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르부르크 바이러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르부르크 바이러스는 필로바이러스과에 속하는 RNA 바이러스로, 마르부르크 바이러스병(MVD)을 일으킨다. 1967년 독일 마르부르크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감염된 원숭이 조직에 노출된 연구원들을 통해 발병했다. 마르부르크 바이러스는 게놈 구조와 구조 단백질을 가지며, 세포 침투 및 복제 과정을 거쳐 감염을 일으킨다. 이집트 과일 박쥐가 바이러스의 자연 숙주로 추정되며, 마르부르크 바이러스는 여러 유행을 일으켜 높은 치사율을 보였다. 현재까지 효과적인 백신은 개발되지 않았으며, 생물 무기로 사용될 가능성도 제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로바이러스과 - 에볼라바이러스속
    에볼라바이러스속은 단일 가닥 음성 RNA 바이러스목에 속하는 사상형 외피 바이러스로, 영장목에 높은 감염력을 보이며 종에 따라 치사율이 높아 치명적인 병원체로 분류되고, 현재까지 6가지 종이 확인되었다.
  • 출혈열 - 한타바이러스
    한타바이러스는 신증후성 출혈열과 한타바이러스심폐증후군을 유발하며, 설치류의 배설물을 통해 전파되고, 예방을 위해 설치류 접촉을 피해야 하며, 대한민국에서는 감염병예방법에 따라 관리된다.
  • 출혈열 - 신증후군 출혈열
    신증후군 출혈열은 부니야바이러스과 한탄바이러스속 바이러스로 인해 발생하며 들쥐 배설물로 감염되어 발열, 출혈, 신부전 증상을 보이는 급성 열성 질환으로, 한국에서 유행 후 병원체가 발견 및 백신 개발되었고 유라시아 지역, 특히 중국에서 많이 발생한다.
  • 절지동물 매개 바이러스성 질병 - 에볼라 출혈열
    에볼라 출혈열은 에볼라바이러스속 바이러스로 인해 발생하는 급성 열성 출혈 질환으로, 독감 유사 증상으로 시작하여 구토, 설사, 출혈을 동반하며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르지만, 효과적인 백신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고 치료는 증상 완화에 집중하며 감염 예방을 위한 격리 및 위생 관리가 중요하다.
  • 절지동물 매개 바이러스성 질병 - 신증후군 출혈열
    신증후군 출혈열은 부니야바이러스과 한탄바이러스속 바이러스로 인해 발생하며 들쥐 배설물로 감염되어 발열, 출혈, 신부전 증상을 보이는 급성 열성 질환으로, 한국에서 유행 후 병원체가 발견 및 백신 개발되었고 유라시아 지역, 특히 중국에서 많이 발생한다.
마르부르크 바이러스
개요
마르부르크 바이러스의 투과 전자 현미경 사진
마르부르크 바이러스의 투과 전자 현미경 사진
상위 분류마르부르크바이러스속
마르부르크 마르부르크바이러스
바이러스마르부르크 바이러스
상세 정보
질병마르부르크 출혈열
병원체 등급카테고리 A 생물학적 작용제
수출 통제 대상 생물학적 작용제
위험도매우 높음
전염 경로감염된 동물 또는 사람과의 직접 접촉
예방노출 방지, 개인 보호 장비 착용
치료대증 요법 (수액 공급, 혈압 유지 등)

2. 역사

마르부르크 바이러스는 1967년 독일 마르부르크, 프랑크푸르트와 유고슬라비아 베오그라드에서 발생한 마르부르크 바이러스병 발병 중에 처음 발견되었다.[11]

마르부르크바이러스는 ''마르부르크바이러스'' 종의 두 구성원 중 하나이며, 이 종은 ''마르부르크바이러스'' 속, 필로바이러스과, 단선 RNA 바이러스목에 속한다. 마르부르크바이러스라는 이름은 바이러스가 처음 발견된 독일 헤세주의 마르부르크와 생물 분류학의 접미사 "바이러스"에서 유래되었다.[13]

1967년에 마르부르크바이러스라는 이름이 처음 소개되었다.[11] 2005년에 레이크 빅토리아 마르부르크바이러스로 이름이 변경되었으나, 바이러스 생물과 종 전체를 구별하는 유일한 차이점이 이탤릭체 사용뿐이어서 혼란을 야기했다.[14][15][16] 대부분의 과학 논문에서는 마르부르크바이러스라는 이름을 계속 사용했기 때문에, 2010년에는 마르부르크바이러스라는 이름이 복원되었고 종 이름이 변경되었다.[13]

2. 1. 발견

마르부르크 바이러스는 1967년에 처음 기술되었다.[11] 같은 해 독일 마르부르크, 프랑크푸르트와 유고슬라비아 베오그라드에서 발생한 마르부르크 바이러스병 발병 중에 발견되었다. 실험실 직원들은 당시 Hoechst의 일부였고 나중에 CSL Behring의 일부가 된 마르부르크의 주요 산업 플랜트인 Behringwerke|베링베르케de에서 감염된 그리벳 원숭이(아프리카 녹색 원숭이, ''Chlorocebus aethiops'') 조직에 노출되었다. 유행 기간 동안 31명이 감염되었고 그 중 7명이 사망했다.[12]

