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인츠 사육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인츠 사육제는 독일 라인강 유역에서 열리는 대규모 축제로, 기독교 사순절 기간에 고기를 먹지 않는 전통에서 유래했다. 19세기 초 중산층의 성장과 쾰른과의 교류를 통해 발전했으며, 정치적 풍자와 사회적 비판을 담아 대중적인 축제로 자리 잡았다. 11월 11일에 시작하여 재의 수요일까지 진행되며, 여인들의 목요일, 장미의 월요일 등 주요 행사가 열린다. 마인츠 사육제는 정치, 사회, 경제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지역 경제와 관광 산업에 기여하는 중요한 문화 행사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축제 - 뮌헨 오페라 페스티벌
뮌헨 오페라 페스티벌은 1875년 카를 폰 페어팔에 의해 시작되어 모차르트, 바그너, 슈트라우스의 오페라를 중심으로 바이에른 국립 극장에서 매년 6월부터 7월까지 다양한 공연을 선보이며, "오퍼 퓌어 알레"를 통해 시민들에게 문화 향유 기회를 제공하는 음악 축제이다. - 독일의 축제 - 스윙잉 하노버
스윙잉 하노버는 독일 하노버에서 열리는 재즈 페스티벌로, 국제적인 재즈 스타 초청 공연, 야외 콘서트, 재즈 밴드 볼 등의 행사로 구성되며 독일 내에서 큰 규모를 자랑한다. - 마인츠 - 구텐베르크 성경
구텐베르크 성경은 요하네스 구텐베르크가 1450년대에 마인츠에서 인쇄한 성경으로, 가동 활자를 사용한 서양 최초의 주요 인쇄본이자 인쇄 혁명의 상징이며, 불가타 라틴어 성경을 바탕으로 높은 품질의 유성 잉크, 블랙레터 서체, 수작업 장식이 특징이다. - 마인츠 - 남서독일방송
남서독일방송(SWR)은 1998년 남독일방송과 남서부 라디오의 합병으로 설립되었으며, 바덴바덴과 슈투트가르트에 본사를 두고 바덴뷔르템베르크주와 라인란트팔츠주를 관할하는 독일의 공영 방송사이다. - 사육제 - 마르디 그라
마르디 그라는 사순절 전 풍성한 음식을 즐기는 기독교 전통에서 시작된 축제로, 특히 뉴올리언스에서 대규모 퍼레이드와 축제로 발전하여 현재는 화려한 퍼레이드와 음악 중심의 축제로 자리 잡았으며, 유럽에서는 카니발이라는 유사한 축제가 열린다. - 사육제 - 리우 카니발
리우 카니발은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매년 열리는 축제로, 삼바 퍼레이드를 중심으로 다양한 거리 축제와 문화를 포함하며, 스페인 산타크루스데테네리페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마인츠 사육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Fasching (파싱) Fastnacht (파스트나흐트) Karneval (카르네발) |
날짜 | 11월 11일 11시 11분 시작 재의 수요일 전까지 |
장소 | 마인츠 |
주최자 | 마인츠 사육제 협회 |
역사 | |
기원 | 중세 시대 |
특징 | 정치적 풍자 |
행사 내용 | |
주요 행사 | 퍼레이드 가장 무도회 연설회 |
전통 의상 | 바보 모자, 알록달록한 의상 |
구호 | Helau (헬라우) |
문화적 중요성 | |
상징 | 정치적 자유 비판 정신 |
영향 | 독일의 다른 사육제 문화에 영향 |
관련 정보 | |
유사 축제 | 쾰른 카니발 뒤셀도르프 카니발 |
참고 | 라인란트 카니발 |
2. 어원 및 유래
독일 라인강 유역에서 열리는 카니발, 특히 마인츠 사육제는 기독교 문화에서 유래한 축제로, 예수의 수난과 부활절과 관련된 종교적 의미를 지닌다. 카니발(Carnevallat)이라는 단어는 '고기'를 뜻하는 라틴어 '카르네'(Carnelat)와 '격리' 또는 '작별'을 의미하는 '발'(vallat)이 합쳐진 말로, '고기와의 작별'로 해석될 수 있다.[19] 이는 중세부터 부활절 40일 전인 사순절(四旬節) 동안 고기를 금하고 근신하는 전통에서 비롯되었다. 즉, 금욕 기간에 들어가기 전에 마음껏 먹고 마시며 즐기던 축제가 카니발의 시작이었다.[19] '파스트나흐트'(Fastnachtdeu) 또는 카니발이라는 용어는 13세기에 처음 문헌에 등장했다.[3]
초기 카니발은 기독교적 경건함 속에서 시작되었으나, 중세로 접어들면서 점차 방탕한 축제로 변모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에 정부나 교회에서 규제를 시도하기도 했으나, 카니발의 전통은 오히려 더욱 확산되었다.[19] 15세기 말 디트리히 그레제문트의 기록에 따르면 당시 마인츠 카니발은 가면을 쓰고 먹고 마시며 춤추는 비조직적인 민속 축제의 형태였으며, 선제후 궁정에서는 역할을 바꾸는 "마인츠 왕국"(Mainzer Königreichdeu)이라는 독특한 축제가 열리기도 했다.
