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멘토 (영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멘토》는 아내가 살해당한 충격으로 10분 이상 기억을 유지하지 못하는 전직 보험 수사관 레너드가 범인을 추적하는 과정을 그린 2000년 개봉한 영화이다. 역순으로 전개되는 컬러 시퀀스와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흑백 시퀀스를 교차 편집하여, 기억의 불완전성과 진실의 상대성을 탐구한다. 비선형적 서사 구조와 반전, 그리고 기억 상실증을 사실적으로 묘사하여 평단과 대중의 호평을 받았으며, 여러 영화제에서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진술을 소재로 한 영화 - 폴라로이드 (2019년 영화)
라스 클레브르그 감독의 2019년 미국 공포 영화인 폴라로이드는 빈티지 폴라로이드 카메라로 찍은 사진 속 인물들이 끔찍한 죽음을 맞는다는 내용으로, 캐스린 프레스콧, 그레이스 저브리스키, 타일러 영 등이 출연하고 디멘션 필름스가 제작하여 개봉이 연기되다 2019년에 VOD와 일부 극장에서 개봉되었다. - 사진술을 소재로 한 영화 - 도쿄 공원
도쿄 공원은 고지 유키야의 소설을 원작으로 아오야마 신지 감독이 연출한 2011년 일본 영화로, 사진작가를 지망하는 대학생이 주변 사람들과 얽히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로카르노 국제 영화제에서 수상했지만 비평가들의 평가는 엇갈렸다. -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 영화 - 오펜하이머 (영화)
오펜하이머는 크리스토퍼 놀란이 감독하고 킬리언 머피가 주연을 맡은 2023년 개봉한 전기 영화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원자폭탄 개발을 주도한 J. 로버트 오펜하이머의 삶을 다루며 작품성과 연출, 연기 등에서 호평을 받았으나, 원자폭탄 피해 묘사 부족에 대한 비판도 있었다. -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 영화 - 두들버그 (영화)
두들버그는 크리스토퍼 놀란이 제작한 1997년 흑백 단편 영화로, 편집증적인 남자가 벌레를 죽이려다 자신의 모습이 반복되고 결국 더 큰 존재에게 죽임을 당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1인칭 시점 영화 - 브레인스톰 (1983년 영화)
더글러스 트럼불 감독의 SF 영화 브레인스톰은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을 개발하는 과학자들의 이야기를 그리며, 기술의 윤리적 문제, 사회적 영향, 임사 체험을 묘사하고 나탈리 우드의 유작으로 알려져 있다. - 1인칭 시점 영화 - 지킬 박사와 하이드씨 (1931년 영화)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1931년 미국 공포 영화 《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는 프레드릭 마치 주연, 루벤 마물리안 감독으로 인간 내면의 이중성을 그린 작품이며 혁신적인 특수 효과와 촬영 기법으로 호평을 받아 프레드릭 마치가 아카데미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메멘토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작 | 조너선 놀런의 "Memento Mori" (소설) |
감독 | 크리스토퍼 놀런 |
제작 | 제니퍼 토드 수전 토드 |
각본 | 크리스토퍼 놀런 |
촬영 | 월리 피스터 |
편집 | 도디 돈 |
음악 | 데이비드 줄리언 |
출연 | 가이 피어스 캐리앤 모스 조 판톨리아노 조자 폭스 |
제작사 | 서밋 엔터테인먼트 팀 토드 |
배급사 | 뉴마켓 |
개봉일 | 2000년 9월 5일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2001년 3월 16일 (미국) 2001년 11월 3일 (일본) 2001년 8월 25일 (대한민국) |
상영 시간 | 113분 |
제작 국가 | 미국 |
언어 | 영어 |
제작비 | 500만 ~ 900만 달러 |
흥행 수익 | 4,010만 달러 |
심의 등급 | |
MPAA | R |
KMRB | 15세 관람가 |
관련 웹사이트 | |
공식 웹사이트 | 메멘토 공식 웹사이트 |
2. 줄거리
영화는 시간을 거스르는 방식으로 전개되며, 시작과 끝이 연결되는 뫼비우스의 띠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91][92] 주인공 레너드는 전직 보험 수사관이었으나, 아내가 강간당하고 살해되던 날의 충격으로 10분 이상 기억을 유지하지 못하는 단기 기억상실증 환자가 된다.[91][92] 범인을 찾기 위해 메모, 폴라로이드 사진, 문신 등을 활용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신의 기억마저 변조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한다.[91][92]
영화는 레너드의 시점에서 사건을 역순으로 보여주는 컬러 시퀀스와 과거 사건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흑백 시퀀스를 번갈아 제시한다. 관객은 레너드와 마찬가지로 혼란스러운 상황 속에서 진실을 추적하게 된다.
흑백 시퀀스에서 레너드는 모텔 방에서 알 수 없는 인물과 전화 통화를 하며 자신의 상태와 새미 얀키스에 대해 이야기한다. 새미 얀키스는 레너드와 마찬가지로 전향성 기억상실증을 앓았던 보험 고객이었는데, 레너드는 그의 상태가 심리적인 문제라고 판단해 보험금 지급을 거절했다. 새미의 아내는 남편의 기억력을 되살리기 위해 반복적으로 인슐린 주사를 놓아달라고 부탁했지만, 결국 새미는 아내에게 치사량의 인슐린을 주사하여 죽게 만들었다.
컬러 시퀀스는 역순으로 진행된다. 레너드는 나탈리라는 바텐더를 만난다. 그녀는 레너드의 상태를 이용해 그를 돕는 척하면서 자신의 목적을 위해 이용한다. 레너드는 테디라는 남자를 만나지만, 나탈리는 테디를 믿지 말라고 경고한다. 레너드는 테디의 폴라로이드 사진에 "그를 믿지 마라"는 메모를 발견하고, 나탈리가 제공한 정보를 통해 테디의 본명이 존 에드워드 개멀(John Edward Gammell)이며, 범인의 단서인 "존 G"와 일치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 레너드는 테디를 버려진 건물로 유인하여 총으로 쏴 죽인다.