2. 2. 명명

마르부르크바이러스는 ''마르부르크바이러스'' 종의 두 구성원 중 하나이며, 이 종은 ''마르부르크바이러스'' 속, 필로바이러스과, 단선 RNA 바이러스목에 속한다. 마르부르크바이러스라는 이름은 바이러스가 처음 발견된 독일 헤세주의 마르부르크와 생물 분류학의 접미사 "바이러스"에서 유래되었다.[13]

1967년에 마르부르크바이러스라는 이름이 처음 소개되었다.[11] 2005년에는 바이러스 이름이 레이크 빅토리아 마르부르크바이러스로 변경되었으나, 마르부르크바이러스 생물과 그 종 전체를 구별하는 유일한 차이점이 이탤릭체 사용뿐이어서 혼란을 야기했다(예: ''레이크 빅토리아 마르부르크바이러스'').[14][15][16]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과학 논문에서는 마르부르크바이러스라는 이름을 계속 사용했다. 결과적으로 2010년에는 마르부르크바이러스라는 이름이 복원되었고, 종 이름이 변경되었다.[13]

3. 바이러스학

마르부르크 바이러스의 현미경 사진


마르부르크 바이러스의 컬러 전자 현미경 사진


모든 필로바이러스와 마찬가지로, 마르부르크 바이러스 입자는 지팡이 모양, "U"자 모양, "6"자 모양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꼬이거나, 토로이드 모양, 또는 분기될 수 있다.[6] 마르부르크 바이러스 입자는 일반적으로 이 80nm이지만, 길이는 다소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마르부르크 바이러스의 중간 입자 길이는 795nm~828nm이다. 하지만 14000nm에 달하는 입자도 조직 배양에서 검출되었다.[19]

마르부르크 바이러스 입자는 7개의 구조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다. 중앙에는 나선형 리보핵캡시드가 있는데, 이것은 핵단백질 (NP) 중합체 주위에 감싸인 유전체 RNA로 구성된다. 리보핵단백질과 관련된 것은 RNA 의존성 RNA 중합 효소(L)와 중합 효소 보조 인자(VP35) 및 전사 활성제(VP30)이다. 리보핵단백질은 주요(VP40) 및 부(VP24) 매트릭스 단백질에 의해 형성된 매트릭스에 내장되어 있다. 이 입자들은 숙주 세포막에서 파생된 지질 막으로 둘러싸여 있다. 막은 표면에서 7nm~10nm 스파이크를 돌출시키는 당단백질(GP1,2)을 고정한다. 구조는 에볼라바이러스 입자와 거의 동일하지만, 마르부르크 바이러스 입자는 항원적으로 다르다.[20]

니만-픽 C1(NPC1) 콜레스테롤 수송 단백질은 에볼라 바이러스와 마르부르크 바이러스 모두의 감염에 필수적인 것으로 보인다. ''네이처''에 실린 두 개의 독립적인 연구에서 에볼라 바이러스의 세포 침투와 복제에 NPC1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21][22] NPC1이 없는 환자의 세포를 실험실에서 에볼라 바이러스에 노출시키자 세포는 생존했으며 바이러스에 면역 반응을 보였는데, 이는 에볼라 바이러스가 세포 침투에 NPC1에 의존한다는 것을 더욱 시사한다. 이는 인간의 NPC1 유전자의 유전적 돌연변이가 일부 사람들을 인간에게 영향을 미치는 가장 치명적인 바이러스 중 하나에 저항하게 만들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같은 연구에서 마르부르크 바이러스에 대해서도 유사한 결과가 설명되었으며, 마르부르크 바이러스 또한 세포 침투에 NPC1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21][22]

또한, NPC1이 필로바이러스 침투에 중요하다는 것이 밝혀졌는데, 그 이유는 NPC1이 바이러스 외피 당단백질에 직접 결합하여 감염을 매개하기 때문이며,[22] NPC1의 두 번째 리소좀 도메인이 이러한 결합을 매개한다.[23]

모든 단일나선형 RNA 바이러스처럼, 마버그 바이러스 입자는 감염성이 없는 선형, 비분절, 단일 가닥 RNA 게놈을 포함하며, 음성 극성을 가지고, 역상보적인 3' 및 5' 말단을 가지며, 5' 캡을 가지고 있지 않고, 폴리아데닐화되지 않으며, 공유 결합으로 단백질에 연결되어 있지 않다.[17]

