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말라위의 역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말라위의 역사는 선사 시대부터 시작되어, 230만 년 전의 인류 턱뼈 화석이 발견되었으며, 반투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철기 문화를 전파했다. 15세기 후반에는 마라비 제국이 건설되었고, 이후 유럽인들과의 교류를 통해 상아, 노예 무역이 이루어졌다. 19세기에는 응고니족, 야오족 등의 이주와 영국의 식민 통치를 거쳐, 1964년 독립을 달성했다. 독립 후에는 일당제 통치가 이루어졌으나, 1993년 다당제 민주주의가 도입되었고, 2000년대 이후 여러 차례의 선거를 통해 정권 교체가 이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말라위의 역사 - 장미색 지도
    장미색 지도는 19세기 말 포르투갈이 아프리카에서 앙골라와 모잠비크를 연결하는 식민 제국 건설을 시도한 정책으로, 영국과의 갈등으로 포기하게 되면서 포르투갈 정치에 영향을 주어 왕정 붕괴의 원인이 되었다.
  • 말라위의 역사 - 로디지아 니아살랜드 연방
    로디지아 니아살랜드 연방은 1953년부터 1963년까지 남부 로디지아, 북부 로디지아, 니야살란드로 구성된 영국의 준독립 연방이었으나, 인종 갈등과 정치적 불안정으로 1963년 해체되었고, 이후 각 지역은 말라위, 잠비아, 짐바브웨로 독립하였다.
말라위의 역사
지도
말라위의 위치
말라위의 위치
기본 정보
공식 명칭말라위 공화국 (Republic of Malawi)
수도릴롱궤
공용어영어, 치체와어
정치
정치 체제대통령 중심제 공화국
대통령라자루스 차크웨라
부통령사울로스 칠리마
의회말라위 국회
역사
독립영국으로부터 독립: 1964년 7월 6일
공화국 선포: 1966년 7월 6일
면적
총 면적118,484 제곱킬로미터
육지 면적94,080 제곱킬로미터
수역 면적24,404 제곱킬로미터
인구
2018년 추정17,563,749명
경제
통화말라위 콰차 (MWK)
1인당 명목 GDP467.586 USD (2021년)
기타
국가 코드MW
ISO 3166-1 alpha-3MWI
국가 도메인.mw
전화 코드+265

2. 선사 시대

말라위에서 발굴된 호미닌의 하악골 화석


말라위 지역의 인류 거주 역사는 매우 오래되었다. 1991년 우라하 마을 근처에서는 약 230만 년에서 250만 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사람의 턱뼈 화석이 발견되었다.[77][2] 또한, 고고학적 조사를 통해 100만 년 이상 된 호미닌 유해와 석기도 발견되었다.[23]

약 5만 년에서 6만 년 전에는 초기 인류가 말라위호 근처에 살았던 것으로 확인되었다.[77][2][24] 이후 시대의 유적들도 발견되었는데, 기원전 8000년경의 유적에서 나온 사람 유해는 오늘날 아프리카의 뿔 지역 주민들과 유사한 신체적 특징을 보였다.[77][2][24] 기원전 1500년경의 또 다른 유적에서는 산족과 비슷한 특징을 가진 유해가 발견되었다.[77][2][24]

산족 계통의 사람들은 말라위 지역의 초기 문화 형성에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릴롱궤 남쪽의 첸체레르(Chentcherere)와 음푼지(Mphunzi) 지역, 그리고 2006년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된 중부 주 데자 현의 초응고니 암각화 지역에서 발견된 암각화는 이들 또는 그들의 조상인 투와족이 남긴 것으로 추정된다.[77][2][27] 체와족의 신화에 따르면, 이 지역에 처음 살았던 사람들은 '아카풀라'(Akafula) 또는 '아카옴베'(Akaombe)라고 불리는, 활을 잘 쏘는 작은 키의 사람들이었다고 전해진다.[78][3]

기원후 4세기경에는 반투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이 지역으로 이주해 오면서 철기 사용법과 화전 농업 기술을 도입했다.[78][4] 이후 13세기에서 15세기 사이에 또 다른 반투족의 이주 물결이 있었으며, 이 과정에서 기존에 살고 있던 초기 반투족 및 그 이전의 주민들은 새로운 이주민들에게 대체되거나 동화되었다.[79][4]

3. 마라비 제국

1650년경 마라비 왕국 지도


현재 말라위의 국명은 과거 이 지역에 존재했던 마라비 제국(''Maravi'')에서 유래했다.[28] 마라비 제국은 15세기 말 무렵 반투족 계열의 말라위족(아마라비족)에 의해 건국되었다. 현재의 체와족의 선조로 알려진 이들은 당시 콩고 민주 공화국 지역에서 질병과 사회적 혼란을 피해 말라위호 북쪽 지역으로 이주해 온 것으로 추정된다.[29] 이 때문에 '체와(Chewa)'라는 이름이 '외국인'을 뜻하는 단어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30] 이주 후 말라위족은 통일된 조직 없이 소규모 가족 씨족 단위로 살아가던 선주민 투와족을 공격하여 몰아내거나 흡수하였다.

마라비 제국의 사람들은 철기 제작 기술이 뛰어났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31] '마라비'라는 이름은 '불꽃' 또는 '광선'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지는데, 이는 밤하늘을 밝히던 수많은 제철용 가마의 모습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

말라위호 남서쪽 해안에서 시작된 마라비 제국은 점차 세력을 확장하여, 현재의 말라위 영토 대부분과 모잠비크, 잠비아 일부까지 아우르는 광대한 영역을 지배하게 되었다. 제국의 확장기 동안 최고 통치자는 피리(Phiri) 씨족 출신의 카롱가(Kalonga)였으며, 그는 만캄바에 본부를 두고 제국을 다스렸다. 카롱가는 자신의 권위 아래 여러 하위 추장들을 임명하여 새로운 영토를 점령하고 정복하도록 했다.

그러나 18세기 초에 이르러 제국은 쇠퇴하기 시작했다. 하위 추장들 사이의 권력 다툼이 심화되고, 점차 증가하던 노예 무역이 제국의 사회 구조와 통치 기반을 약화시킨 것이 주요 원인이었다.[30]

4. 무역과 외세의 침략

16세기 포르투갈인과의 접촉으로 시작된 외부 세력과의 교류는 초기에는 상아, , 노예 등을 거래하는 무역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포르투갈은 옥수수와 같은 새로운 작물을 전파하기도 했으나, 말라위 지역 사회에 본격적인 변화를 가져온 것은 19세기에 들어서면서부터였다.

