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KBO 골든글러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BO 골든글러브는 한국 프로 야구(KBO)의 각 포지션별 최고의 선수에게 수여되는 상으로, 1982년 한국 프로 야구 출범과 함께 제정되었다. 초기에는 수비율만으로 수상자를 선정했으나, 1984년부터 공격 능력과 인지도를 포함한 종합적인 평가를 통해 수상자를 선정한다. 역대 최다 수상자는 이승엽이며, KIA 타이거즈와 삼성 라이온즈가 구단별 최다 수상 횟수를 기록했다. 골든글러브는 외국인 선수에게도 수여되며, 펠릭스 호세, 조쉬 린드블럼 등이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KBO 리그 상 - KBO 홈런상
    KBO 홈런상은 KBO 리그에서 한 시즌 최다 홈런을 기록한 타자에게 주어지는 상으로, 김봉연이 초대 홈런왕을 차지했으며 이승엽의 단일 시즌 최다 홈런 기록, 박병호의 4년 연속 홈런왕 등 리그를 대표하는 홈런 타자들이 수상했다.
  • KBO 리그 상 - KBO 신인상
    KBO 신인상은 한국야구위원회 소속 구단 선수 중 일정 자격 요건을 갖춘 선수에게 주어지는 상으로, 5시즌 이내, 투수는 30이닝 이하, 타자는 60타석 이하의 누적 출장 수를 기록해야 하며 외국 프로 야구 기구 소속이었던 선수는 제외되고, 1983년부터 매년 수여되어 박종훈, 이정후, 강백호 등 스타 선수들이 수상했다.
  • KBO 골든글러브에 관한 - 이호성 (1967년)
    이호성은 해태 타이거즈의 4번 타자로 한국시리즈 4회 우승에 기여하고 골든글러브를 2회 수상한 야구 선수였으나, 은퇴 후 사기 혐의로 구속되고 내연녀와 세 딸을 살해한 혐의로 수배 중 자살한 살인범이다.
  • KBO 골든글러브에 관한 - 김선빈 (야구 선수)
    김선빈은 KIA 타이거즈의 프로 야구 선수로, 뛰어난 수비력과 타격 능력을 바탕으로 팀의 주전 유격수이자 '작은 거인'으로 불리며 2017년 타격왕, 2024년 한국시리즈 MVP를 수상하는 등 꾸준한 활약을 이어가고 있다.
  • 대한민국의 야구에 관한 - 청주고등학교
    청주고등학교는 1924년 청주고등보통학교로 개교하여 교명 변경과 이전을 거쳐 1950년 청주고등학교가 되었으며, 과학중점학교 및 자율형 공립고등학교로 지정되어 운영되고 96회 졸업식을 통해 34,860명의 졸업생을 배출한 청주시의 공립 고등학교이다.
  • 대한민국의 야구에 관한 - 용인 빠따형야구단
    용인 빠따형야구단은 2020년 창단되어 2022년 해체된 대한민국의 독립 야구단으로, 한국의 여러 독립 야구단과 같이 프로 진출을 희망하는 선수들에게 기회를 제공했다.
KBO 골든글러브
KBO 골든글러브
주최
년도

2. 역사

2. 1. 제정 초기 (1982~1983)

1982년 한국 프로 야구 출범과 함께 골든글러브 상이 제정되었다.[24] 초기에는 수비율만으로 수상자를 선정했으며, 공격과 수비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베스트 10' 상이 별도로 존재했다.[24] 당시 골든글러브는 언론 보도가 거의 되지 않아 중요도가 낮게 다뤄졌지만, 베스트 10은 언론에서 크게 보도되었다.[24]

1982년 베스트 10 수상자는 박철순(OB 베어스), 이만수(삼성 라이온즈), 김봉연(해태 타이거즈), 구천서(OB 베어스), 이광은(MBC 청룡), 오대석(삼성 라이온즈), 이종도(MBC 청룡), 장태수(삼성 라이온즈), 윤동균(OB 베어스), 백인천(MBC 청룡)이다.[24]

1983년 베스트 10 수상자는 장명부(삼미 슈퍼스타스), 김무종(해태 타이거즈), 김성한(해태 타이거즈), 김인식(MBC 청룡), 김용희(롯데 자이언츠), 김재박(MBC 청룡), 김종모(해태 타이거즈), 김일권(해태 타이거즈), 장효조(삼성 라이온즈), 김봉연(해태 타이거즈)이다.[24]

2. 2. 베스트 10 통합 및 변화 (1984~현재)

1984년부터 베스트 10 상과 통합되면서, 공격 능력과 인지도를 포함한 종합적인 평가를 통해 수상자를 선정하기 시작했다. 같은 해 지명 타자 부문이 신설되었다.[1] 모든 외야수는 3개의 외야수 상으로 그룹화되었다.[1]