3. 1. 게놈

마버그 바이러스 입자와 유전자


모든 단일나선형 RNA 바이러스처럼, 마버그 바이러스 입자는 감염성이 없는 선형, 비분절, 단일 가닥 RNA 게놈을 포함하며, 음성 극성을 가지고, 역상보적인 3' 및 5' 말단을 가지며, 5' 캡을 가지고 있지 않고, 폴리아데닐화되지 않으며, 공유 결합으로 단백질에 연결되어 있지 않다.[17] 마버그바이러스 게놈은 약 19 kbp 길이이며, 유전자 7개를 3'-UTR-''NP''-''VP35''-''VP40''-''GP''-''VP30''-''VP24''-''L''-5'-UTR 순서로 포함하고 있다.[18]

3. 2. 구조



모든 필로바이러스와 마찬가지로, 마르부르크 바이러스 입자는 지팡이 모양, "U"자 모양, "6"자 모양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꼬이거나, 토로이드 모양, 또는 분기될 수 있다.[6] 마르부르크 바이러스 입자는 일반적으로 이 80nm이지만, 길이는 다소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마르부르크 바이러스의 중간 입자 길이는 795nm~828nm이다(중간 입자 길이가 974nm~1086nm으로 측정된 에볼라바이러스 입자와 대조적으로). 하지만 14000nm에 달하는 입자도 조직 배양에서 검출되었다.[19]

마르부르크 바이러스 입자는 7개의 구조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다. 중앙에는 나선형 리보핵캡시드가 있는데, 이것은 핵단백질 (NP) 중합체 주위에 감싸인 유전체 RNA로 구성된다. 리보핵단백질과 관련된 것은 중합 효소 보조 인자(VP35) 및 전사 활성제(VP30)와 함께 RNA 의존성 RNA 중합 효소(L)이다. 리보핵단백질은 주요(VP40) 및 부(VP24) 매트릭스 단백질에 의해 형성된 매트릭스에 내장되어 있다. 이 입자들은 숙주 세포막에서 파생된 지질 막으로 둘러싸여 있다. 막은 표면에서 7nm~10nm 스파이크를 돌출시키는 당단백질(GP1,2)을 고정한다. 구조는 에볼라바이러스 입자와 거의 동일하지만, 마르부르크 바이러스 입자는 항원적으로 다르다.[20]

3. 3. 세포 침투

니만-픽 C1(NPC1) 콜레스테롤 수송 단백질은 에볼라 바이러스와 마르부르크 바이러스 모두의 감염에 필수적인 것으로 보인다. ''네이처''의 같은 호에 실린 두 개의 독립적인 연구에서 에볼라 바이러스의 세포 침투와 복제에 NPC1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21][22] NPC1이 없는 환자의 세포를 실험실에서 에볼라 바이러스에 노출시키자 세포는 생존했으며 바이러스에 면역 반응을 보였는데, 이는 에볼라 바이러스가 세포 침투에 NPC1에 의존한다는 것을 더욱 시사한다. 이는 인간의 NPC1 유전자의 유전적 돌연변이가 일부 사람들을 인간에게 영향을 미치는 가장 치명적인 바이러스 중 하나에 저항하게 만들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같은 연구에서 마르부르크 바이러스에 대해서도 유사한 결과가 설명되었으며, 마르부르크 바이러스 또한 세포 침투에 NPC1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21][22]

또한, NPC1이 필로바이러스 침투에 중요하다는 것이 밝혀졌는데, 그 이유는 NPC1이 바이러스 외피 당단백질에 직접 결합하여 감염을 매개하기 때문이며,[22] NPC1의 두 번째 리소좀 도메인이 이러한 결합을 매개한다.[23]

원래 연구 중 하나에서, 저분자가 바이러스 당단백질이 NPC1에 결합하는 것을 막아 에볼라 바이러스 감염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2][24] 다른 연구에서는, NPC1에 이형 접합성을 가진 쥐들이 쥐에게 적응된 에볼라 바이러스에 의한 치명적인 공격으로부터 보호받는 것으로 나타났다.[21]

3. 4. 복제

마르부르크 바이러스 복제 주기


마르부르크 바이러스의 생활 주기는 바이러스 입자가 특정 세포 표면 수용체에 부착되면서 시작되며, 이어서 바이러스 외피와 세포막의 융합이 일어나고, 바이러스 뉴클레오캡시드가 세포질로 방출된다.

바이러스 RdRp는 뉴클레오캡시드를 부분적으로 벗기고 전사를 통해 유전자를 양성 가닥 mRNA로 전사시키며, 이 mRNA는 구조 단백질과 비구조 단백질로 번역된다. 마르부르크바이러스 L은 게놈 3' 말단에 위치한 단일 프로모터에 결합한다. 전사는 유전자 후에 종료되거나 다음 하류 유전자로 계속 진행된다. 이는 게놈 3' 말단에 가까운 유전자가 가장 풍부하게 전사되고 5' 말단에 가까운 유전자는 전사될 가능성이 가장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유전자 순서는 간단하지만 효과적인 전사 조절 형태이다.[25]