19세기 초, 남아프리카 지역에서 벌어진 격변, 이른바 므페카네의 여파로 응고니족이 말라위 지역으로 대거 이주해 왔다. 이들은 뛰어난 군사 조직과 전술을 바탕으로 기존의 마라위 제국을 포함한 여러 부족을 공격하고 정복하며 세력을 확장했다. 이 과정에서 응고니족은 주변 부족을 약탈하고 포로를 노예로 삼아 노예 무역의 주요 공급원 역할을 하기도 했다.

비슷한 시기에 모잠비크 북부에서 야오족이 이주해 왔다. 야오족은 동부 해안의 아랍인 및 스와힐리족 상인들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상아노예 무역을 주도하며 부와 영향력을 키웠다. 이들은 이슬람교를 받아들이고 아랍 문화를 수용하며 독자적인 사회·문화적 기반을 구축했다. 아랍 및 스와힐리 상인들은 야오족과의 협력을 통해 말라위 호수 연안 곳곳에 무역 거점을 설치하고, 잔지바르를 중심으로 한 대규모 노예 무역망을 운영했다.

19세기 말에는 포르투갈 식민 통치의 압제를 피해 룸웨족이 모잠비크에서 이주하여 말라위 남부 지역에 새롭게 정착했다.

한편, 19세기 중반 영국의 탐험가 데이비드 리빙스턴의 말라위 호 탐사를 계기로 유럽 세력, 특히 영국의 영향력이 점차 커지기 시작했다. 기독교 선교사들은 노예 무역 폐지를 중요한 목표로 삼고 선교 활동과 함께 서구식 교육 및 의료 활동을 펼쳤다. 이러한 활동은 일부 부족에게는 외부 위협으로부터의 보호막이 되기도 했지만, 기존의 무역망과 이슬람교 신앙을 유지하려던 야오족 등과는 갈등을 빚기도 했다. 유럽 상인들의 진출과 플랜테이션 농업 시도 등 경제적 침투 역시 점차 확대되었다.

이처럼 19세기 말라위는 다양한 외부 민족과 세력의 유입, 각축, 그리고 노예 무역이라는 비극이 뒤얽히면서 기존의 사회 질서가 급격하게 재편되는 격동의 시기를 겪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점차 강화된 영국의 영향력은 이후 니아살란드 보호령 설립과 식민지 시대로 이어지는 직접적인 배경이 되었다.

4. 1. 포르투갈의 영향

16세기 중반 마라위 제국 시대에 유럽인들이 처음으로 말라위 사람들과 접촉했다.[24][32] 당시 마라위 제국의 경제는 주로 농업에 의존했으며, 수수, 사탕수수, 잡곡 등을 생산했다. 마라위 제국은 현재의 모잠비크 동부 해안 지역까지 영토를 확장하여, 이 지역을 통해 체와족을 비롯한 말라위 부족들은 상아, , 그리고 노예를 포르투갈인 및 아랍인들과 거래했다.[32] 제국 전역의 공통어였던 체와어는 이러한 무역을 촉진했다.

1616년, 포르투갈 상인 가스파르 보카로는 현재의 모잠비크 테테를 거쳐 말라위 지역을 여행하며, 이 지역과 사람들에 대한 최초의 유럽 기록을 남겼다.[5][6][32] 포르투갈인들은 이 지역에 옥수수를 들여왔는데, 옥수수는 점차 기존의 주식이었던 수수를 대체하여 말라위 사람들의 주식이 되었다.[33] 또한, 말라위 부족들은 포르투갈인들과 노예를 거래했으며[34], 이렇게 팔려나간 노예들은 주로 포르투갈의 식민지였던 모잠비크브라질플랜테이션 농장에서 노동력을 제공하게 되었다.

4. 2. 응고니족

19세기에 응고니족(앙고니족)과 그들의 지도자 즈왕겐다바가 현재의 남아프리카 공화국 나탈 지역에서 말라위 지역으로 들어오면서 마라위 제국의 쇠퇴가 시작되었다. 이들의 이주는 줄루 왕국의 샤카 줄루를 피하거나[35] 그와의 갈등 때문에 시작된 므페카네라고 불리는 대규모 이동의 일부였다. 므페카네는 남부 아프리카 지역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

응고니족은 샤카 줄루의 군사 전술을 받아들여 강력한 군사력을 갖추었고, 이동 경로에서 만나는 마라위 제국을 포함한 여러 부족을 정복했다. 응고니족은 주로 오늘날 중앙 말라위, 특히 은체우와 데드자 구 일부 지역에 정착했다. 그러나 일부 집단은 북쪽으로 더 나아가 탄자니아의 빅토리아 호 근처까지 진출했다가 다시 남쪽으로 돌아와 북부 말라위의 므짐바 구에 정착하기도 했는데, 이곳에서는 말라위 호 건너편에서 온 또 다른 이주 집단인 바월로카와 섞였다.

바위 지역을 거점으로 삼은 응고니족의 전사 집단인 임피는 체와족(아체와족)을 주기적으로 습격했다. 이들은 식량, 소, 여성을 약탈했으며, 젊은 남성들은 전사로 편입시켰고, 나이 든 남성들은 노예로 삼아 노동에 동원하거나 당시 말라위 호 지역에서 활동하던 아랍 노예 상인들에게 팔아넘겼다[36]. 이러한 응고니족의 활동은 말라위 제국의 힘을 약화시키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4. 3. 야오족

두 번째로 이 시기에 권력을 잡은 집단은 야오족이었다. 야오족은 마쿠와족보다 부유하고 독립적인 민족으로 평가받는다. 이들은 모잠비크 북부에서 마쿠와족과의 갈등, 마쿠와족의 습격(이는 야오족이 잔지바르의 아랍 상인과의 상아 및 노예 거래로 부를 축적했기 때문[38]), 또는 잔지바르, 포르투갈, 프랑스 상인들과의 노예 및 상아 무역에서 더 큰 이익을 얻기 위해[37] 오늘날의 말라위 지역으로 이주했다.