현대적인 마인츠 카니발의 모습은 19세기 초 쾰른 카니발의 개혁[5]과 마인츠 중산층의 성장에 영향을 받아 형성되기 시작했다. 1837년에는 "크레빈클러 란트슈투름"(Krähwinkler Landsturmdeu)[6]이라는 퍼레이드가 처음 조직되었고, 여기서 가장 오래된 카니발 단체인 마인츠 란젠가르데(Mainzer Ranzengarde)가 등장했다.[7] 이듬해인 1838년 1월 19일에는 마인츠 카니발 협회(Mainzer Carneval-Verein, MCV)가 창립되어[9]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장미의 월요일 행진 등을 조직하는 중심 역할을 하게 되었다.
2. 1. 기독교적 기원
독일의 라인 카니발, 특히 마인츠 사육제는 기독교 문화에 깊은 뿌리를 두고 있으며, 예수의 수난과 부활절과 관련된 종교적 축제에서 유래했다. 사육제라고도 불리는 카니발(Carnevalla)이라는 단어는 '고기'를 뜻하는 라틴어 '카르네'(Carnela)와 '격리' 또는 '작별'을 뜻하는 '발'(valla)이 합쳐진 말로, '고기와의 작별'을 의미한다.[19] 이는 로마 시대부터 종교적인 이유로 특정 기간 고기를 먹지 않던 전통이 기독교로 이어져, 중세부터 부활절 40일 전인 사순절(四旬節) 동안 고기를 금하고 근신하는 관습으로 발전했기 때문이다. 카니발은 이 금욕 기간에 들어가기 전에 마음껏 고기와 술을 즐기던 축제에서 시작되었다.[19]원래 카니발 기간은 기독교적인 경건함과 성스러운 분위기 속에서 시작되었으나, 중세로 접어들면서 축제가 지나치게 방탕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에 정부나 교회에서는 카니발의 무절제함을 못마땅하게 여겨 법령과 각종 조치를 통해 금지하려 했으나, 이러한 시도에도 불구하고 카니발의 전통은 오히려 더욱 확산되었다.
카니발 전통은 기독교의 이동 축일 달력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재의 수요일은 사순절의 시작을 알리는 날이며, 부활절 46일(일요일 제외 시 40일) 전에 해당한다. 카니발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13세기와 14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당시에는 카니발 기간 동안 과도한 폭식이나 방탕한 행동을 금지하는 규정이 제정되기도 했다. '파스트나흐트'(Fastnachtde) 또는 카니발이라는 용어 자체는 13세기에 처음 문헌에 등장했다.[3]
초기 마인츠 지역의 카니발에 대한 구체적인 기록은 많지 않다. 15세기 말 마인츠 출신의 인문주의 작가 디트리히 그레제문트가 남긴 기록에 따르면, 당시 카니발은 체계적이지 않은 민속 축제의 형태를 띠었다. 사람들은 낮과 밤에 가면을 쓰고 무도회를 열었으며, 먹고 마시고 춤추는 것을 즐겼다. 그레제문트는 축제 참가자들이 거친 농담을 주고받거나, 가면 뒤에 숨어 과격한 다툼을 벌이는 모습도 묘사했다.
한편, 선제후의 궁정에서는 성대한 카니발 축제가 열렸는데, 이때 궁정 내의 역할이 무작위로 뒤바뀌는 독특한 관습이 있었다. 예를 들어 1664년에는 선제후가 선거 내각 제작자의 역할을 맡았고, 1668년에는 직접 술을 따르며 모든 손님을 시중드는 역할을 수행했다. 이러한 역할극 전통은 "마인츠 왕국"(Mainzer Königreichde)이라 불렸으며, 마지막 선제후인 프리드리히 카를 요제프 폰 에르탈이 1775년에 중단시킬 때까지 이어졌다.
앙시앵 레짐이 막을 내린 후에도 "민중 카니발"은 계속되었지만, 옛 기록에 따르면 점차 저속한 형태로 변질되었다고 한다. 반면, 당시 상류층은 과거의 전통을 이어받아 가면무도회 형식의 의상 파티를 열었다.
2. 2. 중세 시대의 변화
기독교의 이동 축일에서 유래한 카니발 전통은 재의 수요일을 기준으로 사순절 시작 전까지 이어진다. 재의 수요일은 부활절 46일(일요일 제외 시 40일) 전에 해당한다. 이러한 전통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13세기와 14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당시에는 카니발 전날의 과도한 폭식과 방탕을 금지하는 규정이 존재했다. ‘Fastnacht’ 또는 카니발이라는 용어는 13세기에 처음으로 문헌에 등장했다.[3]원래 사순절을 앞둔 사육제 기간은 기독교적 경건함 속에서 시작되었으나, 중세 시대로 접어들면서 점차 그 성격이 변화하여 지나치게 방탕한 모습을 보이게 되었다. 이에 정부나 교회에서는 카니발의 무절제함을 문제 삼아 법령이나 조치를 통해 금지하려 했지만, 이러한 규제는 오히려 사람들의 열기를 더욱 부추기는 결과를 낳았다.[19]
초기 마인츠 카니발의 구체적인 모습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부족하다. 15세기 말 마인츠의 인문주의 작가 디트리히 그레제문트가 남긴 기록에 따르면, 당시 카니발은 낮과 밤에 걸쳐 가면 무도회, 음식과 술, 춤이 뒤섞인 비조직적인 민속 축제 형태였다. 그는 축제 참가자들이 거친 농담을 하거나 가면을 쓰고 과격하게 다투는 모습 등을 묘사했다.
