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중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류중일은 선수 시절 삼성 라이온즈에서 유격수로 활약했으며, 은퇴 후 삼성 라이온즈와 LG 트윈스 감독을 역임한 야구인이다. 선수로서는 1987년과 1991년 골든 글러브를 수상했고, 통산 1095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0.265, 874안타, 45홈런, 359타점, 109도루를 기록했다. 감독으로서는 삼성 라이온즈를 2011년부터 2014년까지 4년 연속 정규 리그 우승과 2011년, 2012년 한국시리즈 우승을 이끌었다. 또한 2013년 WBC 국가대표팀 감독, 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 2023년 항저우 아시안 게임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맡아 금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LG 트윈스 감독 - 김재박
김재박은 아마추어와 프로야구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친 전직 선수이자 감독으로, 국가대표와 프로팀에서 우승을 이끌었으며, 스몰볼 전략으로 평가가 엇갈린다. - LG 트윈스 감독 - 이광환
이광환은 중앙고-고려대 출신 야구 선수이자 OB 베어스, LG 트윈스, 한화 이글스, 우리 히어로즈 감독을 역임한 프로 야구 지도자이며, 1994년 LG 트윈스 감독 시절 한국시리즈 우승, 서울대학교 야구부 감독, 야구 박물관 건립 기여 등 한국 야구 발전에 공헌했다. - 대구삼덕초등학교 동문 - 김만제
김만제는 1934년생으로 미주리대학교 경제학 박사 출신이며 한국개발연구원 원장, 재무부 장관,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 등 주요 직책을 거쳐 한국 경제 정책 수립에 기여한 경제학자이자 관료, 기업인, 정치인으로, 삼성생명과 포항제철 회장을 역임하고 국회의원으로도 활동하며 은탑산업훈장, 국민훈장 무궁화장, 청조근정훈장 등을 수훈했다. - 대구삼덕초등학교 동문 - 정호승
정호승은 1950년 경상남도 하동에서 태어나 시 〈첨성대〉로 시인, 단편소설 〈위령제〉로 소설가로 등단했으며, 민중적 서정성을 특징으로 하는 작품 활동을 해온 대한민국의 시인, 소설가, 동화 작가이다.
류중일 | |
---|---|
기본 정보 | |
이름 | 류중일 |
한자 | 柳仲逸 |
로마자 표기 | Ryu Joong-il |
출생일 | 1963년 4월 28일 |
출생지 | 경상북도 영덕군 |
포지션 | 유격수 / 감독 |
타석 | 우 |
투구 | 우 |
선수 경력 | |
데뷔 리그 | KBO |
데뷔일 | 1987년 4월 6일 |
데뷔 팀 | 삼성 라이온즈 |
최종 리그 | KBO |
최종일 | 1999년 10월 20일 |
최종 팀 | 삼성 라이온즈 |
선수 활동 | 삼성 라이온즈 (1987–1999) |
선수 기록 | |
타율 | .265 |
홈런 | 45 |
타점 | 359 |
코치 경력 | |
코치 팀 | 삼성 라이온즈 (2000–2010) |
감독 경력 | |
감독 팀 | 삼성 라이온즈 (2011–2016) LG 트윈스 (2018–2020) |
감독 주요 성적 | |
한국시리즈 우승 | 4회 (2011, 2012, 2013, 2014) |
기타 | |
드래프트 순위 | 1987년 1차 2순위 (삼성 라이온즈) |
계약금 | 2,000만원 |
국가대표 | |
국가대표 경력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2013–2014, 2023–현재) |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 1983년 서울 |
올림픽 | 1984년 |
선수 사진 | |
![]() | |
![]() |
2. 선수 시절
한양대학교 체육학과를 졸업하고 1987년 삼성 라이온즈에 1차 2순위 지명을 받아 입단했다. 뛰어난 발과 강한 어깨를 바탕으로 한 안정적인 수비로 곧바로 주전 유격수 자리를 꿰찼다. 1997년부터 부상에 시달리기 전까지 프랜차이즈 스타로 활약했으나, 1999년 현역에서 은퇴했다.
