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카다 주이치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쓰카다 주이치로는 일본의 정치인으로, 중의원 의원, 체신 대신, 니가타현 지사를 역임했다. 1904년 니가타현에서 태어나 도쿄 상과대학을 졸업하고 고등문관시험에 합격했다. 쇼와 금융공황 이후 고바시 이치타의 식객으로 지내다 가시마 건설에 입사하여 감사로 활동했다. 이후 정치에 입문하여 1946년 중의원 의원에 당선된 후 8번의 당선을 기록했고, 대장정무차관, 예산위원장을 역임했다. 1953년에는 체신 대신을 지냈고, 1961년 니가타현 지사로 당선되어 종합개발계획을 추진했다. 1965년 뇌물 수수 혐의로 사임한 후, 참의원 의원으로 국정에 복귀하여 1997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쿄 외국어대학 교수 - 이수정 (1842년)
이수정은 조선 말기 관료이자 개신교 신자, 성경 번역가로, 고종의 허락을 받아 일본으로 건너가 개신교로 개종한 후 한국어 성경 번역에 힘썼으며, 《현토한한신약전서》 발간과 《신약마가전복음서언해》 출판 등의 업적을 남겼다. - 도쿄 외국어대학 교수 - 다카쿠스 준지로
다카쿠스 준지로는 일본의 불교학자이자 교육자로, 도쿄제국대학에서 범어학 강좌를 창설하고 『대정신수대장경』과 『남전대장경』의 간행을 주도하여 불교학 연구에 기여했으며 무사시노 여자학원과 니혼바시 간이 상업 야간 학교를 설립하고 에스페란토 운동에도 참여했다. - 니가타현지사 - 야스이 세이이치로
야스이 세이이치로는 도쿄도지사를 세 차례 역임하고, 조선총독부 비서관, 경기도 지사 등을 거쳐 수도권정비법 제정 및 1964년 도쿄 올림픽 유치를 추진했으며, 중의원 의원으로 활동하다 사망했다. - 니가타현지사 - 이자와 다키오
이자와 다키오는 메이지 시대부터 쇼와 시대에 걸쳐 활동한 일본의 관료이자 정치인으로, 내무성 관료에서 시작해 여러 지방 지사와 경시총감, 타이완 총독, 도쿄 시장 등을 역임하며 중앙 정치에도 깊숙이 관여하여 정계에 영향력을 행사하려 했던 인물이다.
쓰카다 주이치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쓰카다 주이치로 |
원어 이름 | 塚田 十一郎 (つかだ じゅういちろう) |
출생일 | 1904년 2월 9일 |
출생지 | 일본 니가타현 나카쿠비키군 가스가 촌 (현 조에쓰시) |
사망일 | 1997년 5월 23일 |
사망지 | 일본 도쿄도 지요다구 |
학력 | 구제 도쿄 상과대학 (히토쓰바시 대학의 전신) |
학위 | 학사 |
칭호 | 정3위 |
훈장 | 훈1등 욱일대수장 |
친족 | 쓰카다 도오루 (전 중의원 의원), 쓰카다 이치로 (오남, 중의원 의원) |
소속 정당 | 일본자유당 → 민주자유당 → 자유당 → 자유민주당 → 무소속 → 자유민주당 |
경력 | |
이전 직업 | 구제 도쿄 외국어학교 조교수, 카지마 건설 감사 |
중의원 | 중의원 의원 |
선거구 | (구 니가타 2구 →) 구 니가타 4구 |
당선 횟수 | 8회 |
임기 시작 | 1946년 4월 11일 |
임기 종료 | 1961년 11월 |
참의원 | 참의원 의원 |
선거구 (참의원) | 니가타현 선거구 |