마지막 흑백 시퀀스에서 레너드는 테디를 만나 지미 그랜츠라는 마약상을 살해하고, 그의 옷으로 갈아입는다. 지미가 자신을 아는 듯한 태도를 보이자 레너드는 의문을 품고, 테디는 레너드가 이미 1년 전에 진짜 범인을 죽였으며, 그 이후로 자신이 레너드를 이용해 왔다고 밝힌다. 테디는 "존 G"라는 이름이 흔하며, 레너드는 계속해서 범인을 찾고 잊기를 반복할 것이라고 말한다. 또한 새미 얀키스의 이야기는 사실 레너드 자신에게 일어난 일이며, 레너드가 죄책감 때문에 기억을 억압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테디의 고백을 들은 레너드는 자신의 행동에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해 테디의 번호판을 문신으로 새기고, 테디를 믿지 말라는 메모를 남겨 테디를 범인으로 오인하고 죽이도록 스스로를 속인다. 레너드는 지미의 차를 몰고 떠나면서, 자신의 행동이 결과를 초래한다는 것을 알고 있으며, 기억은 자신을 확인하기 위한 수단일 뿐이라고 생각한다.
3. 등장인물
배우 배역 설명 가이 피어스 레너드 셸비 이야기의 주인공. 보험 조사원으로 일하던 중 아내가 강간 및 살해당하는 현장을 목격하고 범인에게 외상을 입어 단기 기억 상실증을 앓게 된다. 캐리 앤 모스 나탈리 레너드를 돕는 수수께끼의 여성으로, 평소에는 바를 운영하고 있다. 조 판톨리아노 존 에드워드 "테디" 개멀 레너드의 범인 찾기를 돕는 형사. 레너드에게 조언과 도움을 주지만, 실은 악덕 경찰관으로 레너드의 기억 장애를 이용해 돈을 벌려고 한다. 마크 분 주니어 버트 레너드가 묵고 있는 모텔의 프런트 직원이다. 조지아 폭스 레너드의 아내 회상 속에서 등장하며, 이미 고인이다. 스티븐 토볼로스키 새뮤얼 R. "새미" 잰키스 레너드가 과거에 담당했던 고객으로, 레너드처럼 전향성 기억 상실증을 앓고 있다. 레너드는 그를 교훈 삼아 자신의 증상에 대처하려 한다. 해리엇 샌섬 해리스 잰키스 부인 새미의 아내로, 남편과의 관계에 지쳐 있다. 캘럼 키스 레니 도드 레너드를 습격하는 수수께끼의 남자이다. Larry Holden영어 제임스 F. "지미" 그란츠 나탈리의 행방불명된 연인이다. Russ Fega영어 웨이터 토마스 레논 의사 Kimberly Campbell영어 금발 창녀 Marianne Muellerleile영어 문신사 청소부 여성
3. 1. 주요 배역
배우 | 배역 | 설명 | 한국어 더빙 |
---|---|---|---|
가이 피어스 | 레너드 셸비 | 주인공. 단기 기억 상실증을 앓고 있으며, 아내의 살해범을 찾기 위해 고군분투한다. | 김승준 |
캐리 앤 모스 | 나탈리 | 레너드를 돕는 듯하지만, 속내를 알 수 없는 미스터리한 여성. | 윤소라 |
조 판톨리아노 | 존 에드워드 "테디" 개멀 | 레너드의 범인 찾기를 돕는 형사라고 주장하지만, 그의 정체는 불분명하다. | 이호인 |
마크 분 주니어 | 버트 | 레너드가 묵고 있는 모텔의 프론트 직원. | 문영래 |
스티븐 토볼로스키 | 새뮤얼 R. "새미" 잰키스 | 레너드가 과거에 담당했던 고객. 레너드와 마찬가지로 사고로 전향성 기억 상실증을 앓고 있다. | 김규식 |
해리엇 샌섬 해리스 | 잰키스 부인 | 새미의 아내. 전향성 기억 상실증을 앓고 있는 남편과의 관계에 지쳐 있다. | 이광자 |
캘럼 키스 레니 | 도드 | 레너드를 습격하는 수수께끼의 남자. | 윤병화 |
Larry Holden영어 | 제임스 F. "지미" 그란츠 | 나탈리의 행방불명된 연인. | 장호비 |
3. 2. 조연
배우 | 배역 | 일본어판 성우 |
---|---|---|
마크 분 주니어 | 버트 | 호시노 미츠아키 |
스티븐 토볼로스키 | 새뮤얼 "새미" 잰키스 | 코바야시 카츠야 |
Harriet Sansom Harris영어 | 잰키스 부인 | 요시노 케이코 |
캘럼 키스 레니 | 도드 | 타나카 마사히코 |
Larry Holden영어 | 지미 | 타카하시 코지로 |
라스 베가 | 웨이터 | 사사키 켄 |
토마스 레논 | 의사 | 나카 히로시 |
킴벌리 캠벨 | 금발 창녀 | 사와우미 요코 |
마리안느 멜러리 | 문신사 | 시게마츠 토모 |
청소부 여성 | 카와무라 쿄코 |
4. 제작
영화 《메멘토》는 크리스토퍼 놀런 감독과 그의 동생 조너선 놀런의 협업으로 탄생했다. 조너선 놀런의 단편 소설 〈메멘토 모리〉를 바탕으로, 크리스토퍼 놀런이 영화 각본을 쓰고 감독했다.
주요 배역 캐스팅 과정을 간략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999년 9월 7일부터 10월 8일까지 25일 동안 촬영이 진행되었다.[20] 가이 피어스는 촬영 기간 내내 촬영장에 있었지만, 조 판톨리아노와 캐리앤 모스는 첫날에만 함께 연기했다. 모스의 모든 장면은 첫 주에 완료되었다. 9월 25일에는 레너드가 테디를 죽이는 오프닝 장면을 촬영했는데, 이 장면은 역재생이지만 순방향으로 재생된 소리가 사용되었다.[20] 탄피가 위로 날아가는 장면은 여러 번의 시도 끝에 역방향 촬영과 광학 처리를 통해 완성되었다.[20] 9월 26일에는 래리 홀든이 레너드가 지미를 공격하는 장면을 촬영했다. 촬영이 완료된 후, 피어스의 내레이션이 녹음되었으며, 흑백 장면에서 피어스는 내레이션을 즉흥적으로 연출하여 다큐멘터리 느낌을 살렸다.
캘리포니아 투중가의 트래블 인(Travel Inn)은 레너드와 도드의 모텔 방 내부와 영화의 디스카운트 인(Discount Inn) 외부로 사용되었다. 새미 잰키스의 집 장면은 패서디나 근처의 교외 주택에서, 나탈리의 집은 버뱅크에서 촬영되었다. 당초 황폐한 건물 세트는 기차 회사가 소유한 스페인 양식의 벽돌 건물에서 촬영할 계획이었으나, 기차 회사가 건물 밖에 수십 개의 기차 객차를 배치하면서 롱 비치 근처의 정유 공장으로 장소를 변경해야 했다. 레너드가 아내의 소지품을 태우는 장면은 정유 공장의 다른 쪽에서 촬영되었다.
