엘리자베트 황후는 여전히 여행 등으로 궁을 자주 비웠기 때문에 아들의 교육에 대한 책임이나 어머니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지는 못했다.
1865년, 루돌프가 7세가 되면서 그의 교육 방침은 180도 전환되었다. 1867년 성립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사상적 기반이 된 자유주의를 지지했던 엘리자베트 황후는 자유주의 성향의 교육자들을 아들의 교사로 임명했다. 라투르 백작이 선발한 교사들 대부분 역시 자유주의와 관련이 있는 인물들이었다. 루돌프는 18세까지 30명이 넘는 교사들에게 교육을 받았는데, 교사의 수 자체는 당시 왕족 교육에서 특별히 많은 것은 아니었지만, 교사 대부분이 보수적인 왕족 교육과는 거리가 먼 자유주의 성향이었다는 점이 특징적이었다.
이러한 교육 환경 속에서 루돌프는 평생 자유주의를 신봉하게 되었고, 자신의 귀족 신분에도 불구하고 귀족 사회에 대해 비판적인 태도를 갖게 되었다. 특히 라투르 백작은 루돌프가 평생 연락을 주고받으며 정신적인 지주 역할을 했다. 성인이 된 루돌프는 라투르 등 자유주의자들의 소개로 『신 빈 일보』(현재 『프레세』지의 전신) 편집장이었던 모리츠 쩨프스를 알게 되었고, 그를 통해 훗날 프랑스 총리가 된 조르주 클레망소와도 교류하게 되었다.
자유주의 교육의 영향으로 루돌프는 아버지 프란츠 요제프 1세의 보수적이고 시대에 뒤떨어진 사상과는 다른 길을 걷게 되었다. 그는 아버지의 절대 군주적인 통치 방식을 강하게 비판하며 반발했다. 비록 사상적으로는 어머니 엘리자베트와 가까웠지만, 어머니가 공무를 멀리하고 가족과 교류가 적었던 탓에 루돌프에게 실질적인 이해자가 되어주지는 못했고, 둘의 관계는 때때로 긴장되기도 했다.[6]
한편, 루돌프는 가정교사였던 페르디난트 폰 호흐슈테터(훗날 제국 자연사 박물관 초대 관장)의 영향을 받아 자연과학에도 깊은 관심을 보였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광물 수집을 시작했으며,[2] 사후 그의 수집품 중 상당수는 빈 자연자원 및 생명과학 대학교(당시 빈 농업 대학교)에 기증되었다.[2]
3. 정치적 활동 및 사상
성인이 된 루돌프 황태자는 어머니 엘리자베트 황후의 영향을 받아 친프랑스적 개혁주의자이자 자유주의자로 성장했으며, 이는 친독일적이고 보수적이었던 아버지 프란츠 요제프 1세 황제와의 정치적 대립으로 이어졌다. 황제는 아들의 사상을 위험하게 여겼고, 루돌프는 황태자로서의 정치적 활동에 제약을 받았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루돌프는 자신의 정치적 신념을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고자 했다. 그는 '율리우스 펠릭스(Julius Felixde)'라는 가명을 사용하여 진보 성향 신문에 아버지의 정치와 황실을 비판하는 글을 기고했으며, 귀족과 성직자의 특권에 반대하고 사회 개혁을 주장했다. 또한 빈 서민 문화에 관심을 보여 호이리게를 찾고 민중가요 슐람멜른을 즐겨 들었다.
집필가로서도 활동하여, 1878년 익명으로 귀족 사회를 비판하는 정치 팸플릿을 발표하고 『신 빈 일보』(Neue Wiener Tagblattde) 등에 글을 기고했으며, 조류학 관련 저술도 남겼다. 그의 주요 업적 중 하나는 방대한 제국의 문화와 역사를 집대성한 백과사전 『그림과 문장으로 엮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Die österreichisch-ungarische Monarchie in Wort und Bildde, 초판 1885년) 편찬을 주도한 것이다. 이 사전은 '황태자의 작품(Kronprinzenwerkde)'이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그러나 1879년 에두아르트 타페 내각 출범 이후 보수파가 득세하면서 자유주의를 지지했던 루돌프의 정치적 입지는 점차 불안정해졌다.
3. 1. 자유주의 사상
성인이 된 루돌프는 어머니 엘리자베트의 영향을 받아 친프랑스적인 개혁주의자이자 자유주의자로 성장했다. 이는 친독일적이고 보수적이었던 아버지 프란츠 요제프 1세 황제와 정치적으로 대립하는 원인이 되었다. 황제는 아들의 사상을 위험하다고 여겨 정치적으로 전혀 양보할 생각이 없었으며(황제는 86세까지 살며 68년간 재위할 정도로 매우 건강했다), 루돌프는 황태자라는 지위를 정치적으로 활용하기 어려웠다. 대신 그는 '율리우스 펠릭스(Julius Felix)'라는 가명을 사용하여 진보 성향 신문에 아버지의 정치, 제국주의, 황실을 비판하는 글을 여러 차례 기고했다. 그는 귀족과 성직자들이 민중을 억압한다고 보았으며, 사회의 근본적인 개혁을 주장하고 아버지의 정치 체제를 날카롭게 비판했다. 아버지 프란츠 요제프 1세는 군주제를 고수했지만, 루돌프는 오스트리아 내 여러 민족들이 공화제로 나아가는 시대적 흐름에 따라 개혁의 필요성을 강조했다.강한 자유주의 교육의 영향과 귀족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가졌던 루돌프는 빈 서민들의 휴식처인 호이리게를 자주 찾았고, 서민들의 감정을 담은 민중가요 슐람멜른을 즐겨 들었다. 요제프 브라트피쉬는 원래 호이리게 등지에서 빈 민중가를 휘파람으로 연주하던 연주자였는데, 루돌프에게 발탁되어 그의 전속 마부가 되었다.