주요 공격 및 투구 부문에서 리그 선두를 달리는 선수는 상 후보로 자동 지명된다. 다른 포지션 선수는 해당 포지션에서 최소 수비 이닝을 기록해야 하며, 선발 투수는 평균 자책점(ERA) 타이틀 자격을 얻을 수 있는 충분한 이닝(144이닝 또는 경기당 평균 1이닝)을 기록해야 후보로 지명될 수 있다. 구원 투수는 최소 10승, 30세이브 또는 30홀드를 기록하면 자격을 얻을 수 있다.[1] 매년 야구 기자, 분석가 및 방송인의 투표를 통해 각 포지션별 최고 선수에게 상이 수여된다.[1]

3. 역대 수상자

wikitext

1982년 한국 프로 야구가 출범한 이후 2023년까지 KBO 골든글러브 수상자 명단은 다음과 같다.

연도투수포수1루수2루수3루수유격수외야수지명 타자
1982황태환
(OB)
김용운
(MBC)
김용달
(MBC)
차영화
(해태)
김용희
(롯데)
오대석
(삼성)
김준환
(해태)
김성관
(롯데)
양승관
(삼미)
1983장명부
(삼미)
이만수
(삼성)
신경식
(OB)
정구선
(삼미)
김용희
(롯데)
김재박
(MBC)
장효조
(삼성)
김종모
(해태)
박종훈
(OB)
1984최동원
(롯데)
이만수
(삼성)
김용철
(롯데)
정구선
(삼미)
이광은
(MBC)
김재박
(MBC)
홍문종
(롯데)
장효조
(삼성)
김종모
(해태)
양세종
(OB)
1985김시진
(삼성)
이만수
(삼성)
김성한
(해태)
정구선
(청보)
이순철
(해태)
김재박
(MBC)
장효조
(삼성)
이광은
(MBC)
박종훈
(OB)
김용희
(롯데)
1986선동열
(해태)
이만수
(삼성)
김성한
(해태)
김성래
(삼성)
한대화
(해태)
김재박
(MBC)
장효조
(삼성)
김종모
(해태)
이광은
(MBC)
김봉연
(해태)
1987김시진
(삼성)
이만수
(삼성)
김성한
(해태)
김성래
(삼성)
한대화
(해태)
류중일
(삼성)
장효조
(삼성)
김종모
(해태)
이광은
(MBC)
유승안
(빙그레)
1988선동열
(해태)
장채근
(해태)
김성한
(해태)
김성래
(삼성)
한대화
(해태)
장종훈
(빙그레)
이강돈
(빙그레)
이정훈
(빙그레)
이순철
(해태)
김용철
(롯데)
1989선동열
(해태)
유승안
(빙그레)
김성한
(해태)
강기웅
(삼성)
한대화
(해태)
김재박
(MBC)
고원부
(빙그레)
김일권
(태평양)
이강돈
(빙그레)
박철우
(해태)
1990선동열
(해태)
김동수
(LG)
김상훈
(LG)
강기웅
(삼성)
한대화
(해태)
장종훈
(빙그레)
이강돈
(빙그레)
이호성
(해태)
이정훈
(빙그레)
박승호
(삼성)
1991선동열
(해태)
장채근
(해태)
김성한
(해태)
박정태
(롯데)
한대화
(해태)
류중일
(삼성)
이순철
(해태)
이호성
(해태)
이정훈
(빙그레)
장종훈
(빙그레)
1992염종석
(롯데)
장채근
(해태)
장종훈
(빙그레)
박정태
(롯데)
송구홍
(LG)
박계원
(롯데)
이순철
(해태)
김응국
(롯데)
이정훈
(빙그레)
김기태
(쌍방울)
1993선동열
(해태)
김동수
(LG)
김성래
(삼성)
강기웅
(삼성)
한대화
(LG)[12]
이종범
(해태)
이순철
(해태)
전준호
(롯데)
김광림
(쌍방울)[13]
김기태
(쌍방울)
1994정명원
(태평양)
김동수
(LG)
서용빈
(LG)
박종호
(LG)
한대화
(LG)
이종범
(해태)
윤덕규
(태평양)
김재현
(LG)
박노준
(쌍방울)
김기태
(쌍방울)
1995이상훈
(LG)
김동수
(LG)
장종훈
(한화)
이명수
(OB)
홍현우
(해태)
김민호
(OB)
김광림
(쌍방울)
전준호
(롯데)
김상호
(OB)
김형석
(OB)
1996구대성
(한화)
박경완
(쌍방울)
김경기
(현대)
박정태
(롯데)
홍현우
(해태)
이종범
(해태)
박재홍
(현대)
김응국
(롯데)
양준혁
(삼성)
박재용
(해태)
1997이대진
(해태)
김동수
(LG)
이승엽
(삼성)
최태원
(쌍방울)
홍현우
(해태)
이종범
(해태)
박재홍
(현대)
이병규
(LG)
양준혁
(삼성)
박재용
(해태)
1998정민태
(현대)
박경완
(현대)
이승엽
(삼성)
박정태
(롯데)
김한수
(삼성)
유지현
(LG)
박재홍
(현대)
김재현
(LG)
전준호
(현대)
양준혁
(삼성)
1999정민태
(현대)
김동수
(삼성)[14]
이승엽
(삼성)
박정태
(롯데)
김한수
(삼성)
유지현
(LG)
정수근
(두산)
이병규
(LG)
호세
(롯데)
로마이어
(한화)
2000임선동
(현대)
박경완
(현대)
이승엽
(삼성)
박종호
(현대)
김동주
(두산)
박진만
(현대)
박재홍
(현대)
이병규
(LG)
송지만
(한화)
우즈
(두산)
2001신윤호
(LG)