2. 1. 아마추어 시절
경북고 3학년 재학 시절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개장 기념으로 열렸던 부산고와의 우수 고교 초청 대회 결승전에서 투수 김종석을 상대로 개장 1호 홈런을 기록했다.[5] 1981년 봉황대기 미기상, 경북고 주장을 맡은 1982년에 대통령배 감투상, 대붕기 최우수선수상을 수상했다. 한양대 체육학과 시절 1985년~1986년에 3학년, 4학년 때 대학야구 올스타 유격수로 선정됐다.2. 2. [[삼성 라이온즈]] 시절
한양대학교 체육학과 졸업 후 1987년 1차 2순위 지명을 받아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하여(계약금 2000만원, 연봉 1200만원) 견고한 수비를 바탕으로 팀 성적에 기여했다.[6] 유격수로 주로 출장했고 골든 글러브(유격수 부문)를 2번 받았다. 현역 시절에는 2루수 강기웅과 함께 키스톤 콤비가 막강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현역 시절에는 단 한 번도 한국시리즈 우승을 경험하지 못했다.3. 야구선수 은퇴 후
1999년 현역에서 은퇴한 후 삼성 코치로 취임하여 2000년 주루 코치, 2008년부터 수비 코치를 맡았다. 2006년, 2009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에 코치로 참가했다.
2022년 2월 23일 항저우 아시안 게임 야구 한국 대표팀 감독으로 선임되었다.[3] 1년 연기된 2023년 항저우 아시안 게임에서 한국 대표팀을 이끌고 4대회 연속 금메달을 획득했다. 같은 해 2023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에서도 대표팀을 지휘했다.
2024년 2월 23일, WBSC 프리미어12까지 한국 대표팀 감독직을 수행하는 것이 발표되었다.[4]
3. 1. [[삼성 라이온즈]] 코치 & 감독 시절
1999년 현역 은퇴 후, 2000년부터 삼성 라이온즈에서 코치 생활을 시작했다. 김용희, 김응용, 선동열 감독을 보좌하며 지도자 경력을 쌓았다.[7] 2006년 WBC, 2009년 WBC,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 국가대표팀 코치로 발탁되었다. 2010년 12월 30일 선동열 감독이 경질된 후, 2011년 1월 5일 삼성 라이온즈의 제13대 감독으로 취임했다.[7] 감독 부임 첫 해인 2011년에 정규 리그 우승과 2011년 한국시리즈 우승을 이끌며 '야구 대통령'을 줄인 '야통'이라는 별명을 얻었다.[9] 2011년 아시아 시리즈에서 일본 챔피언 소프트뱅크를 꺾고 한국 프로 야구 팀 최초로 아시아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10] 2012년에도 정규 리그 우승과 2012년 한국시리즈 우승을 이끌며 2년 연속 통합 우승을 달성했다.2013년 WBC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발탁되었으나, 1라운드에서 탈락했다. 2013년 시즌 후 계약 기간 3년, 총액 21억원(계약금 6억원, 연봉 5억원)에 재계약했다.[11] 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발탁되어 금메달을 획득하며, 2013년 WBC 1라운드 탈락의 아쉬움을 달랬다. 2014년 정규 리그 우승과 2014년 한국시리즈 우승을 이끌며 팀의 사상 최초 통합 4연패를 달성했다. 2015년까지 5년 연속 정규 리그 우승을 달성했지만, 2015년 한국시리즈에서는 두산 베어스에게 패배했다. (해외 원정 도박 파문으로 주축 투수 3명이 엔트리에서 제외됨)[11] 2016년에는 박석민, 나바로, 채태인 등 주축 선수들의 이적과 외국인 선수 농사 실패, 선수들의 부상과 부진으로 팀 창단 최초로 9위를 기록했다. 2016년 10월 15일, 김한수에게 감독직을 넘기고 삼성 라이온즈 기술 고문을 맡게 됐다.