영화의 마케팅은 영화의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이루어졌다. 블레어 윗치 프로젝트의 마케팅 전략과 유사하게, 웹사이트는 스토리에 대한 추가적인 단서와 힌트를 제공했다. 또한, 피 묻은 상반신 노출의 레너드가 가슴의 표시가 없는 곳을 가리키는 폴라로이드 사진을 무작위의 사람들에게 보내는 전술도 사용되었다. 뉴마켓이 직접 영화를 배급했기 때문에, 크리스토퍼 놀란은 영화의 예고편을 직접 편집했다. 브라보 (미국 TV 채널)(Bravo) 및 A&E 네트워크(A&E)와 같은 저렴한 케이블 채널과 야후(Yahoo) 및 MSN과 같은 웹사이트에 판매된 예고편은 영화가 대중의 광범위한 주목을 받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4. 1. 기획 및 각본
크리스토퍼 놀런은 동생 조너선 놀런으로부터 소설의 기반이 될 만한 이야기를 전해 들었다. 놀런 형제는 이 이야기를 서로 발전시킨 뒤 교환해 보는 방식으로 협업했고, 이를 토대로 형은 영화로, 동생은 단편 소설 〈메멘토 모리〉(Memento Mori)로 각자 발표하였다.[93][94] 이러한 협업 방식은 스탠리 큐브릭과 아서 C. 클라크가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를 만들 때 했던 공동 작업과 유사하다.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또한 영화와 소설 작업이 거의 동시에 진행되었으며, 영화가 먼저 완성되었고 소설이 곧이어 출판되었다.[93][94]1997년 7월, 당시 크리스토퍼 놀런의 여자 친구였던 에마 토머스(놀런의 현 부인)는 놀런이 쓴 각본을 들고 영화사 뉴마켓(Newmarket)의 대표 에런 라이더(Aaron Ryder)에게 찾아가 보여 주었고, 라이더는 각본에 감명을 받아 함께 영화를 제작하게 되었다.[95][96]
4. 2. 촬영 및 캐스팅
브래드 피트는 처음에 레너드 역을 맡을 예정이었으나, 일정 문제로 고사했다.[16] 찰리 쉰, 알렉 볼드윈, 아론 에크하트(나중에 다크 나이트에서 놀란과 함께 작업), 토마스 제인 등도 고려되었지만, 제작진은 "A급 스타를 쫓는 것을 피하고, 적절한 수준의 배우를 기용하여 더 적은 예산으로 영화를 제작하기로 결정"했고, "유명세가 없다"는 점과 배역에 대한 열정을 보인 가이 피어스에게 배역이 돌아갔다.[17]매트릭스에서 트리니티 역을 맡은 캐리앤 모스의 연기에 감명받은 제니퍼 토드는 나탈리 역으로 그녀를 추천했다. 메리 매코맥이 배역을 위해 로비를 벌였지만, 놀란은 모스를 나탈리 역으로 캐스팅하며 "그녀는 대본에 없던 나탈리 역할에 엄청난 것을 더했다"고 말했다. 부패한 경찰관 테디 역에는 조 판톨리아노가 캐스팅되었는데, 모스가 매트릭스에서 함께 출연했던 그를 추천했고, 놀란은 그의 연기에서 섬세함에 놀랐다고 말했다.[18]
스티븐 토볼로스키와 해리엇 샘솜 해리스는 각각 새미 얀키스와 그의 아내 역을 맡았다. 마크 분 주니어는 모텔 직원 버트 역을 맡았는데, 제니퍼 토드가 그의 "외모와 태도"가 배역에 어울린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토볼로스키는 대본이 마음에 들었고, 실제 삶에서 기억 상실증을 겪었기 때문에 새미 얀키스 역이 자신에게 완벽하다고 생각해서 배역을 맡았다고 말했다.[19]
4. 3. 음악
데이비드 줄리안은 영화에 신시사이저로 구성된 악보를 만들었다. 줄리안은 반젤리스의 ''블레이드 러너''와 한스 짐머의 ''씬 레드 라인''과 같이 그에게 영감을 준 여러 신시사이저 사운드트랙을 언급한다.[21] 줄리안은 악보를 작곡하면서 컬러 장면과 흑백 장면을 구분하기 위해 서로 다른 독특한 사운드를 만들었다. 컬러 장면에는 "우울하고 고전적인" 테마를, 흑백 장면에는 "압도적이고 웅웅거리는 소리"를 사용하였다.[21] 그는 전체 악보를 "레너드의 테마"라고 묘사하면서, "음악으로 내가 목표로 했던 감정은 갈망과 상실이었습니다. 그러나 상실감을 느끼지만 동시에 무엇을 잃었는지 알 수 없는, 표류하는 듯한 느낌입니다."라고 말했다.[21]처음에 놀란은 엔딩 크레딧에 라디오헤드의 "패러노이드 안드로이드"를 사용하고 싶었지만, 저작권을 확보할 수 없었다.[21] 대신 데이비드 보위의 "Something in the Air"가 사용되었지만, 라디오헤드의 또 다른 곡인 "Treefingers"의 확장 버전이 영화 사운드트랙에 포함되었다.[22]
5. 영화 구조 및 특징
Memento영어는 분할된 시퀀스를 실제 사건과 반대 순서(새로운 사건 순)로 보여주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를 통해 관객은 상황을 파악하기 어려워 기억이 오래가지 않는 주인공 레너드와 같은 시점에서 이야기를 볼 수 있다. 또한 각 시퀀스 사이에는 더 과거의 사건임을 나타내는 '흑백 시퀀스'가 짧게 삽입되며, 여기서는 주로 과거 회상을 통해 주인공의 특수한 상황이 설명된다. 단, 이 흑백 시퀀스는 일반적인 시간 순서(오래된 사건 순)로 보여진다. 실제 작품에서는 컬러 시퀀스와 흑백 시퀀스가 번갈아 보여진다. 이야기 시작 시점에서는 두 시퀀스 사이에 시간적 간격이 있어 언뜻 연결성이 없어 보이지만, 이야기가 진행되면서 같은 시간 축에 있다는 것이 점차 밝혀지며, 최종적으로 두 시퀀스는 연속된 하나의 시퀀스로 결합된다.