홍성흔
(두산)
이승엽
(삼성)
안경현
(두산)
김한수
(삼성)
박진만
(현대)
정수근
(두산)
이병규
(LG)
심재학
(두산)
양준혁
(LG)
2002송진우
(한화)
진갑용
(삼성)
이승엽
(삼성)
김종국
(KIA)
김한수
(삼성)
브리또
(삼성)
이종범
(KIA)
심정수
(현대)
송지만
(한화)
마해영
(삼성)
2003정민태
(현대)
김동수
(현대)
이승엽
(삼성)
안경현
(두산)
김한수
(삼성)
홍세완
(KIA)
이종범
(KIA)
심정수
(현대)
양준혁
(삼성)
김동주
(두산)
2004배영수
(삼성)
홍성흔
(두산)
양준혁
(삼성)
박종호
(삼성)
김한수
(삼성)
박진만
(삼성)[15]
브룸바
(현대)
이병규
(LG)
박한이
(삼성)
김기태
(SK)
2005손민한
(롯데)
진갑용
(삼성)
김태균
(한화)
안경현
(두산)
이범호
(한화)
손시헌
(두산)
서튼
(현대)
이병규
(LG)
데이비스
(한화)
김재현
(SK)
2006류현진
(한화)
진갑용
(삼성)
이대호
(롯데)
정근우
(SK)
이범호
(한화)
박진만
(삼성)
이용규
(KIA)
이택근
(현대)
박한이
(삼성)
양준혁
(삼성)
2007리오스
(두산)
박경완
(SK)
이대호
(롯데)
고영민
(두산)
김동주
(두산)
박진만
(삼성)
이종욱
(두산)
심정수
(삼성)
이대형
(LG)
양준혁
(삼성)
2008김광현
(SK)
강민호
(롯데)
김태균
(한화)
조성환
(롯데)
김동주
(두산)
박기혁
(롯데)
이종욱
(두산)
김현수
(두산)
가르시아
(롯데)
홍성흔
(롯데)[16]
2009로페즈
(KIA)
김상훈
(KIA)
최희섭
(KIA)
정근우
(SK)
김상현
(KIA)
손시헌
(두산)
박용택
(LG)
김현수
(두산)
이택근
(히어로즈)
홍성흔
(롯데)
2010류현진
(한화)
조인성
(LG)
최준석
(두산)
조성환
(롯데)
이대호
(롯데)
강정호
(넥센)
이종욱
(두산)
김현수
(두산)
김강민
(SK)
홍성흔
(롯데)
2011윤석민
(KIA)
강민호
(롯데)
이대호
(롯데)
안치홍
(KIA)
최정
(SK)
이대수
(한화)
이용규
(KIA)
최형우
(삼성)
손아섭
(롯데)
홍성흔
(롯데)
2012장원삼
(삼성)
강민호
(롯데)
박병호
(넥센)
서건창
(넥센)
최정
(SK)
강정호
(넥센)
이용규
(KIA)
박용택
(LG)
손아섭
(롯데)
이승엽
(삼성)
2013손승락
(넥센)
강민호
(롯데)
박병호
(넥센)
정근우
(한화)[17]
최정
(SK)
강정호
(넥센)
박용택
(LG)
최형우
(삼성)
손아섭
(롯데)
이병규
(LG)
2014밴 헤켄
(넥센)
양의지
(두산)
박병호
(넥센)
서건창
(넥센)
박석민
(삼성)
강정호
(넥센)
나성범
(NC)
최형우
(삼성)
손아섭
(롯데)
이승엽
(삼성)
2015해커
(NC)
양의지
(두산)
테임즈
(NC)
나바로
(삼성)
박석민
(NC)[18]
김재호
(두산)
나성범
(NC)
김현수
(두산)
유한준
(kt)[19]
이승엽
(삼성)
2016니퍼트
(두산)
양의지
(두산)
테임즈
(NC)
서건창
(넥센)
최정
(SK)
김재호
(두산)
김주찬
(KIA)
최형우
(KIA)[20]
김재환
(두산)
김태균
(한화)
2017양현종
(KIA)
강민호
(삼성)[21]
이대호
(롯데)
안치홍
(KIA)
최정
(SK)
김선빈
(KIA)
버나디나
(KIA)
최형우
(KIA)
손아섭
(롯데)
박용택
(LG)
2018린드블럼
(두산)
양의지
(두산)[22]
박병호
(넥센)
안치홍
(KIA)
허경민
(두산)
김하성
(넥센)
이정후
(넥센)
전준우
(롯데)
김재환
(두산)
이대호
(롯데)
2019린드블럼
(두산)
양의지
(NC)
박병호
(키움)
박민우
(NC)
최정
(SK)
김하성
(키움)
이정후
(키움)
샌즈
(키움)
로하스
(kt)
페르난데스
(두산)
2020알칸타라
(두산)
양의지
(NC)
강백호
(kt)
박민우
(NC)
황재균
(kt)
김하성
(키움)
이정후
(키움)
김현수
(LG)
로하스
(kt)
최형우
(KIA)
2021미란다
(두산)
강민호
(삼성)
강백호
(kt)
정은원
(한화)
최정
(SSG)
김혜성
(키움)
이정후
(키움)
홍창기
(LG)
구자욱
(삼성)
양의지
(NC)
2022안우진
(키움)
양의지
(두산)[23]
박병호
(kt)
김혜성
(키움)
최정
(SSG)
오지환
(LG)
이정후
(키움)
나성범
(KIA)
피렐라
(삼성)
이대호
(롯데)
2023페디
(NC)
양의지
(두산)
오스틴
(LG)
김혜성
(키움)
노시환
(한화)
오지환
(LG)
박건우
(NC)
홍창기
(LG)
구자욱
(삼성)
손아섭
(NC)