3. 2. [[LG 트윈스]] 감독 시절
2017년 10월 3일 정규 시즌 최종전에서 계약 기간 3년, 총액 21억원(계약금 6억원, 연봉 5억원)에 LG 트윈스 제12대 감독으로 선임되었다.[12] 재임 기간 중 2년 연속 4위를 기록하며 포스트 시즌에 진출했으나, 준플레이오프에서 탈락하여 2020년 11월 6일 사퇴했다. 후임은 당시 팀 수석코치였던 류지현이었다.[2]4. 국가대표팀 감독 경력
201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서 한국 대표팀 감독을 맡았으나, 본 대회에서 한국 야구 사상 최초로 1라운드 탈락이라는 결과를 맞이했다.[2] 2014년 9월 인천 아시안 게임에서는 야구 한국 대표팀 감독으로 2대회 연속 네 번째 아시안 게임 우승을 이끌었다.[2]
2022년 2월 23일, 항저우 아시안 게임 야구 한국 대표팀 감독으로 선임되었다.[3] 1년 연기된 2023년 항저우 아시안 게임에서는 한국 대표팀을 이끌고 두 번째이자 4대회 연속 여섯 번째 우승을 달성했다. 같은 해 2023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에서도 한국 대표팀을 지휘했다.
2024년 2월 23일, WBSC 프리미어12까지 한국 대표팀을 지휘하는 것으로 발표되었다.[4]
5. 등번호
선수 시절에는 1번(1987년~1999년)을, 코치 및 감독 시절에는 75번(2000년~2016년, 2018년~2020년)을 등번호로 사용했다. [1]
5. 1. 선수 시절
1987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1차 지명을 받아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하여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1987년부터 1999년까지 삼성 라이온즈에서 선수로 활동했다.5. 2. 코치 및 감독 시절
Back number|백넘버영어는 다음과 같다.
6. 통산 기록
류중일은 삼성 라이온즈에서 13시즌 동안 선수로 활동했다. 통산 1095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0.265, 874안타, 45홈런, 359타점, 109도루를 기록했으며, 1987년과 1991년에는 유격수 부문 KBO 골든글러브를 수상했다.
연도 | 소속 | 타율 | 경기 | 타수 | 득점 | 안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4구 | 사구 | 삼진 | 병살 | 비고 |
---|---|---|---|---|---|---|---|---|---|---|---|---|---|---|---|
1987 | 삼성 라이온즈 | 0.287 | 104 | 352 | 57 | 101 | 2 | 128 | 28 | 8 | 39 | 3 | 34 | 8 | 골든 글러브 유격수 부문 수상 |
1988 | 0.302 | 47 | 116 | 18 | 35 | 0 | 42 | 11 | 5 | 11 | 0 | 15 | 1 | ||
1989 | 0.246 | 113 | 329 | 39 | 81 | 5 | 117 | 38 | 14 | 31 | 2 | 56 | 4 | ||
1990 | 0.311 | 120 | 425 | 70 | 132 | 6 | 182 | 45 | 23 | 50 | 10 | 55 | 6 | ||
1991 | 0.285 | 90 | 344 | 59 | 98 | 5 | 135 | 45 | 19 | 34 | 4 | 54 | 10 | 골든 글러브 유격수 부문 수상 | |
1992 | 0.211 | 104 | 294 | 43 | 62 | 5 | 91 | 27 | 8 | 35 | 3 | 42 | 6 | ||
1993 | 0.281 | 107 | 377 | 58 | 106 | 8 | 145 | 45 | 6 | 57 | 3 | 44 | 9 | ||
1994 | 0.328 | 36 | 131 | 22 | 43 | 4 | 69 | 22 | 5 | 16 | 2 | 19 | 4 | ||
1995 | 0.226 | 64 | 155 | 11 | 35 | 0 | 48 | 10 | 2 | 8 | 3 | 27 | 2 | ||
