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이트 앤 매직 히어로즈: 킹덤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이트 앤 매직 히어로즈: 킹덤스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플레이하는 실시간 전략 대규모 다중 사용자 온라인 게임이다. 각 게임 세계는 타일 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플레이어는 도시를 건설하고 자원을 수집하며, 영웅을 육성하여 전투를 벌인다. 게임은 5개의 종족, 독특한 전투 시스템, 그리고 동맹 시스템을 특징으로 한다. 부분 유료화 모델을 통해 운영되었으나, 2014년 9월 1일에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히어로즈 오브 마이트 앤 매직 - 히어로즈 오브 마이트 앤 매직 III
    히어로즈 오브 마이트 앤 매직 III는 영웅을 조종하여 군대를 지휘하고 자원을 모아 전투를 벌이는 턴제 전략 게임으로, 신화와 전설에서 영감을 받은 8가지 유형의 마을에서 군대를 생성하고 세계 지도를 탐험하며 영웅의 기술을 개발하는 게임이다.
  • 히어로즈 오브 마이트 앤 매직 - 마이트 앤 매직 히어로즈 VI
    마이트 앤 매직 히어로즈 VI는 블랙 홀 엔터테인먼트가 개발하고 유비소프트가 배급한 턴제 전략 롤플레잉 게임으로, 히어로즈 오브 마이트 앤 매직 V의 400년 전 시대를 배경으로 다섯 개의 진영과 다양한 유닛, 새로운 게임 시스템을 특징으로 한다.
  • 전략 게임 - 임진록 2
    임진록 2는 임진왜란을 배경으로 조선, 일본, 명 세 국가의 시나리오를 제공하며 고유한 유닛과 건물을 사용하는 실시간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이다.
  • 전략 게임 - 전략 비디오 게임
    전략 비디오 게임은 자원 관리, 유닛 생산, 건물 건설 등을 통해 전략적 사고를 요구하는 장르로, 실시간 전략과 턴제 전략으로 나뉘며 싱글 플레이와 멀티 플레이를 모두 지원한다.
  • 2009년 비디오 게임 - AaaaaAAaaaAAAaaAAAAaAAAAA!!! – A Reckless Disregard for Gravity
    AaaaaAAaaaAAAaaAAAAaAAAAA!!! – A Reckless Disregard for Gravity는 고층 건물에서 머리부터 낙하하며 점수를 얻는 3D 1인칭 베이스 점프 게임으로, 다양한 레벨과 아이템을 통해 기록을 갱신하고,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되었다.
  • 2009년 비디오 게임 - 리그 오브 레전드
    리그 오브 레전드는 라이엇 게임즈에서 개발한 5대5 팀 기반 MOBA 게임으로, 다양한 챔피언을 조작하여 여러 전장에서 상대 팀의 넥서스를 파괴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e스포츠 리그 운영 및 미디어 믹스를 통해 세계관을 확장하고 있다.
마이트 앤 매직 히어로즈: 킹덤스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제목마이트 앤 매직 히어로즈: 킹덤스
원제목Might & Magic Heroes: Kingdoms
표지
시리즈마이트 앤 매직 히어로즈 시리즈
게임 정보
장르턴제 전략 게임
RPG
모드멀티 플레이
플랫폼웹게임
입력 장치마우스
개발 및 배급
개발사유비소프트
발행사유비소프트
배급사플레이엔씨
출시 정보
출시일2009년 11월 3일 (프랑스)
언어영어
한국어
기타
원작마이트 앤 매직

2. 게임플레이

《마이트 앤 매직 히어로즈: 킹덤스》는 다른 웹게임들과 유사한 플레이 방식을 가진 실시간 전략 게임이다. 게임 내 등장하는 유닛이나 건물 등은 대체로 히어로즈 오브 마이트 앤 매직 V를 기반으로 하였다. 하지만 전투는 기존 히어로즈 시리즈와 달리 유닛을 배치한 순서대로 공격하는 독특한 시스템을 가지고 있어, 유닛 배치가 전투 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2. 1. 기본 시스템

''마이트 앤 매직 히어로즈: 킹덤스''는 인터넷 브라우저를 통해 플레이하는 실시간 전략 대규모 다중 사용자 온라인 게임이다.