작가로서 루돌프는 자유주의 사상을 바탕으로 귀족 사회를 비판하는 글을 주로 썼다. 1878년에는 익명으로 정치 팸플릿 『오스트리아의 귀족과 그 사명 - 어떤 귀족 청년에 의한 경고서』를 발표했으며, 『신 빈 일보』에도 글을 기고했다. 정치 비판 글을 쓸 때는 주로 '율리우스 펠릭스'라는 필명을 사용했다. 또한, 그의 스승 중 한 명이자 당대 최고의 동물학자였던 알프레트 브레엠의 제자로서 조류학에 관한 논문과 에세이도 다수 집필했다.
그는 방대한 제국의 문화와 역사를 정리하는 작업에도 힘썼는데, 총 24권으로 구성된 백과사전 『그림과 문장으로 엮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초판 1885년, 완간 1902년)의 편찬을 주도했다. 초판과 제2권의 상당 부분은 루돌프 자신이 직접 집필했으며, 이 사전은 '황태자의 작품'이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한다.
하지만 1880년대 들어 보수파가 다시 세력을 얻고, 특히 1879년 에두아르트 타페가 두 번째로 수상에 취임하면서 자유주의를 지지했던 루돌프의 정치적 입지는 점차 불안정해졌다.
3. 2. 아버지와의 갈등
성인이 된 루돌프 황태자는 어머니 엘리자베트 황후의 영향을 받아 친프랑스적인 개혁주의자이자 자유주의자로 성장했다. 이는 친독일적이고 보수적이었던 아버지 프란츠 요제프 1세 황제와 정치적으로 대립하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 프란츠 요제프 황제는 아들의 사상을 위험하다고 여겼고, 정치적으로 양보할 뜻이 전혀 없었다. (황제는 매우 건강하여 86세까지 살았으며, 68년 동안 제위를 유지했다.)이러한 상황에서 루돌프는 황태자라는 자신의 지위를 정치적으로 활용하기 어려웠다. 대신 그는 Julius Felix|율리우스 펠릭스de라는 가명을 사용하여 진보 성향 신문에 아버지의 정치, 제국주의 정책, 그리고 황실 자체를 비판하는 글을 여러 차례 기고했다. 그는 귀족과 성직자들이 민중을 억압한다고 보았으며, 사회의 근본적인 개혁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아버지의 정치 체제를 날카롭게 비판했다. 아버지가 군주제를 고수하려 한 반면, 루돌프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내 여러 민족들이 공화제로 나아가려는 움직임을 지적하며 개혁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3. 3. 익명 기고 활동
성인이 된 루돌프는 어머니 엘리자베트 황후의 영향을 받아 친프랑스적인 개혁주의자이자 자유주의자로 성장했다. 이는 친독일적이고 보수적이었던 아버지 프란츠 요제프 1세 황제와 정치적으로 대립하는 원인이 되었다.[1][2] 황제는 아들의 사상을 위험하게 여겨 정치적으로 물러설 생각이 없었고, 매우 건강하여 오랜 기간(68년) 재위했기 때문에[3] 루돌프는 황태자로서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활용하기 어려웠다.[1][2]이에 루돌프는 '율리우스 펠릭스(Julius Felixde)'라는 가명을 사용하여 진보 성향 신문에 여러 차례 글을 기고했다.[4] 그는 기고문을 통해 아버지의 정치, 제국주의, 황실을 비판했으며, 귀족과 성직자들이 민중을 억압한다고 보고 근본적인 사회 개혁을 주장했다.[1][2] 또한, 군주제를 고수하는 아버지와 달리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내 여러 민족들이 공화제로 기울어가는 상황을 지적하며 개혁의 필요성을 역설했다.[1][2]
자유주의 사상의 영향과 귀족 사회에 대한 비판적 시각은 그를 빈 서민들의 오락 장소인 호이리게로 이끌었다. 그는 서민들의 감정을 담은 민중가요인 슐람멜른을 즐겨 들었다. 루돌프의 전속 마부였던 Josef Bratfisch|요제프 브라트피쉬de는 원래 호이리게 등지에서 휘파람으로 빈 민중가를 연주하던 연주자였는데, 루돌프에게 발탁된 인물이다.[5]
집필가로서 루돌프는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1878년에는 자유주의를 바탕으로 귀족 사회를 비판하는 익명의 정치 팸플릿 ''오스트리아의 귀족과 그 사명 - 어떤 귀족 청년에 의한 경고서''를 발표했다.[6] 또한 ''신 빈 일보''(Neue Wiener Tagblattde) 등에도 글을 기고했다.[4] 정치 비판 글을 쓸 때는 주로 '율리우스 펠릭스'라는 필명을 사용했다.[4] 한편, 그의 스승 중 한 명이자 당대 저명한 동물학자였던 알프레트 브레엠의 영향으로 조류학에 관한 논문과 에세이도 다수 집필했다.[7]
루돌프는 방대한 제국의 문화와 역사를 집대성하는 작업에도 힘썼다. 총 24권으로 계획된 백과사전 ''그림과 문장으로 엮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Die österreichisch-ungarische Monarchie in Wort und Bildde) 편찬을 주도했으며, 초판은 1885년에 간행되었다 (최종 완간은 1902년).[8] 이 사전의 초권과 제2권 대부분은 루돌프가 직접 집필한 내용으로 채워져 '황태자의 작품(Kronprinzenwerkde)'이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한다.[8]
그러나 1880년대 들어 보수파가 다시 세력을 얻고, 특히 1879년 에두아르트 타페가 수상으로 재취임하면서 자유주의를 견지하던 루돌프의 정치적 입지는 더욱 불안정해졌다.[9]
4. 결혼 생활과 여성 관계
루돌프는 스테파니와 정략적으로 결혼했으나, 두 사람의 관계는 원만하지 못했다. 결혼 초기에는 잠시 행복한 시간을 보냈지만, 외동딸 엘리자베트 마리아가 태어난 후 부부 사이는 급격히 멀어졌다. 루돌프는 결혼 전부터 이어져 온 여성 편력을 결혼 후에도 계속했으며, 이는 부부 관계 악화의 주요 원인 중 하나였다. 그는 여러 여성과 염문을 뿌렸으며, 특히 미치 카스파르와 같은 특정 여성에게는 깊은 애정을 보이기도 했다. 말년에는 젊은 남작 영애인 마리 폰 베체라와 관계를 맺게 되는데, 이는 비극적인 마이어링 사건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배경이 된다. 또한, 루돌프의 건강 문제와 성병 감염 의혹은 아내 스테파니에게도 영향을 미쳐 그녀가 더 이상 아이를 가질 수 없게 되는 결과를 낳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복잡한 결혼 생활과 여성 관계는 루돌프의 불안정한 삶과 비극적 최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다.