당선 횟수 (참의원) | 3회 |
임기 시작 (참의원) | 1968년 7월 8일 - 1974년 7월 7일, 1976년 12월 12일 |
임기 종료 (참의원) | 1983년 7월 9일 |
장관 | 우정대신, 자치청 장관, 행정관리청 장관 |
내각 | 제5차 요시다 내각 |
임기 시작 (장관) | 1953년 5월 21일 |
임기 종료 (장관) | 1954년 12월 10일 |
기타 직책 | 니가타현 지사, 자유민주당 정무조사회장 |
재임 기간 | 1961년 12월 10일 - 1966년 3월 28일 (지사), 1956년 - 1957년 (정조회장) |
총재 | 이시바시 단잔, 기시 노부스케 |
2. 생애
쓰카다 주이치로는 1904년 2월 니가타현 나카쿠비키군 가스가촌(지금의 조에쓰시)에서 태어나 1997년 5월 도쿄도 지요다구의 한 병원에서 복막염으로 사망했다. 향년 93세. 사후 정3위에 추서되었다.[11][12]
쇼와 금융공황 이후 어려운 시기를 겪었지만, 가시마 건설의 가지마 모리노스케와의 만남을 통해 경력을 쌓고 정치에 입문하여 중의원 의원, 니가타현지사, 참의원 의원을 역임했다. 중의원 의원 시절 제5차 요시다 내각에서 우정상 겸 자치청 장관 겸 행정 관리청 장관으로 첫 입각했다. 니가타현지사 시절에는 니가타 지진 복구에 힘썼으나, 뇌물 사건으로 사임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904년 2월, 니가타현 나카쿠비키군 가스가촌(지금의 조에쓰시)에서 농업을 하는 쓰카다 가메노스케의 여섯째 아들로 태어났다.[1] 구제 니가타현립 다카다 중학교와 다롄 중학교를 거쳐[1] 1928년 도쿄 상과대학(히토쓰바시 대학의 전신)을 졸업[8]하고, 고등문관시험 행정과와 사법과에 모두 합격[4]했다.2. 2. 초기 경력
쇼와 금융공황의 여파로 취업난을 겪다가 전 문부상 고바시 이치타의 식객 겸 서생으로 지냈다. 1931년 고바시의 소개로 도쿄 외국어대학 사무국 학생과에서 창구 업무를 맡았다. 가시마 건설의 가지마 모리노스케와 인연을 맺고, 그의 인정을 받아 도쿄 외국어대학 조교수가 되어 민법 등을 강의했다.[1]나가사키 고등상업학교 사무관을 거쳐 1938년 가지마 모리노스케의 스카우트로 가시마 건설에 입사하여 감사로 취임했다.[1]
2. 3. 정치 경력
1946년 총선에 일본자유당 공천으로 출마해 당선되었으며,[2] 이후 8회 연속 당선되었다.[6] 대장정무차관, 중의원 예산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1953년 5월 제5차 요시다 내각에서 우정상 겸 자치청 장관 겸 행정 관리청 장관으로 첫 입각했다. 요시다 시게루는 쓰카다와 나다오 히로키치 중 누구를 입각시킬지 오노 반보쿠에게 상담했는데, 관료를 싫어하던 오노가 관료 출신인 나다오의 입각에 극력 반대하여 쓰카다가 입각하게 되었다는 일화가 있다.이후 쓰카다는 오노 파벌에 들어갔으나, 오노의 측근인 간다 히로시와 대립하면서 오노와는 금방 사이가 소원해졌다. 오가타 다케토라의 측근인 이시이 미쓰지로에게 접근해 그를 총재로 추대하려고 계획했으나 실패했다. 이시이의 지원을 받은 이시바시 단잔이 총재 선거에서 승리해 이시바시 내각이 출범하자 쓰카다는 자유민주당 정무조사회장에 취임해 당3역을 맡았지만, 이시바시 내각은 2개월 만에 붕괴되었다.