1800년대 말라위로 이주한 야오족은 곧 체와족과 응고니족을 대상으로 노예 무역을 시작했다. 이들은 체와족과 응고니족으로부터 노예를 사들이거나, 직접 공격하여 포로를 잡아 노예로 팔았다.[39] 데이비드 리빙스턴은 그의 여행 기록에서 야오족의 노예 제도를 언급하며, 이들이 짐바브웨의 르워지, 현재 잠비아의 루앙와 강 유역 비사족, 심지어 콩고와 동부 해안 지역과도 광범위한 교역을 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광범위한 무역 활동에는 아랍 문자를 능숙하게 사용하는 교육받은 상인과 무역상들이 필수적이었다.

야오족 사회는 여러 방면에서 발전된 모습을 보였다. 장인들은 말라위 호수 항해를 위한 다우선을 건조했고, 농부들은 벼농사를 위한 관개 시설을 설치했다. 특히 벼농사는 아랍인 무역상에 의해 소개되었으며, 이 영향으로 현재도 말라위 호수 남부 지역에서는 벼농사가 비교적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사회 지도층은 마드라사(이슬람 학교)와 기숙 학교를 설립하여 교육에도 힘썼다. 군사적으로 야오족은 유럽인과 아랍인으로부터 사들인 을 다른 부족과의 갈등에 사용한 최초의 집단이었으며, 이는 한동안 유지되었다.[40] 총기 사용 대상에는 줄루족에 의해 남아프리카에서 이주해 온 마콜로로도 포함되었다. 야오족의 이러한 활동은 말라위 제국의 쇠퇴에 영향을 미쳤다.

1860년대에 이르러 야오족 지배 계급은 이슬람교로 개종하기 시작했다.[41] 이는 킬와 술탄국이나 잔지바르 등지로 향하는 무역 원정을 통해 맺어진 아랍 무역 파트너와의 관계 때문으로 여겨진다. 다만, Nkhotakota의 줌베로 알려진 살림 빈 압둘라의 기록을 보면, 개종은 이미 1840년대 이전에 시작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야오족은 이슬람교 이전에는 전통적인 애니미즘 신앙을 가졌던 것은 아니지만, 조상 영혼의 중재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신을 믿었다. 이슬람교 개종은 야오족 사회에 여러 변화를 가져왔다. 해안 지역 출신의 스와힐리족과 아랍 셰이크를 고용하여 문해력을 증진시키고 모스크를 설립했다.[41] 망고치 지역의 족장 폰다는 1875년 기독교 선교사가 도착하기 전에 이미 10여 개의 마드라사를 설립하기도 했다. 야오족은 스와힐리어를 문자로 사용했으며, 이는 1870년부터 1960년대까지 말라위의 공용어 중 하나로 사용되었다.

4. 4. 아랍인과 스와힐리 동맹

야오족과의 강력한 협력을 바탕으로 아랍인 무역상들은 말라위 호수 해안을 따라 여러 무역 거점을 세웠다.[42] 스와힐리족과 아랍인들은 야오족으로부터 말라위 호수의 존재와 지리를 알게 되었고, 이는 동쪽으로의 탐험과 교역 확대로 이어졌다.

아랍 무역상 줌베(살림 빈 압달라)는 야오족의 무역로를 따라 1840년 은코타코타에 도착하여 주요 교역소를 건설했다.[43] 당시 은코타코타에는 이미 많은 야오족과 비사족이 정착해 있었으며, 줌베는 이슬람교로 개종한 야오족을 고용하여 세력을 키웠다. 그의 통치가 절정에 달했을 때, 줌베는 매년 5,000명에서 20,000명에 달하는 노예를 은코타코타를 통해 거래했다. 노예들은 한 번에 최소 500명씩 대상으로 묶여, 현재 탄자니아 해안 근처의 킬와 섬으로 보내졌다. 이러한 거점 설립과 효율적인 노예 수송 시스템은 말라위 지역 노예 무역의 주도권이 모잠비크포르투갈인에게서 잔지바르의 아랍인에게로 넘어가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한편, 이 지역의 기존 세력이었던 야오족과 새롭게 유입된 응고니족 사이에는 끊임없는 충돌이 발생했지만, 어느 쪽도 완전한 우위를 점하지는 못했다. 일부 응고니족(데드자 응고니)은 야오족(폰다스 야오)과 협력하기도 했다. 마라비 제국의 나머지 구성원들은 이러한 혼란 속에서 야오족과 응고니족 양측의 공격으로 인해 큰 피해를 입고 거의 궤멸 상태에 이르렀다. 일부 체와족 추장들은 아랍 노예 상인들과 동맹을 맺은 스와힐리족과 손을 잡고 스스로를 보호하려 했다.

4. 5. 말라위의 롬웨족

룸웨족은 1890년대 후반에 말라위로 이주해 온 비교적 새로운 민족 집단이다. 이들은 원래 모잠비크잠베지강 북쪽, 말라위 칠와호 남동쪽에 위치한 울롬웨라는 언덕 지역 출신이었다. 룸웨족의 이주는 주로 포르투갈 정착민들이 울롬웨 인근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발생한 기근과 학대 때문이었다.[7] 이들은 이를 피해 북쪽으로 이동하여 칠와호 남단을 거쳐 당시 니아살란드로 불리던 말라위의 팔롬베와 물란제 지역에 정착했다.

룸웨족이 도착했을 때 물란제 지역에는 이미 야오족과 망안자족이 살고 있었다. 치쿰부, 마틸라만자, 마티필리, 주마, 치우타와 같은 야오족 족장들은 룸웨족을 모잠비크에서 온 동족으로 여기며 환영했고, 많은 룸웨족이 야오족과 망안자족으로부터 정착할 토지를 얻었다. 이후 룸웨족은 여러 영국 회사들이 물란제산 기슭에 세운 차 농장에서 일자리를 구했으며, 점차 티올로와 치라줄루 지역으로 퍼져나갔다. 룸웨족은 현지 망안자족과 쉽게 융화되었으며, 이들 사이에 부족 간 갈등이 있었다는 기록은 없다.

4. 6. 초기 유럽인과의 접촉

포르투갈령 모잠비크의 포르투갈인들이 16세기 동안 말라위 제국과 접촉했지만, 지도층까지는 이르지 못했다.[44] 유럽인으로서 처음으로 말라위 호에 도달하여 역사적으로 중요한 접촉을 한 인물은 영국의 탐험가이자 선교사인 데이비드 리빙스턴이었다.