같은 시기, 선제후의 궁정에서는 대규모 카니발 축제가 열렸는데, 궁정 내 역할을 무작위로 바꾸는 독특한 전통이 있었다. 예를 들어, 1664년 선제후는 선거 내각 제작자 역할을 맡았고, 1668년에는 직접 술을 따르며 모든 손님에게 시중드는 역할을 했다. 이 관습은 "Mainzer Königreich"(마인츠 왕국)이라 불렸으며, 마지막 선제후인 프리드리히 카를 요제프 폰 에르탈이 1775년에 중단시킬 때까지 이어졌다.
카니발 기간 동안 일반 대중은 가면 무도회에 참석할 수 있었다.[4]
2. 3. 19세기 이후의 발전
마인츠의 현대 카니발의 기원은 19세기 초 앙시앵 레짐의 종식 이후 중산층의 강화와 쾰른과의 더 강력한 경제 관계에 있다. 쾰른에서는 1823년 카니발에 개혁이 이루어져 대규모 홀에서 카니발 행사가 도입되었고,[5] 장미의 월요일에 대규모 퍼레이드가 열렸다. 마인츠의 중산층은 사교 모임의 대안을 모색하며 쾰른의 개혁을 받아들였고, 반대와 경쟁에 더 큰 비중을 두는 방향으로 약간의 변형을 가했다. 쾰른에서 옛 카니발이 부활한 후, 마인츠 카니발리스트들은 1837년에 "크레빈클러 란트슈투름"(Krähwinkler Landsturmde)[6]이라는 퍼레이드를 조직했고, 이 퍼레이드에서 마인츠에서 가장 오래된 카니발 단체인 마인츠 란젠가르데(Mainzer Ranzengarde)가 처음으로 등장했다.[7] 당시 라인란트의 다른 카니발 단체들처럼 가입비가 높아 참여는 주로 상류층 중산층으로 제한되었다. 그러나 19세기 중반 클럽이 급증하고 회원 가입비가 인하되면서 하류 중산층의 참여도 가능해졌다. 클럽들은 1월부터 매주 만나 카니발 마지막 주 행사를 계획했으며, 다른 라인 카니발 도시와 달리 마인츠에서는 클럽 회원들이 중산층 외부의 친구들을 데려오는 경우가 많아 클럽이 다소 이질적인 경향을 보였다.[8]최초의 단체를 창설하려는 움직임은 상인 니콜라우스 크리거(Nikolaus Krieger)로부터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그의 주요 목표는 다소 무질서했던 민중 카니발을 조직적인 활동을 통해 질서 있는 행사로 변화시켜 여관 주인에게 수입을 창출하고 관광객을 유치하는 것이었다.
1838년 1월 19일은 마인츠 카니발 협회(Mainzer Carneval-Verein, MCV)의 창립일이다.[9] 이 도시 최초의 카니발 협회는 상위 조직으로서의 책임을 맡아 오늘날까지 장미의 월요일 행진을 조직하고 있다. 이 협회의 첫 번째 활동은 1838년 2월 26일에 열린 '카니발 월요일 퍼레이드'를 계획하는 것이었다. 마인츠 파스트나흐트(Fastnacht)의 주요 특징은 1838년 이후 크게 변하지 않았다.
마인츠 사육제는 초창기에는 정치적인 성향이 뚜렷하지 않았다. 사육제 단체(MCV, 란젠가르데, 장미의 월요일 행진, 세션 등)의 활동은 대공 당국에 의해 면밀히 감시되었지만, 일반적으로 지속되는 것이 허용되었다.[10] 초기에는 몇몇 사육제 협회가 특정 시즌에만 허용되어 매년 11월 11일에 당국의 승인을 받아 재창설되는 과정을 거쳤다. 19세기 동안 이 과정은 전통이 되었으나, 결국 불편함 때문에 폐지되었다.
마인츠 사육제의 정치화는 축제 참가자들이 19세기 초 도시에 주둔한 프랑스 군대를 조롱하기 위해 사육제를 이용하면서 시작되었고,[14] 1848년 독일 혁명 전야에 가속화되었다. 혁명 지도자 프란츠 하인리히 치츠(Franz Heinrich Zitz)[11]는 1843년 마인츠 카니발 협회(MCV) 회장이 되었고, 민주주의자 필리프 비트만(Philipp Wittmann)이 위원회에 합류했다. 어리석은 자(Narr)의 모자를 프리기아 모자의 확장된 형태로 해석하고, 파랑, 흰색, 빨강, 노랑의 색상을 프랑스 삼색기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며, 위원회를 '11인의 혁명 평의회'로 칭하는 등 자코뱅 클럽의 상징주의를 차용한 것은 이들에게서 비롯되었을 수 있다. 혁명의 해인 1848년 동안 사육제는 취소되었고, 사육제 가제트 "나르할라"(Narhalla)는 혁명 전단으로 바뀌었다.