4. 1. 스테파니와의 결혼
루돌프는 스테파니와 결혼하였는데, 이는 벨기에와 오스트리아 간의 정치적 협정을 위한 결혼이었다. 1881년 5월 10일, 루돌프는 빈의 아우구스티너 교회에서 레오폴 2세 국왕의 딸인 스테파니와 결혼식을 올렸다.
결혼 초기에는 행복한 생활을 보냈으나, 1883년 9월 2일 외동딸인 엘리자베트 마리 대공녀가 태어날 무렵부터 부부 사이는 멀어지기 시작했다. 딸이 태어난 후, 루돌프는 술을 많이 마시고 여러 여성과 염문을 뿌리는 등 점점 더 불안정한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이러한 행동은 루돌프가 결혼 전부터 보여왔던 무분별하고 난잡한 생활의 연장선상에 있었다.[7]
1886년, 루돌프는 심각한 병에 걸렸고, 부부는 치료를 위해 라크로마(현재의 크로아티아)로 가라는 지시를 받았다. 이동 중에 스테파니 역시 심각한 병에 걸려 "끔찍한 고통을 겪었다"고 전해진다. 황제의 명령에 따라 부부가 복막염 진단을 받은 사실은 비밀에 부쳐졌다.[8]
집중적인 치료 끝에 스테파니는 회복했지만, 이 병으로 인해 나팔관이 손상되어 더 이상 아이를 가질 수 없게 되었다.[9] 스테파니의 증상과 결과를 볼 때, 루돌프가 그녀에게 임질을 감염시켰을 가능성이 높다. 루돌프 자신은 치료에도 불구하고 병세가 호전되지 않았고 점점 더 악화되었다. 그는 임질 외에도 매독에 걸렸을 가능성이 높으며, 질병으로 인한 고통에 대처하기 위해 많은 양의 모르핀을 복용하기 시작했다.
1889년 무렵에는 1886년의 사건으로 인해 스테파니가 더 이상 아이를 낳을 수 없다는 사실과 루돌프의 건강이 심각하게 악화되고 있다는 것이 궁정 내에서 공공연한 비밀이 되었다.
4. 2. 여성 편력
1881년 5월 10일, 빈에서 벨기에 국왕 레오폴드 2세의 딸인 벨기에의 스테파니 공주와 아우구스티너 교회에서 결혼했다. 결혼 생활은 처음에는 행복했으나, 1883년 9월 2일 외동딸 오스트리아의 엘리자베트 마리 대공녀가 태어날 무렵 부부 사이는 멀어졌다. 딸이 태어난 후, 루돌프는 술을 많이 마시고 여러 여성과 관계를 맺으며 불안정한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이런 행동은 결혼 전부터 이어진 무분별한 여성 편력의 연장선이었다.[7]1886년 루돌프는 심각한 병에 걸렸고, 이로 인해 아내 스테파니 공주 역시 병을 앓게 되었다. 부부는 치료를 위해 라크로마 (현재 크로아티아)로 보내졌고, 황제의 명령에 따라 부부의 복막염 진단은 비밀에 부쳐졌다.[8] 집중 치료 후 스테파니는 회복했지만, 나팔관 손상으로 더 이상 아이를 가질 수 없게 되었다.[9] 스테파니의 증상과 결과를 볼 때, 루돌프가 임질을 옮겼을 가능성이 높으며, 루돌프 자신도 매독에 걸렸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루돌프는 병세가 호전되지 않았고, 고통을 완화하기 위해 많은 양의 모르핀을 복용하기 시작했다. 1889년경에는 스테파니의 불임과 루돌프의 건강 악화가 궁정 내 공공연한 비밀이었다.
루돌프는 결혼 전부터 귀족 전문 매춘부나 여배우들과 관계를 맺었는데, 특히 미치 카스파르를 총애했다. 1888년 여름, 루돌프는 미치에게 권총 동반 자살을 제안했으나 거절당했다. 놀란 미치는 이 사실을 빈 경찰청장에게 알렸고, 이후 루돌프에 대한 감시가 강화되었다. 루돌프는 미치에게 6만 굴덴 상당의 저택과 5만 굴덴 상당의 장신구를 선물했으며, 사후 그의 서랍에서는 미치에게 보내는 '10만 굴덴'이라고 적힌 봉투가 발견되었으나 실제로는 3만 굴덴이 들어 있었다. 그는 주변의 눈총에도 불구하고 군대 시찰 여행에 미치를 동반하기도 했다. 마이어링 사건 전날 밤인 1889년 1월 28일, 루돌프는 미치를 방문하여 새벽 3시까지 함께 시간을 보내고 샴페인을 마셨으며, 떠나기 전 그녀의 이마에 십자가를 그었다.
1888년 말, 루돌프는 16세의 마리 베체라를 만났다. 만남은 루돌프의 사촌이자 어머니 엘리자베트 황후가 아끼던 라리슈 백작 부인 마리 루이즈가 주선했다. 라리슈 백작 부인은 슈테파니 황태자비의 외모를 비판적으로 묘사한 반면, 마리 베체라를 아담하고 아름다운 소녀로 칭찬했다. 루돌프는 마리 베체라에게 빠져 교황레오 13세에게 스테파니와의 이혼 허가를 요청하는 서한을 보냈으나 거절당했다. 이 사실이 로마 주재 외교관을 통해 아버지 프란츠 요제프 1세 황제에게 알려지면서 황제의 격렬한 분노를 샀다.
루돌프가 마리 베체라와 함께 마이어링의 사냥관에서 사망한 채 발견된 마이어링 사건을 두고, 실제로는 미치 카스파르와 함께 죽고 싶었으나 거절당하자 마리를 죽음의 동반자로 선택했다는 설이 있다. 또한 루돌프의 사냥 친구였던 요제프 호요스-슈프린첸슈타인 백작이나 황태자비 슈테파니의 회고록에 따르면, 사건 당시 루돌프와 마리 베체라의 관계는 이미 식어 있었다는 주장도 있다. 슈테파니는 회고록에서 마리 베체라를 "여러 여성 중 한 명"으로 치부하며, 루돌프가 마지막 밤을 "그 빈의 매춘부"(미치 카스파르를 지칭) 곁에서 보냈다고 적었다.