1996 | 0.245 | 111 | 355 | 37 | 87 | 2 | 110 | 35 | 13 | 40 | 4 | 66 | 6 | ||
1997 | 0.242 | 79 | 215 | 34 | 52 | 8 | 89 | 34 | 1 | 23 | 2 | 43 | 4 | ||
1998 | 0.200 | 64 | 140 | 14 | 28 | 0 | 36 | 13 | 4 | 13 | 1 | 38 | 1 | ||
1999 | 0.233 | 56 | 60 | 13 | 14 | 0 | 15 | 6 | 1 | 6 | 1 | 14 | 1 | ||
통산 | 13시즌 | 0.265 | 1095 | 3293 | 475 | 874 | 45 | 1207 | 359 | 109 | 363 | 38 | 507 | 62 |
6. 1. 선수 통산 기록
연도 | 소속 | 타율 | 경기 | 타수 | 득점 | 안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4구 | 사구 | 삼진 | 병살 | 비고 |
---|---|---|---|---|---|---|---|---|---|---|---|---|---|---|---|
1987 | 삼성 라이온즈 | 0.287 | 104 | 352 | 57 | 101 | 2 | 128 | 28 | 8 | 39 | 3 | 34 | 8 | 골든 글러브 유격수 부문 수상 |
1988 | 0.302 | 47 | 116 | 18 | 35 | 0 | 42 | 11 | 5 | 11 | 0 | 15 | 1 | ||
1989 | 0.246 | 113 | 329 | 39 | 81 | 5 | 117 | 38 | 14 | 31 | 2 | 56 | 4 | ||
1990 | 0.311 | 120 | 425 | 70 | 132 | 6 | 182 | 45 | 23 | 50 | 10 | 55 | 6 | ||
1991 | 0.285 | 90 | 344 | 59 | 98 | 5 | 135 | 45 | 19 | 34 | 4 | 54 | 10 | 골든 글러브 유격수 부문 수상 | |
1992 | 0.211 | 104 | 294 | 43 | 62 | 5 | 91 | 27 | 8 | 35 | 3 | 42 | 6 | ||
1993 | 0.281 | 107 | 377 | 58 | 106 | 8 | 145 | 45 | 6 | 57 | 3 | 44 | 9 | ||
1994 | 0.328 | 36 | 131 | 22 | 43 | 4 | 69 | 22 | 5 | 16 | 2 | 19 | 4 | ||
1995 | 0.226 | 64 | 155 | 11 | 35 | 0 | 48 | 10 | 2 | 8 | 3 | 27 | 2 | ||
1996 | 0.245 | 111 | 355 | 37 | 87 | 2 | 110 | 35 | 13 | 40 | 4 | 66 | 6 | ||
1997 | 0.242 | 79 | 215 | 34 | 52 | 8 | 89 | 34 | 1 | 23 | 2 | 43 | 4 | ||
1998 | 0.200 | 64 | 140 | 14 | 28 | 0 | 36 | 13 | 4 | 13 | 1 | 38 | 1 | ||
1999 | 0.233 | 56 | 60 | 13 | 14 | 0 | 15 | 6 | 1 | 6 | 1 | 14 | 1 | ||
통산 | 13시즌 | 0.265 | 1095 | 3293 | 475 | 874 | 45 | 1207 | 359 | 109 | 363 | 38 | 507 | 62 |
년도 | 구단 | 경기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루실패 | 볼넷 | 사구 | 삼진 | 병살타 | 실책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
1987 | 삼성 라이온즈 | 104 | 352 | 57 | 101 | 17 | 2 | 2 | 128 | 28 | 8 | 4 | 39 | 3 | 34 | 8 | 13 | .287 | .363 | .364 | .727 |
1988 | 47 | 116 | 18 | 35 | 3 | 2 | 0 | 42 | 11 | 5 | 2 | 11 | 0 | 15 | 1 | 15 | .302 | .362 | .362 | .724 | |
1989 | 113 | 329 | 39 | 81 | 15 | 3 | 5 | 117 | 38 | 14 | 3 | 31 | 2 | 56 | 4 | 18 | .246 | .315 | .356 | .671 | |