1840년대부터 정치적 논평과 비판이 사육제 행사, 특히 주간 클럽 회의에서 더욱 흔해졌다. 연설자들은 발언 내용에 신중해야 했지만, 사육제는 정치적 반대의견을 표출하는 통로가 되었다.[8] 정치에 대해 (비록 암시적으로라도) 공개적으로 말할 수 있다는 점이 행사의 대중성을 높였고, 1840년대에는 두 번째 사육제 클럽이 창설되었다. 굴뚝 청소부와 종이 부착자들이 설립한 이 클럽은 회비가 저렴하여 노동 계층 시민들도 참여할 수 있었다.[8]
혁명 이후 몇 년간 사육제 활동은 잠시 위축되었다. 그러나 1855년경부터 전통은 부활 조짐을 보였고, 클럽 회원 수가 급증했으며 새로운 단체(클레퍼가르데(Kleppergarde), 1856)가 설립되었다. 1857년에는 화약고 폭발로, 1866년에는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으로 인해 행사가 취소되었다. 장미의 월요일 행진 또한 1867년에 취소되었다. 1884년 MCV는 새로 완공된 길드홀에서 세션을 개최할 기회를 얻었고, 이 장소는 이후 50년 동안 사용되었다.

이후 수년 동안 많은 새로운 협회가 생겨났다. ''Mombacher Carneval Verein''(1886),[12] ''Gonsenheimer Carneval Verein''(1892), 사육제 협회 "Eiskalte Brüder"(1893) 등이 창설되었다. 경비대로는 ''마인츠 프린첸가르데(Mainzer Prinzengarde)''(1884), 1933년 ''프린세스 가르드''(Princess Garde)로 이름이 변경된 ''프린체스 가르데(Prinzessgarde)''(1886), ''Mombacher Prinzengarde''(1886), ''요쿠스 가르데(Jocus-Garde)''[13](1889) 등이 추가되었다.
3. 주요 행사
마인츠 사육제는 전통적으로 11월 11일 11시 11분에 시작되어 재의 수요일까지 이어지지만, 실제 축제의 열기는 재의 수요일 전 주간인 2월 또는 3월에 최고조에 달한다.[14] 이 시기에 다양한 거리 행사와 실내 행사가 집중적으로 열린다.[21]
축제의 가장 중요한 행사는 장미의 월요일(Rosenmontag|로젠몬타크de)에 열리는 대규모 가장 행렬인 마인츠 로젠몬탁스추크(Mainzer Rosenmontagszug)이다.[15] 이 퍼레이드는 독일 전역에 생중계될 정도로 유명하며,[16] 정치적, 사회적 풍자가 두드러지는 것이 특징이다.[14] 또한 과거 도시를 점령했던 군대를 조롱하는 의미를 담은 사육제 경비대의 행진도 주요 볼거리 중 하나이다.[14] 축제는 제비꽃 화요일(Veilchendienstag|파일헨딘스타크de)의 누벨(Nubbel) 화형식을 거쳐 재의 수요일(Aschermittwoch|아셔미트보흐de)에 공식적으로 마무리된다.[19] 축제 기간에는 "헬라우(Helau)"라는 고유한 인사말을 사용한다.[17]
3. 1. 다양한 퍼레이드와 프로그램
마인츠 사육제는 전통적으로 11월 11일 11시 11분에 시작하지만, 축제의 하이라이트는 재의 수요일 전 목요일부터 시작되는 주간에 집중된다.[21][14] 이 시기에 다양한 퍼레이드와 프로그램이 집중적으로 열린다.요일 | 명칭 | 주요 내용 |
---|---|---|
목요일 | 여인들의 목요일 (Weiberfastnacht) | 여성들이 주도하는 날로, 이날만큼은 여성들에게 많은 결정권이 주어진다. 남성의 권위를 상징하는 넥타이를 가위로 자르는 풍습이 유명하며,[22] 잘린 넥타이 주인에게는 사과의 의미로 키스를 한다. 아이부터 어른까지 모두 다양한 분장을 하고 거리를 누빈다.[19] |
토요일 | 카네이션 토요일 (Nelkensamastag) | 주말 축제의 시작을 알리며 다양한 거리 행사가 이어진다. |
일요일 | 튤립의 일요일 (Tulpensonntag) | 다음 날 열리는 장미의 월요일 퍼레이드를 위한 지역 예선 성격의 행사가 열리기도 하며, 주로 학생들이 많이 참여한다. |
월요일 | 장미의 월요일 (Rosenmontag) | 축제의 절정. 마인츠 로젠몬탁스추크(Mainzer Rosenmontagszug)로 불리는 대규모 가장 행렬이 도시를 가득 메운다. 이날은 많은 회사와 상점도 문을 닫고 시민들이 화려한 의상과 분장을 하고 나와 퍼레이드에 참여하거나 관람하며 축제를 즐긴다. 행렬에서는 사탕 등을 던져주기도 한다. |