3. 1. 연도별 수상자 명단 (1982~현재)

1982년 한국 프로 야구가 출범한 이후 2023년까지 KBO 골든글러브 수상자 명단은 다음과 같다.

연도투수포수1루수2루수3루수유격수외야수지명 타자
1982황태환
(OB)
김용운
(MBC)
김용달
(MBC)
차영화
(해태)
김용희
(롯데)
오대석
(삼성)
김준환
(해태)
김성관
(롯데)
양승관
(삼미)
1983장명부
(삼미)
이만수
(삼성)
신경식
(OB)
정구선
(삼미)
김용희
(롯데)
김재박
(MBC)
장효조
(삼성)
김종모
(해태)
박종훈
(OB)
1984최동원
(롯데)
이만수
(삼성)
김용철
(롯데)
정구선
(삼미)
이광은
(MBC)
김재박
(MBC)
홍문종
(롯데)
장효조
(삼성)
김종모
(해태)
양세종
(OB)
1985김시진
(삼성)
이만수
(삼성)
김성한
(해태)
정구선
(청보)
이순철
(해태)
김재박
(MBC)
장효조
(삼성)
이광은
(MBC)
박종훈
(OB)
김용희
(롯데)
1986선동열
(해태)
이만수
(삼성)
김성한
(해태)
김성래
(삼성)
한대화
(해태)
김재박
(MBC)
장효조
(삼성)
김종모
(해태)
이광은
(MBC)
김봉연
(해태)
1987김시진
(삼성)
이만수
(삼성)
김성한
(해태)
김성래
(삼성)
한대화
(해태)
류중일
(삼성)
장효조
(삼성)
김종모
(해태)
이광은
(MBC)
유승안
(빙그레)
1988선동열
(해태)
장채근
(해태)
김성한
(해태)
김성래
(삼성)
한대화
(해태)
장종훈
(빙그레)
이강돈
(빙그레)
이정훈
(빙그레)
이순철
(해태)
김용철
(롯데)
1989선동열
(해태)
유승안
(빙그레)
김성한
(해태)
강기웅
(삼성)
한대화
(해태)
김재박
(MBC)
고원부
(빙그레)
김일권
(태평양)
이강돈
(빙그레)
박철우
(해태)
1990선동열
(해태)
김동수
(LG)
김상훈
(LG)
강기웅
(삼성)
한대화
(해태)
장종훈
(빙그레)
이강돈
(빙그레)
이호성
(해태)
이정훈
(빙그레)
박승호
(삼성)
1991선동열
(해태)
장채근
(해태)
김성한
(해태)
박정태
(롯데)
한대화
(해태)
류중일
(삼성)
이순철
(해태)
이호성
(해태)
이정훈
(빙그레)
장종훈
(빙그레)
1992염종석
(롯데)
장채근
(해태)
장종훈
(빙그레)
박정태
(롯데)
송구홍
(LG)
박계원
(롯데)
이순철
(해태)
김응국
(롯데)
이정훈
(빙그레)
김기태
(쌍방울)
1993선동열
(해태)
김동수
(LG)
김성래
(삼성)
강기웅
(삼성)
한대화
(LG)[12]
이종범
(해태)
이순철
(해태)
전준호
(롯데)
김광림
(쌍방울)[13]
김기태
(쌍방울)
1994정명원
(태평양)
김동수
(LG)
서용빈
(LG)
박종호
(LG)
한대화
(LG)
이종범
(해태)
윤덕규
(태평양)
김재현
(LG)
박노준
(쌍방울)
김기태
(쌍방울)
1995이상훈
(LG)
김동수
(LG)
장종훈
(한화)
이명수
(OB)
홍현우
(해태)
김민호
(OB)
김광림
(쌍방울)
전준호
(롯데)
김상호
(OB)
김형석
(OB)
1996구대성
(한화)
박경완
(쌍방울)
김경기
(현대)
박정태
(롯데)
홍현우
(해태)
이종범
(해태)
박재홍
(현대)
김응국
(롯데)
양준혁
(삼성)
박재용
(해태)
1997이대진
(해태)
김동수
(LG)
이승엽
(삼성)
최태원
(쌍방울)
홍현우
(해태)
이종범
(해태)
박재홍
(현대)
이병규
(LG)
양준혁
(삼성)
박재용
(해태)
1998정민태
(현대)
박경완
(현대)
이승엽
(삼성)
박정태
(롯데)
김한수
(삼성)
유지현
(LG)
박재홍
(현대)
김재현
(LG)
전준호
(현대)
양준혁
(삼성)
1999정민태
(현대)
김동수
(삼성)[14]
이승엽
(삼성)
박정태
(롯데)
김한수
(삼성)
유지현
(LG)
정수근
(두산)
이병규
(LG)
호세
(롯데)
로마이어
(한화)
2000임선동
(현대)
박경완
(현대)
이승엽
(삼성)
박종호
(현대)
김동주
(두산)
박진만
(현대)
박재홍
(현대)
이병규
(LG)
송지만
(한화)
우즈
(두산)
2001신윤호
(LG)
홍성흔
(두산)
이승엽
(삼성)
안경현
(두산)
김한수
(삼성)
박진만
(현대)
정수근
(두산)
이병규
(LG)
심재학
(두산)
양준혁
(LG)
2002송진우
(한화)
진갑용
(삼성)
이승엽
(삼성)
김종국
(KIA)
김한수
(삼성)
브리또