여러 게임 세계가 제공되었으며, 각 세계는 제한된 수의 플레이어만 수용할 수 있었다. 각 게임 세계는 구역으로 나뉜 타일 형태의 지도로 구성되었다. 플레이어는 자신이 플레이할 게임 세계를 선택하고, 그 세계 안의 특정 구역 내에 위치한 도시 하나를 통제하게 된다. 각 플레이어가 관리하는 기본 영역은 도시를 중심으로 한 5x5 크기, 총 25개의 타일로 이루어진 구역이다. 이 25개 타일 중 4곳에는 도시 운영에 필요한 자원을 생산하는 광산이 존재하며, 나머지 타일은 처음에는 비어 있는 땅이다. 비어 있는 땅에 건물을 짓거나 자원을 얻기 위해서는 해당 타일을 점령하고 있는 논플레이어 캐릭터(NPC) 부대를 먼저 물리쳐야 했다.

도시는 플레이어의 영웅과 부대들이 머무는 중심 기지 역할을 한다. 도시 안에는 새로운 영웅을 고용하거나, 추가 병력을 훈련시키거나, 마법 연구를 진행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진 건물을 건설할 수 있었다. 영웅은 부대를 이끌고 전투에 참여할 뿐만 아니라, 도시 주변 구역의 광산을 개발하거나 건물을 짓고, 심지어 다른 지역에 새로운 도시를 건설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영웅은 이러한 활동을 통해 경험치를 얻고 레벨을 올릴 수 있으며, 레벨이 오르면 전투 능력을 강화하거나 도시 경제 발전에 도움이 되는 새로운 기술과 능력을 배울 수 있었다.

플레이어들은 보호를 위해 동맹을 결성하고, 게임에서 승리하는 데 필요한 "아샤의 눈물"을 얻기 위해 조직을 구성했다. 하나의 게임 세계는 약 6개월 동안 지속되었으며, 한 게임이 끝나면 플레이어는 이전 세계에서 달성한 업적에 따라 보너스를 받고 새로운 게임 세계에서 다시 시작할 수 있었다.

게임 경제는 금, 일반 자원(광석, 나무), 그리고 희귀 자원(수은, 수정, 유황, 보석)의 수집을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금은 영웅과 부대를 고용하고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며, 각종 건물을 짓는 비용으로도 사용된다. 광석과 나무 같은 일반 자원은 기본적인 도시 건물을 짓는 데 필요했다. 수은, 수정, 유황, 보석과 같은 희귀 자원은 특수 및 마법 구조물과 고급 부대를 모집하는 데 필요했다. 각 도시는 기본적으로 4개의 광산만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필요한 모든 종류의 자원을 얻으려면 다른 플레이어나 NPC 상인과 거래를 하거나, 다른 도시를 공격하여 자원을 약탈해야 했다. 플레이어는 서로 다른 종류의 광산을 가진 지역에 새로운 도시를 건설함으로써 점차 자원 자급자족률을 높여갈 수 있었다.

각 플레이어는 헤이븐, 아카데미, 네크로폴리스, 인페르노, 실반의 5개 종족 중 하나를 선택해야 했다. 각 종족은 전투와 마법에서 서로 다른 기술을 가지고 있었고, 각 종족의 특수 구조물과 부대에 필요한 희귀 자원이 달랐다.

2. 2. 도시와 영웅

도시는 영웅 캐릭터와 플레이어의 부대를 수용하는 중심지 역할을 했다. 도시 안에서는 새로운 영웅을 고용하거나 추가 부대를 훈련시킬 수 있었고, 마법 연구를 진행하거나 다른 보너스를 제공하는 여러 구조물을 건설하는 것이 가능했다.