한편, 마리 베체라를 소개했던 라리슈 백작 부인은 황제 부부의 분노를 사 오스트리아에서 추방되어 미국으로 이주했으며, 이후 엘리자베트 황후를 중상하는 글을 썼다고 전해진다.

5. 마이얼링 사건
1886년, 루돌프 황태자는 마이얼링에 사냥 별장을 구입했다.[10] 이후 그는 17세의 마리 폰 베체라를 만나 연인 관계가 되었다.[11]
1889년 1월 30일, 빈 남서쪽 외곽에 위치한 마이얼링 사냥 별장에서 루돌프와 마리 폰 베체라가 숨진 채 발견되었다.[10][12] 사건 당일 아침, 루돌프의 시종과 친구가 잠긴 침실 문을 부수고 들어가 침대 위에서 총에 맞아 숨져 있는 두 사람을 발견했다.[46]
황실은 처음에 루돌프가 병으로 사망했다고 발표했으나,[46] 곧이어 1월 31일, 그의 죽음이 자살임을 공식화했다. 다만 바티칸은 루돌프가 "정신적 불균형" 상태였다는 이유로 가톨릭식 장례를 치르는 것을 허가했다.[47] 루돌프는 빈 카푸친 교회의 황제 묘소( Kapuzinergruftde )에 묻혔고, 마리 폰 베체라의 시신은 비밀리에 오스트리아 저지대 하일리겐크로이츠의 공동묘지에 매장되었다.[10][12]
사건 이후 황제 프란츠 요제프 1세는 마이얼링 사냥 별장을 카르멜회 수녀들의 참회 수녀원으로 바꾸고 루돌프의 영혼을 위해 기도하도록 채플을 기증했다.[12] 또한, 루돌프와 마리 폰 베체라를 만나게 한 라리슈 백작 부인의 황궁 출입을 영구히 금지했다.[48]
2015년에는 오스트리아 은행 금고에서 마리 폰 베체라의 개인 편지가 발견되었는데, 이 편지들은 그녀가 사랑 때문에 루돌프와 함께 자살을 준비하고 있었음을 시사했다.[13] 이 사건은 단순한 동반 자살을 넘어 정치적 암살설 등 다양한 의혹과 논란을 낳았으며, 그 진상은 여전히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5. 1. 사건의 경과
1881년, 루돌프는 벨기에의 레오폴드 2세 국왕의 차녀 스테파니(슈테파니)와 결혼하여 1883년 딸 엘리자베트 마리를 낳았으나, 부부 관계는 성격 차이로 인해 냉랭했다. 그는 결혼 전부터 귀족 전문 매춘부나 여배우들과 관계를 맺었으며, 특히 미치 카스파르를 총애했다.1886년, 루돌프는 마이얼링에 사냥 별장을 구입했다.[10] 1888년 말, 30세의 루돌프는 사촌[45]이자 어머니 엘리자베트 황후가 아끼던 라리슈 백작 부인 마리 루이즈의 소개로 17세의 남작 영애 마리 폰 베체라를 만났다.[11] 루돌프는 마리 폰 베체라에게 매료되었고, 교황 레오 13세에게 스테파니와의 이혼 허가를 요청하는 서한까지 보냈다. 교황은 이를 불허했으며, 이 사실이 아버지 프란츠 요제프 1세 황제에게 알려지면서 황제의 격노를 샀다.
정치적으로 루돌프는 독일 제국의 재상 비스마르크에게 불신을 품고 제국의 독일 의존 정책에 반대했으며, 러시아나 프랑스와의 동맹을 모색했다. 이는 아버지와의 갈등을 더욱 심화시켰다. 1889년 1월 26일, 프란츠 요제프 1세는 루돌프를 불러 질책했고, 다음 날에는 독일 대사관 파티에 프로이센 군복을 입고 참석하라고 명령하며 그의 친프랑스·친러 성향을 감추려 했다. 루돌프는 이 군복이 "견딜 수 없을 정도로 무겁다"고 토로했다.
그 무렵 루돌프는 이미 죽음에 깊이 심취해 있었고 자살하려는 욕구에 사로잡혀 있었다. 1889년 1월 28일 월요일 밤, 루돌프는 미치 카스파르를 찾아가 새벽 3시까지 머물렀고, 작별하며 그녀의 이마에 십자가를 그었다.[46] 이후 그는 마리 폰 베체라와 함께 마이얼링의 사냥 별장으로 향했다. 1월 29일, 루돌프는 시종에게 "설사 황제가 오신다 해도" 자신의 수면을 방해하지 말라고 당부했다.[46]
1월 30일 수요일 오전, 루돌프의 방에서 두 발의 총성이 들렸다. 시종과 루돌프의 친구가 방문을 두드렸으나 응답이 없자 문을 부수고 들어갔다. 방 안에서는 루돌프와 마리 폰 베체라가 침대 위에서 총에 맞아 피투성이가 된 채 발견되었다.[46] 황실은 처음에 사인을 심장 발작으로 발표했으나,[46] 곧 자살임이 알려졌다. 1월 31일, 황실은 루돌프가 정신 이상 상태에서 자살했다고 공식 발표했고,[47] 바티칸은 이를 근거로 가톨릭 장례를 허가했다. 루돌프는 빈 카푸친 교회의 황제 묘소에 묻혔다. 마리 폰 베체라의 시신은 한밤중에 비밀리에 마이얼링에서 옮겨져 오스트리아 저지대 하일리겐크로이츠의 마을 공동묘지에 매장되었다.[10][12] 마리 폰 베체라의 어머니는 딸의 죽음을 20일이 지나서야 알게 되었다.[46]
사건 이후 프란츠 요제프 1세 황제는 마이얼링 사냥 별장을 카르멜회 수녀들의 참회 수녀원으로 바꾸고, 루돌프의 영혼의 안식을 위해 수녀들이 매일 기도할 수 있도록 채플을 기증했다.[12] 또한 루돌프와 마리 폰 베체라를 만나게 한 라리슈 백작 부인의 황궁 출입을 영구히 금지했다.[48] 라리슈 백작 부인은 오스트리아에서 추방되어 미국으로 이주했고, 후에 엘리자베트 황후를 비방하는 글을 쓰기도 했다.
