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메틸말론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틸말론산은 프로피오네이트 대사 경로의 부산물로, 비타민 B12 결핍증, 메틸말로닉산혈증, 복합 말론산 메틸말론산 산성뇨증(CMAMMA) 등의 질환과 관련이 있다. 또한, 소장 박테리아 과증식과 종양 진행과도 연관될 수 있다. 혈중 메틸말론산 농도는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질량 분석법 또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법으로 측정하며, 건강한 사람의 예상 값은 73~271 nmol/L이다.

2. 신진대사

프로피오네이트 대사 경로에서 부산물로 생성되는 메틸말론산


메틸말론산은 프로피오네이트 대사 경로의 부산물이다.[1] 프로피오네이트 대사 경로는 필수 아미노산, 홀수 지방산, 박테리아 발효에 의한 프로피온산, 콜레스테롤 곁사슬, 티민을 재료로 사용한다.

프로피오닐-CoA는 프로피오닐-CoA 카르복실라제에 의해 D-메틸말론닐-CoA로 전환된 다음 메틸말론닐-CoA 에피메라아제에 의해 L-메틸말론닐-CoA로 전환된다.[5] L-메틸말론닐-CoA는 L-메틸말론닐-CoA 뮤타제에 의해 석시닐-CoA로 전환되며, 이 과정에서 아데노실코발라민 형태의 비타민 B12보조 인자로 필요하다. 이 반응은 시트르산 회로로 들어가는 중요한 과정이다.[1]

D-메틸말론닐-CoA 가수분해효소는 D-메틸말론닐-CoA를 메틸말론산과 CoA로 분해한다.[1][4] 아실-CoA 합성효소 패밀리 멤버 3(ACSF3)은 메틸말론산과 CoA를 다시 메틸말로닐-CoA로 전환한다.[7] 세포 내 에스테라아제는 메틸말론산에서 메틸기(-CH3)를 제거하여 말론산을 생성할 수 있다.[8]

2. 1. 생성 원인



메틸말론산은 프로피오네이트 대사 경로의 부산물이다.[1] 메틸말론산 생성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메틸말론산 생성 원인
원인설명기여도
필수 아미노산메티오닌, 발린, 트레오닌, 이소류신[3]전신 프로피온산 대사의 약 50%[2]
홀수 지방산전신 프로피온산 대사의 약 30%[2]
박테리아 발효박테리아 발효에서 생성되는 프로피온산[3]전신 프로피온산 대사의 약 20%[2]
콜레스테롤 측쇄[3]
티민[4]



프로피오닐-CoA는 프로피오닐-CoA 카르복실라제에 의해 D-메틸말론닐-CoA로 전환된 다음 메틸말론닐-CoA 에피메라아제에 의해 L-메틸말론닐-CoA로 전환된다.[5] 시트르산 회로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L-메틸말론닐-CoA 뮤타제에 의해 L-메틸말론닐-CoA가 석시닐-CoA로 전환되어야 하며, 이 과정에서 보조 인자아데노실코발라민 형태의 비타민 B12가 필요하다.[1] 프로피오닐-CoA에서 숙시닐-CoA로의 분해 경로는 시트르산 회로의 가장 중요한 아나플라제 경로 중 하나이다.[6] 메틸말론산은 이 대사 경로의 부산물로 D-메틸말론닐-CoA가 D-메틸말론닐-CoA 가수분해효소에 의해 메틸말론산과 CoA로 분해될 때 형성된다.[1][4] 아실-CoA 합성효소 패밀리 멤버 3(ACSF3)은 메틸말론산과 CoA를 메틸말론닐-CoA로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7]

세포 내 에스테라아제는 메틸말론산에서 메틸기(-CH3)를 제거하여 말론산을 생성할 수 있다.[8]

2. 2. 대사 과정



메틸말론산은 프로피오네이트 대사 경로의 부산물이다.[1] 프로피오닐-CoA는 프로피오닐-CoA 카르복실라제에 의해 D-메틸말론닐-CoA로 전환된 다음 메틸말론닐-CoA 에피메라아제에 의해 L-메틸말로닐-CoA로 전환된다.[5] L-메틸말로닐-CoA는 L-메틸말론닐-CoA 뮤타제에 의해 석시닐-CoA로 전환되며, 이 과정에서 아데노실코발라민 형태의 비타민 B12보조 인자로 필요하다. 이 반응은 시트르산 회로로 들어가는 중요한 과정이다.[1] 프로피오닐-CoA에서 석시닐-CoA로 전환되는 경로는 시트르산 회로의 가장 중요한 아나플라제 경로 중 하나이다.[6]

D-메틸말론닐-CoA는 D-메틸말론닐-CoA 가수분해효소에 의해 메틸말론산과 CoA로 분해될 수 있다.[1][4] 아실-CoA 합성효소 패밀리 멤버 3(ACSF3)은 메틸말론산과 CoA를 다시 메틸말로닐-CoA로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7] 세포 내 에스테라아제는 메틸말론산에서 메틸기(-CH3)를 제거하여 말론산을 생성할 수 있다.[8]

3. 임상적 관련성

메틸말론산 수치가 증가하면 비타민 B12 결핍증이나 메틸말로닉산혈증과 같은 대사성 질환을 의심할 수 있다. 혈액에 축적되는 메틸말론산은 종양 진행과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소장 내 세균 과증식 시에도 수치가 높아질 수 있다.