영웅은 부대를 이끌고 전투에 참여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또한, 도시 주변 구역에 있는 광산을 개선하거나 건물을 짓는 활동을 했으며, 다른 구역에 새로운 도시를 건설하여 세력을 확장할 수도 있었다. 영웅은 이러한 활동들을 통해 경험치를 얻었고, 레벨이 상승함에 따라 새로운 기술능력을 습득했다. 이를 통해 전투에서의 효율성을 높이거나 도시 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등 다방면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

2. 3. 자원

게임의 경제는 , 일반 자원(광석, 나무), 그리고 희귀 자원(수은, 결정, 유황, 보석)의 수집을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 : 영웅부대를 모집하고 유지하며, 각종 건물 건설 비용을 지불하는 데 사용되었다.
  • 일반 자원: 광석나무는 기본적인 도시 건물을 건설하는 데 필요했다.
  • 희귀 자원: 수은, 결정, 유황, 보석은 특수 건물이나 마법 관련 건물을 건설하고, 고급 부대를 모집하는 데 필요했다.


도시는 기본적으로 단 4개의 광산만 보유할 수 있었다. 이 때문에 도시에서 직접 생산되지 않는 다른 종류의 자원은 다른 플레이어나 NPC 상인과의 거래를 통해 구매하거나, 다른 플레이어의 도시를 약탈하여 획득해야 했다. 플레이어는 서로 다른 종류의 광산을 가진 지역에 새로운 도시를 건설함으로써 점차 자원 자급률을 높여갈 수 있었다.

또한, 플레이어가 선택하는 종족(헤이븐, 아카데미, 네크로폴리스, 인페르노, 실반)에 따라 특수 건물 건설이나 부대 모집에 필요한 희귀 자원의 종류가 각기 달랐다.

2. 4. 전투 시스템

기존 패키지 형태의 히어로즈 시리즈와는 다른 독자적인 전투 시스템을 가지고 있었다. 가장 큰 특징은 유닛을 배치한 순서대로 공격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유닛을 어떻게 배치하는지에 따라 전투의 결과가 크게 달라지므로, 신중한 전략 수립이 요구되었다.

2. 5. 종족

게임에는 헤이븐, 아카데미, 인퍼노, 네크로폴리스, 실반의 5가지 종족이 존재했다. 플레이어는 이 5개 종족 중 하나를 선택하여 플레이했다. 각 종족은 전투와 마법에서 서로 다른 기술을 가지고 있었으며, 특수 구조물 건설이나 고급 부대 모집에 필요한 희귀 자원(수은, 결정, 유황, 보석)의 종류가 서로 달랐다.

2. 6. 동맹 및 게임 종료

플레이어는 서로 보호하고 게임에서 승리하는 데 필요한 "아샤의 눈물"을 얻기 위해 동맹을 결성하고 조직을 구성했다. 각 게임 세계는 약 6개월 동안 지속되었으며, 한 게임 세계에서의 업적을 바탕으로 다음 게임 세계를 시작할 때 보너스를 받을 수 있었다.

3. 부분 유료화 모델

이 게임은 부분 유료화 모델을 채택했다. 무료 이용자는 처음 두 달 동안 영웅 3명과 마을 3개로 제한되었으며, 이후 매달 영웅 1명과 마을 1개를 추가할 수 있었다. 월간 구독을 하면 이러한 제한이 해제되고 추가적인 게임 내 보너스를 얻을 수 있었다. 가상 재화 구매 또한 가능했다.

4. 아시아 지역 서비스

유비소프트의 청두 지사 스튜디오 프로듀서인 샘슨 모우는 중국, 대만, 그리고 한국에서 마이트 앤 매직 히어로즈: 킹덤스의 개발, 출시 및 운영을 담당했다.[2]

5. 서비스 종료

2014년 1월 22일, 게임 운영진은 마이트 앤 매직 히어로즈: 킹덤스 서버가 2014년 8월 말에 영구적으로 종료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실제 종료는 2014년 9월 1일에 이루어졌으며, 현재 해당 서버는 더 이상 게임 플레이를 지원하지 않는다.

참조

[1] 웹사이트 Your questions about the game http://forums.ubi.co[...] Ubisoft 2009-06-28
[2] 웹사이트 "Magic: The Kingdom," Ubisoft studio big decryption http://games.qq.com/[...] Tancent 2014-02-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