가장 풍부하게 생성되는 단백질은 뉴클레오단백질이며, 세포 내 뉴클레오단백질의 농도는 L이 유전자 전사에서 게놈 복제로 전환되는 시점을 결정한다. 복제는 완전 길이의 양성 가닥 안티게놈을 생성하며, 이는 다시 음성 가닥 바이러스 자손 게놈 사본으로 전사된다. 새로 합성된 구조 단백질과 게놈은 세포 세포막 내부 근처에서 자체적으로 조립되고 축적된다. 바이러스 입자는 세포에서 출아되어 출아되는 세포막에서 외피를 얻는다. 성숙한 자손 입자는 다른 세포를 감염시켜 주기를 반복한다.[14]

4. 생태

마르부르크 바이러스와 이집트 과일 박쥐의 지리적 분포


2009년, 감염성 MARV가 포획된 건강한 이집트 과일 박쥐(''Rousettus aegyptiacus'')로부터 성공적으로 분리되었다는 보고가 있었다.[54] 이 분리와 감염성 RAVV의 분리는[54] 구세계 과일 박쥐가 마르부르크 바이러스의 자연적 유지에 관여한다는 것을 강력하게 시사한다. 이집트 로세트가 MARV와 RAVV의 실제 숙주인지, 아니면 다른 동물과의 접촉을 통해 감염되어 중간 숙주 역할만 하는지 여부를 밝히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2012년, MARV를 이용한 ''Rousettus aegyptiacus''의 첫 번째 실험적 감염 연구는 이러한 박쥐가 MARV 생태에 관여할 가능성에 대한 추가적인 통찰력을 제공했다.[26]

실험적으로 감염된 박쥐는 최소 5일 동안 지속되는 비교적 낮은 바이러스혈증을 보였지만, 건강을 유지했고 눈에 띄는 육안적 병리를 보이지 않았다. 바이러스는 또한 주요 장기(간 및 비장)와 바이러스 전파에 관여할 수 있는 장기(폐, 장, 생식 기관, 침샘, 신장, 방광 및 유선)에서 높은 역가로 복제되었다. 이 실험에서 관찰된 비교적 긴 바이러스혈증 기간은 감염된 혈액과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한 감수성 척추동물 숙주의 감염 외에도 흡혈 절지동물에 의한 기계적 전파를 촉진할 수 있다.[26]

5. 진화

마르부르크 바이러스는 필로바이러스과 마르부르크바이러스속에 속하는 종인 ''마르부르크바이러스''의 두 구성원 중 하나이다. 마르부르크바이러스라는 이름은 바이러스가 처음 발견된 독일 헤세주 마르부르크의 지명과 생물 분류학에서 사용하는 접미사 "바이러스"를 결합하여 만들어졌다.[13]

1967년 처음 소개된 마르부르크바이러스는[11] 2005년에 레이크 빅토리아 마르부르크바이러스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그러나 바이러스 생물과 그 종 전체를 구분하는 유일한 차이가 이탤릭체 사용(''레이크 빅토리아 마르부르크바이러스'')뿐이어서 혼란을 야기했다.[14][15][16] 대부분의 과학 논문에서는 이전 명칭인 마르부르크바이러스를 계속 사용하였고, 결국 2010년에 마르부르크바이러스라는 이름이 다시 복원되었고 종 이름이 변경되었다.[13]

바이러스 균주는 크게 라븐 바이러스와 마르부르크 바이러스의 두 가지 분기로 나뉜다.[27] 마르부르크 균주는 다시 A와 B로 나눌 수 있는데, A 균주는 우간다(1967년 5개), 케냐(1980년), 앙골라(2004–2005)에서 분리되었고, B 균주는 콩고 민주 공화국 유행(1999–2000)과 2007–2009년에 분리된 우간다 분리체 그룹에서 유래했다.[25]

전체 게놈의 평균 진화 속도는 3.3 × 10−4 치환/사이트/년 (신뢰 구간 2.0–4.8)이다. 마르부르크 균주는 가장 최근 공통 조상의 평균 뿌리 시간이 177.9년 전(95% 최고 사후 밀도 87–284)으로, 19세기 중반에 기원했음을 시사한다. 반면 라븐 균주의 기원은 평균 33.8년 전(1980년대 초)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마르부르크 바이러스 조상의 가장 유력한 위치는 우간다였으며, RAVV 조상의 위치는 케냐였다.

6. 인간 질병

마르부르크 바이러스(MARV)는 라븐 바이러스(RAVV)와 함께 인간에게 마르부르크 바이러스병(MVD)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이다. 마르부르크 바이러스병은 마르부르크 출혈열(MHF)로도 불린다. 이 두 바이러스는 모두 ''마르부르크 마르부르그바이러스'' 종에 속하며, 게놈이 프로토타입 마르부르크 마르부르그바이러스 또는 마르부르크 바이러스 변종 무소케(MARV/Mus)와 뉴클레오타이드 수준에서 10% 미만으로 다르다.[13]

6. 1. 마르부르크 바이러스병 (MVD)

