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루이즈 도트리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리루이즈 도트리슈는 오스트리아 황제 프란츠 2세의 딸로, 나폴레옹 1세와 정략결혼하여 프랑스 황후가 되었으며, 나폴레옹 몰락 후에는 파르마 공국의 통치자가 되었다. 어린 시절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의 영향으로 프랑스를 혐오하며 자랐고, 나폴레옹과의 결혼 후 아들 나폴레옹 2세를 낳았지만, 나폴레옹 몰락 이후에는 그를 다시 만나지 않았다. 파르마 여공으로서 문화와 예술을 후원했지만, 아들에 대한 무관심으로 비판받기도 했다. 그녀는 류마티스성 흉막염으로 사망하여 빈 황제 묘소에 안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인의 황후 - 외제니 드 몽티조
스페인 귀족 출신 외제니 드 몽티조는 나폴레옹 3세와 결혼하여 프랑스 제2제정 시기 황후로서 패션 아이콘이자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며 여성 교육권 옹호와 외교 정책에 관여했으나,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패배 후 영국으로 망명했다. - 프랑스인의 황후 - 조제핀 드 보아르네
프랑스 황후 조제핀 드 보아르네는 마르티니크 귀족 출신으로 프랑스 혁명기에 남편을 잃었으나 나폴레옹과 결혼하여 황후가 되었고, 후계자 문제로 이혼 후에도 나폴레옹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예술과 정원 가꾸기를 후원했다. - 18세기 보헤미아 사람 - 요세프 도브로프스키
요세프 도브로프스키는 헝가리 왕국 출신의 체코 문헌학자, 역사학자, 가톨릭 사제로, 체코어와 슬라브어 연구를 통해 체코 민족 부흥 운동에 기여했으며 특히 고대 교회 슬라브어에 대한 연구로 체코 슬라브학의 창시자로 여겨진다. - 18세기 보헤미아 사람 - 요한 폰 클레나우
오스트리아 제국군 장군인 요한 폰 클레나우는 프랑스 혁명 전쟁과 나폴레옹 전쟁에서 활약하며 명성을 얻었고, 아스페른-에슬링 전투에서의 공헌으로 마리아 테레지아 군사 훈장을 수여받았다. - 오스트리아의 왕녀 - 에일리카 폰 올덴부르크
에일리카 폰 올덴부르크는 올덴부르크 대공가의 후손으로 게오르크 폰 합스부르크와 결혼하여 합스부르크 가문과 올덴부르크 가문의 결합을 이루고 세 자녀를 두었다. - 오스트리아의 왕녀 - 마리 헨리에테 폰 외스터라이히
오스트리아 대공녀 마리 헨리에테 폰 외스터라이히는 벨기에의 왕비로서 레오폴드 2세와 결혼했으나 불행한 결혼 생활을 보냈으며, 사회 활동과 자선 활동에 헌신하고 콩고 자유국 경영 방식에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다 만년에 은거하며 여생을 보냈다.
마리루이즈 도트리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명 | 마리아 루도비카 레오폴디나 프란치스카 테레시아 요제파 루치아 |
독일어 | Maria Ludovica Leopoldina Franziska Theresia Josepha Lucia |
프랑스어 | Marie Louise Léopoldine Françoise Thérèse Josèphe Lucie |
이탈리아어 | Maria Luigia Leopoldina Francesca Teresa Giuseppa Lucia |
출생일 | 1791년 12월 12일 |
출생지 | 호프부르크, 빈, 오스트리아 대공국, 신성 로마 제국 |
사망일 | 1847년 12월 17일 |
사망지 | 파르마, 파르마 공국 |
매장일 | 1848년 1월 17일 |
매장지 | 황실 지하 납골당 |
종교 | 로마 가톨릭교 |
![]() | |
신분 | |
직위 | 파르마, 피아첸차, 과스탈라 여공작 |
재위 기간 | 1814년 4월 11일 – 1847년 12월 17일 |
전임자 | 장 자크 레지 드 캉바세레스 (파르마) 샤를 프랑수아 (피아첸차) 폴린 보나파르트 (과스탈라) |
후임자 | 카를 2세 (파르마, 피아첸차) 프란체스코 5세 (과스탈라) |
직위2 | 프랑스 황후, 이탈리아 왕비 |
