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쓰노 라이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쓰노 라이조는 1917년 구마모토현 야마가시에서 태어난 일본의 정치인이다. 게이오기주쿠 대학을 졸업하고 히타치 제작소에 입사했으며, 해군 장교로 복무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아버지 마쓰노 쓰루헤이를 대신하여 정계에 입문하여 중의원 의원을 15번 역임했다. 자유민주당에서 사토 에이사쿠 파에 속했으며, 총리부 총무 장관, 노동 대신, 방위청 장관, 농림 대신 등 주요 직책을 두루 거쳤다. 1979년 더글러스·그루먼 사건에 연루되어 의원직을 사임하고 자민당을 탈당했으나, 이후 무소속으로 당선되어 자민당에 복당했다. 1990년 정계 은퇴 후에는 호소카와 모리히로를 지지하며 정치적 조언을 했고,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 시절에는 '고이즈미의 스승'으로 불리기도 했다. 2006년 심부전으로 사망했으며, 정3위와 욱일대수장이 추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자부 고등학교 동문 - 나카가와 쇼이치
나카가와 쇼이치는 자유민주당 소속 중의원 의원으로, 농림수산대신과 경제산업대신 등 여러 장관직을 역임하고 아소 다로 내각에서 재무대신을 지냈으나 2009년 총선에서 낙선 후 사망했으며, 정치적 견해와 여성관 및 역사 인식, 음주 의혹 등으로 논란이 있었다. - 아자부 고등학교 동문 - 하시모토 류타로
하시모토 류타로는 1963년 중의원 의원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후생대신, 운수대신, 자민당 사무총장 등을 거쳐 1996년 일본의 내각총리대신에 취임, 미군 푸텐마 비행장 반환 합의를 이끌어냈고 행정 및 재정 구조 개혁을 추진했으나 소비세 인상 등의 경제 정책으로 논란을 겪다 1998년 참의원 선거 참패 후 총리직에서 물러난 정치인이다. - 일본의 노동대신 - 지바 사부로
지바 사부로는 일본의 정치인이자 기업인으로, 도쿄 제국대학 법학과를 졸업하고 석유 및 에너지 관련 기업에서 경력을 쌓았으며, 미야기현 지사와 중의원 의원, 노동대신을 역임하고 자유민주당 내에서 보수적인 입장을 대변하다가 1979년 사망했다. - 일본의 노동대신 - 이시다 히로히데
와세다 대학 졸업 후 기자에서 정치인으로 변신한 이시다 히로히데는 이시바시 단잔의 측근으로 활동하며 자유민주당에서 중의원 의원운영위원장, 여러 내각의 관방장관, 노동상, 운수상을 역임하며 노동 문제 해결에 힘썼고, 자민당의 위기를 경고하기도 했으나 소련 간첩 의혹 속에 정계를 은퇴했다. - 일본 제국 해군 군인 - 히로세 다케오
히로세 다케오는 메이지 시대 일본 해군 중좌로 러일전쟁 중 전사하여 일본에서 군신으로 추앙받았으나, 군국주의 미화에 이용되었다는 비판과 함께 그의 삶과 죽음은 다양한 문화적 작품의 소재가 되어 역사적 재평가와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 일본 제국 해군 군인 - 사쿠마 쓰토무
사쿠마 쓰토무는 일본 해군 군인으로, 일본 최초의 국산 잠수함 정장으로서 침몰 사고 당시 유서를 남기고 순직하여 큰 반향을 일으켰으나, 그의 행적에 대한 논란과 비판도 존재한다.
마쓰노 라이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17년 2월 17일 |
출생지 | 구마모토현 야마가시 |
사망일 | 2006년 5월 10일 |
사망지 | 도쿄도 미나토구 (도쿄 선원 보험 병원) |
소속 정당 | 자유민주당 |
학력 | 게이오기주쿠 대학 |
복무 | 대일본제국 해군 |
복무 기간 | 1940년–1945년 |
계급 | 해군 소좌 |
주요 직책 | |
방위청 장관 | 임기 시작: 1965년 6월 3일 임기 종료: 1966년 8월 1일 수상: 사토 에이사쿠 이전: 고이즈미 준야 다음: 간바야시야마 에이키치 |
총리부 총무장관 | 임기 시작: 1958년 임기 종료: 1959년 수상: 기시 노부스케 |
노동대신 | 임기 시작: 1959년 임기 종료: 1960년 수상: 기시 노부스케 |
농림대신 | 임기 시작: 1966년 임기 종료: 1966년 수상: 사토 에이사쿠 |
자유민주당 총무회장 | 임기 시작: 1976년 임기 종료: 1976년 총재: 미키 다케오 |
자유민주당 정무조사회장 | 임기 시작: 1974년 임기 종료: 1976년 총재: 미키 다케오 |
의정 활동 | |
중의원 의원 | 선거구: 구 구마모토 1구 당선 횟수: 15회 임기 시작: 1947년 4월 26일 - 1979년 7월 25일, 1980년 6월 23일 임기 종료: 1990년 1월 24일 |
기타 정보 | |
출신 대학 | 게이오기주쿠 대학 법학부 정치학과, 해군경리학교 |
가족 관계 (정치인) | 마쓰노 초하치 (조부) 노다 우타로 (조부) 마쓰노 쓰루헤이 (부) 노다 슌사쿠 (삼촌) 마쓰노 요리히사 (장남) 마쓰노 미카 (손녀) 쓰카다 도루 (사위) |
서훈 | 정3위, 욱일대수장, 중의원 영년 재직 의원 |
2. 생애
1917년 구마모토현에서 태어나 게이오기주쿠 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히타치 제작소에 입사했다. 1940년 해군경리학교에 입학하여 해군 장교가 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당시 계급은 해군 주계소좌였다.