1990 | 120 | 425 | 70 | 132 | 22 | 5 | 6 | 182 | 45 | 23 | 8 | 50 | 10 | 55 | 6 | 12 | .311 | .396 | .428 | .824 | |
1991 | 90 | 344 | 59 | 98 | 14 | 4 | 5 | 135 | 45 | 19 | 7 | 34 | 4 | 54 | 10 | 14 | .285 | .347 | .392 | .739 | |
1992 | 104 | 294 | 43 | 62 | 12 | 1 | 5 | 91 | 27 | 8 | 2 | 35 | 3 | 42 | 6 | 16 | .211 | .301 | .310 | .611 | |
1993 | 107 | 377 | 58 | 106 | 13 | 1 | 8 | 145 | 45 | 6 | 4 | 57 | 3 | 44 | 9 | 7 | .281 | .380 | .385 | .765 | |
1994 | 36 | 131 | 22 | 43 | 8 | 3 | 4 | 69 | 22 | 5 | 1 | 16 | 2 | 19 | 4 | 9 | .328 | .409 | .527 | .936 | |
1995 | 64 | 155 | 11 | 35 | 11 | 1 | 0 | 48 | 10 | 2 | 1 | 8 | 3 | 27 | 2 | 12 | .226 | .277 | .310 | .578 | |
1996 | 111 | 355 | 37 | 87 | 13 | 2 | 2 | 110 | 35 | 13 | 5 | 40 | 4 | 66 | 6 | 8 | .245 | .346 | .310 | .656 | |
1997 | 79 | 215 | 34 | 52 | 13 | 0 | 8 | 89 | 34 | 1 | 3 | 23 | 2 | 43 | 4 | 4 | .242 | .321 | .414 | .735 | |
1998 | 64 | 140 | 14 | 28 | 8 | 0 | 0 | 36 | 13 | 4 | 0 | 13 | 1 | 38 | 1 | 4 | .200 | .273 | .257 | .530 | |
1999 | 56 | 60 | 13 | 14 | 1 | 0 | 0 | 15 | 6 | 1 | 0 | 6 | 1 | 14 | 1 | 3 | .233 | .313 | .250 | .563 | |
통산 | 1095 | 3293 | 475 | 874 | 150 | 24 | 45 | 1207 | 359 | 109 | 40 | 363 | 38 | 507 | 62 | 125 | .265 | .345 | .367 | .712 | |
- '''굵은 글씨'''는 리그 최고
- 1987영어 -> 1987 과 같이 변경
참조
[1]
웹사이트
은퇴선수(타자) < 기록실 < KBO
https://www.koreabas[...]
[2]
웹사이트
http://mksports.co.k[...]
[3]
웹사이트
http://www.korea-bas[...]
[4]
웹사이트
https://www.koreabas[...]
[5]
뉴스
류중일 감독, 손주인-강명구에게 특별한 선물
https://news.naver.c[...]
매일경제
[6]
뉴스
OB의 재구성 - 삼성 역대 최고 타선
http://isplus.joins.[...]
일간 스포츠
2010-04-24
[7]
뉴스
류중일 감독 "신인 패기로 KS 우승 데뷔 축포 쏜다"
http://www.imaeil.co[...]
매일신문
2014-10-26
[8]
문서
팀 최초의 선수 출신 감독은 서정환이고, 그는 출신 선수 중 선수 및 코치로 활동하며 단 한번의 팀 이동 없이 감독이 된 첫 케이스이다.
[9]
뉴스
류중일호, 우승을 가능케 한 키워드 4개
http://sports.chosun[...]
스포츠조선
[10]
뉴스
'야통' 류중일 감독, 야신도 못한 亞 정상 위업
http://osen.mt.co.kr[...]
OSEN
[11]
뉴스
류중일 감독, 3년 재계약…총액 21억원 사상 최고 대우
http://sports.news.n[...]
OSEN
[12]
뉴스
오피셜 LG 공식발표, "양상문 단장-류중일 감독"
http://sports.news.n[...]
OSEN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