재위 기간2 | 1810년 4월 1일 – 1814년 4월 6일 |
가문 | |
왕가 | 합스부르크-로트링겐 가문 |
아버지 | 신성 로마 황제 프란츠 2세 |
어머니 | 마리아 테레지아 폰 네아펠-지칠리엔 |
결혼 및 자녀 | |
배우자 | 나폴레옹 1세 (1810년 3월 11일 결혼, 1821년 5월 5일 사별) 아담 알베르트 폰 나이페르크 (1821년 8월 8일 결혼, 1829년 2월 22일 사별) 샤를 르네 드 봉벨 (1834년 2월 17일 결혼) |
자녀 | 나폴레옹 2세 알베르티네 폰 나이페르크 백작부인 빌헬름 알베르트, 몬테누오보 제1공 마틸데 폰 나이페르크 백작부인 |
2. 생애
마리 루이즈는 1791년 12월 12일 빈의 호프부르크 궁전에서 프란츠 2세의 장녀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나폴리와 시칠리아의 마리아 테레사이며, 마리 루이즈라는 이름은 할머니인 마리 루이즈, 신성 로마 제국 황후에게서 따왔다.[1]
어린 시절, 나폴레옹의 침략으로 쇤브룬 궁전에서 두 번이나 쫓겨났으며, 나폴레옹을 증오하도록 교육받았다. '나폴레옹' 인형을 괴롭히는 일도 있었다고 한다.[1] 제3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으로 오스트리아가 파멸 직전에 몰리면서, 나폴레옹에 대한 반감은 더욱 커졌다.[4] 1805년에는 빈을 탈출해 헝가리와 갈리시아에서 피난 생활을 하기도 했다.
부모는 마리 루이즈를 결혼 상대로서 더욱 매력적으로 만들기 위해 여러 언어를 가르쳤다. 그녀는 모국어인 독일어 외에도 영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라틴어, 스페인어에 능통했다.[6]
1810년 4월 1일, 루브르 궁에서 나폴레옹과 결혼했다.[19] 나폴레옹의 상냥한 태도에 마음을 열고 그를 진심으로 사랑하게 되었다. 그러나 내성적인 성격과 검소한 성장 환경 탓에, 사교적인 조제핀 드 보아르네와는 달리 제한된 사람들과만 교류했고, 프랑스 상인들 사이에서는 평판이 좋지 않았다.
1811년 3월 20일, 로마 왕을 출산했지만, 어려운 출산 과정에서 나폴레옹이 산모를 우선시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마리 루이즈는 아들에게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고, 양육은 몽테스키우 부인에게 맡겨졌다.
1812년 나폴레옹의 러시아 원정 실패와 1813년 라이프치히 전투 패배 이후, 1814년 동맹군이 파리를 공격할 위기에 처하자, 마리 루이즈는 나폴레옹의 명령에 따라 파리를 떠나 블로아 성으로 피신했다. 4월 8일, 나폴레옹의 퇴위 소식을 듣고 아버지 프란츠 1세에게 아들의 토스카나 대공국 상속을 요청했지만 거절당했다.
1814년 4월 11일, 나폴레옹이 퐁텐블로 조약에 따라 엘바 섬으로 유배되면서,[67][68] 마리 루이즈는 파르마, 피아첸차, 구아스탈라 공작의 통치자가 되었다.[68] 이후 아버지의 조언에 따라 빈으로 돌아갔다.[72]
1814년 여름, 프란츠 1세는 아담 알베르트 폰 나이페르크 백작을 보내 마리 루이즈가 나폴레옹과 합류하는 것을 막았다.[77][78] 마리 루이즈는 나이페르크 백작과 사랑에 빠졌고,[78][80] 1815년 나폴레옹이 엘바 섬을 탈출했을 때 그에게 돌아가지 않겠다고 밝혔다.
빈 회의 결과, 마리 루이즈는 파르마, 피아첸차, 구아스탈라의 통치자로 인정받았지만,[81] 아들을 데려오는 것은 허락되지 않았다.[81] 1816년 3월 7일, 나이페르크 백작과 함께 파르마로 떠났다.[82]
마리 루이즈는 나이페르크 백작과의 사이에서 세 자녀를 두었다.[78][80]
이름 | 출생 | 사망 |
---|---|---|
몽테누오보 백작 부인 알베르틴 | 1817년 5월 1일 | 1867년 |
빌헬름 알베르트 폰 몬테누오보 백작 | 1819년 8월 9일 | 1895년 |
(이름 불명) | 1822년 | 1823년경 |
1821년 나폴레옹 사망 후, 나이페르크 백작과 정식으로 결혼했다.[78][80] 1829년 나이페르크 백작 사망 후,[84] 1834년 샤를-르네 드 봉벨과 재혼했다.[92]
1832년 7월 22일, 아들 나폴레옹 2세가 사망했다.