전후 아버지 마쓰노 쓰루헤이가 공직 추방을 당하자 정계에 진출, 요시다 시게루의 비서관을 거쳐 1947년 총선에서 일본자유당 소속으로 당선되었다. 1955년 보수합동으로 자유민주당 소속이 되었다.
제2차 기시 내각에서 총리부 총무장관으로 처음 입각했으며, 이후 제2차 기시 내각 (개조)에서 노동상, 제1차 사토 내각 (제1차 개조)에서 방위청 장관, 제1차 사토 내각 (제2차 개조)에서 농림상을 역임했다. 농림상 재직 중이던 1966년 딸 부부와 함께 라스베이거스 등을 관비로 여행한 사실이 발각되어 검은 안개 사건의 여파로 농림상에서 물러났다.
1972년 각복전쟁에서는 후쿠다 다케오를 지지했으나 다나카 가쿠에이가 승리했다. 미키 다케오 내각에서 자유민주당 정무조사회장에 취임했다. 록히드 사건 이후 미키 끌어내리기가 진행되자 미키를 지지하여 후쿠다와 멀어졌다. 이후 자유민주당 총무회장이 되었고 후쿠다파를 탈퇴했다.
1979년 더글러스-그러먼 사건으로 5억엔의 정치 헌금을 받은 사실을 인정하고 의원직을 사임, 자민당을 탈당했다. 총선에서 낙선했으나 총선에서 당선되어 자민당에 복당했다. 1984년 니카이도 옹립 구상에 참여했으나 실패했다.
1990년 총선 낙선 후 정계 은퇴, 호소카와 모리히로와 장남 마쓰노 요리히사를 지원했다. 2001년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재 취임 후에는 스승 역할을 했다.
2006년 심부전으로 사망했다. 향년 89세. 사후 정3위 추서 및 욱일대수장이 추증되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917년 2월 12일에 지금의 구마모토현 야마가시에서 마쓰노 쓰루헤이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게이오기주쿠 대학 법학부 정치학과를 졸업한 뒤 히타치 제작소에 입사했다. 1940년에 해군경리학교에 입학하여 해군 장교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무렵 해군 주계소좌였다.2. 2. 정치 입문
전후, 중의원 의원이었던 아버지 마쓰노 쓰루헤이가 공직 추방을 당하자, 아버지를 대신하여 정계에 입문했다. 요시다 시게루 수상 비서관을 거쳐, 1947년 4월, 제23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 일본자유당 공천으로 구 구마모토 제1구에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15번 당선되었다. 1955년 보수합동으로 자유민주당 소속이 되었다.2. 3. 자민당 주요 정치인
자민당 내에서는 사토 에이사쿠 파에 소속되어 다나카 가쿠에이, 호리 시게루, 아이치 키이치, 하시모토 도미사부로와 함께 "사토파 오봉행" 중 한 명으로 꼽혔다. 기시 노부스케, 사토 에이사쿠 내각에서 총리부 총무 장관, 노동 대신, 방위청 장관, 농림 대신 등 주요 직책을 역임했다.[1]2. 4. 각복전쟁과 미키 끌어내리기
1972년 사토 에이사쿠가 총재에서 물러나면서 후계 자리를 놓고 다나카 가쿠에이와 후쿠다 다케오 사이에서 각복전쟁이 벌어졌다. 마쓰노는 사토의 의향에 따라 후쿠다를 지지했지만, 다나카가 총재 선거에서 승리했다.[1] 2년 후 금맥 문제로 다나카가 총재직에서 물러나고 미키 다케오가 총재가 되자, 마쓰노는 후쿠다의 지지를 받아 자유민주당 정무조사회장으로 추대됐다.[1]록히드 사건과 당내 개혁을 둘러싼 정쟁이 격화되면서 미키 끌어내리기가 시작되자, 마쓰노는 미키를 지지하여 후쿠다와 자연스럽게 소원해졌다.[1] 미키는 마쓰노를 나카소네 야스히로의 후임 간사장으로 기용하려 했으나, 후쿠다와 오히라 마사요시의 반대로 자유민주당 총무회장이 되었다.[1] 이후 마쓰노는 후쿠다파를 탈퇴했다.[1] 후쿠다파에서 많은 비판을 받았지만, 맹우였던 고이즈미 준야의 아들인 초선 의원 고이즈미 준이치로는 마쓰노를 비판하지 않았다.[1]
2. 5. 더글러스-그러먼 사건 및 정계 은퇴
1979년, 더글러스-그러먼 사건이 발각되면서 닛쇼 이와이로부터 거액의 금전을 수령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국회에 소환된 마쓰노는 "마쓰노 라이조를 키우기 위한 정치 헌금"이라며 5억엔을 받았음을 인정했다[1]. 이는 정치자금규정법 위반 및 뇌물죄에 해당될 수 있었으나, 공소시효가 성립되어 처벌받지 않았다.1979년 7월 25일, 마쓰노는 의원직을 사임하고 자민당을 탈당했다. 같은 해 10월 7일에 치러진 총선에 무소속으로 출마했으나 낙선했다[1].