2015년 오스트리아 은행의 금고에서 발견된 마리 폰 베체라의 개인 편지들은 그녀가 사랑 때문에 루돌프와 함께 자살을 준비하고 있었음을 밝혀냈다.[13]
한편, 루돌프가 정말 함께 죽고 싶었던 상대는 미치 카스파르였고, 그녀에게 동반 자살을 제안했지만 거절당하자 마리 폰 베체라를 죽음의 동반자로 선택했다는 설이 있다. 실제로 루돌프는 1888년 여름 미치에게 권총으로 동반 자살하자고 제안했고, 놀란 미치가 즉시 빈 경찰청장에게 이 사실을 통보하여 그 후 루돌프는 이전보다 더 엄격한 감시를 받게 되었다. 또한 루돌프의 사냥 친구 요제프 호요스-슈프린첸슈타인 백작의 회고록에 따르면, 사건 당시 루돌프와 마리 폰 베체라의 사이는 이미 차가워져 있었다고 한다. 황태자비 슈테파니도 자신의 회고록에서 마리 베체라를 여러 여성 중 한 명으로 언급하며, 루돌프가 마지막 밤에도 다른 여성과 함께 있었다고 주장했다.
루돌프는 이전부터 미치 카스파르에게 6만 굴덴 상당의 저택과 5만 굴덴 상당의 장신구를 선물했다. 그의 사후 서랍에서는 "10만 굴덴"이라고 적힌 미치에게 보내는 봉투가 발견되었으나, 안에는 3만 굴덴만 들어 있었다. 루돌프의 시종무관이었던 막시밀리안 오르시니-로젠베르크 백작의 기록에 따르면, 루돌프는 마지막 2년 동안 측근들의 눈총에도 불구하고 군대 시찰 여행에 미치를 동반하기도 했다.
5. 2. 의혹과 논란
루돌프는 사촌[45] 마리 라리슈 백작부인을 통해 남작의 딸 마리 폰 베체라를 소개받았다. 1888년 말, 30세의 황태자는 당시 17세였던 마리 폰 베체라와 연애를 시작했다.[11] 결혼 전부터 귀족 전문 매춘부나 여배우들과 관계를 맺었던 루돌프는 특히 미치 카스파르를 총애했지만, 라리슈 백작 부인이 "아담하고 아름다운 소녀"라고 묘사한 마리 베체라에게 깊이 빠져들었다. 그는 교황레오 13세에게 아내 슈테파니와의 이혼을 요구하는 서한을 보냈으나, 교황은 이를 불허한다는 답신을 아버지 프란츠 요제프 1세에게 전달했고, 이로 인해 황제의 격노를 샀다.루돌프는 독일 제국 재상 비스마르크를 불신하고 제국의 독일 의존 정책에 반대하며 러시아나 프랑스와의 동맹을 구상했다. 이러한 그의 친프랑스·친러 성향이 신문에 폭로되자, 1889년 1월 26일 황제는 루돌프를 질책하고 다음 날 독일 대사관 파티에 프로이센군 예복 착용을 명령하며 반독 의혹을 불식시키려 했다. 루돌프는 "이 군복은 나에게 견딜 수 없을 정도로 무겁다"고 토로했으며, 그날 오후 라리슈 백작 부인에게 마리 베체라를 데려와 달라고 부탁하며 "지금 의지할 사람은 그녀뿐"이라고 말했다. 경찰 보고서에 따르면, 루돌프는 마지막 밤인 1월 28일 미치 카스파르를 방문해 새벽 3시까지 함께 시간을 보낸 뒤 마이어링으로 향했다.
1886년 구입한[10] 황실 사냥용 별장 마이얼링에서 1889년 1월 30일, 루돌프와 마리 폰 베체라는 숨진 채 발견되었다. 당시 루돌프는 죽음에 깊이 심취해 자살 충동을 느끼고 있었으며,[46] 아버지를 제외한 가족들에게 편지를 남겼다. 1월 29일 시종에게 수면 방해를 금지시킨 뒤, 다음 날 아침 방문이 잠겨 있어 친구가 문을 부수고 들어가 두 사람의 시신을 발견했다. 곁에는 권총이 떨어져 있었다.
황실은 처음 루돌프가 "심장 발작"으로 사망했다고 발표했으나,[46] 곧 "정사(情死)"로 유럽 전역에 알려지며 다양한 추측을 낳았다. 1월 31일, 황실은 루돌프의 죽음이 자살임을 공식 인정했고, 바티칸은 그가 "정신적 불균형" 상태였다는 이유로 가톨릭식 장례를 허가했다.[47] 루돌프는 빈 카푸친 교회의 황제 묘소( Kapuzinergruftde )에 안장되었다. 마리 베체라의 시신은 한밤중에 마이얼링에서 몰래 옮겨져 오스트리아 저지대 하일리겐크로이츠 마을 공동묘지에 비밀리에 매장되었다.[10][12] 황제는 루돌프와 마리를 연결해 준 라리슈 백작 부인의 황궁 출입을 영원히 금지했으며,[48] 마이얼링 별장은 카르멜회 수녀들의 참회 수녀원으로 개조되어 루돌프의 영혼 안식을 위한 기도가 봉헌되었다.[12]
사건의 진상을 둘러싼 여러 의혹과 주장이 제기되었다.