마리 루이즈는 1847년 12월 9일에 병에 걸려 12월 17일에 사망했다.[93] 사인은 늑막염으로 밝혀졌다.[93] 그녀의 시신은 빈으로 옮겨져 황제 묘소에 묻혔다.[94]
2. 1. 어린 시절
프란츠 2세의 장녀로, 1791년 12월 12일 빈의 호프부르크 궁전에서 태어났다. 어머니는 나폴리와 시칠리아의 마리아 테레사이다. 마리 루이즈는 할머니인 마리 루이즈, 신성 로마 제국 황후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나폴레옹의 침략으로 인해 쇤브룬 궁전에서 두 번 쫓겨난 경험이 있으며, 어릴 때부터 나폴레옹을 무섭고 증오할 남자로 배우며 자랐다. '나폴레옹'이라는 이름을 붙인 인형을 괴롭히기도 했다.[1]
마리 루이즈의 어린 시절은 프랑스와 그녀의 가족 간의 갈등 시기였다. 그녀는 프랑스와 프랑스 사상을 혐오하도록 교육받았다.[2] 그녀의 양육은 프랑스 출신 황실 가정교사 빅투아르 드 폴리오 드 크렌느빌에 의해 감독되었다.[3] 마리 루이즈는 언니 마리 앙투아네트의 죽음을 초래한 프랑스 혁명을 경멸했던 할머니 나폴리의 마리아 카롤리나 여왕의 영향을 받았다.[2] 제3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은 오스트리아를 파멸 직전으로 몰아갔고, 이는 마리 루이즈의 나폴레옹에 대한 분노를 더욱 키웠다.[4] 1805년 황실 가족은 빈을 탈출해야 했고, 마리 루이즈는 헝가리와 갈리시아에서 피난했다.[4] 1806년 빈으로 돌아왔지만,[5] 그녀의 아버지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의 칭호를 포기하고 오스트리아 황제로 남았다.
마리 루이즈의 부모는 그녀를 결혼 상대로서 더욱 매력적으로 만들기 위해 여러 언어를 가르치도록 했다. 그녀는 모국어인 독일어 외에도 영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라틴어, 스페인어에 능통하게 되었다.[6]
1807년, 마리 루이즈가 15세였을 때, 그녀의 어머니는 유산으로 사망했다.[5] 1년도 채 안 되어 황제 프란츠는 마리 루이즈보다 4살 연상인 사촌 오스트리아-에스테의 마리아 루도비카 베아트릭스와 결혼했다.[5] 마리아 루도비카 베아트릭스는 의붓딸에게 모성애를 보였으며,[7] 그녀 또한 아버지에게서 모데나와 레조 공국을 빼앗은 프랑스에 대해 씁쓸함을 느꼈다.[8]
1809년, 프랑스와 오스트리아 사이에 전쟁이 발발했고, 오스트리아는 다시 패배했다. 황실 가족은 5월 12일 도시가 항복하기 전에 다시 빈을 탈출해야 했다.[9] 그들의 여정은 악천후로 인해 방해를 받았고, 그들은 부다에 도착하여 "젖었고, 피로로 거의 지쳐 있었다".[9]
2. 2. 나폴레옹과의 결혼
1810년 4월 1일, 마리 루이즈는 루브르 궁의 예배당에서 나폴레옹과 결혼식을 올렸다.[19] 마리 루이즈는 나폴레옹이 자신을 매우 상냥하게 대했기 때문에, 마침내 마음을 열고 나폴레옹을 진심으로 사랑하게 되었다. 나폴레옹은 그녀를 결코 잃고 싶지 않았기 때문에 그녀의 기분을 상하지 않게 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녀는 후에 친구에게 보낸 편지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조제핀 드 보아르네는 사교적인 성격이었지만, 마리 루이즈는 내성적인 성격 탓에 몽테벨로 부인과 류세이 부인 등 한정된 사람들만 자신의 방에 들였다. 그녀의 방은 언제나 조용했다. 합스부르크로트링겐 왕가의 여대공으로 검소하게 자랐기 때문에, 치장에도 별다른 관심이 없었고, 옷은 조제핀과 비교하면 조금밖에 주문하지 않았으며, 보석은 거의 주문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조제핀이 황후였을 때 큰 재산을 모을 수 있었던 상인들 사이에서 마리 루이즈의 평판은 대단히 나빴다. 또한 나폴레옹의 여동생들과도 허물없이 지낼 수 없었다.