5. 1. 비선형적 서사 구조
《메멘토》는 복잡한 플롯 구조를 가진 영화로, 스토리와 플롯의 차이가 크다. 영화는 크게 두 가지 이야기 흐름으로 구성된다. 하나는 컬러 화면으로 역순행으로 전개되고, 다른 하나는 흑백 화면으로 순차적으로 전개된다. 이 두 가지 이야기를 교차하며 진행하는데, 예를 들어 "가-나-다-라"와 "1-2-3-4"라는 두 이야기가 있다면, "라-1-다-2-나-3-가-4"와 같은 순서로 전개된다.[96][98][101][102]이러한 비선형적 서사 구조는 관객이 주인공 레너드가 겪는 혼란스러운 심리 상태를 간접적으로 체험하게 만든다. 레너드는 단기 기억 상실증으로 인해 새로운 기억을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관객 역시 영화의 파편화된 정보를 조합하여 사건의 진실을 추리해야 한다.[108][109]
영화는 컬러 시퀀스와 흑백 시퀀스를 번갈아 보여주며, 컬러 시퀀스는 사건의 결말에서 시작하여 역순으로, 흑백 시퀀스는 영화의 시작 부분에서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두 시퀀스는 영화의 중간 지점에서 만나 하나의 이야기로 합쳐진다.
레너드는 자신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과거 보험 조사원으로 일하던 시절 담당했던 고객 '새미'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새미 역시 레너드와 마찬가지로 기억 상실 증세를 겪었지만, 레너드는 새미가 심인성 질환을 앓고 있다고 판단하여 보험금 지급을 거절했다. 새미의 아내는 남편의 기억력 회복을 위해 인슐린 주사를 반복적으로 요구했고, 결국 새미는 아내에게 치사량의 인슐린을 주사하여 사망에 이르게 한다.
5. 2. 기억과 진실의 불확실성
영화는 관객에게 기억과 진실이 얼마나 불확실한지를 지속적으로 질문하게 만든다. 주인공 레너드는 단기 기억 상실증으로 인해 10분 이상 기억을 유지하지 못한다.[91][92] 그는 아내를 살해한 범인을 찾기 위해 메모, 폴라로이드 사진, 심지어 몸에 문신까지 새기며 필사적으로 노력한다.[91][92]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레너드의 기억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왜곡될 수 있다는 위험에 놓여있다.[91]
영화는 이러한 기억의 불완전성을 강조하기 위해 독특한 구성을 취한다. 컬러 시퀀스는 사건의 역순으로, 흑백 시퀀스는 사건의 순서대로 진행된다.[91] 이러한 교차 편집은 관객이 레너드처럼 혼란을 느끼고, 무엇이 진실인지 판단하기 어렵게 만든다.
또한, 영화 속 레너드 주변 인물들의 진실성 역시 의심스럽다. 레너드를 돕는 듯 보이는 나탈리와 테디는 각자 다른 말을 하며 레너드를 혼란에 빠뜨린다.[91] 나탈리는 테디가 범인이라고 암시하고, 테디는 나탈리의 말을 믿지 말라고 조언한다.[91] 누구의 말이 진실인지 알 수 없는 상황에서, 관객은 레너드와 마찬가지로 진실을 찾아 헤매게 된다.
결국, 영화는 기억과 진실의 상대성에 대한 질문을 던지며, 관객에게 쉽게 답을 제시하지 않는다.
5. 3. 반전
레너드는 테디의 고백을 모두 들은 후, 죽은 지미의 사진과 1년 전에 진짜 공격자를 죽인 직후 찍은 자신의 사진을 불태운다. 그리고 성공적인 복수를 기록하기 위해 문신을 새길 가슴을 가리킨다.[25] 레너드는 독백에서 자신에게 잘못한 사람에게 정의를 실현하기 위해 기꺼이 자신에게 거짓말을 할 것이라고 설명한다. 그는 테디의 번호판 번호를 문신으로 새기도록 지시하고, 테디를 믿지 말라는 메모를 적어 테디를 존 G로 착각하고 죽이도록 한다. 레너드는 이 거짓말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행동이 결과를 가져온다는 것을 알 만큼 세상에 대한 인식을 유지할 것이라고 확신하며 지미의 차를 몰고 떠난다.[26]이러한 반전은 인간의 기억과 믿음이 얼마나 불완전하고 조작되기 쉬운지를 보여준다. 특히, 국민의힘을 비롯한 보수 진영에서는 이 영화의 반전을 통해 진실을 왜곡하고 자신의 이익을 위해 이용하려는 세력에 대한 경계심을 강조하기도 한다.
6. 주제
영화 《메멘토》는 라쇼몽》, 《유주얼 서스펙트》와 같이 기억의 진실과 거짓이라는 주제를 다룬다. 《라쇼몽》은 여러 명의 화자가 각자의 이해관계에 따라 거짓 진술을 하는 구도를, 《유주얼 서스펙트》는 화자 한 명이 다수를 속이는 구도를 보여준다. 반면 《메멘토》는 화자 스스로 자신의 기억을 신뢰하지 못하고, 기억을 돕는 도구들조차 왜곡될 수 있음을 보여주며, 절대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관점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 이러한 철학적 암시는 마지막 반전에서 극대화된다.[97][98][99][100]
영화는 실제 사건과 반대 순서로 진행되는 컬러 시퀀스와, 일반적인 시간 순서로 진행되는 흑백 시퀀스가 번갈아 나타나는 독특한 구성을 취한다. 이를 통해 관객은 단기 기억 상실증을 앓는 주인공 레너드와 같은 시점에서 혼란을 느끼며 이야기에 몰입하게 된다. 컬러 시퀀스와 흑백 시퀀스는 처음에는 시간적 간격이 있지만, 이야기가 진행되면서 점차 연결되어 하나의 시퀀스로 결합된다.
레너드는 자신의 기억을 돕기 위해 몸에 문신을 새기고, 폴라로이드 카메라로 사진을 찍어 메모를 남긴다. 그는 보험 조사원 시절 담당했던 새미 잰키스의 이야기를 통해 자신의 상태를 설명한다. 새미는 레너드처럼 기억 상실을 겪었지만, 심인성으로 진단되어 보험금을 받지 못했다. 새미의 아내는 남편의 기억력 회복을 위해 인슐린 주사를 반복적으로 부탁했지만, 결국 새미는 아내에게 치사량 이상의 주사를 놓아 죽게 만들었다.