- 미치 카스파르 관련 설: 루돌프가 원래 함께 죽고 싶었던 상대는 미치 카스파르였으며, 1888년 여름 그녀에게 동반 자살을 제안했으나 거절당하자 마리 베체라를 선택했다는 설이 있다. 미치는 이 제안을 경찰에 신고했고, 이후 루돌프는 감시를 받게 되었다. 루돌프는 미치에게 고가의 선물(6만 굴덴 저택, 5만 굴덴 장신구)을 주었으며, 사후 그의 서랍에서 미치에게 보내는 봉투(내용물은 3만 굴덴)가 발견되기도 했다. 시종무관의 기록에 따르면 루돌프는 마지막 2년간 군 시찰 여행에도 미치를 동반했다. 황태자비 슈테파니는 회고록에서 베체라를 "여러 여성 중 한 명"으로 폄하하며 루돌프가 마지막 밤을 "빈의 매춘부"(미치 카스파르 지칭)와 보냈다고 적었다. 루돌프의 사냥 친구 호요스 백작 역시 사건 당시 루돌프와 베체라의 관계가 이미 식어 있었다고 회고했다.
- 마리 폰 베체라의 편지: 2015년 오스트리아 은행 금고에서 발견된 베체라의 개인 편지들은 그녀가 사랑 때문에 루돌프와 함께 자살할 준비를 하고 있었음을 시사한다.[13]
- 치타 황후의 암살설 주장: 사건 94년 후인 1983년, 마지막 황후 치타는 빈의 타블로이드 신문 크로넨 차이퉁과의 인터뷰에서 루돌프의 죽음이 암살이었다고 주장했다. 그녀는 남편 카를 1세가 프란츠 요제프 1세로부터 암살 증거를 받고 진상 규명을 명령받았으나 제1차 세계 대전으로 무산되었다고 밝혔다. 치타가 제시한 근거는 다음과 같다.
- 정부 요인 연루 가능성 때문에 함구령이 내려졌다.
- 교황이 처음에는 장례를 거부했으나, 황제의 두 번째 설명(자살이 아님을 시사) 후 허가했다.
- 사건 현장 정리 시 목격된 격렬한 싸움 흔적과 알려진 것보다 많은 총성 흔적.
- 루돌프 유해의 부자연스러운 모습(검은 장갑 속 솜, 사브르에 의한 손목 절단설).
이러한 주장들에도 불구하고 마이얼링 사건의 정확한 진상은 여전히 밝혀지지 않았다.
5. 3. 치타 황후의 증언
사건 발생 94년 후인 1983년 3월 11일, 63년간의 망명 생활을 마치고 빈으로 돌아온 마지막 황후 치타는 루돌프의 죽음이 정사(情死)가 아닌 암살에 의한 것이라는 고백을 빈의 대중 타블로이드 신문 크로넨 차이퉁(Kronen Zeitungde)에 게재했다. 치타의 남편이자 마지막 황제 카를 1세는 프란츠 요제프 1세에게 암살의 증거를 제시하며 진상을 규명하라는 명령을 받았지만, 제1차 세계 대전의 발발로 흐지부지되었다고 한다. 치타는 다음과 같은 근거를 제시했지만, 진상은 여전히 밝혀지지 않았다.# 사건 직후 함구령이 내려진 것은, 암살임을 알면서도 사건에 정부 요인이 관련되어 있어 정치적 파급을 우려했기 때문이다.
# 황태자의 장례 허가를 교황에게 전보로 요청했을 때, 교황은 거부하는 회신을 보냈다. 그러나 황제가 두 번째로 2천 단어 분량의 암호 전보로 설명하자 즉시 허가가 내려졌다. 이는 당시 가톨릭의 교회법에 따라 자살의 경우 장례를 치르는 것이 허가되지 않았기 때문에, 자살로 알려진 첫 번째 시점에서는 거절되었지만, 두 번째에 자살이 아니라는 점을 설명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 마이얼링 근처에 거주하는 가구 장인이 사건 이틀 후 실내 정리를 명령받았을 때 목격한 바에 따르면, 가구가 뒤집혀 있었고 격렬한 싸움의 흔적이 보였으며, 벽에도 탄흔과 혈흔이 뚜렷했고, 총성은 알려진 바와 같이 두 발이 아니었다.
# 루돌프의 유해를 본 황실 관계자 중 한 사람은 "황태자는 검은 장갑을 끼고 있었습니다. 군복이라면 흰 장갑을 껴야 합니다. 게다가 검은 장갑 안에는 솜이 채워져 있었습니다. 루돌프의 손이 제대로 움직이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라고 증언했다. 또한, 다른 황실 관계자는 "현장에 급히 도착한 당국자의 말"이라며 "황태자의 오른손은 손목에서 사브르로 절단되어 있었다"라고 말했다.
6. 사후 영향 및 평가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중복 방지를 위해 본문 생략)
6. 1.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미친 영향
루돌프의 죽음은 그의 어머니인 오스트리아 황후 엘리자베트에게 깊은 슬픔을 안겨주었다. 그녀는 남은 생애 동안 상복을 의미하는 검은색이나 진주 회색 옷만을 입었으며, 빈의 황궁에서 보내는 시간을 점차 줄여나갔다. 그녀의 딸 기젤라 폰 외스터라이히는 어머니가 스스로 목숨을 끊을까 염려하기도 했다.[14] 엘리자베트 황후는 1898년 스위스 제네바를 방문하던 중 이탈리아의 무정부주의자 루이지 루케니에게 암살당했다.[15]루돌프의 죽음으로 프란츠 요제프 황제는 직계 남성 후계자를 잃었다. 황제의 동생인 카를 루트비히 대공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왕위 계승 서열 1위가 되었지만,[16] 그가 왕위 계승권을 포기했다는 잘못된 소문이 돌기도 했다.[17] 그러나 카를 루트비히 대공은 1896년 장티푸스로 사망했고, 그의 장남인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이 새로운 추정 상속인이 되었다.
1914년,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 부부가 암살되는 사건이 발생했는데, 이는 제1차 세계 대전 발발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 프란츠 요제프 황제가 1916년 11월 세상을 떠나자, 황제의 조카손자인 오스트리아의 카를 1세가 황위를 계승했다.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의 패전으로 우드로 윌슨 미국 대통령의 요구에 따라 카를 1세는 1918년 11월 초 빈에서의 국정 참여를 포기해야 했다. 이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종말로 이어졌고, 혁명 없이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카를 1세와 그의 가족은 잠시 에카르트사우 성에 머물다가 스위스로 망명했다.