마르부르크 바이러스병(MVD) (문헌에서는 마르부르크 출혈열, MHF로도 자주 언급된다)은 인간에게 발생하는 질병으로, 라븐 바이러스(RAVV)와 함께 마르부르크 바이러스(MARV)가 이 병을 일으키는 두 종류의 바이러스이다. 두 바이러스 모두 ''마르부르크 마르부르그바이러스'' 종에 속하는데, 이는 이들의 게놈이 프로토타입 마르부르크 마르부르그바이러스 또는 마르부르크 바이러스 변종 무소케(MARV/Mus)와 뉴클레오타이드 수준에서 10% 미만으로 다르기 때문이다.[13]

6. 2. 발병 사례

마르부르크 바이러스는 1967년에 처음 기술되었다.[11] 그 해 독일 마르부르크, 프랑크푸르트와 유고슬라비아 베오그라드에서 발생한 마르부르크 바이러스병 발병 중에 발견되었다. 당시 Hoechst의 일부였고 나중에 CSL Behring의 일부가 된 마르부르크의 주요 산업 플랜트인 Behringwerke|베링베르케de에서 실험실 직원들이 감염된 그리벳 원숭이(아프리카 녹색 원숭이, ''Chlorocebus aethiops'')의 조직에 노출되었다. 유행 기간 동안 31명이 감염되었고 그 중 7명이 사망했다.[12]

마르부르크 바이러스 발병 사례
연도발생 지역바이러스환자 수사망자 수치사율비고
1967마르부르크, 서독베오그라드,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MARV31723%실험실 유출[28][11][29][30][31][32][33][34][35]
1975로디지아요하네스버그, 남아프리카 공화국MARV3133%[36][37][38]
1980케냐MARV2150%[39]
1987케냐RAVV11100%[40][41]
1988콜초보, 노보시비르스크주 , 소련11100%실험실 사고[42]
1990콜초보, 노보시비르스크주, 소련MARV11100%실험실 사고[43]
1998–2000두르바, 콩고 민주 공화국 및 와차, 콩고 민주 공화국MARV & RAVV15412883%MARV 및 라븐 바이러스(RAVV) 두 가지 마르부르크 바이러스가 함께 순환하며 질병을 유발. MARV 또는 RAVV 감염으로 인한 환자 수와 사망자 수는 보고되지 않음.[44][45][46]
2004–2005앙골라MARV37432990%[47][48][49][50][51][52][53]
2007우간다MARV & RAVV4125%[54][55]
2008우간다네덜란드MARV11100%[56]
2012우간다MARV18950%[57]
2014우간다MARV11100%[58][59]
2017우간다MARV33100%[60]
2021기니MARV11100%기니 정부는 2021년 8월 2일 시에라리온 및 라이베리아와의 국경 근처인 남부 구에케두 현에서 사망한 환자 표본에서 사례를 발견.[61][62][63]
2022가나MARV4375%현재까지 4건의 사례가 보고되었으며, 유행 가능성에 대한 대비가 이루어지고 있음. 2022년 7월 17일 가나에서 2건의 사례가 확인되었으며,[64] 2022년 7월 27일 추가로 2건이 확인.[65] 가나 마르부르크 바이러스 유행 2022 참조.[66]
2023년 2월적도 기니251144%2023년 적도 기니 마르부르크 바이러스병 유행 참조.[67][68]
2023년 3월탄자니아8563%2023년 탄자니아 마르부르크 바이러스병 유행 참조.[69]
2024르완다581322%르완다 마르부르크 바이러스병 유행 참조.[70]


7. 예방

마르부르크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백신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 현재로서는 바이러스 전파를 줄이기 위한 감염 예방 및 관리 조치가 중요하다.

7. 1. 감염 예방 및 통제

다른 유사한 바이러스와 마찬가지로, 바이러스 전파는 적절한 감염 예방 및 관리 조치를 통해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조치에는 청소, 격리, 보호복 착용, 안전한 폐기물 처리, 질병으로 사망한 사람들을 위한 안전한 장례 절차가 포함된다.

7. 2. 백신 개발

마르부르크 바이러스 백신의 효능을 시험하는 첫 번째 임상 연구는 2014년에 수행되었다. 이 연구는 DNA 백신을 시험했으며, 백신을 접종받은 개체는 어느 정도의 항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결론지었다. 그러나 이러한 백신은 확실한 면역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되지 않았다.[71] 햄스터, 생쥐, 비인간 영장류(NHP)와 같은 여러 동물 모델이 마르부르크 바이러스 연구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생쥐는 포유류 질병의 풍부한 모델이므로 백신 개발 초기 단계에서 유용하지만, 생쥐의 면역 체계는 여전히 인간과 다르므로 다른 포유류를 대상으로 한 시험이 필요하다.[72] 이러한 모델 중에서 마카크의 감염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과 가장 유사해 보인다.[73] 다양한 다른 백신이 고려되었다. 바이러스 복제 입자(VRP)는 기니피그에게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지만 NHP에서 시험했을 때는 효능을 잃었다. 또한 불활성화된 바이러스 백신은 효과가 없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DNA 백신은 NHP에서 어느 정도 효능을 보였지만, 접종받은 모든 개체는 감염 징후를 보였다.[74]