1961년 중의원 의원을 사임하고 니가타현지사 선거에 출마해 당선되었다.[6]
2. 4. 니가타현지사 시절
1961년 니가타현지사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6] 1963년 고도성장산업 유치를 위한 「니가타현 종합개발계획」을 획정하여 니가타 히가시항을 건설하고 시나노강에 세키야 방수로를 만들었다. 1964년 니가타 지진 발생 당시 도쿄로 출장을 가 있었는데, NHK의 긴급 보도를 보고 급히 귀향했다. 아직 조에쓰 신칸센이 없던 시절이라 니가타에 도착하자마자 작업복을 입고 피난소를 찾아 "이런 일이 일어나서… 정말로…"라며 말을 잇지 못한 채 절규했다. 1965년 재선에 성공했지만, 자민당 소속 현의회 의원들로부터 뇌물을 받은 사실(20만 엔 중원 사건)이 드러나 이듬해 1966년 3월에 사임했다.[6]2. 5. 국정 복귀 및 사망
1968년 제8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 무소속으로 출마해 당선되어 국정에 복귀했다.[6] 1974년 제10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는 낙선했다.[6] 같은 해 가을 훈1등 욱일대수장을 수훈했다.[7][10] 1976년 보궐선거에 출마해 당선되어 재선 참의원 의원이 되었고, 1982년에 3선 의원이 되었다.[6] 그 해 아내의 사업 실패로 200억엔의 부채를 짊어졌다.[6]1997년 5월 복막염으로 도쿄도 지요다구의 한 병원에서 사망했다. 향년 93세.[11] 사후 정3위에 추서되고 은배 한 조를 하사받았다.[12]
3. 가족 관계
- 전처 - 1966년 사망[15]
- 후처 - '''쓰카다 도키''' - 니가타현 북부의 산촌 출신.[15] 상경하여 바나 클럽에서 일한 후 니가타로 돌아갔다. 도쿄식 세련된 대화와 옷차림은 지역 정재계 인사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15] 전성기에는 9개의 바와 클럽을 경영했으며, 니가타 시내의 요지에 빌딩을 건설했고,[15] 나아가 긴자의 클럽에도 손을 뻗었다.[15] 1961년에 니가타현 지사로 당선된 쓰카다 주이치로와 간통 관계가 되어, 1963년에는 이치로 (참의원 의원)를 낳았다.[15] 당시 주이치로에게는 아직 처자식이 있었다.[15] 1966년에 전처가 사망하자 도키는 주이치로의 정실이 되었다.[15] 이후 도키의 유흥업도 기울면서 부부가 떠안은 빚은 20억엔까지 불어났다고 한다.[6][15] 그 후 돈에 쪼들린 도키는 아무에게나 돈을 빌리기 시작했고, "피해 총액이 1억엔을 넘을 것"이라고 피해자 중 한 명이 말했다.[15]
- 아들
- * '''토오루''' (전 중의원 의원[4], 1934년 - )
- * '''이치로''' (중의원 의원, 전 참의원 의원, 주이치로의 다섯째 아들[3], 어머니는 주이치로의 후처 도키, 1963년 - )
4. 평가 및 논란
츠카다 주이치로는 전후 일본의 경제 성장과 지역 발전에 기여한 정치인으로 평가받는다. 니가타현지사 시절 추진한 대규모 개발 사업은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는다.[6] 특히, 1963년 "니가타현 종합 개발 계획"을 수립하여 니가타 동항 건설과 시나노 강의 세키야 분수 사업을 추진한 것은 주목할 만한 업적이다.[6]
그러나 뇌물 수수 혐의와 관련된 논란도 있었다. 1965년 자민당 소속 현의원들에게 20만 엔의 뇌물을 제공한 사건(20만 엔 중원 사건)으로 인해 1966년 3월 지사직을 사임해야 했다.[6] 또한, 후처 토키의 사업 실패로 인해 200억엔의 부채를 안게 된 것도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6]
1964년 니가타 지진 당시 츠카다는 도쿄 출장 중이었는데, 지진 다음 날 NHK의 보도 특별 프로그램에 출연했다. 조에쓰 신칸센 개통 이전이었기에 오랜 시간을 들여 니가타에 도착한 그는 작업복 차림으로 피난소를 찾아 "이런 일이 벌어지다니... 정말..."이라며 말을 잇지 못하고 흐느꼈다. 이 모습은 많은 재해민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13]
한국의 관점: 츠카다 주이치로는 일본의 우경화를 주도한 자유민주당 소속 정치인이었기에 한국의 입장에서는 비판적으로 평가될 수 있다. 특히, 1965년 한일기본조약 체결 당시 일본 정계의 주요 인물 중 한 명이었으므로, 그의 정치적 행보는 한일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5. 역대 선거 기록