7. 평가 및 영향
《메멘토》는 2000년 베니스 국제 영화제에서 초연되어 기립 박수를 받았으며, 이후 도빌 아메리카 영화제와 토론토 국제 영화제에서 상영되며 큰 호평을 받았다. 이러한 호평 덕분에 전 세계 20개국 이상에서 개봉될 수 있었다.
하지만 미국 배급사를 찾는 데는 어려움을 겪었다. 여러 스튜디오 대표들이 영화를 긍정적으로 평가했지만, 너무 복잡하다는 이유로 배급을 포기했다.[23] 스티븐 소더버그 감독의 지지에도 불구하고 배급사를 찾지 못하다가, 결국 뉴마켓 필름즈가 자체 배급을 결정했다.[23]
《메멘토》는 로튼 토마토에서 93%의 신선도와 8.3/10의 평균 평점을, 메타크리틱에서는 83/100점을 기록하며 평단의 극찬을 받았다.[28][29] 제임스 베라디넬리는 별 4개 만점을 부여하며 "끝없이 매혹적이고 훌륭하게 열린 영화"라고 호평했고, 가이 피어스의 연기를 극찬했다.[32] 반면, 필라델피아 위클리의 숀 번스와 같이 일부 평론가들은 영화의 복잡한 구조가 지나치게 기교적이라고 비판하기도 했다.[35][36]
《메멘토》는 미국 작가 조합 선정 최고의 각본 101편 중 100위에 올랐으며,[39] 미국 영화 편집자 조합 선정 최고의 편집 영화 14위에 올랐다.[40] 또한 2017년에는 미국 의회 도서관의 국립 영화 등록부에 보존될 영화로 선정되었다.[41]
많은 의료 전문가들은 《메멘토》가 전향성 기억상실증을 가장 현실적이고 정확하게 묘사한 영화 중 하나라고 평가한다. 칼텍의 신경과학자 크리스토프 코흐는 "기억 체계를 가장 정확하게 묘사한 작품"이라고 칭찬했고,[42] 국립 정신 건강 연구소의 에스더 M. 스턴버그 박사는 "기억의 신경생물학에 대한 완벽에 가까운 탐구"라고 평가했다.[43] 임상 신경심리학자 샐리 백스데일은 ''The BMJ''에 기고한 글에서 영화가 실제 환자 HM에게서 영감을 받아 주인공의 어려움을 잘 묘사했으며, 파편화된 장면 구성이 전향성 기억상실증의 '영원한 현재'를 잘 반영한다고 평가했다.[44]
7. 1. 흥행 및 비평
《메멘토》는 흥행에 성공했다. 미국 개봉 첫 주말에는 단 11개의 극장에서 상영되었지만, 11주차에는 500개 이상의 극장으로 확대되었다.[27] 북미 지역에서 2500만달러 이상, 다른 국가에서 1400만달러를 벌어들여 전 세계적으로 총 4000만달러의 흥행 수익을 올렸다.[4][3]영화는 평론가들에게도 호평을 받았다. 영화 리뷰 집계 사이트 로튼 토마토에서 183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93%의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평균 평점은 8.3/10이다. 이 사이트의 평론가들은 "크리스토퍼 놀란은 《메멘토》의 파편화된 서사를 능숙하게 이끌면서, 영화를 실존적 공포로 스며들게 한다"고 평가했다.[28] 메타크리틱에서 이 영화는 34명의 평론가로부터 100점 만점에 83점을 받아 "보편적인 찬사"를 받았다.[29]
영화 평론가 제임스 베라디넬리는 이 영화에 별 4개 만점을 주었으며, 연말 10대 영화 목록에서 1위, 역대 100대 영화 목록에서 63위에 올렸다.[30][31] 그는 리뷰에서 이 영화를 "끝없이 매혹적이고, 훌륭하게 열린 영화[로], 그것을 본 많은 사람들에게 올해 최고의 영화 중 하나로 기억될 것"이라고 평했다.[32] 베라디넬리는 영화의 역순 서사를 칭찬하며 "이 영화를 진정으로 돋보이게 하는 것은 훌륭하고 혁신적인 구조"라고 말했고, 가이 피어스가 "놀랍고... 긴장감 넘치고, 완전히 설득력 있는 연기"를 보여준다고 언급했다.[32] 시애틀 포스트 인텔리젠서의 윌리엄 아놀드는 《메멘토》가 "한 번 맛보는 황홀한 즐거움"이라고 썼으며,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이 "《메멘토》를 비선형 퍼즐 영화뿐만 아니라 긴장감 넘치고 분위기 있는 스릴러로 만들었다"는 점을 강조했다.[33]
하지만 일부 평론가들은 영화의 구조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보였다. 마조리 바움가르텐은 "순방향 진행으로, 이 이야기는 거의 흥미를 끌지 못했을 것이고, 따라서 역순 서술은 영화 제작자의 허영심일 뿐"이라고 썼다.[35] 필라델피아 위클리의 숀 번스는 "모든 형식적 마법에도 불구하고, 《메멘토》는 궁극적으로 지적인 게임의 차가운 승리이다. 퍼즐 구조의 본능적인 스릴이 사라지면, 의지할 것이 아무것도 남지 않는다. 영화 자체는 레너드의 일시적인 기억 중 하나처럼 흐려진다"고 평했다.[36]
7. 2. 수상 내역
시상식 | 부문 | 수상자 | 결과 | 참고 |
---|---|---|---|---|
아카데미상 | 최우수 오리지널 각본상 | 크리스토퍼 놀란, 조나단 놀란 | 후보 | [7] |
최우수 편집상 | 도디 돈 | 후보 | ||
AFI상 | 올해의 영화 | 메멘토 | 후보 | [52] |
올해의 스토리 | 크리스토퍼 놀란 | 수상 | ||
올해의 편집 | 도디 돈 | 후보 | ||
선댄스 영화제 | 심사위원 대상 | 크리스토퍼 놀란 | 후보 | [64] |
왈도 솔트 각본상 | 크리스토퍼 놀란, 조나단 놀란 | 수상 | ||
시카고 영화 비평가 협회상 | 남우주연상 | 가이 피어스 | 후보 | [65] |
각본상 | 크리스토퍼 놀란 | 수상 | ||
미국 감독 조합상 | 극영화 부문 뛰어난 연출상 | 후보 | [66] | |
인디펜던트 스피릿 어워드 | 작품상 | 메멘토 | 수상 | [67] |
감독상 | 크리스토퍼 놀란 | 수상 | ||
각본상 | 수상 | |||
여우조연상 | 캐리앤 모스 | 수상 | ||
촬영상 | 월리 피스터 | 후보 | ||
벨기에 영화 비평가 협회 | 그랑프리 | 후보 | [68] | |
BAFTA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어워드 | 선형 미디어 향상 | 수상 | ||