1859년, 리빙스턴은 포르투갈 측 정보[8]잠베지강 탐험을 통해 유럽인 최초로 말라위 호를 발견했다.[44] 그는 현지 야오족에게 호수 이름을 물었고, 야오족은 야오어로 단순히 '호수'를 의미하는 Nyasa|니아사yao라고 답했는데, 리빙스턴은 이를 고유 명칭으로 오해하여 '니아사 호수'로 명명했다.[8][45] 리빙스턴은 노예무역에 강력히 반대했으며, 이는 그의 탐험과 선교 활동의 주요 동기 중 하나였다.[46] 그의 탐험은 순탄치 않아 노예 상인의 방해를 받거나 동행자에게 버려지고 물품을 도난당하는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46] 그는 1873년 말라리아로 사망했으며,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1876년 그의 출생지 이름을 딴 블랜타이어가, 1894년에는 리빙스토니아가 스코틀랜드 선교사들에 의해 건설되었다.[47]

리빙스턴의 탐험 이후 본격적인 선교 활동이 시작되었다. 1861년, 중앙 아프리카 대학교 선교부 소속 찰스 맥켄지 주교는 선교 활동 중 무슬림 야오족과 비무슬림 망안자족 사이의 갈등에 개입했다. 맥켄지 주교는 망안자족에게 우선적으로 선교하려 했고, 이슬람교를 믿고 노예무역에 관여하던 야오족은 이에 반발하며 기독교 선교에 적대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 갈등은 맥켄지가 말라리아로 사망하면서 점차 수그러들었다.[8]

블랜타이어의 성 미카엘과 모든 천사 교회


1875년에서 1876년 사이, 스코틀랜드 자유 교회 소속 선교사들이 말라위 호 남쪽 끝 케이프 매클리어에 기지를 세우고 야오족을 포함한 현지 부족들을 대상으로 선교를 시도했다. 초기에는 야오족의 개종이 더뎠으나, 지도자로 선출된 로버트 로 주교는 의료 활동으로 명성을 얻으며 북쪽의 반다웨(통가족)와 카닝기나(응고니족) 지역으로 선교를 확장했다. 당시 응고니족의 잦은 공격에 시달리던 통가족에게 선교부는 일종의 보호막 역할을 하기도 했다.[8] 스코틀랜드장로교회는 1876년 블랜타이어에 성 미카엘과 모든 천사 교회 (:en:St Michael and All Angels Church, Blantyre, Malawi)를 세웠고, 성공회 선교사들은 리코마 섬에 교회를 설립했다. 1889년부터는 가톨릭 백부회(White Fathers)도 야오족 선교를 시도했다.[8]

당시 영국 선교사들의 주요 목표 중 하나는 19세기 말까지 페르시아 만 등지로 이어지던 노예무역을 종식시키는 것이었다. 영국은 이미 1834년까지 제국 내 노예제를 폐지했으며[48], 아프리카 연안에서 다른 유럽 국가들의 노예 무역을 단속하는 활동을 벌이고 있었다.

선교 활동과 더불어 경제적 진출도 이루어졌다. 1878년에는 주로 글래스고 출신 상인들이 선교사 지원을 목적으로 아프리카 호수 회사 (:en:African Lakes Company)를 설립했다.[49] 이후 상인, 사냥꾼, 플랜테이션 농장주 등 다양한 유럽인들이 말라위 지역으로 유입되었다.[8]

1894년에는 응고니족의 공격을 받던 툼부카족에게도 선교가 확장되었고, 툼부카족 역시 통가족처럼 선교사를 보호자로 여기며 기독교를 받아들였다. 반면, 야오족은 기독교 대신 이슬람교 신앙을 유지하고 아랍 문자를 사용하며 유럽식 교육 및 선교와 거리를 두었다. 이러한 선택은 결과적으로 야오족에게 불리하게 작용했다. 유럽 중심의 역사 기록에서 야오족은 노예무역에 관여했다는 점이 부각되며 부정적으로 묘사되었고, 그들의 사회경제적 기여는 제대로 인정받지 못했다. H. H. 존스턴이 이끄는 영국군은 야오족 추장 마칸질라, 잘라시 등과의 충돌 끝에 그들을 제압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 속에서 야오족은 교육 기회 등에서 소외되었고, 이는 현대 말라위 사회에서도 이어져 문해력이 필요한 직업을 갖기 어렵게 만들었다. 많은 야오족이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으로 노동 이주를 떠나거나 농업, 어업 등 저숙련 노동에 종사하게 되었으며, 일부는 교육 등에서 불이익을 피하기 위해 이름을 마리암에서 메리로, 유수푸에서 조셉 등으로 바꾸기도 했다. 야오족 공동체 내에서는 이러한 상황이 종교적 신념 때문에 의도적으로 소외된 결과라는 인식이 존재한다.[8]

5. 영국의 지배

1883년, 영국 정부중앙아프리카 지역의 왕과 추장들에게 영국 영사를 파견하였다. 포르투갈과의 앵글로-포르투갈 위기를 겪은 후, 영국은 1891년 시레 고지 보호령을 선포하고, 1893년에는 이를 확장하여 영국령 중앙아프리카 보호령을 공식적으로 설립했다.[50] 이 보호령은 1907년까지 유지되었으며, 이 기간 동안 영국은 백인 이주민을 우대하는 정책을 펼치면서 원주민의 토지를 빼앗고 권한을 축소하는 법률과 행정 절차를 시행했다. 또한, 이 시기에 커피 재배가 도입되어 이후 말라위의 주요 환금 작물 중 하나로 자리 잡게 되었다.

니아살랜드 국기 (1919–1925)


1907년 10월, 영국 중앙 아프리카 보호령은 '''니아살랜드''' 또는 ''니아살랜드 보호령''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니아사'(Nyasa)는 치야오어로 "호수"를 의미하는 단어이다.[45]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아프리카 대륙에서도 독일령 동아프리카와 영국령 니아살랜드 사이에 전투가 벌어져 많은 흑인 병사와 민간인이 희생되었다. 전쟁 중인 1915년 1월, 니아살랜드 남동부의 침례교 목사이자 천년왕국설 신봉자였던 존 칠렘베는 영국 식민 통치에 반대하여 칠렘베 봉기를 일으켰다. 칠렘베는 아프리카인들이 유럽인들의 전쟁인 제1차 세계 대전의 동아프리카 전역에 짐꾼 등으로 징집되는 것과 식민 통치 체제 자체에 반대했다. 칠렘베의 추종자들은 지역 농장을 공격했으나, 영국군의 신속한 반격으로 봉기는 실패로 돌아갔다. 칠렘베는 살해되었고 그의 추종자 다수가 처형되었다.[9][51] 비록 실패했지만, 칠렘베는 후일 말라위 독립 운동의 선구자로 평가받으며, 매년 1월 15일은 "존 칠렘베의 날"(''John Chilembwe Day'')로 지정되어 공휴일이 되었고[53], 그의 초상화는 말라위 지폐에도 실려 있다.