1980년 6월 22일, 총선에 무소속으로 다시 출마하여 최하위로 당선되었고, 이후 자민당에 복당했다[1].
1984년 자민당 총재 선거를 앞두고 니카이도 스스무를 옹립하려는 니카이도 옹립 구상에 참여했다. 마쓰노와 니카이도는 규슈 출신이고 사토 에이사쿠 파에서 함께 간부를 역임하는 등 가까운 사이였지만, 옹립 구상은 실패로 끝났다[1].
1990년 총선에서 낙선한 후 정계를 은퇴했다[1].
2. 6. 정계 은퇴 이후
호소카와 모리히로를 지지하며 정치적 조언을 했고, 호소카와 모리히로가 은퇴한 뒤에는 장남 마쓰노 요리히사의 정치 활동을 도왔다. 2001년 고이즈미 준이치로가 자민당 총재가 되자 '고이즈미의 스승' 역할을 하며 언론에 자주 등장했다.2. 7. 사망
松野頼三|마쓰노 라이조일본어는 2006년 5월 10일 심부전으로 도쿄도 미나토구의 한 병원에서 사망했다. 향년 89세. 입원 2, 3일 전 위장 통증을 호소했는데 실제론 심장에 문제가 있었고, 병원측에서 심장 마사지를 했지만 효과를 보지 못한 채 사망했다. 사후 정3위에 추서되었으며 욱일대수장이 추증되었다.3. 논란 및 비판
마쓰노 라이조는 농림상 재직 중이던 1966년에 신혼여행을 떠난 딸 부부와 함께 라스베이거스를 관비로 방문한 사실이 드러나 비판을 받았다.[1] 검은 안개 사건으로 정국이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사토 에이사쿠는 내각을 개편해야 했고, 마쓰노는 농림상에서 물러났다.
1979년에는 더글러스-그러먼 사건과 관련하여 닛쇼 이와이로부터 거액의 정치 헌금을 받은 사실이 드러나 정치 윤리 논란이 일었다. 마쓰노는 국회에 소환되어 5억 엔을 받은 사실을 인정했다.[1] 이는 정치 자금 규정법 위반 및 뇌물죄에 해당할 수 있었으나, 공소시효가 지나 처벌받지 않았다.
4. 가족 관계
5. 역대 선거 기록
선거명 | 선거구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제23회 총선거 | 구마모토현 제1구 | 자유당 | 48,174표 | 15.71% | 1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제24회 총선거 | 구마모토현 제1구 | 민주자유당 | 67,268표 | 20.75% | 1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제25회 총선거 | 구마모토현 제1구 | 자유당 | 53,258표 | 13.74% | 2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제26회 총선거 | 구마모토현 제1구 | 자유당 | 54,880표 | 14.98% | 1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제27회 총선거 | 구마모토현 제1구 | 자유당 | 51,574표 | 13.79% | 4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제28회 총선거 | 구마모토현 제1구 | 자유민주당 | 88,361표 | 20.74% | 1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제29회 총선거 | 구마모토현 제1구 | 자유민주당 | 78,816표 | 20.48% | 1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제30회 총선거 | 구마모토현 제1구 | 자유민주당 | 84,667표 | 20.86% | 1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제31회 총선거 | 구마모토현 제1구 | 자유민주당 | 82,785표 | 19.66% | 2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제32회 총선거 | 구마모토현 제1구 | 자유민주당 | 80,888표 | 17.45% | 1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제33회 총선거 | 구마모토현 제1구 | 자유민주당 | 81,704표 | 16.86% | 2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제34회 총선거 | 구마모토현 제1구 | 자유민주당 | 94,173표 | 17.46% | 2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제35회 총선거 | 구마모토현 제1구 | 무소속 | 67,082표 | 12.45% | 6위 | 낙선 | 중선거구제 |
제36회 총선거 | 구마모토현 제1구 | 무소속 | 83,988표 | 14.96% | 5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제37회 총선거 | 구마모토현 제1구 | 자유민주당 | 82,787표 | 14.94% | 3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제38회 총선거 | 구마모토현 제1구 | 자유민주당 | 77,469표 | 13.29% | 5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제39회 총선거 | 구마모토현 제1구 | 자유민주당 | 78,538표 | 12.2% | 7위 | 낙선 | 중선거구제 |
참조
[1]
웹사이트
史上初の大調査 著名人100人が最後に頼った病院 あなたの病院選びは間違っていませんか
https://gendai.media[...]
現代ビジネス
2011-08-17
[2]
웹사이트
松野頼三とは -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