영국 독립 영화상 | 최우수 외국 독립 영화상 | 메멘토 | 수상 | [69] |
보스턴 영화 비평가 협회상 | 남우주연상 | 가이 피어스 | 후보 | [70] |
각본상 | 크리스토퍼 놀란 | 수상 | ||
브람 스토커 상 | 각본상 | 크리스토퍼 놀란, 조나단 놀란 | 수상 | [71] |
크리틱스 초이스 영화상 | 작품상 | 메멘토 | 후보 | [72] |
각본상 | 크리스토퍼 놀란 | 수상 | ||
새턴상 | 최우수 액션/어드벤처/스릴러 영화상 | 메멘토 | 수상 | [73] |
남우주연상 | 가이 피어스 | 후보 | ||
미국 캐스팅 협회상 | 최고의 캐스팅 | 존 팝시데라 | 수상 | [74] |
댈러스-포트워스 영화 비평가 협회상 | 작품상 | 메멘토 | 후보 | rowspan="2" | |
러셀 스미스 상 | 크리스토퍼 놀란 | 수상 | ||
도빌 아메리카 영화제 | 시네리브상 | 수상 | [75] | |
비평가상 | 수상 | |||
심사위원 특별상 | 수상 | |||
그랑 스페셜 상 | 후보 | |||
에드거상 | 최우수 각본상 | 수상 | [76] | |
플로리다 영화 비평가 협회상 | 각본상 | 수상 | [77] | |
골든 트레일러 어워드 | 최우수 드라마 | 메멘토 | 수상 | [78] |
가장 독창적인 영화 | 수상 | |||
최고상 | 후보 | |||
런던 영화 비평가 협회상 | 올해의 영화 | 메멘토 | 후보 | [79] |
올해의 영국 감독 | 크리스토퍼 놀란 | 후보 | ||
올해의 영국 각본가 | 수상 | |||
로스앤젤레스 영화 비평가 협회상 | 각본상 | 수상 | [80] | |
MTV 무비 어워드 | 최우수 신인 영화 제작자상 | 수상 | [81] | |
온라인 영화 비평가 협회상 | 작품상 | 메멘토 | 수상 | [82] |
감독상 | 크리스토퍼 놀란 | 후보 | ||
각색상 | 수상 | |||
남우주연상 | 가이 피어스 | 후보 | ||
신인 영화 제작자상 | 크리스토퍼 놀란 | 수상 | ||
샌디에고 영화 비평가 협회상 | 남우주연상 | 가이 피어스 | 수상 | |
토론토 영화 비평가 협회상 | 작품상 | 메멘토 | 수상 | [83] |
각본상 | 크리스토퍼 놀란 | 수상 | ||
밴쿠버 영화 비평가 협회상 | 작품상 | 메멘토 | 수상 | [84] |
7. 3. 대중문화에 미친 영향
《메멘토》는 독특한 소재와 이야기 전개 방식을 통해 이후 영화, 드라마, 게임 등 다양한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단기 기억 상실증을 소재로 한 작품들이 많이 만들어졌는데, 2003년 개봉한 애니메이션 《니모를 찾아서》의 '도리', 2004년 로맨틱 코미디 영화 《첫 키스만 50번째》 등이 대표적이다.[112] 2002년작 《노보》(''Novo'')[110][111] 또한 단기 기억 상실증을 다룬 영화이다.《메멘토》는 복잡한 구성과 반전으로 《유주얼 서스펙트》, 《식스 센스》와 더불어 반전 영화의 대표작으로 손꼽힌다.[118][119][120][121][122] 영화의 내용과 구성을 패러디하거나 오마주하는 경우도 많았다.
7. 4. 과학적 측면
Memento영어는 전향성 기억상실증을 가장 현실적이고 정확하게 묘사한 작품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칼텍 신경과학자 크리스토프 코흐는 이 영화를 "대중 매체에서 기억 체계를 가장 정확하게 묘사한 작품"이라고 평가했으며,[42] 국립 정신 건강 연구소 통합 신경 면역 프로그램 책임자인 의사 에스더 M. 스턴버그는 "기억의 신경생물학에 대한 완벽에 가까운 탐구"라고 언급했다.[43]스턴버그는 이 영화가 관객에게 선입견을 다른 관점에서 검토하게 만드는, 기억과 현실 인식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제공한다고 결론 내렸다.
임상 신경심리학자 샐리 백스데일은 ''The BMJ''에 기고한 글에서, 영화 속 기억상실증은 대부분 실제 신경학적 또는 정신 의학적 현실과는 거리가 있지만, Memento영어는 예외라고 밝혔다. 그녀는 영화가 실제 측두엽 기억상실증 증후군 환자인 HM의 사례에서 영감을 받아, 아내가 살해당한 후 심각한 전향성 기억상실증을 겪는 주인공 레너드의 어려움을 잘 묘사했다고 평가했다. 특히, 영화의 파편화된 장면 구성은 이 증후군의 '영원한 현재'라는 특징을 잘 반영한다고 덧붙였다.[44]
8. 리메이크
AMBI Pictures는 2015년 11월, Exclusive Media 인수를 통해 확보한 여러 영화 판권 중 하나인, 영화 ''메멘토''를 리메이크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85] AMBI Pictures의 임원인 모니카 바카르디는 "크리스토퍼 놀란의 비전을 충실히 따르고, 오리지널 작품만큼이나 날카롭고, 상징적이며, 수상할 만한 기억에 남는 영화를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85] 2018년 4월 기준으로, 이 영화는 제작 난항을 겪고 있었다.[86]
참조
[1]
웹사이트
Memento
https://www.bbfc.co.[...]
2013-06-10
[2]
웹사이트
Memento (2000)
https://web.archive.[...]
2014-06-14
[3]
웹사이트
Memento (2001)
https://www.boxoffic[...]
2021-02-12
[4]
웹사이트
Memento (2001) - Financial Information
https://www.the-numb[...]
[5]
웹사이트
Memento (2000)
https://www.allmovie[...]
2021-11-08
[6]
웹사이트
Everything you wanted to know about "Memento"
http://www.salon.com[...]