화요일 | 제비꽃 화요일(Veilchendienstag) | 축제가 마무리되는 분위기로 접어든다. 카니발 기간 동안 저지른 모든 죄를 참회한다는 의미로 Nubbel이라는 이름의 사람 크기만 한 허수아비를 상징적으로 불태우는 화형식이 열린다. 사람들은 슬픈 노래나 흥겨운 민요를 부르며 속죄 의식에 참여한다. |
수요일 | 참회의 수요일 (Aschermittwoch) | 사육제가 공식적으로 끝나는 날이다. 이날부터 40일간의 사순절이 시작되며, 축제 기간 동안 지은 죄를 참회하고 고기를 먹지 않으며 근신하는 날이다.[19] 길고 화려했던 축제 분위기는 차분하게 마무리된다. |
마인츠 사육제의 가장 중요한 행사는 단연 장미의 월요일(Rosenmontag)에 열리는 마인츠 로젠몬탁스추크(Mainzer Rosenmontagszug) 퍼레이드이다.[15] 이 퍼레이드는 1910년부터 영상 기록이 남아있을 정도로[16] 유서 깊으며, 독일 전역에 생중계될 정도로 유명하다. 퍼레이드는 참가자들이 비교적 자유롭게 행렬에 참여하고 빠질 수 있으며, 때로는 행렬 차량 위에서 맥주를 마시는 모습도 보이는 등 다른 지역의 퍼레이드에 비해 덜 격식적인 분위기가 특징이다.[14]
마인츠 사육제 퍼레이드는 정치적, 사회적 풍자가 매우 두드러진다. 19세기 도시를 점령했던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프랑스 군대를 조롱하기 위해 만들어진 사육제 경비대의 제복은 오늘날까지도 그 흔적을 보여준다.[14] 중세 시대의 란츠크네히트나 선제후 군대의 복장을 한 행렬도 등장하며, 이러한 군사적 요소를 차용한 행렬들은 권위를 조롱하며 퍼레이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현대에 와서는 국내외 정치 상황이나 인물에 대한 날카로운 풍자를 담은 조형물들이 퍼레이드에 등장하여 큰 주목을 받는다. 예를 들어, 1980년대 후반 냉전 시대에는 미국을 상징하는 삼촌 샘과 소련 군인이 함께 등장하거나, 당시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장이었던 미하일 고르바초프를 익살스럽게 묘사한 행렬이 등장하기도 했다.[14]
3. 2. 카니발의 정신
전통적으로 마인츠 사육제는 11월 11일 11시 11분에 시작하여 재의 수요일까지 이어진다. 하지만 축제의 열기는 재의 수요일을 며칠 앞둔 2월 또는 3월에 최고조에 달한다.[14]마인츠 사육제의 중요한 정신 중 하나는 풍자이다. 19세기부터 참가자들은 과거 도시를 점령했던 외국 군대를 조롱하는 기회로 사육제를 활용하기 시작했다. 사육제 경비대가 입는 제복은 1792년부터 1866년까지 마인츠에 주둔했던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프랑스 군대의 제복을 풍자적으로 모방한 것이다.[14] 바이제나우어 부르크그라펜가르데의 란츠크네히트 복장이나 선제후 군대의 제복처럼 더 오래된 시대를 배경으로 한 복장도 등장한다. 이처럼 군대의 권위적인 모습과 맹세를 익살스럽게 흉내 내는 경비대는 거리 사육제와 퍼레이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14]
정치적 비판과 풍자 역시 마인츠 사육제의 핵심적인 부분이며, 특히 퍼레이드에서 두드러진다. 예를 들어, 1980년대 후반의 한 퍼레이드에서는 미국을 상징하는 삼촌 샘과 러시아 군인이 갑옷에서 기어 나오는 모습, 소련의 미하일 고르바초프 서기장이 욕조에 앉아 있는 모습 등을 연출하여 당시의 국제 정세를 날카롭게 꼬집기도 했다.[14] 이러한 풍자는 권력에 대한 비판 정신을 보여주는 사육제의 중요한 특징이다.
마인츠 사육제는 현대 기술 문명과 거리를 두려는 모습도 보인다. 자동차를 이용한 행진보다는 도보 행진을 선호하며, 이를 위해 곳곳에 말뚝이나 계단을 설치하기도 한다. 음악 역시 앰프나 녹음된 반주 대신 악단이 직접 연주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실외에서는 분장한 사람들의 행진이 관객들의 호응 속에서 펼쳐지고, 실내에서는 음악, 노래, 춤, 만평극 등이 음식과 술과 함께 어우러진다.