마르부르크 바이러스와 에볼라 바이러스는 같은 과인 필로바이러스과에 속하기 때문에 일부 과학자들은 두 바이러스를 위한 단일 주사 백신을 개발하려고 시도했다. 이렇게 하면 백신이 더 실용적이고 개발도상국의 비용을 낮출 수 있다.[75] 단일 주사 백신을 사용하면 두 번의 별도 백신 접종에 비해 백신 접종에 대한 가능한 면역 반응인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71]

rVSV-MARV라는 마르부르크 바이러스에 대한 후보 백신이 있다. 이 백신은 2000년대 초 캐나다 정부에 의해 밀접하게 관련된 에볼라바이러스 백신(RVSV-ZEBOV 백신)과 함께 개발되었으며, 이는 발생 20년 전이었다. rVSV-MARV의 생산 및 시험은 머크 그룹(Merck Group)이 보유한 법적 독점으로 인해 차단되어 있다. 머크는 2014년에 모든 관련 후보 백신에 대한 권리를 획득했지만, 경제적인 이유로 마르부르크 백신을 포함한 대부분의 백신에 대한 연구를 거부했다. 머크는 포기한 백신의 권리를 캐나다 공중 보건국으로 반환했지만, 머크가 획득한 중요한 rVSV 백신 생산 기술 (2019년에 GAVI 자금으로 밀접하게 관련된 rVSV-ZEBOV 백신을 상업적으로 사용)은 머크의 소유로 남아 있으며, rVSV 백신을 개발하려는 다른 누구도 사용할 수 없다.[76][77][78][79]

2022년 6월 23일 현재, 캐나다 공중 보건국과 함께 연구를 진행한 연구원들은 기니피그에서 재조합 수포성 구내염 바이러스(rVSV) 백신인 PHV01의 유망한 결과를 보여주는 연구를 수행했다. 연구에 따르면 바이러스 감염 약 한 달 전에 백신을 접종하면 높은 수준의 보호를 제공했다.[80]

마르부르크 바이러스에 대한 많은 실험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아직까지 뚜렷한 백신은 없다. 인간 백신 접종 시험은 궁극적으로 실패하거나 마르부르크 바이러스와 관련된 데이터가 부족하다.[81] 마르부르크 바이러스를 취급하는 데 필요한 비용, 비교적 적은 수의 사망자 수, 상업적 관심 부족으로 인해 백신의 가능성은 현실화되지 못했다.[82]

8. 생물 무기

소련은 마르부르크 바이러스를 포함한 광범위한 공격 및 방어 생물 무기 프로그램을 운영했다.[83] 냉전 기간 동안 적어도 세 곳의 소련 연구소에서 마르부르크 바이러스 연구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이 연구소들은 자고르스크(오늘날 세르기예프 포사트)의 미생물학 과학 연구소 바이러스학 센터, 콜초보의 과학 생산 협회 "벡토르"(오늘날 국립 바이러스학 및 생명 공학 연구 센터 "벡토르") , 그리고 이르쿠츠크의 시베리아 및 극동 이르쿠츠크 과학 연구 항역병 연구소이다.[83]

마르부르크 바이러스 프로그램은 대부분의 연구가 기밀로 유지되었기 때문에 얼마나 성공적이었는지는 불분명하다. 그러나 소련의 탈주자 켄 알리베크는 카자흐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오늘날 카자흐스탄) 스테프노고르스크의 스테프노고르스크 과학 실험 및 생산 기지에서 마르부르크 바이러스가 채워진 무기가 시험되었다고 주장했다.[83] 이는 마르부르크 바이러스 생물 무기 개발이 상당한 단계에 도달했음을 시사한다. 다만, 이 주장에 대한 독립적인 확인은 부족하다. 알리베크는 냉전 기간 동안 콜초보 연구원 니콜라이 우스티노프가 마르부르크 바이러스 관련 실험실 사고로 사망했다고 처음 자세히 설명했다.[83]

마르부르크 바이러스는 미국 법에 따라 선택 에이전트로 지정되어 있다.[84]