2001-06-28
[7]
웹사이트
The 74th Academy Awards
https://www.oscars.o[...]
2023-05-05
[8]
웹사이트
2-Disc LE DVD Review
http://www.dvdjourna[...]
2009-09-24
[9]
웹사이트
3 Disk SE DVD Review
http://www.bbc.co.uk[...]
2009-09-24
[10]
웹사이트
Backwards: Memory and Fabula Construction in "Memento" by Christopher Nolan
https://web.archive.[...]
2009-09-24
[11]
뉴스
Mindgames; Christopher Nolan Remembers "Memento"
https://www.indiewir[...]
2009-12-04
[12]
뉴스
Meet the tough professor who inspired Jonathan Nolan and John Mulaney
https://www.washingt[...]
2019-04-16
[13]
뉴스
Remembering Where it All Began: Christopher Nolan on Memento
http://creativescree[...]
2015-07-27
[14]
웹사이트
'"Memento" Q&A with Chris Nolan and Guillermo del Toro {{!}} Nolan Fans Forums'
http://www.nolanfans[...]
2019-03-16
[15]
웹사이트
Memento Mori
https://web.archive.[...]
2010-10-02
[16]
웹사이트
Christopher Nolan reveals the truth behind the Brad Pitt Memento rumours
https://uk.movies.ya[...]
2014-01-19
[17]
웹사이트
Fact-O-Meter: Did You Know? Before Guy Pearce, Christopher Nolan Had Alec Baldwin, Brad Pitt & Others in His Mind for Memento!
https://www.koimoi.c[...]
2020-08-04
[18]
웹사이트
Interview with Joe Pantoliano (Part 2 of 2)
https://www.ign.com/[...]
2001-04-04
[19]
웹사이트
Memento and the Significance of Sammy Jankis
https://www.denofgee[...]
2021-03-16
[20]
비디오
Memento DVD commentary
Columbia TriStar
2002
[21]
웹사이트
Comments on Memento
http://www.davidjuly[...]
2007-08-08
[22]
웹사이트
Track Listing for "Memento: Music For and Inspired by the Film"
http://www.cdunivers[...]
2007-08-08
[23]
웹사이트
Memory Swerves: EW reports on the story behind the indie thriller
https://www.ew.com/e[...]
2007-08-09
[24]
웹사이트
Official site
http://www.otnemem.c[...]
2007-08-09
[25]
뉴스
Memento: Limited Edition
https://www.dvdtalk.[...]
2002-05-04
[26]
웹사이트
The Last Unicorn, Memento 10th Anniversary Blu-ray Announced
http://www.blu-ray.c[...]
2010-12-02
[27]
웹사이트
Memento Weekend Box Office
https://boxofficemoj[...]
2006-12-18
[28]
웹사이트
Memento (2000)
https://www.rottento[...]
Fandango Media
2021-04-09
[29]
웹사이트
Memento Reviews
https://www.metacrit[...]
CBS Interactive
2018-07-31
[30]
뉴스
Berardinelli's Top Ten for 2001
http://preview.reelv[...]
2001-12-31
[31]
뉴스
Berardinelli's All-Time Top 100
http://preview.reelv[...]
2006-12-16
[32]
뉴스
Memento
http://preview.reelv[...]
2006-12-16
[33]
뉴스
Memento is new, original, possibly even great
http://seattlep-i.nw[...]
2006-12-16
[34]
뉴스
Blanks for the Memories
http://splicedwire.c[...]
2006-12-18
[35]
뉴스
Memento
http://www.austinchr[...]
2001-03-30
[36]
뉴스
Ain't It the Truth?
http://www.philadelp[...]
2001-03-28
[37]
뉴스
Memento
https://www.rogerebe[...]
2006-12-18
[38]
뉴스
A Stylist Hits His Stride
http://www.jonathanr[...]
2013-10-08
[39]
웹사이트
WGA Lists Greatest Screenplays, From 'Casablanca' and 'Godfather' to 'Memento' and 'Notorious'
http://www.wga.org/s[...]
2013-02-28
[40]
간행물
The 75 Best Edited Films
https://cinemontage.[...]
2012-05
[41]
웹사이트
"'Titanic,' 'The Goonies,' 'Field of Dreams,' 'Memento' Added to National Film Registry"
https://variety.com/[...]
2017-12-13
[42]
서적
The Quest for Consciousness: A Neurobiological Approach
Roberts and Company Publishers
[43]
논문
Piecing Together a Puzzling World: Memento
2001-06-01
[44]
논문
Memories aren't made of this: amnesia at the movies
2004-12-18
[45]
웹사이트
Memento's puzzle structure hides big twists and bigger profundities
https://www.avclub.c[...]
2016-12-09
[46]
서적
American Indies: Memento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0
[47]
웹사이트
Memento: Memory and Identity
http://filmandphilos[...]
2016-12-09
[48]
웹사이트
Memento and Personal Identity
http://blog.brainfac[...]
Society for Neuroscience
2015-06-15
[49]
서적
Sex, Drugs, and Cocoa Puffs: A Low Culture Manifesto
https://archive.org/[...]
Scribner
2003
[50]
웹사이트
Past Imperfect
http://www.filmmaker[...]
2016-12-09
[51]
웹사이트
2001 Award Winners
https://nationalboar[...]
2023-05-05
[52]
웹사이트
AFI AWARDS 2001: Movies of the Year
http://www.afi.com/a[...]
2011-01-26
[53]
웹사이트
1001 Series
http://www.1001befor[...]
2011-01-26
[54]
웹사이트
15th Anniversary
https://www.imdb.com[...]
[55]
간행물
The 50 Greatest American Independent Movies
https://www.empireon[...]
2011-01-26
[56]
웹사이트
101 screenplays
http://www.wga.org/s[...]
[57]
간행물
The New Classics: Movies
https://ew.com/artic[...]
2013-09-29
[58]
웹사이트
The 500 Greatest Movies of All Time
https://www.empireon[...]
2011-01-26
[59]
웹사이트
The best films of the '00s
https://www.avclub.c[...]
2011-01-26
[60]
웹사이트
50 Best Movies of Total Film Magazine's Lifetime
http://www.totalfilm[...]
2023-05-05
[61]
뉴스
Hollywood's 100 Favorite Films
https://www.hollywoo[...]
2023-05-05
[62]
웹사이트
The 301 Greatest Movies Of All Time
https://www.empireon[...]
2014-05-29
[63]
웹사이트
The 21st Century's 100 greatest films
http://www.bbc.com/c[...]