2. 3. 프랑스 황후 시절
1811년 3월 20일, 마리 루이즈는 로마 왕을 출산했다. 매우 어려운 출산이었고, 의사가 산모와 아이 중 한 명만 구할 수 있다고 말했을 때, 나폴레옹은 주저 없이 "어머니를 구하라!"라고 말했다. 나폴레옹은 아들의 탄생을 매우 기뻐했지만, 마리 루이즈는 아들에게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아들의 양육은 Louise Charlotte Françoise de Montesquiou|루이즈 샤를로트 프랑수아즈 드 몽테스키우|몽테스키우 부인영어에게 맡겨졌다. 몽테스키우 부인은 로마 왕이 깨어나면 바로 마리 루이즈의 방으로 데려갔지만, 마리 루이즈는 아기를 떨어뜨릴까 두려워 제대로 안지 못했다. 로마 왕이 가장 정든 사람은 몽테스키우 부인이었고, 처음으로 말한 단어는 "마망 큐"였다.
1812년 나폴레옹의 러시아 원정 실패와 1813년 라이프치히 전투 패배 이후, 1814년에는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스웨덴, 영국이 연합하여 나폴레옹을 포위했다.
나폴레옹이 부재한 동안 섭정이 된 마리 루이즈가 있는 튈르리 궁전에서는 동맹군의 파리 공격에 대비해 마리 루이즈와 로마 왕의 거취를 논의했다. 경무대신 Anne Jean Marie René Savary|안느 장 마리 르네 사바리|사바리영어 등은 황후가 수도를 떠나면 제국이 붕괴될 것이라며 반대했지만, 육군대신 Henri Jacques Guillaume Clarke|앙리 자크 기욤 클라크|클라르크영어는 피난을 주장했다. 마리 루이즈는 침묵을 지키다가, 결국 나폴레옹의 형 조제프 보나파르트가 나폴레옹의 명령을 읽자 파리를 떠나기로 결정했다.
1814년 3월 29일, 마리 루이즈와 로마 왕은 랑부이에를 거쳐 블로아 성으로 피신했다. 4월 8일, 마리 루이즈는 나폴레옹의 퇴위 소식을 들었다. 마리 루이즈는 퐁텐블로 궁전으로 가려 했지만, 몽테벨로 부인의 설득으로 오를레앙에서 나폴레옹에게 편지를 보내 아버지 프란츠 1세에게 아들의 토스카나 대공국 상속을 요청하겠다고 알렸다.
그러나 프란츠 1세는 딸의 요청을 거절하고, 메테르니히와 함께 마리 루이즈를 나폴레옹에게서 떼어놓으려 했다. 4월 12일, 프란츠 1세의 사칭자가 마리 루이즈와 로마 왕을 강제로 데려갔고, 같은 날 밤 나폴레옹은 자살을 시도했다.
2. 4. 나폴레옹 몰락 이후
1814년 4월 11일, 나폴레옹이 퐁텐블로 궁전에서 퇴위한 후, 퐁텐블로 조약에 따라 엘바 섬으로 유배되었다.[67][68] 마리 루이즈는 황후 지위와 작위를 유지했고, 파르마, 피아첸차, 구아스탈라 공작의 통치자가 되었으며, 아들 로마왕이 후계자가 되었다.[68] 그러나 이 조항은 빈 회의에서 수정되었다.[69]마리 루이즈는 남편에게 돌아가는 것을 만류받았다.[70] 1814년 4월 16일, 아버지 프란츠 1세가 그녀를 만나러 왔고,[71] 그의 조언에 따라 4월 23일 아들과 함께 빈으로 갔다.[72] 쇤브룬 궁전에 머물면서, 그녀는 남편을 버린 것에 대해 못마땅해하는 할머니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카롤리나를 만났다.[73][74][75]
1814년 여름, 프란츠 1세는 아담 알베르트 폰 나이페르크 백작을 보내 마리 루이즈가 나폴레옹과 합류하는 것을 막았다.[77][78] 나이페르크 백작은 메테르니히의 측근이자 나폴레옹의 적이었다.[77][80] 마리 루이즈는 그와 사랑에 빠져 연인이 되었고,[78][80] 그는 빈 회의에서 그녀의 변호인이 되었다.[80]
1815년 3월, 나폴레옹이 엘바 섬을 탈출하여 백일천하 동안 통치를 재개하자, 마리 루이즈는 그에게 돌아가지 않겠다고 밝혔다.[80] 나폴레옹은 워털루 전투에서 패배한 후 세인트헬레나로 유배되었고, 더 이상 그녀에게 연락하지 않았다.