참조

[1] 웹사이트 Ebolavirus and Marburgvirus Infections http://www.cfsph.ias[...]
[2] 웹사이트 Biosafety in Microbiological and Biomedical Laboratories (BMBL) 5th Edition https://www.cdc.gov/[...] 2011-10-16
[3] 웹사이트 Biodefense Category A, B, C Pathogens, NIAID, NIH http://www.niaid.nih[...] 2011-10-16
[4] 웹사이트 Bioterrorism Agents/Diseases http://www.bt.cdc.go[...] 2011-10-16
[5] 웹사이트 List of Biological Agents for Export Control http://www.australia[...] 2011-10-16
[6] 뉴스 Marburg virus disease Fact sheet Updated October 2017 http://www.who.int/m[...] 2017-10
[7] 뉴스 Ebola, Marburg DNA Vaccines Prove Safe in Phase 1 Trial http://www.medscape.[...] Medscape Medical News 2014-09-17
[8] 웹사이트 Evaluating an Ebola and a Marburg Vaccine in Uganda http://clinicaltrial[...] U.S. Department of Health & Human Services
[9] 웹사이트 CryoEM reconstruction of the Marburg virus nucleocapsid https://www.ebi.ac.u[...] 2023-02-18
[10] 논문 Cryo-electron tomography of Marburg virus particles and their morphogenesis within infected cells 2011-11
[11] 논문 "[On the etiology of an unknown human infection originating from monkeys]" 1967-12
[12] 논문 Forty years of marburg virus 2007-11
[13] 논문 Proposal for a revised taxonomy of the family Filoviridae: classification, names of taxa and viruses, and virus abbreviations 2010-12
[14] 서적 Virus Taxonomy—Eighth Report of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n Taxonomy of Viruses Elsevier/Academic Press
[15] 논문 ICTV at the Paris ICV: results of the plenary session and the binomial ballot
[16] 논문 Clarification and guidance on the proper usage of virus and virus species names 2010-04
[17] 서적 Virus Taxonomy—Eighth Report of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n Taxonomy of Viruses Elsevier/Academic Press
[18] 논문 Filoviridae: a taxonomic home for Marburg and Ebola viruses?
[19] 논문 Differentiation of filoviruses by electron microscopy https://zenodo.org/r[...] 1995-12
[20] 논문 The structural basis for filovirus neutralization by monoclonal antibodies 2018-08
[21] 논문 Ebola virus entry requires the cholesterol transporter Niemann-Pick C1 2011-08
[22] 논문 Small molecule inhibitors reveal Niemann-Pick C1 is essential for Ebola virus infection 2011-08
[23] 논문 Ebola virus entry requires the host-programmed recognition of an intracellular receptor 2012-04
[24] 논문 Achilles heel of Ebola viral entry 2011-09
[25] 논문 Forty-five years of Marburg virus research 2012-10
[26] 논문 Virological and serological findings in Rousettus aegyptiacus experimentally inoculated with vero cells-adapted hogan strain of Marburg virus
[27] 논문 Distribution of Marburg virus in Africa: An evolutionary approach 2016-10
[28] 논문 A Forgotten Episode of Marburg Virus Disease: Belgrade, Yugoslavia, 1967 2020-05
[29] 논문 Fatal human disease from vervet monkeys 1967-11
[30] 논문 Agent of disease contracted from green monkeys 1968-05
[31] 논문 Über eine bisher unbekannte, von Affen eingeschleppte Infektionskrankheit: Marburg-Virus-Krankheit http://www.thieme-co[...] 1968
[32] 논문 "[On an infectious disease transmitted by Cercopithecus aethiops. ("Green monkey disease")]" 1968-03
[33] 논문 The Cercopithecus monkey disease in Marburg and Frankfurt (Main), 1967 1969-05
[34] 논문 "[An infectious disease transmitted by Cercopithecus aethiops ("marbury disease") with glial nodule encephalitis]" 1968-07
[35] 서적 Marburg Virus Disease Springer-Verlag
[36] 논문 Outbreake of Marburg virus disease in Johannesburg 1975-11-01
[37] 논문 Haemorrhagic fevers of Africa: an account of two recent outbreaks 1977-03-01
[38] 논문 Epidemiologic investigation of Marburg virus disease, Southern Africa, 1975 1978-11-01
[39] 논문 Marburg-virus disease in Kenya 1982-04-01
[40] 서적 Marburg and Ebola viruses; Advances in Virus Research; 1996
[41] 웹사이트 Outbreak Table | Marburg Hemorrhagic Fever | CDC https://www.cdc.gov/[...]
[42] 논문 Characteristics of Filoviridae: Marburg and Ebola viruses 1999-01-01
[43] 논문 "[A case of a laboratory infection with Marburg fever]"
[44] 논문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between civil war and the Marburg virus. International Committee of Technical and Scientific Coordination of the Durba Epidemic]"
[45] 논문 Risk factors for Marburg hemorrhagic fever,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2003-12-01
[46] 논문 Marburg hemorrhagic fever associated with multiple genetic lineages of virus https://researchonli[...] 2006-08-01
[47] 논문 "[Epidemic of Marburg hemorrhagic fever in Angola]"
[48] 논문 Marburg hemorrhagic fever in Angola--fighting fear and a lethal pathogen 2005-05-01
[49] 논문 Marburgvirus genomics and association with a large hemorrhagic fever outbreak in Angola 2006-07-01
