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노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만노스는 만노스(Mannose)와 만니톨(Mannitol)의 어원이 된 당의 일종이다. 만노스는 피라노스 형태와 푸라노스 형태의 고리 구조를 가지며, 수용액에서 여러 이성질체 형태로 존재한다. 만노스는 포도당으로부터 유래되며, 헥소키네이스에 의해 인산화되어 만노스 6-인산을 생성한다. 이 물질은 해당과정이나 포도당신생합성 경로로 전환될 수 있고, 단백질의 N-결합 글리코실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만노스는 만니톨의 산화나 로브리 드 브라윈-반 에케르스타인 변환을 통해 포도당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만노스는 C-2 키랄 중심의 반전에 의해 포도당과 다르며, 만노스 PTS 투과효소 시스템을 통해 세포 내로 수송된다. D-만노스는 요로 감염 예방을 위한 식이 보조제로 사용되기도 한다.
만노스와 만니톨의 어원은 성경에 나오는 만나(manna)이다.[1] 성경은 만나를 시나이 반도를 지나는 동안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공급된 음식으로 기록하고 있다.[1] 몇몇 나무들과 관목들은 만니톨을 분비하는 "만나나무" (물푸레나무)와 같이 만나라고 불리는 물질을 생산할 수 있다.[1]
α-D-만노푸라노스
2. 어원
3. 구조
<1 %
β-D-만노푸라노스
<1 %
α-D-만노피라노스
67 %
β-D-만노피라노스
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