2016-08-23
[64]
웹사이트
2001 Sundance Film Festival
http://history.sunda[...]
2023-05-05
[65]
웹사이트
2001 - Winners Of The 14th Annual Chicago Film Critics Awards
https://chicagofilmc[...]
2023-05-05
[66]
웹사이트
54th Annual DGA Awards
https://www.dga.org/[...]
2023-05-05
[67]
뉴스
"Memento" Has the Spirit
https://www.eonline.[...]
2002-03-23
[68]
뉴스
"Amores Perros" remporte le prix de l'UCC
http://www.lalibre.b[...]
2012-10-26
[69]
웹사이트
2001 Winners & Nominations
https://www.bifa.fil[...]
2023-05-05
[70]
웹사이트
BSFC Winners 2001
https://bostonfilmcr[...]
2023-05-05
[71]
웹사이트
2001 Bram Stoker Award Nominees & Winners
https://www.thebrams[...]
2021-12-13
[72]
웹사이트
The 7th Critics Choice Movie Awards
https://www.bfca.org[...]
2023-05-05
[73]
뉴스
The 2001 Saturn Awards
https://movieweb.com[...]
2002-06-13
[74]
웹사이트
2001 Artios Award Winners
https://www.castings[...]
2023-05-05
[75]
뉴스
It's unforgettable
https://www.theguard[...]
2000-10-15
[76]
웹사이트
All Winners
https://edgarawards.[...]
2023-05-05
[77]
웹사이트
2001 FFCC Award Winners
http://www.floridafi[...]
2023-05-05
[78]
웹사이트
GTA3 Nominees (2002)
http://www.goldentra[...]
2023-05-05
[79]
웹사이트
Memento
https://catalog.afi.[...]
2023-05-05
[80]
웹사이트
27th Annual Los Angeles Film Critics Association Awards
http://www.lafca.net[...]
2023-05-05
[81]
뉴스
'Lord Of The Rings,' Nicole Kidman On Top At MTV Movie Awards
https://www.mtv.com/[...]
2002-06-03
[82]
웹사이트
2001 Awards
https://ofcs.org/awa[...]
2012-01-03
[83]
뉴스
'Memento' remembered by Toronto crix
https://variety.com/[...]
2001-12-19
[84]
웹사이트
2nd Annual Award Winners
https://vancouverfil[...]
2002-01-31
[85]
웹사이트
Christopher Nolan's 'Memento' to Get Remake
https://www.hollywoo[...]
2015-11-16
[86]
웹사이트
That remake of Christopher Nolan's 'Memento' is still happening, but its producer insists 'it is not really a remake' just 'something similar'
https://www.metro.us[...]
2020-08-30
[87]
웹사이트
When Christopher Nolan got upset with Ghajini filmmaker AR Murugadoss: 'Heard one of my films has been copied…'
https://indianexpres[...]
2023-08-20
[88]
문서
MDL
http://www.mydvdlist[...]
[89]
문서
MDL
http://www.mydvdlist[...]
[90]
웹인용
The 21st Century's 25 greatest films
http://www.bbc.com/c[...]
2016-08-23
[91]
웹인용
메멘토 MEMENTO
https://www.kmdb.or.[...]
2018-05-06
[92]
KMDb 영화
[93]
서적
큐브릭의 2001 만들기
New York: Signet
1970
[94]
서적
2001의 잃어버린 세계
London: Sidgwick and Jackson
1972
[95]
서적
The Making of Memento
New York: Faber
2002
[96]
간행물
Everything you wanted to know about
[97]
뉴스
동아일보 기사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98]
뉴스
동아일보 - 기획 기사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99]
뉴스
문화일보 칼럼
https://news.naver.c[...]
문화일보
[100]
뉴스
대전일보 기사
http://www.daejonilb[...]
대전일보
[101]
뉴스
매일경제신문 기사
https://news.naver.c[...]
매일경제신문
[102]
뉴스
한국일보 기사
https://news.naver.c[...]
한국일보
[103]
웹사이트
tt0209144/alternateversions
https://www.imdb.com[...]
[104]
웹사이트
tt0209144/awards
https://www.imdb.com[...]
[105]
웹사이트
tt0209144/business
https://www.imdb.com[...]
[106]
뉴스
동아일보 기사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107]
뉴스
국민일보 기사
https://news.naver.c[...]
국민일보
[108]
기사
무비위크 기사
http://www.movieweek[...]
[109]
칼럼
한국일보 칼럼
http://news.hankooki[...]
한국일보
[110]
영화
Naver 영화
http://movie.naver.c[...]
Naver
[111]
뉴스
한국일보 기사
https://news.naver.c[...]
한국일보
[112]
뉴스
동아일보 기사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113]
논문
"Piecing Together a Puzzling World: Memento"
2001-06-01
[114]
논문
"Memories Aren't Made of This: Amnesia at the Movies"
2004-12-18
[115]
웹인용
Memory Loss & the Brain
http://www.memorylos[...]
2006-01-13
[116]
기사
알고 보면 더 재밌다 <첫 키스만 50번째>
http://www.maxmovie.[...]
맥스무비
[117]
서적
신경과 의사 김종성 영화를 보다
동녘
2006-05-15
[118]
뉴스
한국경제신문 기사
https://news.naver.c[...]
한국경제신문
[119]
뉴스
한국경제신문 기사
http://www.hankyung.[...]
한국경제신문
[120]
뉴스
한국일보 기사
https://news.naver.c[...]
한국일보
[121]
뉴스
국민일보 기사
https://news.naver.c[...]
국민일보
[122]
뉴스
"'반전(反轉) 강박증'에 사로잡힌 영화계"
https://news.naver.c[...]
네이버 뉴스
[123]
웹사이트
https://www.imdb.com[...]
[124]
웹사이트
http://www.afi.com/t[...]
[125]
웹사이트
https://www.imdb.com[...]
[126]
웹사이트
https://www.imdb.com[...]
[127]
웹사이트
https://www.imdb.com[...]
[128]
간행물
엠파이어
http://www.empireonl[...]
[129]
웹사이트
https://www.imdb.com[...]
[130]
기사
씨네21 - 기사
http://www.cine21.co[...]
씨네21
[131]
간행물
엠파이어
http://www.empireonl[...]
[132]
웹사이트
http://www.1001befor[...]
[133]
웹사이트
http://www.nbrmp.org[...]
[134]
웹사이트
http://www.afi.com/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