백인 이주민들에게 착취당하던 상황 속에서도, 칠렘베처럼 유럽이나 미국에서 교육을 받은 아프리카인 엘리트들은 점차 민족 의식을 갖고 정치 활동을 전개하기 시작했다. 1944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아프리카 민족 회의(ANC)의 1914년 평화 헌장에서 영감을 받아, 니아살랜드 최초의 정치 조직인 니아살랜드 아프리카 회의(NAC)가 결성되었다. NAC는 곧 남로디지아(현 짐바브웨)의 솔즈베리(현 하라레)와 북로디지아(현 잠비아)의 루사카 등지에 거주하는 말라위 이주 노동자들 사이에서 강력한 지부를 형성하며 아프리카 남부 전역으로 세력을 확장했다.[52] 또한, 수천 명의 니아살랜드인들이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기도 했다.

1940년대 후반, 경제적으로 성장한 남로디지아북로디지아의 풍부한 자원과 니아살랜드의 값싼 흑인 노동력을 확보하고, 동시에 고조되는 아프리카 민족주의 운동을 억제하기 위해 세 영국령 식민지를 하나로 묶는 연방 창설을 주장했다. 영국의 동의 하에 1953년 8월 1일, 로디지아-니아살랜드 연방이 공식 출범했다.[54] 그러나 연방 내에서는 남로디지아 백인 정착민들의 이익을 우선하는 정책이 다수 시행되었고, 인구의 대다수가 흑인인 니아살랜드는 연방 체제로부터 얻는 이익이 거의 없었다. 아프리카 전역에서 독립 움직임이 거세지면서 니아살랜드 내 불만은 커져갔고, 결국 1959년에는 연방에 반대하는 반란이 발생했다.[55]

1958년 7월, 미국 테네시주 내슈빌의 메하리 의과대학에서 학위를 받고 영국과 가나에서 의료 활동을 하던 헤이스팅스 카무주 반다 박사가 오랜 해외 생활을 마치고 니아살랜드로 귀국했다.[56] 그는 즉시 NAC의 지도자로 추대되었다.[54] 1959년, 반다는 정치 활동으로 인해 그웰로(현 궤루) 감옥에 수감되었고 NAC는 탄압으로 와해될 위기에 처했으나, 체포되지 않은 인사들이 말라위 회의당(MCP)을 결성했다. 반다는 1960년에 석방되어 MCP의 지도자로 취임했으며[54], 런던에서 열린 연방 헌법 관련 회의에 참석했다.

1961년 8월, 반다가 이끄는 MCP는 새로운 입법 평의회 구성을 위한 선거에서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57] MCP는 새 행정 평의회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며 1년 뒤에는 사실상 니아살랜드를 통치하게 되었다. 1962년 11월 런던에서 열린 제2차 헌법 회의에서 영국 정부는 다음 해부터 니아살랜드에 자치권을 부여하기로 합의했다.

헤이스팅스 반다는 1963년 2월 1일 총리로 취임했지만, 영국은 여전히 니아살랜드의 재정, 안보, 사법 시스템에 대한 통제권을 유지하고 있었다. 완전한 자치 정부를 수립하기 위해 1963년 5월 새로운 헌법이 발효되어 사실상 완전한 내부 자치가 이루어졌다.[10] 같은 해 니아살랜드는 연방에서 탈퇴할 권한을 영국으로부터 얻었고, 로디지아-니아살랜드 연방은 1963년 12월 31일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 이로써 말라위 독립의 기반이 마련되었다.

6. 독립

말라위의 지도


1964년 7월 6일, 말라위는 영국 연방 내의 영국 연방 왕국으로 독립했다. 독립 직전에 치러진 1964년 말라위 총선에서는 모든 선거구에서 말라위 회의당(MCP) 후보 외에는 출마자가 없어, 사실상 독립 시점부터 일당제 정치가 시작되었다[58][59]

독립 직후인 1964년 8월과 9월, 헤이스팅스 반다 총리는 1964년 내각 위기에서 대부분의 내각 장관들과 갈등을 겪었다. 8월 26일 시작된 이 대립은 장관들이 제기한 불만이 해결되지 않으면서 심화되었다. 장관들은 반다 총리가 다른 장관들과 상의 없이 권력을 독점하는 독재적 태도, 인종차별 정책을 유지하던 남아프리카 공화국 및 식민 통치를 이어가던 포르투갈과의 외교 관계 유지 주장, 국내 긴축 정책 등을 문제 삼았다. 결국 9월 7일 장관 3명이 해임되었고, 이에 동조한 다른 장관 3명도 사임했다(이 중 한 명은 곧 사임을 철회했다). 전직 장관들의 지지자들과 반다 지지자들 사이의 불안과 충돌이 이어졌고, 결국 대부분의 전직 장관들은 10월에 말라위를 떠나 망명길에 올랐다.

반다 정권에 대한 반발은 무력 충돌로 이어지기도 했다. 전직 장관 중 한 명인 헨리 치펨베레는 1965년 2월 소규모 무장 봉기를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또 다른 전직 장관인 야투타 치시자는 1967년 모잠비크에서 소규모 침투를 시도하다가 살해되었다. 망명한 전직 장관들 중 일부는 망명지에서 사망하거나, 오턴 치르와처럼 말라위 감옥에서 사망하기도 했다. 그러나 일부는 1993년 반다가 권좌에서 물러난 후 말라위로 돌아와 공직 생활을 재개했다.

독립 2년 후인 1966년, 말라위는 공화국 헌법을 채택하여 영국 연방 내 공화국이 되었고, 헤이스팅스 반다는 총리에서 초대 대통령으로 취임했다[60]。 또한 새 헌법은 말라위 회의당 외의 정당 결성을 금지하여 일당제 체제를 법적으로 확립했다. 이 일당 독재 체제는 1993년 국민 투표를 통해 다당제가 도입될 때까지 약 30년간 유지되었다.