빈 회의는 마리 루이즈를 파르마, 피아첸차, 구아스탈라의 통치자로 인정했지만, 아들을 데려오는 것은 막았다.[81] 그녀는 평생 파르마 공작 부인으로 남았고, 사후 공국은 부르봉 왕가에 반환될 예정이었다.
2. 5. 파르마 여공 시절
1814년 빈 회의 결과, 마리 루이즈는 파르마, 피아첸차, 구아스탈라의 여공이 되었다.[81] 1816년 3월 7일, 아담 알베르트 폰 나이페르크 백작과 함께 파르마로 떠났다.[82] 4월 18일에 파르마 공국에 들어섰다.[83] 마리 루이즈는 나이페르크 백작과 사랑에 빠졌고,[80] 연인이 되었다.[78][80]마리 루이즈는 나이페르크 백작과의 사이에서 세 자녀를 두었다.[78][80]
이름 | 출생 | 사망 |
---|---|---|
몽테누오보 백작 부인 알베르틴 | 1817년 5월 1일 | 1867년 |
빌헬름 알베르트 폰 몬테누오보 백작 | 1819년 8월 9일 | 1895년 |
(이름 불명) | 1822년 | 1823년경 |
1821년 5월 5일 나폴레옹이 사망한 후, 1821년 8월 8일 나이페르크 백작과 정식으로 결혼했다.[78][80] 1829년 2월 22일 나이페르크 백작이 심장 질환으로 사망하자,[84] 마리 루이즈는 비통에 잠겼다.[84]
나이페르크 백작 사후, 마리 루이즈는 1834년 2월 17일 샤를-르네 드 봉벨과 재혼했다.[92]
2. 6. 나폴레옹 2세의 죽음

로마 왕이었던 나폴레옹 2세는 감금과 같은 외로운 생활을 하면서, 어머니 마리아 루이저와 헤어진 후 처음 만나는 것을 기대했다. 그러나 마리아 루이저는 1817년 5월 1일 나이페르크 백작과의 딸 알베르티네를 비밀리에 출산하고, 나폴레옹 2세와의 약속을 어겼다. 어머니에게 약속을 어긴 나폴레옹 2세는 매우 슬퍼했다. 마리아 루이저가 아들을 만나러 간 것은 헤어진 지 2년 후인 1818년 7월이었다.
1819년 8월 9일 마리아 루이저는 나이페르크 백작과의 두 번째 아이 빌헬름(몬테누오보 가문의 조상)를 역시 비밀리에 출산하고, 나폴레옹 2세를 만나기 위해 빈에 가는 것을 다시 한번 중단했다.
1822년 마리아 루이저는 나이페르크 백작과의 4번째 아이가 될 여아를 출산했다. 1825년에는 5번째 아이를 유산했다. 이 기간 동안 빈에 있는 아들을 그녀가 만난 것은 단 한 번이었다. 이 무렵 나폴레옹 2세는 라이히슈타트 공작이 되었다.
1832년 7월 21일, 라이히슈타트 공의 교육 담당관 디트리히슈타인은 라이히슈타트 공의 병세가 급격히 악화되고 있다고 호소해 왔다. 한편 빈의 궁정 의사단은 "호전되고 있다"는 상반된 내용의 보고서를 보내왔다. 마리아 루이즈는 파르마에서 페스트가 유행하여 그 처리에 매달리고 있었기 때문에 빈으로 귀성하는 것이 어려웠다. 겨우 빈의 라이히슈타트 공에게 찾아간 마리아 루이즈는 병상의 초췌한 아들의 얼굴을 보고 디트리히슈타인의 보고가 옳았다는 것을 깨닫고 후회했다.