마인츠 로젠몬탁스추크[15]는 사육제 퍼레이드 중에서도 매우 유명하며, 1910년부터 영상 기록이 남아있고[16] 종종 독일 전역에 생중계된다. 이 퍼레이드는 다른 퍼레이드에 비해 덜 형식적인 편인데, 일반 참가자들이 잠시 행렬에 끼어들어 함께 걷는 것이 허용되기 때문이다. 행진하는 사람들 역시 엄숙하기보다는 자유롭게 축제를 즐기며, 퍼레이드 차량 위에서 맥주를 마시는 모습도 흔히 볼 수 있다.[14]
마인츠 사육제 기간 동안 사람들이 외치는 인사말은 헬라우(Helau)이다. 이 구호는 원래 뒤셀도르프에서 유래했으며, 1938년에 마인츠에 도입되었다.[17]
3. 3. 여인들의 목요일과 장미의 월요일
독일 라인 카니발의 하이라이트는 여인들의 목요일과 장미의 월요일이며, 이 시기에 다양한 퍼레이드와 프로그램들이 집중적으로 펼쳐진다.[21]여인들의 목요일(Weiberfastnacht|바이베르파스트나흐트de)은 온전히 여성들을 위한 날로, 이날만큼은 남성의 권위에 도전하고 여성에게 결정권이 주어진다. 아이들은 물론 어른들까지 다양한 아이디어로 가장을 하고 거리를 돌아다니며, 백화점에는 해마다 카니발 분장용품 코너가 특설되기도 한다.[19] 이날 여성들은 낮부터 술을 마시고 거리로 나와 남성을 상징하는 넥타이를 가위로 자른다. 그리고 사과하는 의미로 그 남성에게 입을 맞추며, 남성은 잘린 넥타이를 매고 하루 종일 시내를 돌아다닌다. 사정을 모르는 외국인 신사들이나 심지어 수상도 예외 없이 넥타이를 잘리는 모습이 흔하며, 관련 사진이 신문에 실리기도 한다.[22]
여인들의 목요일 다음 날에는 카네이션 토요일(Nelkensamstag|넬켄잠스타크de), 튤립의 일요일(Tulpensonntag|툴펜존타크de)이 이어지고, 3일 뒤에는 장미의 월요일(Rosenmontag|로젠몬타크de)이 열린다. 장미의 월요일에는 마인츠에서 뒤셀도르프에 이르기까지 도시마다 성대한 가장 행렬이 벌어진다. 이날은 많은 회사와 가게가 문을 닫고 직원들도 거리로 나와 가장행렬에 참여하고 축제를 즐긴다. 마인츠 로젠몬탁스추크(Mainzer Rosenmontagszug) 퍼레이드는 특히 유명하며,[15] 1910년부터 영상 기록이 남아있고[16] 종종 전국에 생중계된다.
다만 장미의 월요일 행렬에는 아무나 참여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주로 학생들이 많이 참여하는데, 튤립의 일요일에 열리는 지역 예선에서 선발된 팀이 다음 날 행렬에서 공연을 선보이는 방식이다. 행렬 주최자나 관람하는 시민들 모두 의상을 입고 분장을 하고 함께 즐기며, 퍼레이드 중 가장행렬이 던지는 사탕을 줍기도 한다. 행렬이 끝나면 밤새도록 모여 축제를 즐기며 술을 마신다.
마인츠의 퍼레이드는 다른 지역에 비해 덜 격식적인 편이다. 참가자들이 짧은 시간 동안 퍼레이드 경로에 합류하여 함께 걷는 것이 허용되며, 행진자들이 퍼레이드 차량 위에서 맥주를 마시는 모습도 볼 수 있다.[14] 또한, 정치적 논평과 풍자는 마인츠 사육제 퍼레이드의 두드러진 특징이다. 예를 들어, 1980년대 후반의 한 퍼레이드에서는 미국을 상징하는 삼촌 샘과 러시아 군인이 갑옷 밖으로 기어 나오는 모습, 소련의 미하일 고르바초프 서기장을 욕조에 앉아 있는 모습으로 묘사하는 등 시사적인 내용을 다루었다.[14]
3. 4. 참회의 화요일과 재의 수요일
제비꽃 화요일(Veilchendienstag|파일헨딘스타크de)이 되면 축제 분위기는 비교적 조용해지며, 카니발은 거의 종료되는 시점에 접어든다. 이날에는 사람 크기만 한 허수아비인 Nubbel|누벨de을 상징적으로 불태우는 '누벨 화형식'이 거행된다. 이 허수아비는 카니발 기간 동안 저지른 모든 죄를 상징하며, 화형식은 죄를 참회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화형식에 참여한 사람들은 슬픔에 찬 한탄을 하거나 흥겨운 민요를 부르며 자신들의 잘못과 죄악에 대해 속죄하는 시간을 갖는다.사육제의 마지막 날은 재의 수요일(Aschermittwoch|아셔미트보흐de)이다. 전통적으로 마인츠 사육제는 재의 수요일에 막을 내린다.[14] 이날은 축제 기간 동안 지은 죄를 참회하고, 고기를 먹지 않으며 근신하는 날이다.[19] 재의 수요일을 기점으로 40일간의 사순절이 시작되며, 기독교 풍습에 따른 엄숙한 분위기가 강조된다. 11월부터 이어져 온 길고 화려했던 축제 분위기는 차분하고 엄숙하게 전환되며, 사육제는 이날 밤 자정을 기점으로 완전히 끝난다.[19]
4. 정치, 사회, 경제적 의미
마인츠 사육제는 단순한 거리 축제를 넘어 정치, 사회, 경제적으로 복합적인 의미를 지닌다. 초기에는 정치색이 옅었으나, 19세기 초 프랑스 점령군에 대한 조롱을 계기로 점차 정치적 성격을 띠기 시작했으며,[14] 특히 1848년 독일 혁명 전후로는 사회 비판과 정치 풍자의 중요한 배출구 역할을 담당했다.[11][8] 혁명 정신과 자유, 해방, 저항의 이념은 초기 사육제의 중요한 동력이었으며, 시간이 흐르면서 축제 자체의 즐거움이 강조되었지만, 여전히 참가자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사회 비판적 기능을 통해 일상에서의 해방감을 제공하는 사회적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장미의 월요일 행렬과 같이[23] 수많은 인파가 참여하는 대규모 행사로서 지역 경제 활성화와 관광 산업에 크게 기여하며,[24] 관련 일자리를 창출하는 등 중요한 경제적 가치를 지닌다.