7. 일당제 통치

말라위의 초대 대통령, 헤이스팅스 카무즈 반다의 동상.


1970년, 헤이스팅스 반다는 말라위 의회당(MCP)의 종신 대통령으로 선포되었고, 이듬해인 1971년에는 국회 결의를 통해 말라위 자체의 종신 대통령으로 임명되어 권력을 공고히 했다. 말라위 의회당의 준군사 조직인 영 파이오니어(Young Pioneers)는 1990년대까지 말라위를 전체주의적 통제하에 두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11][12][13]

스스로를 "각하 종신 대통령 응와지 닥터 H. 카무주 반다"[61]라고 칭한 반다는 독재자였다. 그에 대한 충성은 사회 모든 영역에서 강요되었다. 모든 사업 건물에는 반다의 공식 사진을 의무적으로 걸어야 했으며, 다른 어떤 포스터나 시계, 그림도 대통령 사진보다 위에 걸 수 없었다. 국가는 영화 상영, 연극 공연, 학교 조회 등 거의 모든 공식 행사 시작 전에 연주되었다. 특히 영화관에서는 국가가 연주되는 동안 반다 대통령이 국민에게 손을 흔드는 영상이 상영되었다. 반다가 특정 지역을 방문할 때면, 여성들이 공항에 동원되어 그를 맞이하고 춤을 춰야 했으며, 이때 대통령의 사진이 새겨진 특별한 천으로 만든 의상을 입어야 했다. 국가의 유일한 라디오 방송국은 대통령의 연설과 정부의 선전만을 방송했다. 심지어 반다가 특정 도로를 지나갈 때면, 주민들은 경찰의 지시에 따라 최소 한 시간 전에 집 밖으로 나와 모든 문을 잠그고 길가에서 손을 흔들어야 했다.

반다 정권 하에서는 엄격한 사회 통제가 이루어졌다. 여성은 속이 비치는 옷, 바지, 무릎이 보이는 치마를 입는 것이 법으로 금지되었다. 다만 컨트리 클럽이나 휴양지/호텔 내에서는 예외가 적용되었는데, 이는 일반 대중의 눈에 띄지 않는다는 전제가 있었다.[62] 남성은 머리카락을 옷깃 아래로 기를 수 없었으며[63], 머리가 긴 남성이 해외에서 입국할 경우 공항에서 강제로 머리를 잘라야 했다. 모든 교회는 정부의 승인을 받아야 했고, 여호와의 증인과 같은 특정 종교 단체는 박해를 받아 국외로 추방되기도 했다. 모든 인도계 말라위 시민들은 살던 집과 운영하던 사업체를 버리고 정부가 지정한 대도시의 인도인 거주 구역으로 강제 이주당했다. 한때는 모든 인도계 시민에게 국외 추방 명령이 내려졌다가 이후 일부 선별된 인원만 귀국이 허용되기도 했다. 개인 자금을 해외로 송금하거나 반출하는 것은 엄격히 금지되었으며, 과거에 그 이상의 외화를 반입했다는 증거를 제시해야만 일부 허용되었다. 이 때문에 많은 이들이 재산을 포기하고 말라위를 떠나야 했다.

2006년에 개관한 반다의 묘소, 릴롱궤에서.


검열 또한 광범위하게 이루어졌다. 극장에서 상영되는 모든 영화는 말라위 검열 위원회의 사전 검토를 거쳐야 했으며, 누드 장면이나 정치적으로 민감한 내용은 삭제되었다. 우편물 역시 검열 대상이었고, 특히 해외에서 온 우편물은 개봉되어 내용을 확인하고 때로는 편집된 후에 수취인에게 전달되었다. 비디오 테이프 또한 검열 위원회에 보내 검사를 받아야 했으며, 검열이 완료되면 시청 가능 스티커가 부착되어 반송되었다. 전화 통화는 도청되었고, 정치적으로 비판적인 내용이 감지되면 통화가 강제로 끊겼다. 서점에서 판매되는 서적과 잡지도 검열을 피할 수 없었다. 뉴스위크타임과 같은 해외 잡지는 특정 페이지나 내용이 잘려나가거나 검게 칠해진 채 판매되었다.

반다는 개인적으로 막대한 부를 축적하여 궁궐 같은 저택, 여러 기업, 개인 헬리콥터, 고급 자동차 등 사치품을 소유했지만,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말라위는 세계 최빈국 중 하나로 남아 있었다. 대통령에 대한 비판은 철저히 금지되었으며, 비판적인 발언을 한 사람들은 추방되거나 투옥되었고, 아타치 무파카치와 같이 암살당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인권 탄압으로 인해 반다와 그의 정부는 휴먼 라이츠 워치국제앰네스티 등 국제 인권 단체로부터 지속적인 비판을 받았다. 1994년 대통령직에서 물러난 후, 반다는 살인 및 증거 인멸 시도 혐의로 재판을 받기도 했다.

대외적으로 반다는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을 시행하던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외교 관계를 유지한 몇 안 되는 아프리카 지도자 중 한 명이었다.[64]

8. 다당제 민주주의

헤이스팅스 반다의 오랜 독재 통치에 대한 국내외의 불만이 커져갔다. 특히 1991년 남아프리카 공화국프레데리크 빌렘 데 클레르크 대통령이 아파르트헤이트 정책 폐지를 선언한 이후, 말라위 국내 교회와 국제 사회의 압력이 거세졌고 민주화 요구가 높아졌다. 결국 1992년, 반다는 다당제 도입 여부를 묻는 국민투표 실시를 발표했다. 1993년 6월 14일, 말라위 역사상 첫 국민투표가 실시되었고, 국민 약 3분의 2의 압도적인 지지로 다당제 도입이 결정되었다.[65][66]

이듬해인 1994년 5월 17일, 임시 헌법 아래 말라위 최초의 자유롭고 공정한 총선거가 치러졌다. 이 선거에서 통일민주전선(UDF)의 대표인 바킬리 물루지가 반다를 누르고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67] UDF는 국회 177석 중 82석을 얻어 제1당이 되었으나 과반수에는 미치지 못해, 민주동맹(AFORD)과 연립 정부를 구성했다.[68] 이 연립은 1996년 6월 해산되었지만, 민주동맹 소속 일부 각료는 당을 떠나 정부에 남았다.[69] 물루지 대통령은 1995년 미국 미주리주의 링컨 대학교 (미주리)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같은 해, 새로운 헌법이 정식으로 발효되어 기존 헌법에 명시되었던 말라위 회의당의 특별 권한이 폐지되었고, 정치적 변화와 함께 경제 자유화 및 구조 개혁도 가속화되었다.