같은 해 7월 22일, 라이히슈타트 공은 사망했다.
2. 7. 마리 루이즈의 죽음
마리 루이즈는 1847년 12월 9일에 병에 걸렸다. 그녀의 상태는 다음 며칠 동안 악화되었다. 12월 17일, 그녀는 구토 후 의식을 잃었고 다시는 깨어나지 못했다. 그녀는 저녁에 사망했다.[93] 사망 원인은 늑막염으로 밝혀졌다.[93]그녀의 시신은 빈으로 옮겨져 황제 묘소에 묻혔다.[94]
1847년 12월 17일 5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사인은 류마티스성 흉막염으로 추정되었다.[102] 유해는 빈으로 옮겨져 카푸친 납골당에 매장되었다.
3. 가족 관계
배우자 | 자녀 |
---|---|
나폴레옹 1세 | 나폴레옹 2세 |
나이페르크 백작 | |
샤를 르네 도 봉벨 | 없음 |
4. 유산 및 평가
마리 루이즈는 격동의 시대에 정략결혼의 희생양이 되었지만, 주어진 상황 속에서 자신의 삶을 살아가려 노력한 인물로 평가할 수 있다. 파르마 공국 통치 기간은 비교적 안정적이었으며, 문화와 예술을 후원했다는 긍정적인 평가도 있다. 하지만 나폴레옹과의 관계, 특히 아들 나폴레옹 2세에 대한 무관심은 비판받기도 한다.
빈 회의를 통해 파르마 공국의 통치자가 되었지만,[81] 아들 나폴레옹 2세를 이탈리아로 데려오지는 못했다. 나폴레옹 사후 아담 알베르트 폰 나이페르크 백작과 모르가나 결혼을 하였고,[78],[80] 세 자녀를 두었다.[78],[80] 나이페르크 백작 사후에는 샤를-르네 드 봉벨과 다시 모르가나 결혼을 하였다.[92]
나폴레옹 2세는 오스트리아에서 ''라이히슈타트 공작'' 칭호를 받았으나,[85] 어머니의 무관심과 오스트리아의 견제 속에서 불행한 삶을 살다가 21세에 결핵으로 사망했다.[87]
4. 1. 한국과의 관계
마리 루이즈는 한국사와 직접적인 관련은 없지만, 그녀의 남편이었던 나폴레옹 1세는 조선 순조, 헌종, 철종 재위 기간과 겹치는 시대의 인물이다. 특히, 나폴레옹의 몰락은 조선 후기 세도정치 시기와 맞물려, 서구 열강의 침략이 본격화되기 이전의 국제 정세를 이해하는 데 간접적인 참고 자료가 될 수 있다.5. 기타
마리루이즈의 이름은 여러 언어에서 다음과 같이 불린다.
- Marie-Louise von Österreich|마리 루이즈 폰 오스터라이히de 또는 Maria Ludovica von Österreich|마리아 루도비카 폰 오스터라이히de (독일어)
- Marie-Louise d'Autriche|마리 루이즈 도트리슈프랑스어 (프랑스어)
- Maria Luisa d'Austria|마리아 루이사 다우스트리아it 또는 Maria Luigia d'Austria|마리아 루이지아 다우스트리아it (이탈리아어)
이 문서에서는 마리루이즈가 프랑스 황후 및 이탈리아의 군주로서 생애를 보냈기 때문에 주로 프랑스어 이름과 이탈리아어 이름으로 표기한다.
참조
[1]
서적
de Saint-Amand
[2]
서적
de Saint-Amand
[3]
웹사이트
Vol 1: An imperial victim : Marie Louise, Archduchess of Austria, Empress of the French, Duchess of Parma
https://archive.org/[...]