4. 1. 정치적 의미
마인츠 사육제는 초창기에는 뚜렷한 정치적 성향을 띠지 않았다. 사육제 관련 단체들의 활동은 당시 대공 당국의 감시를 받았으나, 대체로 지속적인 활동이 허용되었다.[10] 다만 일부 협회는 특정 시즌에만 활동이 허가되어 매년 11월 11일에 당국의 승인을 받아 재창설되는 과정을 거쳤는데, 이는 19세기 동안 전통으로 자리 잡았다가 이후 번거로움 때문에 사라졌다.본격적인 정치색은 19세기 초, 축제 참가자들이 마인츠에 주둔하던 프랑스 군대를 조롱하기 위해 사육제를 활용하면서 나타나기 시작했다.[14] 이러한 경향은 1848년 독일 혁명 직전에 더욱 강해졌다. 1843년 마인츠 사육제 협회(MCV) 회장이 된 혁명 지도자 프란츠 하인리히 치츠(Franz Heinrich Zitz)[11]와 위원회에 합류한 민주주의자 필리프 비트만(Philipp Wittmann)은 사육제에 자코뱅 클럽의 상징성을 도입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어리석은 자의 모자는 프리기아 모자를 변형한 형태로 해석되었고, 사용된 파랑, 흰색, 빨강, 노랑은 프랑스 삼색기에서 유래했으며, 위원회는 "11인의 혁명 평의회"로 불렸다. 혁명이 일어난 1848년에는 사육제가 취소되었고, 사육제 소식지 "Narhalla"는 혁명 선전물로 전환되기도 했다.
1840년대부터는 사육제 관련 모임에서 정치적 논평과 비판이 훨씬 흔해졌다. 연설자들은 발언 수위에 신중해야 했지만, 사육제는 점차 정치적 반대 의견을 표출하는 통로 역할을 했다. 비록 암시적인 방식이었지만 정치에 대해 공개적으로 이야기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사육제의 인기는 높아졌고, 1840년대에는 노동 계층 시민들도 참여할 수 있도록 회비가 저렴한 두 번째 사육제 클럽이 창설되기도 했다.[8]
혁명 이후 몇 년간 사육제 활동은 주춤했으나, 1855년경부터 다시 활기를 띠기 시작했다. 19세기 동안 축제 참가자들은 사육제를 도시를 점령한 군대를 조롱하는 기회로 삼았는데, 이는 사육제 경비대의 복장에서 잘 드러난다. 경비대의 제복은 1792년부터 1866년 사이 마인츠에 주둔했던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프랑스 군대의 군복을 풍자적으로 모방한 형태를 띠고 있다.[14] 이들 경비대는 군사 문화와 맹세를 조롱하며 거리 사육제와 퍼레이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정치적 논평과 풍자는 오늘날에도 마인츠 사육제, 특히 퍼레이드의 중요한 특징으로 남아있다. 예를 들어, 1980년대 후반의 한 퍼레이드에서는 미국을 상징하는 엉클 샘과 러시아 군인이 갑옷에서 기어 나오는 모습, 소련의 서기장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욕조에 앉아 있는 모습 등을 묘사한 행렬이 등장하기도 했다.[14]
4. 2. 사회적 의미
마인츠 사육제는 초창기에는 뚜렷한 정치적 성향을 띠지 않았다. 사육제 관련 단체들의 활동은 대공 당국의 감시를 받았으나, 대체로 용인되었다.[10]사육제의 정치화는 19세기 초, 축제 참가자들이 마인츠에 주둔하던 프랑스 군대를 조롱하기 시작하면서 나타났다.[14] 이러한 경향은 1848년 독일 혁명을 앞두고 더욱 가속화되었다. 혁명 지도자였던 프란츠 하인리히 치츠(Franz Heinrich Zitz)[11]가 1843년 마인츠 사육제 협회(MCV) 회장을 맡고, 민주주의자 필리프 비트만(Philipp Wittmann)이 위원회에 참여하면서 정치색은 더욱 짙어졌다. 사육제의 상징 중 하나인 어릿광대 모자는 프랑스 혁명 당시 자코뱅 클럽의 상징이었던 프리기아 모자를 변형한 것이며, 모자에 사용된 파랑, 흰색, 빨강, 노랑은 삼색기에서 유래한 것으로 해석된다. 위원회는 스스로를 "11인의 혁명 평의회"로 칭하기도 했다. 결국 혁명이 발발한 1848년에는 사육제가 취소되었고, 사육제 가제트 "Narhalla"는 혁명 전단으로 사용되었다.