(삼성)
이종범
(KIA)
심정수
(현대)
송지만
(한화)
마해영
(삼성)
2003정민태
(현대)
김동수
(현대)
이승엽
(삼성)
안경현
(두산)
김한수
(삼성)
홍세완
(KIA)
이종범
(KIA)
심정수
(현대)
양준혁
(삼성)
김동주
(두산)
2004배영수
(삼성)
홍성흔
(두산)
양준혁
(삼성)
박종호
(삼성)
김한수
(삼성)
박진만
(삼성)[15]
브룸바
(현대)
이병규
(LG)
박한이
(삼성)
김기태
(SK)
2005손민한
(롯데)
진갑용
(삼성)
김태균
(한화)
안경현
(두산)
이범호
(한화)
손시헌
(두산)
서튼
(현대)
이병규
(LG)
데이비스
(한화)
김재현
(SK)
2006류현진
(한화)
진갑용
(삼성)
이대호
(롯데)
정근우
(SK)
이범호
(한화)
박진만
(삼성)
이용규
(KIA)
이택근
(현대)
박한이
(삼성)
양준혁
(삼성)
2007리오스
(두산)
박경완
(SK)
이대호
(롯데)
고영민
(두산)
김동주
(두산)
박진만
(삼성)
이종욱
(두산)
심정수
(삼성)
이대형
(LG)
양준혁
(삼성)
2008김광현
(SK)
강민호
(롯데)
김태균
(한화)
조성환
(롯데)
김동주
(두산)
박기혁
(롯데)
이종욱
(두산)
김현수
(두산)
가르시아
(롯데)
홍성흔
(롯데)[16]
2009로페즈
(KIA)
김상훈
(KIA)
최희섭
(KIA)
정근우
(SK)
김상현
(KIA)
손시헌
(두산)
박용택
(LG)
김현수
(두산)
이택근
(히어로즈)
홍성흔
(롯데)
2010류현진
(한화)
조인성
(LG)
최준석
(두산)
조성환
(롯데)
이대호
(롯데)
강정호
(넥센)
이종욱
(두산)
김현수
(두산)
김강민
(SK)
홍성흔
(롯데)
2011윤석민
(KIA)
강민호
(롯데)
이대호
(롯데)
안치홍
(KIA)
최정
(SK)
이대수
(한화)
이용규
(KIA)
최형우
(삼성)
손아섭
(롯데)
홍성흔
(롯데)
2012장원삼
(삼성)
강민호
(롯데)
박병호
(넥센)
서건창
(넥센)
최정
(SK)
강정호
(넥센)
이용규
(KIA)
박용택
(LG)
손아섭
(롯데)
이승엽
(삼성)
2013손승락
(넥센)
강민호
(롯데)
박병호
(넥센)
정근우
(한화)[17]
최정
(SK)
강정호
(넥센)
박용택
(LG)
최형우
(삼성)
손아섭
(롯데)
이병규
(LG)
2014밴 헤켄
(넥센)
양의지
(두산)
박병호
(넥센)
서건창
(넥센)
박석민
(삼성)
강정호
(넥센)
나성범
(NC)
최형우
(삼성)
손아섭
(롯데)
이승엽
(삼성)
2015해커
(NC)
양의지
(두산)
테임즈
(NC)
나바로
(삼성)
박석민
(NC)[18]
김재호
(두산)
나성범
(NC)
김현수
(두산)
유한준
(kt)[19]
이승엽
(삼성)
2016니퍼트
(두산)
양의지
(두산)
테임즈
(NC)
서건창
(넥센)
최정
(SK)
김재호
(두산)
김주찬
(KIA)
최형우
(KIA)[20]
김재환
(두산)
김태균
(한화)
2017양현종
(KIA)
강민호
(삼성)[21]
이대호
(롯데)
안치홍
(KIA)
최정
(SK)
김선빈
(KIA)
버나디나
(KIA)
최형우
(KIA)
손아섭
(롯데)
박용택
(LG)
2018린드블럼
(두산)
양의지
(두산)[22]
박병호
(넥센)
안치홍
(KIA)
허경민
(두산)
김하성
(넥센)
이정후
(넥센)
전준우
(롯데)
김재환
(두산)
이대호
(롯데)
2019린드블럼
(두산)
양의지
(NC)
박병호
(키움)
박민우
(NC)
최정
(SK)
김하성
(키움)
이정후
(키움)
샌즈
(키움)
로하스
(kt)
페르난데스
(두산)
2020알칸타라
(두산)
양의지
(NC)
강백호
(kt)
박민우
(NC)
황재균
(kt)
김하성
(키움)
이정후
(키움)
김현수
(LG)
로하스
(kt)
최형우
(KIA)
2021미란다
(두산)
강민호
(삼성)
강백호
(kt)
정은원
(한화)
최정
(SSG)
김혜성
(키움)
이정후
(키움)
홍창기
(LG)
구자욱
(삼성)
양의지
(NC)
2022안우진
(키움)
양의지
(두산)[23]
박병호
(kt)
김혜성
(키움)
최정
(SSG)
오지환
(LG)
이정후
(키움)
나성범
(KIA)
피렐라
(삼성)
이대호
(롯데)
2023페디
(NC)
양의지
(두산)
오스틴
(LG)
김혜성
(키움)
노시환
(한화)
오지환
(LG)
박건우
(NC)
홍창기
(LG)
구자욱
(삼성)
손아섭
(NC)