6. 2. 대중문화에 미친 영향
루돌프의 비극적인 죽음과 마이얼링 사건은 여러 대중문화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거품의 사랑 ''Mayerling'' (1930년) - 클로드 아네 (Jean Schopfer)의 소설
- * 거품의 사랑 ''Mayerling'' (1936년) - 영화
- * 만종 ''Kronprinz Rudolfs letzte Liebe'' (1956년) - 영화
- * 마이얼링 ''Mayerling'' (1957년) - 텔레비전 드라마
- * 거품의 사랑 ''Mayerling'' (1968년) - 영화
- * 거품의 사랑 (다카라즈카 가극) (1983년) -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뮤지컬 작품
- 발칸의 화약고 (루팡과 시한 폭탄) (1974년) - 부알로-나르스작의 소설. 아르센 루팡의 패스티쉬 작품
- 거품의 사랑 (발레) ''Mayerling'' (1978년) - 발레
- 엘리자벳 (뮤지컬) ''Elisabeth'' (1992년) - 미하엘 쿤체 각본의 뮤지컬 작품
- * 엘리자베트 - 사랑과 죽음의 론도 - (1996년)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뮤지컬 작품
- 천상의 사랑 지상의 사랑 (1994년) - 가토 토모코의 만화 작품. 창작상의 캐릭터와의 동성애 요소가 있는 만화 작품
- 루돌프 ~ 더 라스트 키스 ~ ''Rudolf'' (2006년) - 프레더릭 모턴 (Frederic Morton)의 소설 "A Nervous Splendor"를 원작으로 한 뮤지컬 작품
7. 루돌프 황태자를 다룬 작품
루돌프 황태자의 비극적인 삶과 마이얼링 사건은 오랜 기간 동안 많은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어 영화, 드라마, 뮤지컬, 발레, 소설, 만화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으로 재탄생했다.
주요 작품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소설
- 클로드 아네의 소설 ''마예르링''(Mayerling, 1930년): 여러 영화의 원작이 되었다.
- 부알로-나르스작의 소설 ''발칸의 화약고 (루팡과 시한 폭탄)''(1974년): 아르센 루팡의 패스티쉬 작품이다.
- 만화
- 히구리 유의 일본 만화 天使の柩|텐시노 히츠기일본어 (천사의 관, 2000년).
- 가토 토모코의 일본 만화 天上の愛 地上の恋|천상의 사랑 지상의 사랑일본어 (1994년): 창작 캐릭터와의 동성애 요소를 포함한다.
- 연극
- 데이비드 로건의 연극 ''루돌프''(Rudolf, 2011년): 황태자 루돌프의 마지막 몇 주를 극화했다.[18]
이 외에도 다수의 영화, 드라마, 뮤지컬, 발레 작품이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7. 1. 영화
- 1936년: 아나톨 리트바크 감독, 샤를르 보와이에, 다니엘 다리유 주연 《마이얼링》(Mayerling). 클로드 아네의 소설 원작.
- 1940년: 막스 오퓔스 감독 《사라예보》(De Mayerling à Sarajevo). 루돌프의 죽음으로 시작됨.
- 1956년: 영화 《만종》(Kronprinz Rudolfs letzte Liebe).
- 1957년: 멜 페러(루돌프 역), 오드리 헵번(마리 베체라 역) 주연 《마이얼링》(Mayerling).
- 1968년: 오마 샤리프(루돌프 역), 카트린 드뇌브(마리 역) 주연 《마이얼링》(Mayerling).
- 1975년: 미클로시 얀초 감독 《비지 프라이바티, 푸블리케 비르투》(Vizi privati, pubbliche virtù). 루돌프와 연인들이 반역과 부도덕으로 살해당한다는 내용.
- 2006년: 로버트 도른헬름 감독, 2부작 TV 영화 《더 크라운 프린스》(The Crown Prince).
- 2006년: 영화 《일루셔니스트》(The Illusionist). 마이얼링 사건을 허구적으로 다룸. 루퍼스 스웰이 연기한 레오폴드 황태자는 루돌프를 모티브로 함.[18]
7. 2. 드라마
- 마이얼링 (Mayerling, 1957년): 멜 페러가 황태자 루돌프 역을, 오드리 헵번이 마리 베체라 남작부인 역을, 로언 그린이 프란츠 요제프 황제 역을 맡은 텔레비전 드라마이다.
- 폴 오브 이글스 (Fall of Eagles, 1974년): 제임스 퍼먼이 연출하고 데이비드 터너가 각본을 쓴 영국 다큐멘터리/드라마 시리즈이다. 이 시리즈의 한 시간 분량 에피소드 "황태자를 위한 레퀴엠"은 1889년 1월 30일과 그 후 며칠간의 마예르링 사건을 자세히 다룬다.
- 더 크라운 프린스 (The Crown Prince, 2006년): 로버트 도른헬름이 연출한 2부작 텔레비전 영화이다.
- 황후 (2022년): 엘리자베트 황후의 삶을 바탕으로 한 2022년 독일 역사 드라마 텔레비전 시리즈이다. 데브림 링나우가 엘리자베트 황후 역을, 필립 프로이상이 프란츠 요제프 황제 역을 맡았다.
7. 3. 뮤지컬
- 마린카 (Marinka): 1945년 발표된 뮤지컬(오페레타). 조지 매리언 주니어가 대본과 가사를 썼고, 카를 파르카스가 참여했으며, 엠리히 칼만이 작곡했다. 루돌프의 이야기가 허구적으로 각색되었다.
- 거품의 사랑 (다카라즈카 가극) (うたかたの恋|우타카타노 코이일본어): 1983년 일본 다카라즈카 가극단이 초연한 뮤지컬. 1968년 영화 마예르링을 원작으로 한다.
- 엘리자벳 (Elisabeth): 1992년 오스트리아에서 초연된 뮤지컬. 미하엘 쿤체가 각본과 가사를, 실베스터 르베이가 작곡했다. 루돌프 황태자는 이야기의 주요 인물 중 하나로 등장한다.
- 엘리자베트 - 사랑과 죽음의 론도 -: 1996년 다카라즈카 가극단이 뮤지컬 엘리자벳을 각색하여 공연한 작품이다.