1840년대부터는 사육제 관련 모임에서 정치적인 논평과 비판이 더욱 활발해졌다. 연설자들은 발언 수위에 신중해야 했지만, 사육제는 점차 정치적 반대 의견을 표출하는 통로 역할을 하게 되었다. 비록 간접적인 방식이었지만 정치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다는 점은 사육제의 대중적 인기를 높이는 요인이 되었다. 이 시기에는 노동 계층 시민들도 참여할 수 있도록 회비를 낮춘 사육제 클럽이 생겨나기도 했다.[8]
라인강 유역의 카니발(사육제)은 초기에 암울한 사회 분위기 속에서 지역 주민들의 정체성을 지키고 저항의 의미를 담는 등 정치·사회적 성격이 강했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점차 먹고 마시며 즐기는 축제 본연의 성격이 강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유, 해방, 저항의 이념에서 출발하여 주민들의 지지를 얻고, 단순한 관객이 아닌 주체적인 참여자가 될 수 있다는 점,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포용성, 선물과 간식을 주고받는 즐거움, 풍자와 비판을 통해 일상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점 등은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마인츠 사육제의 중요한 사회적 의미이자 성공 요인으로 꼽힌다. 장미의 월요일(Rosenmontag) 행렬에는 2006년 기준 1만 명의 행렬 참가 인원, 140명의 시민 참가자, 97대의 차량, 123개 팀의 악대부, 440마리의 말, 150톤의 캐러멜, 22만 곽의 과자류, 30만 개의 꽃다발이 동원될 정도로[23] 그 규모가 크며, 이는 사육제가 단순한 축제를 넘어 지역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현상임을 보여준다. 또한, 축제는 관련 일자리를 창출하는 경제적 요소로도 작용한다.
4. 3. 경제적 의미
2006년 장미의 월요일 행렬에는 참가 인원 1만 명, 시민 참가자 140명, 차량 97대, 악대부 123개 팀, 말 440마리, 캐러멜 150ton, 과자류 22만 곽, 꽃다발 30만 개가 동원되었다고 보도되었다.[23] 1998년 장미의 월요일 행사 하나에만 약 10억원이, 2002년에는 약 26억원이 지출된 것으로 추정된다.[24]이처럼 라인란트 지역의 카니발은 독일에서 가장 큰 축제 중 하나로, 해당 지역 시민뿐만 아니라 많은 관광객과 다른 지역 주민들까지 참여하는 중요한 관광 자원이 된다. 동시에 카니발과 관련된 다양한 일자리를 창출하는 경제적 역할도 수행한다.
5. 현대의 라인 카니발
(내용 없음)
참조
[1]
웹사이트
Carnival in Germany: Fastnacht / Fasching / Karneval
http://worldculturen[...]
2010-02-22
[2]
웹사이트
Carnival in Germany - Germans go wild
http://www.ottawa.di[...]
2010-02-22
[3]
문서
L’Art de vérifier les dates: L'an 1382, la troisième férié du carnaval, dans un bal qu'il donnait à la suite d'un grand repas, à Kalb, sur la Saal, dans l'archevêché de Magdebourg.
[4]
웹사이트
Johann Georg Lang, concertmaster, Director of Music in the Electoral Court at Mainz
https://archive.toda[...]
[5]
웹사이트
Saalfastnacht
http://www.staff.uni[...]
[6]
문서
Mainz Helau!
[7]
문서
The name „Ranzengarde“ is derived from „Ranzen“ (Satchel (bag)), a Mainz slang term indicating „Abdominal obesity#Slang terms|thick belly“. This was a mocking of the Potsdam Giants nicknamed the “Lange Kerls”. The original required thickness of the belly was 6 Foot (length)|Prussian Foot (1.88 meters), alternatively this thickness could be pretended by using a pillow.
[8]
서적
Popular culture and the public sphere in the Rhineland, 1800-185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웹사이트
125 Years of MCV
https://web.archive.[...]
2010-02-22
[10]
문서
Mainz Helau!
[11]
문서
Die moderne Mainzer Fastnacht
[12]
웹사이트
100 Jahre Mombacher Carneval-Verein (1886-1986)
https://openlibrary.[...]
[13]
웹사이트
Die Geschichte der Kasteler Jocus-Garde 1889 e.V. (ein kurzer Aufriß)
http://www.staff.uni[...]
[14]
뉴스
A Rhineland Carnival
https://books.google[...]
1988-02-01
[15]
웹사이트
Mainz: Colorful Rosenmontag parade is the highlight of Fastnacht
http://www.stripes.c[...]
Stars and Stripes (newspaper)
2013-01-31
[16]
간행물
Ewe kimmt de Zug. Die Geschichte der Mainzer Straßenfastnacht.
Mainzer Carneval-Verein 1838 e.V. (Hrsg.)
[17]
웹사이트
Rhine and wine, Gutenberg and Gerolsteiner, carnival fun in Deutschland-online
https://web.archive.[...]
2010-02-22
[18]
웹사이트
a vivid description of carnival
https://web.archive.[...]
2010-02-22
[19]
웹사이트
http://www.nobelmann[...]
[20]
서적
유럽의 축제문화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3-04-15
[21]
서적
유럽 축제 사전
멘토르 출판사
2001-08-25
[22]
서적
유럽의 축제문화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3-04-15
[23]
서적
베를린에서 쓴 독일, 독일인
효민 출판사
2007-08-25
[24]
서적
유럽의 축제문화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3-04-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