1911
[4]
서적
de Saint-Amand
[5]
서적
de Saint-Amand
[6]
서적
Napoleon Bonaparte
[7]
서적
de Saint-Amand
[8]
서적
de Saint-Amand
[9]
서적
de Saint-Amand
[10]
서적
de Saint-Amand
[11]
서적
de Saint-Amand
[12]
서적
Bertier de Sauvigny
[13]
서적
de Saint-Amand
[14]
서적
de Saint-Amand
[15]
서적
de Saint-Amand
[16]
서적
de Saint-Amand
[17]
서적
de Saint-Amand
[18]
서적
de Saint-Amand
[19]
서적
de Saint-Amand
[20]
서적
de Saint-Amand
[21]
서적
de Saint-Amand
[22]
서적
de Saint-Amand
[23]
서적
de Saint-Amand
[24]
서적
de Saint-Amand
[25]
서적
de Saint-Amand
[26]
서적
de Saint-Amand
[27]
서적
de Saint-Amand
[28]
서적
de Saint-Amand
[29]
간행물
PAER, Ferdinando
Grove's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1954
[30]
서적
Drawing an elusive line : the art of Pierre-Paul Prud'h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Delaware Press; Associated University Press
2001
[31]
서적
Elémens De Pyrotechnie
https://digital.scie[...]
Barba, libraire, Palais-Royal, derrièâtre français, no. 51; Magimel, libraire, rue de Thionvill
1811
[32]
서적
de Saint-Amand
[33]
서적
de Saint-Amand
[34]
서적
Napoleon
[35]
서적
de Saint-Amand
[36]
서적
de Saint-Amand
[37]
서적
de Saint-Amand
[38]
서적
de Saint-Amand
[39]
서적
de Saint-Amand
[40]
서적
de Saint-Amand
[41]
서적
de Saint-Amand
[42]
서적
Poverty, Charity, and Motherhood: Maternal Societies in Nineteenth-Century
https://books.google[...]
[43]
서적
de Saint-Amand
[44]
서적
de Saint-Amand
[45]
서적
de Saint-Amand
[46]
서적
de Saint-Amand
[47]
서적
de Saint-Amand
[48]
서적
de Saint-Amand
[49]
서적
de Saint-Amand
[50]
서적
de Saint-Amand
[51]
서적
Chastenet
[52]
서적
Chastenet
[53]
서적
Herre
[54]
서적
Chastenet
[55]
서적
Herre
[56]
서적
Chastenet
[57]
서적
Durand
[58]
웹사이트
Archontology.org
Archontology.org
[59]
서적
Durand
[60]
서적
Durand
[61]
서적
Durand
[62]
서적
Durand
[63]
서적
Durand
[64]
서적
Durand
[65]
웹사이트
Herodote.net
Herodote.net
[66]
서적
Durand
[67]
서적
Durand
[68]
문서
Treaty of Fontainebleau (1814)
s:Treaty of Fontaine[...]
[69]
서적
de Saint-Amand
[70]
서적
Durand
[71]
문서
de Saint-Amand, p. vi
[72]
문서
de Saint-Amand, p. vii
[73]
문서
Durand, p. 164
[74]
문서
Durand, p. 165
[75]
문서
de Saint-Amand, p. i
[76]
문서
de Saint-Amand, p. viii
[77]
문서
Lasagna
[78]
문서
Herman, p. 236
[79]
문서
Herre, p. 219
[80]
문서
de Saint-Amand, p. ix
[81]
문서
Herre, p. 236
[82]
문서
Marchi, p. 201
[83]
문서
Herre, p. 233–234
[84]
문서
Herre, p. 260–263
[85]
문서
Chastenet, p. 404
[86]
문서
de Saint-Amand, p. xii
[87]
서적
Napoleon
[88]
문서
Herre, 279–280
[89]
웹인용
Linati, Filippo Luigi
http://www.parmaelas[...]
2017-01-06
[90]
문서
Fiorenzuola d'Arda
[91]
문서
Schiel, p. 333
[92]
문서
Schiel, p. 345–347
[93]
문서
Schiel, p. 354–355
[94]
문서
Chastenet, p. 445
[95]
웹사이트
Profumi di Parma.
http://madeinparma.c[...]
[96]
문서
Habsburg, Franz I.
[97]
문서
Habsburg, Maria Theresia von Neapel
[98]
문서
Habsburg, Maria Theresia (deutsche Kaiserin)
[99]
문서
Habsburg, Maria Ludovica (deutsche Kaiserin)
[100]
서적
Genealogie ascendante jusqu'au quatrieme degre inclusivement de tous les Rois et Princes de maisons souveraines de l'Europe actuellement vivans
https://books.google[...]
Frederic Guillaume Birnstiel
[101]
문서
マリー・アントワネットの姉マリア・カロリーナ・ダズブルゴ|マリア・カロリーナの長女
[102]
문서
Irmgard Schiel, p.35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