- 루돌프 (Rudolf): 2006년 프랭크 와일드혼이 작곡한 뮤지컬. 프레데릭 모턴(Frederic Morton)의 소설 "A Nervous Splendor"를 원작으로 하며, 마이얼링 사건을 다룬다.
- 더 라스트 키스: 뮤지컬 루돌프를 한국에서 공연할 때 사용된 제목이다. 2012년 '황태자 루돌프'라는 제목으로 초연되었고, 2017년부터 '더 라스트 키스'라는 제목으로 공연되었다.
7. 4. 발레
루돌프 황태자의 삶, 특히 마이얼링 사건을 다룬 발레 작품으로는 케네스 맥밀란이 안무하여 1978년에 초연된 ''마예르링''(Mayerling)이 유명하다. 이 작품은 한국어 위키백과에 ''거품의 사랑 (발레)''라는 제목으로도 문서가 존재한다.참조
[1]
뉴스
mistero Mayerling lettere inedite fu doppio suicidio
http://www.ansa.it/n[...]
ANSA
[2]
문서
Crown Prince Rudolf (1858–1889)
http://www.nhm-wien.[...]
Natural History Museum, Vienna
2006
[3]
서적
The Red Prince
[4]
웹사이트
The history behind The Scandal at Mayerling
https://www.scottish[...]
Scottish Ballet
2022-12-05
[5]
간행물
Bombelles, Karl Albert Gf. (1832–1889), Admiral, Musiker und Schriftsteller
[6]
서적
Young Wilhelm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01-27
[7]
웹사이트
The Many Affairs of Crown Prince Rudolf
https://www.thehisto[...]
The History Reader
[8]
서적
I Was to Be Empress
Nicholson & Watson
[9]
서적
A Habsburg Tragedy – Crown Prince Rudolf
Ascent Books
[10]
웹사이트
CSI Mayerling – How did the crown prince really die?
http://www.habsburge[...]
The World of the Habsburgs
2018-01-29
[11]
서적
My Own Affairs
George H. Doran Co.
[12]
잡지
Book Review: ''Myths of Mayerling Crime at Mayerling. The Life and Death of Mary Vetsera'', by Georg Markus; ''The Habsburgs' Tragedy'', by Leo Belmonto
https://www.thevienn[...]
The Vienna Review
2024-09-06
[13]
웹사이트
Press release
https://web.archive.[...]
Austrian National Library
2015-07-31
[14]
웹사이트
Mater Dolorosa: Elisabeth in the Aftermath of Mayerling
https://teamqueens.o[...]
Team Queens
2022-12-05
[15]
웹사이트
European royalty Austria: Crown Prince Rudolf
http://histclo.com/r[...]
2015-01-27
[16]
서적
Carl Menger's Lectures to Crown Prince Rudolf of Austria
https://books.google[...]
Edward Elgar
2015-01-27
[17]
뉴스
The Crown Prince's Successor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889-02-02
[18]
서적
Rudolf: A play in two acts
http://catalogue.nla[...]
Brisbane Dramatic Arts Company
[19]
서적
Kaiser Joseph II. harmonische Wahlkapitulation mit allen den vorhergehenden Wahlkapitulationen der vorigen Kaiser und Könige
[20]
문서
Hof- und Staats-Handbuch der Österreichisch-Ungarischen Monarchie
http://alex.onb.ac.a[...]
[21]
웹사이트
Chevaliers de la Toisón d'Or – Knights of the Golden Fleece
http://www.antiquesa[...]
La Confrérie Amicale
2019-06-25
[22]
웹사이트
A Szent István Rend tagjai
https://web.archive.[...]
2010-12-22
[23]
문서
Großherzogliche Orden
https://digital.blb-[...]
[24]
서적
Hof- und Staatshandbuch des Königreichs Bayern: 1870
https://books.google[...]
Landesamt
[25]
뉴스
Koophandel
De
1880-03-06
[26]
서적
Riddere af Elefantordenen, 1559–2009
https://books.google[...]
Syddansk Universitetsforlag
[27]
문서
Staatshandbuch für das Großherzogtum Hessen und bei Rhein
https://archive.org/[...]
[28]
서적
Calendario generale del Regno d'Italia
https://books.google[...]
Unione tipografico-editrice
[29]
웹사이트
Membership of the Constantinian Order
https://web.archive.[...]
2013-09-21
[30]
서적
明治時代の勲章外交儀礼
http://meijiseitoku.[...]
明治聖徳記念学会紀要
[31]
서적
Almanaque imperial para el año 1866
https://books.google[...]
2020-04-29
[32]
서적
The Diary of H.M. The Shah of Persia during his tour through Europe in A.D. 1873: A verbatim translation
https://archive.org/[...]
John Murray
1874
[33]
서적
Königlich Preußische Ordens-Liste
https://babel.hathit[...]
Königliche Generals-Ordens-Kommission
[34]
문서
Staatshandbuch für das Großherzogtum Sachsen / Sachsen-Weimar-Eisenach
https://web.archive.[...]
2019-10-07
[35]
서적
Staatshandbuch für den Freistaat Sachsen: 1877
http://opacplus.bsb-[...]
Heinrich
[36]
서적
Guía Oficial de España
http://hemerotecadig[...]
2019-03-21
[37]
웹사이트
Sveriges statskalender
https://runeberg.org[...]
2018-01-06
[38]
서적
The Knights of England
https://archive.org/[...]
1906
[39]
서적
Hof- und Staats-Handbuch des Königreich Württemberg
https://archive.org/[...]
1886
[40]
백과사전
Habsburg, Franz Joseph I.
[41]
백과사전
Habsburg, Elisabeth Amalia Eugenia
[42]
백과사전
Habsburg, Franz Karl Joseph
[43]
백과사전
Habsburg, Sophie (geb. 27. Jänner 1805)
[44]
백과사전
Maximilian, Herzog in Bayern (Pseudonym Phantasus)
[45]
문서
어머니 엘리자베트의 큰오빠 루트비히가 귀천결혼으로 얻은 딸
[46]
서적
자살백과
새움
[47]
서적
자살백과
[48]
서적
제국의 종말
가람기획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