3. 2. 베스트 10 수상자 (1982, 1983)

KBO 골든글러브는 원년인 1982년과 1983년에는 수비율만으로 시상했으며, 현재의 골든글러브와 비슷한 성격의 상으로는 '''베스트 10'''이 있었다.[24] 당시 골든글러브는 언론 보도가 거의 되지 않을 정도로 중요도가 낮았지만, 베스트 10은 언론에서 크게 보도했다.[24] 1984년부터 베스트 10과 통합되면서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 따라서 1982년과 1983년 두 시즌의 현재 골든글러브 수상자 개념에 부합하는 수상자는 베스트 10 명단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1982년 베스트 10 수상자는 박철순(OB 베어스), 이만수(삼성 라이온즈), 김봉연(해태 타이거즈), 구천서(OB 베어스), 이광은(MBC 청룡), 오대석(삼성 라이온즈), 이종도(MBC 청룡), 장태수(삼성 라이온즈), 윤동균(OB 베어스), 백인천(MBC 청룡)이다.

1983년 베스트 10 수상자는 장명부(삼미 슈퍼스타스), 김무종(해태 타이거즈), 김성한(해태 타이거즈), 김인식(MBC 청룡), 김용희(롯데 자이언츠), 김재박(MBC 청룡), 김종모(해태 타이거즈), 김일권(해태 타이거즈), 장효조(삼성 라이온즈), 김봉연(해태 타이거즈)이다. 외야수의 경우 지금의 골든글러브와 다르게 좌익수, 중견수, 우익수를 나눠서 시상했다.[24]

4. 기록

해태 타이거즈72회삼성 라이온즈72회두산 베어스
OB 베어스52회LG 트윈스
MBC 청룡50회롯데 자이언츠47회한화 이글스
빙그레 이글스31회키움 히어로즈30회현대 유니콘스
태평양 돌핀스
청보 핀토스
삼미 슈퍼스타즈30회SSG 랜더스
SK 와이번스17회NC 다이노스14회KT 위즈7회쌍방울 레이더스7회