[50] 논문 The Medecins Sans Frontieres intervention in the Marburg hemorrhagic fever epidemic, Uige, Angola, 2005. I. Lessons learned in the hospital 2007-11-01
[51] 논문 The Medecins Sans Frontieres intervention in the Marburg hemorrhagic fever epidemic, Uige, Angola, 2005. II. lessons learned in the community 2007-11-01
[52] 논문 Decreased peripheral health service utilisation during an outbreak of Marburg haemorrhagic fever, Uíge, Angola, 2005 2009-02-01
[53] 논문 Factors associated with Marburg hemorrhagic fever: analysis of patient data from Uige, Angola 2010-06-01
[54] 논문 Isolation of genetically diverse Marburg viruses from Egyptian fruit bats 2009-07-01
[55] 논문 Outbreak of Marburg hemorrhagic fever among miners in Kamwenge and Ibanda Districts, Uganda, 2007 2011-11-01
[56] 논문 Response to imported case of Marburg hemorrhagic fever, the Netherland 2009-08-01
[57] 웹사이트 Marburg hemorrhagic fever outbreak continues in Uganda http://www.healio.co[...] 2012-10-01
[58] 웹사이트 1st LD-Writethru: Deadly Marburg hemorrhagic fever breaks out in Uganda http://www.china.org[...] 2014-10-05
[59] 뉴스 99 in Uganda quarantined after Marburg virus death http://www.cnn.com/2[...] 2014-10-19
[60] 웹사이트 Marburg virus disease – Uganda Disease outbreak news https://www.who.int/[...] 2017-10-25
[61] 웹사이트 Marburg virus disease - Guinea https://www.who.int/[...] 2022-11-29
[62] 논문 Detection of Marburg Virus Disease in Guinea 2022-06-30
[63] 논문 Investigating the Zoonotic Origin of the Marburg Virus Outbreak in Guinea in 2021 https://www.biorxiv.[...] 2022-11-04
[64] 뉴스 Ghana confirms its first outbreak of highly infectious Marburg virus https://www.reuters.[...] 2022-07-18
[65] 뉴스 WHO confirms two more Marburg virus cases in Ghana, says official https://nationalpost[...] 2022-07-27
[66] 웹사이트 Ghana prepares for possible first-ever Marburg virus outbreak https://news.un.org/[...] 2022-07-18
[67] 웹사이트 Equatorial Guinea confirms first-ever Marburg virus disease outbreak https://www.afro.who[...] 2023-02-13
[68] 웹사이트 Death Toll In E. Guinea Marburg Outbreak Rises To 11 https://www.barrons.[...] 2023-02-28
[69] 웹사이트 Five dead as Tanzania detects first-ever Marburg virus outbreak https://www.aljazeer[...] 2023-03-22
[70] 웹사이트 Rwanda reports 8 deaths linked to Ebola-like Marburg virus days after it declared an outbreak https://apnews.com/a[...] 2024-09-30
[71] 논문 Safety and immunogenicity of Ebola virus and Marburg virus glycoprotein DNA vaccines assessed separately and concomitantly in healthy Ugandan adults: a phase 1b, randomis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clinical trial 2015-04
[72] 논문 Marburg virus pathogenesis -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humans and animal models 2019-12
[73] 논문 Natural History of Aerosol Exposure with Marburg Virus in Rhesus Macaques 2016-03
[74] 논문 Vaccines against Ebola virus and Marburg virus: recent advances and promising candidates 2019-10-03
[75] 논문 Single-injection vaccine protects nonhuman primates against infection with marburg virus and three species of ebola virus 2009-07
[76] 웹사이트 MSF's response to CEPI's policy regarding equitable access https://msfaccess.or[...] 2020-04-10
[77] 뉴스 Merck & Co. Licenses NewLink's Ebola Vaccine Candidate http://www.genengnew[...] 2016-01-20
[78] 뉴스 Canadian Ebola vaccine development taken over by Merck https://www.cbc.ca/n[...] 2020-01-10
[79] 간행물 First FDA-approved vaccine for the prevention of Ebola virus disease, marking a critical milestone in public health preparedness and response https://www.fda.gov/[...]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19-12-19
[80] 논문 A Cloned Recombinant Vesicular Stomatitis Virus-Vectored Marburg Vaccine, PHV01, Protects Guinea Pigs from Lethal Marburg Virus Disease 2022-06
[81] 논문 Systematic review of Marburg virus vaccine nonhuman primate studies and human clinical trials 2021-01
[82] 논문 Ebola and Marburg virus vaccines 2017-08
[83] 서적 Biohazard: The Chilling True Story of the Largest Covert Biological Weapons Program in the World—Told from Inside by the Man Who Ran It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84] 웹사이트 National Select Agent Registry (NSAR) http://www.selectage[...] 2011-10-16
[85] 웹인용 Ebolavirus and Marburgvirus Infections http://www.cfsph.ias[...]
[86] 웹인용 Biosafety in Microbiological and Biomedical Laboratories (BMBL) 5th Edition https://www.cdc.gov/[...] 2011-10-16
[87] 웹인용 Archived copy http://www.niaid.nih[...] 2011-10-16
[88] 웹인용 Bioterrorism Agents/Diseases http://www.bt.cdc.go[...] 2011-10-16
[89] 웹인용 List of Biological Agents for Export Control http://www.australia[...] 2011-1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