3. 1. 비타민 B12 결핍증

메틸말론산 수치가 증가하면 비타민 B12 결핍증을 나타낼 수 있다. 이 검사는 매우 민감하지만(비타민 B12 결핍 환자는 거의 항상 수치가 상승함), 특이도가 높지는 않다(비타민 B12 결핍이 없는 환자도 수치가 상승할 수 있음).[9] 메틸말론산은 비타민 B12 결핍 환자의 90-98%에서 상승한다. 70세 이상 환자의 20-25%는 메틸말론산 수치가 높지만, 이들 중 25-33%는 B12 결핍이 없기 때문에 특이도가 낮다. 이러한 이유로 노인의 경우 메틸말론산 수치 검사는 일상적으로 권장되지 않는다.[10]

3. 2. 대사성 질환

메틸말론산 수치가 높아지는 것은 메틸말로닉산혈증을 나타낼 수 있다.

말론산 수치 상승을 동반한 메틸말론산 수치 상승은 복합 말론산 메틸말론산 산성뇨증(CMAMMA)을 나타낼 수 있다. CMAMMA는 혈장 내 말론산 대 메틸말론산 비율을 통해 전형적인 메틸말론산혈증과 구별할 수 있다.[11]

3. 3. 암

나이가 들면서 혈액에 축적되는 메틸말론산은 2020년에 종양 진행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2]

3. 4. 소장 박테리아 과증식

소장에서 박테리아가 과증식하면 비타민 B12 흡수 과정에서 박테리아와의 경쟁으로 인해 메틸말론산 수치가 높아질 수 있다.[13][14] 이는 음식과 경구 보충제를 통한 비타민 B12 섭취에도 해당되며, 비타민 B12 주사를 통해 이러한 경쟁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단장 증후군 환자의 사례 연구를 통해 장내 세균이 과도하게 증식하면 메틸말론산의 전구체인 프로피온산의 생산이 증가한다는 가설이 있다.[15] 이러한 경우 메트로니다졸을 투여하면 메틸말론산 수치가 정상으로 돌아온 것으로 나타났다.[15][16]

4. 측정

혈중 메틸말론산 농도는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질량 분석법 또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법(LC-MS)으로 측정하며, 건강한 사람의 메틸말론산 예상 값은 73~271 nmol/L이다.[17][18]

참조

[1] 논문 Methylmalonic acid in aging and disease https://doi.org/10.1[...] 2024-03
[2] 논문 Genetic and genomic systems to study methylmalonic acidemia 2005-09
[3] 논문 Proposed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methylmalonic and propionic acidemia 2014-09
[4] 간행물 Elsevier
[5] 논문 Methylmalonyl Coenzyme A (CoA) Epimerase Deficiency, an Ultra-Rare Cause of Isolated Methylmalonic Aciduria With Predominant Neurological Features 2023-10-31
[6] 논문 Biochemical and anaplerotic applications of in vitro models of propionic acidemia and methylmalonic acidemia using patient-derived primary hepatocytes 2020-07
[7] 웹인용 ACSF3 gene https://medlineplus.[...] 2024-04-15
[8] 논문 Methylmalonate toxicity in primary neuronal cultures 1998-09
[9] 웹인용 Sensitivity and Specificity https://www.med.emor[...]
[10] 웹인용 B12 Deficiency and Dizziness http://www.dizziness[...]
[11] 논문 A New Approach for Fast Metabolic Diagnostics in CMAMMA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16
[12] 논문 Age-induced accumulation of methylmalonic acid promotes tumour progression 2020-09
[13] 논문 Small Intestinal Bacterial Overgrowth 2007-02
[14] 논문 Competition between bacteria and intrinsic factor for vitamin B 12 : implications for vitamin B 12 malabsorption in intestinal bacterial overgrowth 1972-02
[15] 논문 Vitamin B12 status, methylmalonic acidemia, and bacterial overgrowth in short bowel syndrome 2009-04
[16] 논문 Is Serum Methylmalonic Acid a Reliable Biomarker of Vitamin B12 Status in Children with Short Bowel Syndrome: A Case Series 2018-01
[17] 학위논문
[18] 웹인용 Methylmalonic Acid, Serum or Plasma (Vitamin B12 Status) http://ltd.aruplab.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