1999년 6월 15일, 말라위는 두 번째 민주 선거인 1999년 말라위 총선거를 치렀다. 말라위 회의당(MCP)과 민주동맹(AFORD)이 연합하여 단일 후보를 내세웠음에도 불구하고, 바킬리 물루지는 재선에 성공하여 두 번째 5년 임기를 시작했다.[70]

그러나 1999년 선거는 말라위를 내전 직전의 상황으로 몰고 갔다. 북부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툼부카족, 응고니족, 응콘데족 등 기독교도 부족들은 남부 출신의 이슬람교도인 물루지의 재선에 강하게 반발했다. 이로 인해 물루지의 출신 부족이자 이슬람교도인 야오족과 기독교도 간의 갈등이 격화되었다. 수백만 달러 상당의 야오족 재산이 파괴되거나 약탈당했으며, 약 200개의 모스크가 방화 피해를 입는 등 심각한 폭력 사태가 발생했다.[71]

9. 21세기 말라위

2001년, 통합 민주 전선 (UDF)은 국회에서 96석, 아포드당 (AFORD)은 30석, 그리고 말라위 회의당 (MCP)은 61석을 차지했다. 6석은 국가 민주 연합 (NDA) 야당 그룹을 대표하는 무소속 의원들이 차지했으며, 당시 NDA는 공식 정당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국회는 총 193명의 의원으로 구성되었고, 그중 여성은 17명이었으며 부의장 중 한 명도 여성이었다.

2004년 5월, 말라위는 민주적으로 선출된 대통령 간의 첫 정권 교체를 경험했다. UDF의 대통령 후보인 빙구 와 무타리카가 MCP 후보 존 템보와 여러 야당의 지지를 받은 과다 차쿠암바를 꺾고 당선되었다. 그러나 UDF는 1994년과 1999년 선거에서처럼 의회 과반수를 확보하지는 못했고, 여러 야당과 "국가 연합 정부"를 구성하여 과반수를 확보했다.[15] 빙구 와 무타리카는 UDF와의 의견 차이, 특히 반부패 운동과 관련하여 2005년 2월 5일 UDF를 탈당했다. 그는 새로 창당한 민주 진보당 (DPP)의 대표로서 2009년 선거에서 재선에 성공했다.

2012년 4월, 무타리카 대통령이 심장마비로 사망하자 부통령이었던 조이스 반다 (전 대통령 헤이스팅스 반다와는 관련 없음)가 대통령직을 승계했다.[16] 2014년 말라위 총선에서 조이스 반다는 3위로 패배했고, 전 대통령 빙구 와 무타리카의 동생인 피터 무타리카가 새로운 대통령이 되었다. 2019년 말라위 총선에서 피터 무타리카 대통령은 근소한 차이로 재선되었으나, 2020년 2월 말라위 헌법 재판소는 부정행위와 광범위한 사기를 이유로 선거 결과를 무효화했다. 2020년 5월, 말라위 대법원은 이 결정을 확정하고 7월 2일에 새로운 선거를 실시할 것을 발표했다. 이는 아프리카에서 선거 결과가 법적으로 이의 제기되어 무효화된 주목할 만한 사례였다.[17][18] 야당 지도자 라자루스 차크웨라가 2020년 말라위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하여 말라위의 새로운 대통령으로 취임했다.[19]

2021년 8월, 헌법 재판소는 피터 무타리카의 민주 진보당이 제기한 항소를 심리했다. DPP는 2020년 대통령 선거 당시 자신들의 대표 4명이 선거 위원회 참여를 금지당했다는 이유로 선거 취소를 요구했다.[20] 그러나 2021년 11월, 헌법 재판소는 민주 진보당의 이의 제기를 최종적으로 기각했다.[21]

10. 참고 문헌


  • S.S. 머레이, 《니아살랜드 핸드북》(A Handbook of Nyasalandeng)
  • 발리언트 무사, 《말라위의 이슬람 역사: 기독교 이전과 이후》(History of Islam in Malawi before and after Christianityeng)
  • 르로이 베일과 랜데그 화이트 (공저), 《말라위 정치사에서의 부족주의》(Tribalism in the Political History of Malawieng)