#내용'기타
부문별한 부문의 개인 최다 연속 수상7년 연속 수상
개인 통산 최다 수상10개
최다 부문 개인 수상3개 부문 수상
한국시리즈 관련한국시리즈 우승 팀 최다 수상6개 부문 수상 : 해태 타이거즈(1991년)
한국시리즈 우승 팀 최소 수상 :수상자 없음 : SK 와이번스 : (2018년)
한국시리즈 준우승 팀 최소 수상수상자 없음 : LG 트윈스(2002년), SK 와이번스(2003년), 삼성 라이온즈(2010년), 두산 베어스(2013년, 2017년)
역대 최다 수상팀72개 골든글러브 수상자 배출 : KIA 타이거즈, 삼성 라이온즈
한 시즌 최다 수상팀6개 부문 수상 : 해태 타이거즈(1991년)
나이 관련최고령 수상자40세 11개월 27일 : 최형우(2024년)
최연소 수상자 :19세 2개월 9일 : 김재현(1994년)
득표 관련최다 득표 수상자350표 득표 : 이종욱(2007년, 총 397표, 득표율 88.2%)
최다 득표율 수상자99.26% : 마해영(2002년, 총 272표 중 270표 득표)
최소 표차 수상자2표차 : 정구선(1983년 2루수 부문, 29표 득표, 2위:김인식, 27표 득표)
     김동수(1994년 포수 부문, 101표 득표, 2위:김동기, 99표 득표)
     양준혁(2001년 지명타자 부문, 104표 득표, 2위:호세, 102표 득표)
     조인성(2010년 포수 부문, 167표 득표, 2위:박경완, 165표 득표)
최다 득표 탈락자189표 : 이택근(2007년 외야수 부문, 총 397표, 3위 수상자는 이대형 : 208표 득표)
고졸 신인 수상자염종석(1992년), 김재현(1994년), 류현진(2006년)


4. 1. 최다 수상 기록

해태 타이거즈72회삼성 라이온즈72회두산 베어스
OB 베어스52회LG 트윈스
MBC 청룡50회롯데 자이언츠47회한화 이글스
빙그레 이글스31회키움 히어로즈30회현대 유니콘스
태평양 돌핀스
청보 핀토스
삼미 슈퍼스타즈30회SSG 랜더스
SK 와이번스17회NC 다이노스14회KT 위즈7회쌍방울 레이더스7회



KIA 타이거즈(해태 타이거즈 포함)와 삼성 라이온즈는 각각 72회 수상으로 치열한 경쟁 구도를 보이고 있다.

4. 1. 1. 최다 수상자

이승엽은 10회(1루수 부문 7회, 지명타자 부문 3회)로 KBO 골든글러브 최다 수상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포지션별 최다 수상자는 다음과 같다.

포지션별 최다 수상자
부문수상 횟수선수명
투수6회선동열
포수8회양의지
1루수7회이승엽
2루수5회박정태
3루수8회한대화, 최정
유격수5회김재박, 박진만
외야수6회이병규
지명타자4회김기태, 양준혁, 홍성흔



최다 수상 횟수 순위는 다음과 같다.

최다 수상자
수상 횟수선수명
10회이승엽
9회양의지
8회한대화, 양준혁, 최정
7회김동수, 이병규, 이대호, 최형우, 강민호
6회김성한, 선동열, 이종범, 김한수, 홍성흔, 박병호, 손아섭
5회장효조, 이만수, 김재박, 이순철, 박정태, 장종훈, 박진만, 김현수, 이정후
4회이광은, 김종모, 이정훈, 김성래, 박재홍, 김기태, 박경완, 김동주, 박용택, 강정호, 김혜성


4. 1. 2. 포지션별 최다 수상자

포지션별 최다 수상자
부문수상 횟수선수명
투수6회선동열
포수9회양의지
1루수7회이승엽
2루수5회박정태
3루수8회한대화 최정
유격수5회김재박 박진만
외야수7회이병규
지명타자4회김기태 양준혁 홍성흔


4. 1. 3. 구단별 역대 수상 횟수

해태 타이거즈72회삼성 라이온즈72회두산 베어스
OB 베어스52회LG 트윈스
MBC 청룡50회롯데 자이언츠47회한화 이글스
빙그레 이글스31회키움 히어로즈30회현대 유니콘스
태평양 돌핀스
청보 핀토스
삼미 슈퍼스타즈30회SSG 랜더스
SK 와이번스17회NC 다이노스14회KT 위즈7회쌍방울 레이더스7회



KIA 타이거즈(해태 타이거즈 포함)와 삼성 라이온즈는 각각 72회 수상으로 치열한 경쟁 구도를 보이고 있다. 이는 두 팀이 한국 프로야구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음을 보여준다.