선거명 | 선거일 | 소속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제2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46년 | 자유당 | 4위 | 당선 | 니가타현 제2구 | ||
제2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47년 | 자유당 | 42,451표 | 25.23% | 2위 | 당선 | 니가타현 제4구 |
제2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49년 | 민주자유당 | 68,308표 | 32.52% | 1위 | 당선 | 니가타현 제4구 |
제2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52년 | 자유당 | 47,559표 | 20.08% | 2위 | 당선 | 니가타현 제4구 |
제2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53년 | 자유당 | 60,501표 | 26.88% | 2위 | 당선 | 니가타현 제4구 |
제2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55년 | 자유당 | 58,956표 | 25.56% | 2위 | 당선 | 니가타현 제4구 |
제2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58년 | 자유민주당 | 62,510표 | 26.4% | 2위 | 당선 | 니가타현 제4구 |
제2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60년 | 자유민주당 | 53,542표 | 22.61% | 3위 | 당선 | 니가타현 제4구 |
1961년 니가타현지사 선거 | 1961년 | 자유민주당 | 556,961표 | 54.4% | 1위 | 당선 | 니가타현 |
1965년 니가타현지사 선거 | 1965년 | 자유민주당 | 648,804표 | 58.57% | 1위 | 당선 | 니가타현 |
제8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 1968년 | 무소속 | 372,528표 | 31.88% | 2위 | 당선 | 니가타현 선거구 |
제10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 1974년 | 자유민주당 | 292,944표 | 22.34% | 3위 | 낙선 | 니가타현 선거구 |
보궐선거[1] | 1976년 | 자유민주당 | 508,001표 | 56.25% | 1위 | 당선 | 니가타현 선거구 |
제11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 1977년 | 자유민주당 | 590,976표 | 53.22% | 1위 | 당선 | 니가타현 선거구 |
참조
[1]
NDLDC
日本政経人評伝 第1集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2024-01-24
[2]
NDLDC
衆議院議員総選挙一覽 第22回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2021-01-07
[3]
웹사이트
プロフィール
http://www.t-ichiro.[...]
2021-01-13
[4]
NDLDC
人事興信録 第25版 下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2024-01-23
[5]
웹사이트
歴代議員一覧(50音順):資料集:参議院
http://www.sangiin.g[...]
[6]
서적
政治家人名事典
[7]
Kotobank
塚田 十一郎
2023-01-13
[8]
NDLDC
東京商科大学一覧 昭和3年度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2019-07-25
[9]
서적
派閥-保守党の解剖
弘文堂
1958
[10]
간행물
官報
1974-11-07
[11]
뉴스
訃報
http://www.sankei.co[...]
2023-01-13
[12]
간행물
官報
1997-06-25
[13]
웹사이트
NHKクロニクル NHKアーカイブス
https://www.nhk.or.j[...]
2021-12-21
[14]
웹사이트
新潟競馬場跡の碑
http://www.city.niig[...]
[15]
뉴스
忖度辞任・塚田一郎議員の破天荒母に借金問題 「最後は息子が払います」が決まり文句
http://www.dailyshin[...]
2021-0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