참조

[1] 논문 A History of Malawi, 1859–1966 2013-06
[2] 웹사이트 Travelmag – Dinosaurs, fossils and Levis in northern Malawi http://travelmag.co.[...] 2012-06-22
[3] 논문 The Name "Akafula" 1967-07
[4] 서적 The History of Southern Africa Britannica Educational Publishing
[5] 간행물 Records of South-Eastern Africa Cape Town
[6] 논문 "The Route of Gaspar Bocarro from Tete to Kilwa in 1616" 1954
[7] 학위논문 'The Lomwe Diaspora and Settlement on Tea Estates in [[Thyolo]], Southern Malawi'
[8] 서적 A history of Malawi, 1859-1966
[9] 서적 The First World War in Africa Oxford University Press
[10] 웹사이트 Malawi (10/03) https://2009-2017.st[...] 2022-07-01
[11] 웹사이트 Hastings Kamuzu Banda | president of Malawi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12] 뉴스 The cult of Hastings Banda takes hold https://www.theglobe[...] 2009-05-20
[13] 웹사이트 Democracy And Nationalism in Historical Perspective: The Case of Malawi | African Affairs https://academic.oup[...] Oxford Academic 1998-04-01
[14] 웹사이트 About Muhammad http://www.islamonli[...]
[15] 웹사이트 Refworld {{!}} Freedom in the World 2005 - Malawi https://www.refworld[...]
[16] 뉴스 Malawi's President Mutharika dead https://www.reuters.[...] 2012-04-06
[17] 뉴스 Malawi court upholds ruling annulling Mutharika's election win https://www.reuters.[...] 2020-05-08
[18] 뉴스 Malawi election: Court orders new vote after May 2019 result annulled https://www.bbc.com/[...] BBC News 2020-02-03
[19] 웹사이트 Opposition leader Chakwera wins Malawi's presidential election re-run https://www.france24[...] 2020-06-28
[20] 뉴스 Malawi Braces for Another Election Challenge https://www.voanews.[...]
[21] 뉴스 Malawi Court Dismisses Presidential Elections Challenge https://www.voanews.[...]
[22] 웹사이트 京都大学理学研究科 ヒト科の誕生と初期進化 1ページ http://anthro.zool.k[...]
[23] 웹사이트 京都大学理学研究科 ヒト科の誕生と初期進化 8ページ http://anthro.zool.k[...]
[24] 웹사이트 アメリカ国務省 Background Note: Malawi http://www.state.gov[...]
[25] 웹사이트 History of Malawi http://www.historyof[...]
[26] 웹사이트 山口大学 共通教育 社会科学系列 文化人類学 第一章 狩猟採集民アカとは? http://ds.cc.yamaguc[...]
[27] 웹사이트 ユネスコ Chongoni Rock Art Area (Malawi) http://whc.unesco.or[...]
[28] 웹사이트 Book Aid International "Malawi" http://www.bookaid.o[...]
[29] 웹사이트 Strategy Leader Resource Kit "People Profile The Maravi (Nyanja) of Malawi" http://strategyleade[...]
[30] 웹사이트 UCLA Humanities Web Portal Home Page "HISTORY OF THE ACHEWA" http://www.humnet.uc[...]
[31] 서적 Economic History of Tropical Africa Routledge
[32] 웹사이트 University of Cumbria "Chewa Religion" http://philtar.ucsm.[...]
[33] 논문 コロンブス以前に旧世界にあったトウモロコシ─回想
[34] 서적 Chewa (Heritage Library of African Peoples Central Africa) Rosen Pub Group
[35] 서적 General History of Africa: Africa in the Nineteenth Century Until the 1880s (UNESCO General History of Afri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6] 서적 Camping with the Prince and other tales of science in Africa Houghton Mifflin (T) 1990-02
[37] 서적 A History of Mozambique Indiana Univ Pr 1995-02
[38] 서적 Africa from the Sixteenth to the Eighteenth Century (Unesco General History of Afri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Abridged 1999-06
[39] 문서 Malawi 2ページ http://images.rca.or[...]
[40]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n history CRC Press 2005
[41] 서적 Islam and politics in East Africa: the Sufi order in Tanzania U of Minnesota Press 1980
[42] 서적 Malawi's Muslims: historical perspectives Christian Literature Association in Malawi 2000
[43] 간행물 The International Official Newsletter of "The Federal Saints" ISSUE No. 33 - September 2007 http://www.federalsa[...]
[44] 서적 David Livingstone: Deep in the Heart of Africa Macmillan 1892
[45] 서적 Road to Emancipation: From Slavery to Happiness Janus Publishing Company Lim 2007
[46] 웹사이트 David Livingstone Africa's Great Missionary and Explorer "15. Reverses. " http://www.wholesome[...]
[47] 서적 Malawi, 4th: The Bradt Travel Guide Bradt Travel Guides 2006
[48] 서적 Slave populations of the British Caribbean, 1807-1834 The Press, University of the West Indies 1995
[49] 서적 The Development of Africa Cosimo, Inc. 2007
[50]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British empire, A-J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6
[51] 서적 The Marcus Garvey and Universal Negro Improvement Association Papers: Africa for the Africans, 1921-1922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5
[52] 서적 The dictionary of contemporary politics of southern Africa Taylor & Francis 1988
[53] 웹사이트 駐日マラウィ共和国大使館 http://www.malawiemb[...]
[54] 서적 A guide to African political & economic development Taylor & Francis 2001
[55] 웹사이트 Institute of Rhodesian Army - ローデシアの歴史 http://www.rhodesia.[...]
[56] 서적 Colonialism to Cabinet Crisis.: A Political History of Malawi African Books Collective 2009
[57] 웹사이트 AFRICAN ELECTIONS DATABASE 1961 Legislative Council Election http://africanelecti[...]
[58] 웹사이트 アジア経済研究所 マラウイとガーナの民主化過程 http://www.ide.go.jp[...]
[59] 웹사이트 AFRICAN ELECTIONS DATABASE 1964 National Assembly Election http://africanelecti[...]
[60] 웹사이트 外務省 マラウイ共和国 基礎情報 https://www.mofa.go.[...]
[61] 간행물 日本マラウイ協会機関紙 Kwacha第9号 http://www.h4.dion.n[...]
[62] 간행물 日本マラウイ協会機関紙 Kwacha 第五号 http://www.h4.dion.n[...]
[63] 웹사이트 Japan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マラウイ生活情報 P28 http://www.jica.go.j[...]
[64] 웹사이트 日本国外務省 マラウイ共和国 外交・国防 https://www.mofa.go.[...]
[65] 웹사이트 IDE-JETRO アフリカ諸国の「民主化」再考 -共同研究会中間報告 http://www.ide.go.jp[...]
[66] 웹사이트 AFRICAN ELECTIONS DATABASE 14 June 1993 Referendum http://africanelecti[...]
[67] 웹사이트 AFRICAN ELECTIONS DATABASE 1994 Presidential Election http://africanelecti[...]
[68] 웹사이트 アジア経済研究所 マラウイとガーナの民主化過程 P110-113 http://www.ide.go.jp[...]
[69] 웹사이트 独立行政法人国際協力機構 キャパシティ・ディベロップメントから見た教育マネージメント支援 P70-71 http://lvzopac.jica.[...]
[70] 웹사이트 AFRICAN ELECTIONS DATABASE 15 June 1999 Presidential Election http://africanelecti[...]
[71] 웹사이트 http://www.islamonli[...]
[72] 웹사이트 AFRICAN ELECTIONS DATABASE 2004 Presidential Election http://africanelecti[...]
[73] 웹사이트 http://www.mec.org.m[...]
[74] 웹사이트 IPU http://www.ipu.org/p[...]
[75] 웹사이트 BBC WORLD NEWS 風車をつくった少年の大きな翼――アフリカ・マラウイ Malawi windmill boy with big fans http://www.bbcworldn[...] BBC 2010-01-21
[76] 저널 A History of Malawi, 1859–1966 2013-06
[77] 웹인용 Archived copy http://travelmag.co.[...] 2012-06-22
[78] 저널 The Name "Akafula" 1967-07
[79] 서적 The History of Southern Africa Britannica Educational Publishing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