4. 2. 기타 기록

wikitext

4. 2. 1. 한국시리즈 관련 기록

2018년 한국시리즈 우승 팀은 SK 와이번스였으나, 골든글러브 수상자를 배출하지 못했다. 이는 매우 이례적인 기록으로, SK 와이번스의 선수 기용 방식과 골든글러브 선정 기준에 대한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4. 2. 2. 나이 관련 기록

KBO 골든글러브 최고령 수상자는 2023년 지명타자 부문 수상자인 삼성 라이온즈의 최형우이며, 수상 당시 나이는 만 40세 0개월 11일이었다. 반면, 최연소 수상자는 1994년 외야수 부문 수상자인 LG 트윈스김재현으로, 수상 당시 나이는 만 19세 2개월 10일이었다.

4. 2. 3. 득표 관련 기록

4. 2. 4. 고졸 신인 수상자

고졸 신인으로서는 1992년 롯데 자이언츠의 투수 염종석을 시작으로, 1994년 LG 트윈스의 외야수 김재현, 2006년 한화 이글스의 투수 류현진까지 3명이 KBO 골든글러브를 수상했다.

5. 외국인 선수 수상자

KBO 리그 각 구단은 최대 3명의 외국인 선수(투수 2명, 포지션 플레이어 1명)를 계약할 수 있다.[7] 다음은 KBO 골든글러브를 수상한 외국인 선수 목록이다.

5. 1. 수상자 목록

KBO 리그 각 구단은 최대 3명의 외국인 선수(투수 2명, 포지션 플레이어 1명)를 계약할 수 있다.[7] 다음은 KBO 골든글러브를 수상한 외국인 선수 목록이다.

6. 논란 및 비판

참조

[1] 웹사이트 A Brief Introduction to Some KBO Awards https://blogs.fangra[...] 2020-05-15
[2] 뉴스 Kim Sang-hoon Hits Jackpot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09-11-11
[3] 웹사이트 (LEAD) KBO's regular season MVP claims Golden Glove https://en.yna.co.kr[...] 2019-12-09
[4] 웹사이트 (LEAD) Star catcher earns near-unanimous support for KBO's Golden Glove https://en.yna.co.kr[...] 2020-12-11
[5] 웹사이트 Repeat winners return for more at 2021 Golden Glove Awards https://koreajoongan[...] 2021-12-12
[6] 웹사이트 Kbo 홈페이지 https://www.koreabas[...]
[7] 뉴스 Give foreign players fair shot at Golden Gloves https://koreajoongan[...] Korea JoongAng Daily 2013-12-17
[8] 웹사이트 Former Tiger Van Hekken still wants to pitch https://www.freep.co[...]
[9] 웹사이트 U.S. Ambassador to the Republic of Korea gives out Golden Glove Award to KBO's best ... DH? https://www.mlb.com/[...] 2015-12-08
[10] 웹사이트 American ace Lindblom closes KBO chapter with 2nd, likely last, Golden Glove https://en.yna.co.kr[...] 2019-12-09
[11] 웹사이트 KBO's regular season MVP claims Golden Glove https://en.yna.co.kr[...] 2019-12-09
[12] 문서 1993년 시즌을 해태에서 보냈지만 시즌 종료 후 트레이드로 LG에 입단 후 수상
[13] 문서 1993년 시즌을 OB에서 보냈지만 시즌 종료 후 트레이드로 쌍방울에 입단 후 수상
[14] 문서 1999년 시즌을 LG에서 보냈지만 시즌 종료 후 FA로 삼성에 입단 후 수상
[15] 문서 2004년 시즌을 현대에서 보냈지만 시즌 종료 후 FA로 삼성에 입단 후 수상
[16] 문서 2008년 시즌을 두산에서 보냈지만 시즌 종료 후 FA로 롯데에 입단 후 수상
[17] 문서 2013년 시즌을 SK에서 보냈지만 시즌 종료 후 FA로 한화에 입단 후 수상
[18] 문서 2015년 시즌을 삼성에서 보냈지만 시즌 종료 후 FA로 NC에 입단 후 수상
[19] 문서 2015년 시즌을 넥센에서 보냈지만 시즌 종료 후 FA로 kt에 입단 후 수상
[20] 문서 2016년 시즌을 삼성에서 보냈지만 시즌 종료 후 FA로 KIA에 입단 후 수상
[21] 문서 2017년 시즌을 롯데에서 보냈지만 시즌 종료 후 FA로 삼성에 입단 후 수상
[22] 문서 2018시즌이 끝나고 NC 다이노스로 이적하였지만, 시상식 당시는 두산 베어스 소속이었다. (시상식 끝나고 다음날 NC 다이노스와 계약.)
[23] 문서 2022년 시즌을 NC에서 보냈지만 시즌 종료 후 FA로 두산에 입단 후 수상
[24]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luckcrow.eglo[...] 2021-1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